KR20110073274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274A
KR20110073274A KR1020100127689A KR20100127689A KR20110073274A KR 20110073274 A KR20110073274 A KR 20110073274A KR 1020100127689 A KR1020100127689 A KR 1020100127689A KR 20100127689 A KR20100127689 A KR 20100127689A KR 20110073274 A KR20110073274 A KR 2011007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tact
contact force
uni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오루 이마이즈미
다이조 후꾸자와
마히또 요시오까
노리아끼 사또
무네히또 구라따
구니아끼 가스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Feeding path after the transfer point and up to the fixing point, e.g. guides and feeding means for handling copy material carrying an unfused toner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7Deformation, e.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2Rotar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류측 반송부, 하류측 반송부, 및 상기 상류측 반송부와 상기 하류측 반송부 사이에 형성되는 시트의 루프를 검지하는 접촉식 루프 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 검지부는,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상류측 반송부와 상기 하류측 반송부 사이의 시트 반송로 내에,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에 접촉하도록 돌출하고, 시트에 접촉해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센서에 검지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접촉부와,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하는 접촉력을,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접촉력 변경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사용한 복사기, 프린터, 팩스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 담지체 상의 미정착 토너상을 시트에 전사하면서 시트를 반송하는 전사 장치와, 시트 상의 토너상을 가열 또는 가압하여 상기 토너상을 시트에 정착하면서 시트를 반송하는 정착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전사 장치와 정착 장치 사이에서의 시트 반송 속도 차가 발생하여 화상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정착 장치에 의한 시트 반송 속도가 전사 장치에 의한 시트 반송 속도보다 빠르면, 정착 장치와 전사 장치 사이에서 시트가 연신되고, 전사 장치에 의한 시트로의 전사 시에 상 어긋남(image displacement)과 같은 화상의 교란이 야기될 수 있다. 정착 장치에 의한 시트 반송 속도가 전사 장치에 의한 시트 반송 속도보다 느리면, 양 장치 사이에서 시트가 루프를 과도하게 형성하게 되고, 시트가 주위의 부재에 강하게 가압되어 마찰을 일으킨 후, 반송 안내 자국과 같은 화상의 교란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화상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반송로를 통과하는 시트에 일정한 이완(looseness)을 갖도록 제어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화상 형성 장치는 정착 장치(105)와 전사 장치(103) 사이의 반송 가이드(120)에, 시트(P)의 루프를 검지하는 센서(S)를 갖는다(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 05-107966호 공보 및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 07-234604호 공보 참조). 이 기술에 따르면, 정착 장치(105)에 의한 시트 반송 속도를, 전사 장치(103)에 의한 시트 반송 속도보다 느린 제1 속도와 전사 장치(103)에 의한 시트 반송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 사이에서 전환함으로써 루프량이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된다.
또한, 일부 화상 형성 장치는 제공되는 종이의 종류에 따라 루프의 크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루프 검지부를 갖는다(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6-10722호 공보 참조). 이 기술에 따른 루프 검지부에서는, 검지용 돌기부를 스프링과 같은 압박 부재에 의해 시트의 이면에 접촉시켜서, 그 위치의 변화를 포토 인터럽터 등을 통해 검지한다.
그러나,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검지용 돌기부가 시트의 이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압되어 있으므로, 시트에 대한 검지용 돌기부의 접촉력(압박력)이 강한 경우에는, 얇은 종이와 같이 강도(강성)가 낮은 시트가 반송될 때, 검지용 돌기부가 시트의 반송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트의 반송 상태는 불안정하게 되고, 시트의 인쇄면에 마찰을 일으키는 등의 화상 열화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얇은 종이에 맞춰서, 시트에 대한 검지용 돌기부의 접촉력이 약하게 설정되면, 두꺼운 종이와 같은 강성이 높은 시트가 반송될 때에는, 시트의 펄럭임(fluttering) 등에 의해, 검지용 돌기부와 딱딱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시트를 지나치게 잡아 당기거나, 지나치게 느슨하게 함으로써, 전사 장치에서의 상 어긋남과 같은 화상 결함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즉, 시트에 대한 검지용 돌기부의 접촉력이 강한 경우, 얇은 종이를 반송할 때 문제가 발생하고, 접촉력이 약한 경우, 두꺼운 종이를 반송할 때에 문제가 발생한다.
