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078A - 자전거 보관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078A
KR20110073078A KR1020090130242A KR20090130242A KR20110073078A KR 20110073078 A KR20110073078 A KR 20110073078A KR 1020090130242 A KR1020090130242 A KR 1020090130242A KR 20090130242 A KR20090130242 A KR 20090130242A KR 20110073078 A KR20110073078 A KR 20110073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movable body
guide rail
storage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현진
Original Assignee
방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현진 filed Critical 방현진
Priority to KR102009013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3078A/ko
Publication of KR2011007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4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heeled, hinged, foldable, telescopic, swinging or otherwise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상하 2단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나란하게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수직지지관(110); 수직지지관 사이의 지면에 고정설치된 하단보관대(120); 각 수직지지관 상단에 고정된 호형상의 지지관(131)과, 상기 지지관의 단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지지관을 따라 전후진되는 과정에서 승강되는 이동체(132)로 이루어진 상단보관대(130);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단보관대의 이동체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동력전달수단(140); 상기 상단보관대의 이동체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각 수직지지관의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매달린 무게추(150); 상단보관대 및 하단보관대에 각각 설치된 자전거 결속수단(160); 및 상기 상단보관대의 이동체가 최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체 이탈방지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전거, 보관, 이단, 무게추

Description

자전거 보관대{Bicycle P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상하 2단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길이가 긴 받침대에 자전거의 전륜만을 지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지지대를 등간격으로 고정시켜 구성한 자전거 보관장치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 보관장치는 지지대에 자전거의 전륜만을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하는 자전거를 일정하게 직립시켜 보관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보관되는 자전거끼리 서로 접촉이 발생하여 자전거를 용이하게 인출 수납하기가 곤란하며, 미관상으로도 보기가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자전거를 보관하는 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다수의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많은 면적을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전거 보 관장치를 상단 및 하단 보관대로 구성하여 자전거의 동일 보관면적에서 2배의 자전거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를 직립상태로 질서정연하게 보관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전거 보관대는 지면에 설치된 단일의 수직지지관; 상기 수직지지관의 전방 지면에 설치된 하단보관대; 하부보관대와 나란하게 수직지지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며 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호형상을 갖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전후진되는 과정에서 승강되는 이동체로 이루어진 상단보관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단보관대의 이동체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상단보관대의 이동체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각 수직지지관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매달린 무게추; 상단보관대 및 하단보관대에 각각 설치된 자전거 결속수단; 및 상기 상단보관대의 이