전사 장치와 정착 장치 사이에서의 시트의 루프 제어에 관한 문제들이 전술되었지만, 예를 들어 레지스트 롤러 쌍과 전사 장치 사이에 있어서의 루프 제어에 대해서도 유사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즉, 시트를 지나치게 잡아 당기거나 지나치게 느슨하게 하여, 반송 상태가 불안정해지면, 시트가 중간 전사 벨트와 같은 상 담지체의 토너상에 문질러지거나, 전사 장치에 의해 시트에 토너상을 전사할 때 상 어긋남이 일어날 가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시트 상에 화상이 형성될 때, 시트의 강도와 무관하게, 반송 상태에 따라 야기되는 화상 열화와 같은 문제를 제어하면서, 반송부 사이에서의 루프량을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유지함으로써 시트를 반송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트를 반송하는 상류측 반송부, 그 하류측에 배치되는 하류측 반송부 및 상기 상류측 반송부와 상기 하류측 반송부 사이에 형성되는 시트의 루프를 검지하는 접촉식 루프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루프 검지부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류측 반송부 및 상기 하류측 반송부 중 적어도 한쪽의 시트 반송 속도를 제어하여 시트의 루프량을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시트를 반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루프 검지부는, 상기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상류측 반송부와 상기 하류측 반송부 사이의 시트 반송로 내로 돌출하여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에 접촉하고, 시트에 접촉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센서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유도하는 접촉부와,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하는 접촉력을,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접촉력 변경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력 변경부가,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에 접촉부가 접촉할 때의 접촉력을 시트의 종류에 따라 변경시키므로, 화상이 형성될 때, 시트의 두께와 상관없이, 반송 상태에 의해 유발되는 화상 열화와 같은 문제들이 확실하게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측 반송부와 하류측 반송부 사이에서 시트의 루프량을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시트를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a는 접촉력을 강하게 설정한 상태에서의 정 위치(home position)를 나타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 검지부에서의 접촉력의 설정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상태로부터 시트가 통과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 검지부에서의 접촉력의 설정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3c는 접촉력을 약하게 설정한 상태에서 시트가 통과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 검지부에서의 접촉력의 설정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 검지부의 루프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루프 검지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루프 검지부를 나타내고, 접촉력이 강하게 설정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루프 검지부를 나타내고, 루프 검지부에 대해 접촉력이 약하게 설정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루프 검지부를 나타내고, 접촉력이 약하게 설정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루프 검지부를 나타내고, 루프 검지부에 대해 접촉력이 강하게 설정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8a는 도 7a의 루프 제어 동작에 대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8b는 도 7b의 루프 제어 동작에 대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종래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풀 컬러 프린터)(3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3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30a)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30a)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각 색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상 담지체(전자 사진 감광체)인 4개의 감광체 드럼(a 내지 d)이 배치된 화상 형성부(39)가 제공된다. 감광체 드럼(a 내지 d) 각각의 주위에는, 대전부, 현상부, 클리닝부가 배치되어, 이들 감광체 드럼(a 내지 d), 대전부 등을 구성부분으로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1a, 1b, 1c, 1d)가 형성된다.
이들 프로세스 카트리지(1a, 1b, 1c, 1d)의 상부에는, 감광체 드럼(a 내지 d)과 접촉하여 중간 전사체인 중간 전사 벨트(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2)의 내측에는, 1차 전사부로서의 전사 롤러(2)(2a, 2b, 2c, 2d)가 중간 전사 벨트(12)를 통해서 감광체 드럼(a 내지 d) 각각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12)는, 2차 전사 대향 롤러(3a) 등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2차 전사 대향 롤러(3a)로의 구동 입력에 의해 회전한다.
2차 전사 대향 롤러(3a)는 중간 전사 벨트(12)를 통해서 2차 전사 롤러(3b)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2차 전사부인 전사 장치(3)는 2차 전사 대향 롤러(3a)와 2차 전사 롤러(3b)를 포함한다. 전사 장치(3)로부터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정착 롤러(24)와 가압 롤러(25)를 갖는 정착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의 하방에 배치된 노광 장치(6)는 화상 신호에 따른 레이저 광을 감광체 드럼(a 내지 d)에 조사하여 선택적인 노광을 행한다. 이렇게 감광체 드럼(a 내지 d)을 레이저 광으로 노광함으로써,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a 내지 d) 각각의 표면에 화상 정보에 따른 각 색의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노광 장치(6)는,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발광 부재(도시되지 않음) 및 발광 부재로부터의 레이저 광을 감광체 드럼(a 내지 d)의 길이 방향(주 주사 방향)으로 주사하는 폴리곤 미러(6a)를 갖는다. 또한 노광 장치(6)는, 각종 렌즈 및 감광체 드럼(a 내지 d) 각각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반사용 반사 미러(6b)를 갖는다. 노광 장치(6)는, 캐비넷(6c)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서 레이저 광을 감광체 드럼(a 내지 d) 각각에 조사한다.
다음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30)의 화상 형성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우선, 화상 형성 개시 신호가 발해지면, 미리 결정된 프로세스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감광체 드럼(a 내지 d) 각각은, 각각의 대전 수단에 의해 균일하게 부극성으로 대전된다. 그리고, 노광 장치(6)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색에 의해 분해하여 얻어진 화상 신호에 따라서 발광 부재로부터 레이저 광을 발광한다. 레이저 광을, 폴리곤 미러(6a) 및 반사 미러(6b)를 경유해서 감광체 드럼(a 내지 d) 상으로 조사하여, 감광체 드럼 상에 각 색의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먼저 감광체 드럼(a)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옐로우의 토너를 부착시켜서 감광체 드럼(a) 상의 정전 잠상을 옐로우 토너상으로서 가시상화한다. 이 옐로우 토너상은, 감광체 드럼(a)과 전사 롤러(2a) 사이의 1차 전사부에 의해, 토너와 역극성인 1차 전사 바이어스(정극성)가 인가된 전사 롤러(2a)를 통해, 구동되어 있는 중간 전사 벨트(12) 위로 1차 전사된다.
옐로우 토너상이 전사된 중간 전사 벨트(12)는, 다음에 마젠타 토너상이 형성된 감광체 드럼(b) 측으로 이동한다. 감광체 드럼(b)에 형성된 마젠타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12) 상의 옐로우 토너상 위에 중첩된 후 1차 전사부에 의해 1차 전사된다.
유사하게, 중간 전사 벨트(12) 위에 중첩 전사된 옐로우 및 마젠타 토너상 위로 감광체 드럼(c, d)에 형성된 시안 및 블랙 토너상이 각각의 1차 전사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풀 컬러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12) 상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급지 카세트(4)에 수납된 시트(P)가, 픽업 롤러(8)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 쌍(9)으로 반송된다. 그 후, 이 시트(P)는, 레지스트 롤러 쌍(9)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2) 위에 형성된 풀 컬러 토너상의 선단이 전사 장치(3)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맞춰, 전사 장치(3)에 반송된다. 그리고, 전사 장치(3)로 반송된 시트(P)에, 토너와 역극성인 2차 전사 바이어스(정극성)가 인가된 2차 전사 롤러(3b)에 의해 풀 컬러의 토너상이 일괄해서 2차 전사된다. 시트를 전사 장치(3)에 급송하는 시트 급송 장치(40)는 상기 급지 카세트(4), 픽업 롤러(8) 및 레지스트 롤러 쌍(9)을 포함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P)는, 반송 가이드(20)로 안내되고, 정착 장치(5)의 정착부에 도입되고 나서, 내장 히터(23)에 의해 미리 결정된 온도로 가열된 정착 롤러(24)와 가압 롤러(25)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어, 토너상이 시트(P)에 정착되게 된다. 본 화상 형성 장치(30)에 있어서의 정착 롤러(24)는, 통상적인 화상 형성 시에 그 표면 온도가 190℃가 되도록 히터(23)의 발열이 조정된다. 정착 롤러(24)는 원통 형상의 금속 심봉 위에 탄성층이 제공된 부재를 포함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재질로서 SUS를 사용한 원통 형상의 심봉 상에 두께 약 1.5mm의 실리콘 고무층을 형성하고, 이 실리콘 고무층을 두께 70㎛의 PFA 수지 튜브로 피복하여 이루어진다. 정착 롤러(24)의 외경은 30mm이다. 가압 롤러(25)는, 스테인리스제의 심봉에, 사출 성형에 의해 두께 약 1.5mm의 실리콘 고무층을 형성하고, 이 실리콘 고무층을 두께 약 70㎛의 PFA 수지 튜브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며, 그 외경은 30mm이다.
따라서, 각 색의 토너가 용융 혼색된 후, 시트(P)에 풀 컬러의 프린트 화상으로서 정착된다. 그 후, 화상이 정착된 시트(P)는, 정착 장치(5)로부터 하류에 제공된 배출 롤러 쌍(10, 11)에 의해 배출 트레이(7) 상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 행해지는 시트(P)의 루프 제어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 형성되는 시트(P)의 루프의 크기를 검지하는 접촉식 루프 검지부(34A)를 갖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는, 가압 롤러(25)를 회전시키는 정착 구동부로서의 정착 모터(M)를 더 갖고 있다. 정착 모터(M)는, 스텝핑 모터이며, 가압 롤러(25)와 이에 종동하는 정착 롤러(24)에 의한 시트(P)의 반송 속도를, 전사 장치(3)의 2차 전사 대향 롤러(3a)에 대하여 복수의 느린 속도 또는 복수의 빠른 속도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30)는, 루프 검지부(34A)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정착 장치(5)에 의한 시트 반송 속도를 전환함으로써 시트(P)의 루프를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1)를 갖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부(39)와, 이 화상 형성부(39)에 의해 형성된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인 중간 전사 벨트(12)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사 장치(3)는, 중간 전사 벨트(12)가 담지하고 있는 토너상을 시트(P)에 전사하면서 시트(P)를 반송하는, 즉 시트(P)를 협지하면서 시트(P)를 반송하는 상류측 반송부를 구성하고 있다. 정착 장치(5)는, 전사 장치(3)에 의해 시트(P)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하면서 시트(P)를 반송하는, 즉 시트(P)를 협지하면서 시트(P)를 반송하는 하류측 반송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어부(51)에는, 루프 검지부(34A)의 솔레노이드(27), 센서(S), 정착 모터(M), 시트 정보 취득부(52) 및 환경 정보 취득부(53)가 접속되어 있다. 시트 정보 취득부(52)는, 화상 형성 장치(30)의 조작 패널(도시되지 않음)이나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나, 레지스트 롤러 쌍(9)의 하류측에 제공되는 미디어 검지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검지된 자동 입력 정보를 취득한다. 환경 정보 취득부(53)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30a) 주위의 수분량에 관한 환경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51)는, 루프 검지부(34A)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시트 반송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시트(P)의 루프량을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시트(P)가 반송되도록 정착 모터(M)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력 변경부인 솔레노이드(27)는, 환경 정보 취득부(53)에 의해 취득된 수분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분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접촉부(26a)의 접촉력을, 수분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분량보다 적을 경우에 비해 작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각각의 환경에 적합한 설정을 사용해서 화상이 형성될 수 있고,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의 시트(P)의 루프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시트(P)의 반송 상태에 의해 유발되는 화상 열화가 더욱 제어될 수 있다. 이 제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전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51)는, 루프 검지부(34A)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사 장치(3)의 2차 전사 대향 롤러(3a)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시트 반송 속도를 제어하고, 시트(P)의 루프량을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시트(P)를 반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루프 제어 시의 루프 검지부(34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루프 검지부(34A)는, 선단에 접촉부(26a)를 갖고 후단에 플래그부(26b)를 갖는 루프 검지 플래그(26)와, 플래그부(26b)의 변화에 따라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S)와, 솔레노이드(27)와, 토션 스프링(13)을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도면부호 42는, 센서(S)의 발광/수광부를 나타낸다.
접촉부(26a)는,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의 시트 반송로(33)(도 2 참조) 내로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P)와 접촉하도록 돌출하고, 시트(P)에 접촉해서 플래그부(26b)가 이동함으로써 센서(S)가 검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센서(S)는 포토 인터럽터이며,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 시트(P)와의 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단일 액추에이터로서의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움직임을 검지한다. 다시 말해, 센서(S)는, 루프 검지 플래그(26)가 시트(P)와 접촉해서 회전했을 때의 플래그부(26b)의 변화에 따라, 시트(P)와의 접촉 상태를 검출한다.
솔레노이드(27)는,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P)에 접촉부(26a)가 접촉할 때의 토션 스프링(13)에 의한 접촉력(압박력)을, 플런저(27a)를 본체(27b)로부터 진퇴 작동시킴으로써 변경시킨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7)는, 시트 반송로(33)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P)의 종류에 따라 접촉력을 변경하는 접촉력 변경부를 구성한다.
루프 검지 플래그(2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에 지지된 축부(26c)를 지지점으로 사용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시계 방향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접촉부(26a)와 플래그부(26b)가 축부(26c)를 포함하는 일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루프 검지 플래그(2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30a) 측에 지지된 회전 멈춤 부재(29)에 의해, 정 위치를 초과해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도 3a 참조).
루프 검지부(34A)는, 접촉부(26a)를 시트 반송로(33)를 향해서 압박하는 압박 부재로서의 토션 스프링(13)을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13)은, 접촉부(26a)를 시트 반송로(33)를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압박하는 것으로, 그 일단부가 접촉부(26a)의 배면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솔레노이드(27)의 플런저(27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접촉부(26a)는, 토션 스프링(13)의 압박력에 의한 시트 반송로(33)로의 최대 이동 위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30a) 측에 고정된 회전 멈춤 부재(29)에 의해 규제된다. 상기 접촉력 변경부로서의 솔레노이드(27)가, 시트 반송로(33)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P)의 종류에 따라, 토션 스프링(13)이 접촉부(26a)에 부여하는 압박력을 변경한다. 즉, 본 실시예의 접촉력 변경부는, 시트 반송로(33)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P)의 종류에 따라, 토션 스프링(13)의 비틀림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접촉력을 변경한다.
제어부(51)는, 시트의 종류 및 환경 정보에 따라, 솔레노이드(27)의 동작을 결정한다. 토션 스프링(13)의 아암을 솔레노이드(27)의 플런저(27a)로 가압함으로써, 토션 스프링(13)의 지지점이 변경되어,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압박력)을 변경한다. 따라서, 접촉력이 강하게 설정된 상태에서의 도 3a에 도시되는 정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시트(P)가 시트 반송로(33)를 통과하면, 상기 상태는 접촉부(26a)의 시트(P)에 대한 반력이 강하게 유지되면서 접촉부(26a)가 시트(P)에 접촉하는 도 3b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7a)가 후퇴하면, 시트(P)가 시트 반송로(33)를 통과할 때에, 접촉부(26a)의 시트(P)에 대한 반력이 약하게 유지되면서 접촉부(26a)가 시트(P)에 접촉한다.
시트에 관한 정보에 따른 루프 검지 센서의 접촉력의 선택 및 루프 검지부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는 시트의 루프 제어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우선, 인쇄가 개시되면, 제어부(5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트(P)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트(P)에 관한 정보에 따른 크기의 접촉력이 선택된다. 이 시트(P)에 관한 정보는 시트(P)의 두께 및 종류에 관한 정보이다. 이 시트(P)에 관한 정보는, 시트 정보 취득부(52) 및 환경 정보 취득부(5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전에 제어부(51)에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력 변경부는, 시트 반송로(33)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P)의 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강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접촉부(26a)의 접촉력을 시트 반송로(33)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P)의 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강도보다 큰 경우에 비해 작게 한다. 즉, 60g/m2보다 큰 평량(basis weight)의 시트에 대하여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한 접촉력(압박력)의 상태가 설정되고, 또 60g/m2 이하의 평량의 시트에 대하여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한 접촉력의 상태가 설정된다. 또한,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있어서는, 흡습에 의해, 전체적으로 시트의 강도(강성)가 저하하며, 이에 따라 접촉력을 변경하는 평량의 임계치가 70g/m2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시트 상에 여러 환경하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시트에 대한 루프 검지부(34A)의 접촉부(26a)에 의한 접촉력이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각 시트의 강성에 적합한 설정을 사용해서 화상이 형성되고, 따라서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의 시트(P)의 루프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시트(P)의 반송 상태에 의해 유발되는 화상 열화가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시트(P)는, 급지 카세트(4)로부터 픽업 롤러(8)에 의해 1매씩 송출되어, 정지하고 있는 레지스트 롤러 쌍(9)에 타이밍을 맞춰, 전사 장치(3)를 향해서 반송된다. 그리고, 2차 전사 롤러(3b)에 인가된 2차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2) 상의 토너상이 시트(P) 위로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P)는, 반송 가이드(20)로 안내되어서, 루프를 형성하면서 정착 롤러(24) 및 가압 롤러(25)로부터 형성되는 닙부에 진입한다.
정착 장치(5)에 시트(P)의 선단 부분이 진입하는 시점에서 루프 제어가 행하여진다. 전술한 도 3a는 접촉력 설정에 있어서, 시트(P)가 아직 급지 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루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정 위치의 상태이다. 정 위치의 상태에서, 이미 토션 스프링(13)에 의해, 도 3 내의 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루프 검지 플래그(26)에 인가되어 있다. 시트(P)가 정착 장치(5)의 닙부에 진입할 때, 정착 장치(5)의 시트 반송 속도(Vf)는 전사 장치(3)[2차 전사 롤러(3b)]의 시트 반송 속도(Vt)보다 느린 속도(Vf1)[정착 모터(M)의 회전 속도(M1)]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 시트(P)의 루프는 점차 커진다. 점차 커진 시트(P)에 의해 루프 검지 플래그(26)가 밀려서 요동하고, 센서(S)가 도 4b에 도시되는 오프(off) 상태로부터 도 4a에 도시되는 온(on) 상태로 변경된다. 센서(S)가 온이 되면, 정착 모터(M)는, 정착 장치(5)의 시트 반송 속도(Vf)가 전사 장치(3)의 시트 반송 속도보다도 빠른 속도(Vfh)[정착 모터(M)의 회전 속도(Mh)]로 변경되도록 전환된다. 따라서,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 형성되는 시트(P)의 루프는 점차 작아진다.
한편, 시트(P)의 루프를 추종하여 요동하는 플래그부(26b)의 요동에 의해, 센서(S)가 도 4a의 온 상태로부터 도 4b의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정착 모터(M)가 전환된다. 즉, 정착 모터(M)는 다시 정착 장치(5)의 시트 반송 속도(Vf)가 전사 장치(3)의 시트 반송 속도보다 느린 속도(Vf1)[정착 모터(M)의 회전 속도(M1)]로 변경되도록 전환된다. 따라서,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 형성되는 시트(P)의 루프는 다시 점차 커진다.
전술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시트(P)의 루프를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전사 장치(3)[2차 전사 롤러(3b)]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 시트(P)의 루프 상태를 도 2에 도시되는 루프 상태로 거의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P)의 후단이 2차 전사 롤러(3b)를 통과하면, 시트(P)의 루프는 해제되기 때문에, 센서(S)는, 시트(P)의 루프를 더 이상 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1)에 미리 설정된 시트(P)의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시트(P)의 후단이 2차 전사 롤러(3b)를 막 통과한 시점에 센서(S)의 신호 판독을 종료하고, 정착 장치(5)는 일정 속도로 시트(P)를 반송한다. 그리고 시트(P)의 후단이 정착 장치(5) 및 배출 롤러 쌍(10)을 이 순서대로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배출 롤러 쌍(11)에 의해 배출 트레이(7)로 배출된다.
정착 장치(5)에 있어서의 정착 롤러(24)와 가압 롤러(25)의 닙을 시트(P)의 후단이 통과하는 동시에 후속 시트(P)의 진입에 대비하여, 정착 모터(M)는, 저속의 회전 속도(M1)로 전환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력도 솔레노이드(27)의 작동에 의해 변경된다.
[실시예의 효과의 확인]
다음으로, 본 실시예를 적용한 경우의 효과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5)를 사용하여, 화상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의 조건에는, 온도 30℃ 및 습도 80%의 환경이 포함된다. 평가용 시트로서의 얇은 종이로는, 충분히 상기 환경에 적응한 보이스(BOISE)제의 케스케이드 엑스-9(CASCADE X-9)(60g/m2 LTR)가 사용되었으며, 솔리드 흑색 인쇄 100매 급지로 평가를 행했다. 평가용 시트로서의 두꺼운 종이로는, 니나 페이퍼(NEENAH PAPER)제의 니나 클라식 크레스트 커버(NEENAH CLASSIC CREST COVER)(216g/m2 LTR)가 사용되었다. 블랙으로 인쇄된 격자 패턴 및 마젠타로 하프톤 상에 인쇄된 블랙의 격자 패턴이 화상으로서 사용되고, 화상의 신축이 측정된다.
비교예로서는, 시트(P)에 대한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력의 변경을 행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30a) 측에 고정된 도 5에 도시되는 스프링 수용 부재(28)를 사용하여, 접촉부(26a)가 종이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한 접촉력(압박력)을 제공한다. 도 5는,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 있어서의, 루프 제어를 행하고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이 경우, 토션 스프링(13)은, 일단부가 접촉부(26a)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스프링 수용 부재(2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 부재(28)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27)와는 달리, 토션 스프링(13)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은 토션 스프링(13)의 스프링 상수에 의해 조절된다.
본 실시예와 비교예들의 화상 평가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3mN으로 고정.
얇은 종이: 문제 없음.
두꺼운 종이: 화상의 부분적인 신축 발생(최대 1%가 양호하지 않음).
"비교예 2"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7mN으로 고정.
얇은 종이: 문질러진 화상 발생 (5매/100매).
두꺼운 종이: 문제 없음.
"비교예 3"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5mN로 고정.
얇은 종이: 문질러진 화상 발생 (2매/100매).
두꺼운 종이: 화상의 부분적인 신축 발생(최대 0.5%가 양호하지 않음).
"본 실시예"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3mN과 7mN 사이에서 전환됨.
얇은 종이: 문제 없음.
두꺼운 종이: 문제 없음.
이상과 같이, 비교예 1로서, 압박력(접촉력)을 3mN으로 고정했을 경우에는, 얇은 종이에 대하여는 문제가 없었지만, 두꺼운 종이에 대하여는, 부분적으로 화상 배율이 신축해버렸다. 이것은, 루프 검지 플래그(26)에 의한 시트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지 않고, 이에 따라 루프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되어, 시트를 지나치게 잡아 당겨버리거나, 지나치게 느슨하게 함으로써, 2차 전사부에 영향을 미쳐버렸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접촉력을 7mN으로 고정한 비교예 2에서는, 두꺼운 종이에 대하여는 루프 검지 플래그(26)도 시트에 추종할 수 있게 되고, 화상 결함도 발생하지 않았지만, 얇은 종이에 대하여는, 화상의 문질러짐이 발생해버렸다. 이것은,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에 대한 접촉력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반송 상태가 교란되었기 때문이다.
접촉력을 5mN으로 고정한 비교예 3에서는, 얇은 종이와 두꺼운 종이 양쪽 모두에 약간이지만 화상 결함이 발생해버렸다. 이것은, 얇은 종이와 두꺼운 종이의 각 시트에 대하여 최적인 루프 검지 플래그의 접촉력에 마진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비교예들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에 대한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력의 제어를 행한 예에서는, 화상 결함이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을 시트(P)에 따라 전환함으로써, 각각의 시트에 적합한 설정값이 설정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 루프가 형성된 시트(P)에 대한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력을, 시트(P)에 적합한 크기로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의 시트(P)의 반송 상태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화상 열화를 제어할 수 있다. 두꺼운 종이와 같은 강도(강성)가 높은 시트에 대하여는,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력을 얇은 종이보다도 강하게 설정함으로써,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 루프가 형성된 시트의 반송 상태가 고정밀도로 검지되고 제어될 수 있다. 얇은 종이와 같은 강성이 낮은 시트에 대하여는,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력을 두꺼운 종이보다도 약하게 설정함으로써,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 시트가 루프를 형성했을 때에, 루프 검지 플래그(26)에 의해 반송 상태를 교란하는 일 없이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30)를 사용하는 환경을 변하게 했을 경우의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평가를 위한 조건으로는, 온도 23℃ 및 습도 50%의 환경과, 온도 30℃ 및 습도 80%의 환경의 2종류가 사용되었다. 평가용 시트로서, 충분히 상기 환경에 적응된 케논(CANON)제의 오피스 플래너(OFFICE PLANNER)(68g/m2 A4)가 사용되었으며, 솔리드 흑색 인쇄 100매 급지로 평가를 행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30)의 환경이 변화되었을 때의 화상 평가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7mN으로 고정.
환경: 온도 23℃ 및 습도 50%.
수분량: 8.7g/m3.
화상 결함:없음.
"비교예 5"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7mN으로 고정.
환경: 온도 30℃ 및 습도 80%.
수분량: 21.7g/m3.
화상 결함: 문질러진 화상 발생 (1매/100매).
"비교예 6"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3mN으로 고정.
환경: 온도 30℃ 및 습도 80%.
수분량: 21.7g/m3.
화상 결함: 문제 없음.
"비교예 7"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3mN으로 고정.
환경: 온도 23℃ 및 습도 50%.
수분량: 8.7g/m3.
화상 결함: 화상의 부분적인 신축 발생(최대 0.2%가 양호하지 않음).
"본 실시예"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3mN으로 전환됨.
환경: 온도 30℃ 및 습도 80%.
수분량: 21.7g/m3.
화상 결함: 문제 없음.
"본 실시예"
루프 검지 압박력 설정: 7mN으로 전환됨.
환경: 온도 23℃ 및 습도 50%.
수분량: 8.7g/m3.
화상 결함: 문제 없음.
비교예 4로서, 압박력(접촉력)을 7mN으로 고정했을 경우, 온도 23℃ 및 습도 50%의 환경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비교예 5로서, 접촉력을 7mN으로 고정하고 온도 30℃ 및 습도 80%의 환경에서는, 문질러진 화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했다. 이것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있어서는, 흡습에 의해 시트의 강성이 저하하고,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력에 의해, 시트의 반송 상태가 교란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비교예 6으로서, 접촉력을 3mN으로 고정했을 경우, 온도 30℃ 및 습도 80%의 환경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비교예 7로서, 접촉력을 3mN으로 고정하고 온도 23℃ 및 습도 50%의 환경에서는, 얼마 안 되지만 부분적으로 화상 배율이 신축해버렸다. 이것은, 온도 30℃ 및 습도 80%의 환경에 비해 수분량이 적고, 시트의 강성이 상승하여, 이하의 상황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즉, 루프 검지 플래그(26)에 의한 시트 추종성이 더 이상 양호하지 않게 되고, 루프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되어, 시트를 지나치게 잡아 당기거나, 지나치게 느슨하게 함으로써, 2차 전사부에 영향을 미치고, 화상 배율이 부분적으로 신축해버렸기 때문이다.
전술한 비교예들과 달리, 시트에 대한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력을 변경하는 시트의 평량의 임계치를 환경에 따라 변경하여, 어느 환경하에서도, 화상 결함을 유발하지 않고,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은,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에 대한 접촉력을 환경에 따라 전환함으로써, 각각의 시트의 상태에 적합한 설정값이 설정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의 시트의 루프 제어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레지스트 롤러 쌍(9)과 전사 장치(3) 사이에서의 루프 제어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상류측 반송부는, 시트 급송 장치(40)로부터 급송된 시트(P)를 전사 장치(3)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의 레지스트 롤러 쌍(9)을 포함한다. 하류측 반송부는 중간 전사 벨트(12)에 담지하고 있는 토너상을, 레지스트 롤러 쌍(9)에 의해 반송된 시트(P)에 전사하면서 시트(P)를 반송하는 전사 장치(3)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도, 상류측 반송부가 전사 장치(3)이고 하류측 반송부가 정착 장치(5)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두꺼운 종이에 대하여는, 시트(P)의 루프량을 고정밀도로 검지해 제어함으로써, 시트(P)의 반송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시트(P)를 레지스트 롤러 쌍(9)과 전사 장치(3) 사이에서 지나치게 잡아 당기거나, 지나치게 느슨하게 하는 것에 따른, 전사 장치(3)에 의한 상 어긋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얇은 종이에 대하여는, 반송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에 의한, 중간 전사 벨트 상의 토너상에 대한 시트(P)의 문질러짐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루프 제어 실시 시의 루프 제어부의 상태를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27)가 동작하는 동안 토션 스프링(13)의 타단부를 가압함으로써,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접촉력 변경부를, 시트 반송로(33)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P)의 종류에 따라, 토션 스프링(13)에 의한 상기 압박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거나 압박력을 해제함으로써 접촉력을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루프 검지부(34B)에서는, 토션 스프링(13)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부재(28)는 고정으로 하고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중량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을 가변 가능하게 한다. 다른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는 축부(26c)를 공통 회전 중심으로 하도록 중량 조절 부재(31)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부(26a)와는 반대측의 중량이 가감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기초하여,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부(26a)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을 변경할 수 있다.
중량 조절 부재(31)는,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축부(26c)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량 조절 부재(31)가 도 6a의 상태에서는 플래그부(26b)로부터 이격되고, 도 6b의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플래그부(26b) 상에 실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7)는, 플런저(27a)를 상방을 향한 상태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30a) 측에 지지되고, 도 6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플런저(27a)를 신장해서 중량 조절 부재(31)의 선단을 들어 올린다.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플런저(27a)를 후퇴시켜서 중량 조절 부재(31)를 플래그부(26b) 상에 싣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로서의 솔레노이드(27)의 작동에 의해, 루프 검지 플래그(26) 상에 중량을 가산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즉, 도 6a의 상태에서는, 중량 조절 부재(31)의 중량이 플래그부(26b) 상에 가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부(26a)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은 도 6b의 상태에 비해 강해진다. 한편, 도 6b의 상태에서는, 중량 조절 부재(31)의 중량이 플래그부(26b) 상에 가산되어 있으므로,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부(26a)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은, 도 6a의 상태에 비해 약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고,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 루프가 형성된 시트(P)에 대한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반력을, 필요 시 시트(P)에 적합한 크기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의 시트(P)의 반송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화상 열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27)의 작동에 의해 중량 조절 부재(31)의 중량을 가산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접촉부(26a)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27)의 위치는 제1 실시예의 경우만큼 정확하게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7)의 위치의 편향에 의한 접촉력에의 영향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루프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의 시트의 루프 제어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레지스트 롤러 쌍(9)과 전사 장치(3) 사이에서의 루프 제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접촉력 변경부는, 시트 반송로(33)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P)의 종류에 따라, 루프 검지부(34C)의 시트 반송로(33)에 대한 접촉부(26a)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접촉력을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도달 전의 루프 검지부(34C)의 정 위치를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고, 루프 제어 실시 시에 시트의 탄성에 의해 루프 검지 플래그(26)가 동작한 상태를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27)의 작동에 의해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을 가변 가능하게 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는, 케이싱(32) 내에 수용되는 센서(S)와, 제1 실시예의 루프 검지 플래그(26)와는 다른 형상의 루프 검지 플래그(26)와, 케이싱(32) 측에 지지되어서 토션 스프링(13)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부재(28)를 포함한다. 케이싱(32)은, 도 7의 우측 중앙부를 축부(41)로 회전 가능하게 화상 형성 장치 본체(30a) 측에 지지되어 있고, 루프 검지부(34C)의 전체를 일체적으로 도 7a의 상태로부터 도 7b의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는 위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 위치 제어부로는 로터리 솔레노이드를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루프 검지 플래그(26)는, 축부(26c)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돌출하는 접촉부(26a)와 플래그부(26b)를 포함한다. 접촉부(26a)는, 시트(P)와 접촉하는 측의 중량이 커지도록, 접촉부(26a)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연장하는 현(chord)을 갖는 반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토션 스프링(13)의 일단부를 반원 형상부의 기부 부근에서 지지하고 있다. 플래그부(26b)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래그부(26b)가 접촉부(26a)와의 균형을 잡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8b의 상태에서는,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이 도 8a의 상태에 비해 강해진다. 루프 검지 플래그(26)가 센서(S)의 발광/수광부(42)를 끊을 때(차폐할 때), 토션 스프링(13)에 의한 접촉력은 도 8a와 도 8b에서는 다르지 않다. 이는, 루프 검지 플래그(26)가 시트(P)와 접촉하는 측의 중량이 커지도록 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도 8b의 회전 상태가 도 8a의 상태에 비해, 도 8 내의 반시계 방향 힘의 성분이 커지기 때문이다. 도 8 내의 반시계 방향의 힘의 성분은,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접촉부(26a)에 걸리는 중력에 의해, 루프 검지 플래그(26)가 시트(P)를 누르도록 회전하는 것에 기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 의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고,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 루프가 형성된 시트(P)에 대한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반력을, 필요 시 시트(P)에 적합한 크기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의 시트(P)의 반송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화상 열화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검지 플래그(26) 및 센서(S)를 일체적으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시트(P)의 루프 제어를 행하는 포인트도 이동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시트(P)의 루프량도 가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꺼운 종이를 급지했을 때의 문제점으로서, 시트(P)의 후단이 전사 장치(3)를 통과할 때, 루프가 크다면 후단이 뛰어 올라서 화상이 흐트러져버리는 화상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실시예를 사용해서 도 7b의 상태로 하면, 루프 검지 플래그(26)의 시트(P)에 대한 접촉력을 두꺼운 종이용으로 강하게 하면서, 루프량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종이 반송도 안정되고, 또한 후단의 뛰어 오름과 같은 화상 불량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전사 장치(3)와 정착 장치(5) 사이에서의 시트의 루프 제어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레지스트 롤러 쌍(9)과 전사 장치(3) 사이에서의 루프 제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성과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2009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290291호의 이익을 향유한다.

Claims (9)

  1. 시트를 반송하는 상류측 반송부, 그 하류측에 배치되는 하류측 반송부 및 상기 상류측 반송부와 상기 하류측 반송부 사이에 형성되는 시트의 루프를 검지하는 접촉식 루프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루프 검지부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류측 반송부 및 상기 하류측 반송부 중 적어도 한쪽의 시트 반송 속도를 제어하여 시트의 루프량을 미리 결정된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시트를 반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루프 검지부는,
    상기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상류측 반송부와 상기 하류측 반송부 사이의 시트 반송로 내로 돌출하여,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와 접촉하고, 시트와 접촉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센서가 검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접촉부와,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하는 접촉력을,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접촉력 변경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를 상기 시트 반송로를 향해서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력 변경부는,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압박 부재에 의해 상기 접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을 변경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접촉부를 압박하여 상기 시트 반송로를 향해 이동시키는 토션 스프링이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한 상기 접촉부의 상기 시트 반송로로의 최대 이동 위치가 규제되며,
    상기 접촉력 변경부는,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토션 스프링의 비틀림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접촉력을 변경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력 변경부는,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압박 부재에 의한 상기 압박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압박력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접촉력을 변경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력 변경부는,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루프 검지부의 상기 시트 반송로에 대한 상기 접촉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접촉력을 변경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류측 반송부는 상기 상 담지체가 담지하고 있는 토너상을 시트에 전사하면서 시트를 반송하는 전사 장치이고,
    상기 하류측 반송부는 상기 전사 장치에 의해 시트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하면서 시트를 반송하는 정착 장치인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시트를 상기 상류측 반송부로 급송하는 시트 급송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류측 반송부는 상기 시트 급송 장치로부터 급송된 시트를 상기 하류측 반송부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이고,
    상기 하류측 반송부는 상기 상 담지체에 의해 담지된 토너상을 시트에 전사하면서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시트를 반송하는 전사 장치인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반송로를 통해 반송되는 시트의 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강도보다 작을 경우에, 상기 접촉력 변경부는 상기 접촉부의 접촉력을 시트의 강도가 상기 기준 강도보다 큰 경우의 접촉력에 비해 작도록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주위의 수분량에 관한 환경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경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수분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분량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접촉력 변경부는 상기 접촉부의 접촉력을 수분량이 상기 기준 수분량보다 적은 경우의 접촉력에 비해 작도록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127689A 2009-12-22 2010-12-14 화상 형성 장치 KR20110073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0291 2009-12-22
JP2009290291A JP2011133524A (ja) 2009-12-22 2009-12-22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274A true KR20110073274A (ko) 2011-06-29

Family

ID=4415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689A KR20110073274A (ko) 2009-12-22 2010-12-14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50549A1 (ko)
JP (1) JP2011133524A (ko)
KR (1) KR201100732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9943B2 (en) 2014-11-17 2017-03-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aterial determination unit
JP5867640B1 (ja) * 2015-07-06 2016-0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搬送プログラム
JP7042026B2 (ja) * 2017-01-25 2022-03-25 株式会社東芝 稼働環境評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91523B2 (ja) * 2017-02-08 2021-06-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制御方法
JP6972654B2 (ja) * 2017-05-19 2021-11-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179225A (ja) 2018-03-30 2019-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377A (ja) * 1983-10-25 1985-05-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S61291344A (ja) * 1985-06-18 1986-12-22 Canon Inc 転写材搬送装置
US5177547A (en) * 1989-04-26 1993-01-0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which uses the sheet ejection outlet as a sheet insertion inlet
ES2100988T3 (es) * 1991-09-03 1997-07-01 Canon Kk Aparato transportador de hojas.
JP2727899B2 (ja) * 1992-11-13 1998-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101365A (en) * 1998-11-06 2000-08-0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generating apparatus with tension unit for adjusting tension of continuous paper
JP2001109283A (ja) * 1999-10-12 2001-04-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060072953A1 (en) * 2004-10-04 2006-04-06 Daniel Vienneau Ticket presenter for use with a ticket printer having a tear bar therein
JP4994768B2 (ja) * 2005-12-09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73464B2 (ja) * 2008-02-08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25607B2 (ja) * 2008-06-27 2011-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0549A1 (en) 2011-06-23
JP2011133524A (ja)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3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ransfer nip adjustment function
US87185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582991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4794281B2 (ja) ベルト駆動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1354751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4220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942612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KR20110073274A (ko) 화상 형성 장치
US93482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light exposure based on applied bias
US8391738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executing a correction mode when the detected amounts of slack at different ends of a recording material are different
US104960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34061A (ja) 画像形成装置
JP7297461B2 (ja) 画像形成装置
US8577238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413199B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2023031498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34179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34179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1038241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058521A1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39894A (ja) 無端状ベルト規制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4075375A (ja) ベルト搬送装置
JP2008058825A (ja)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8107428A (ja) ローラ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807247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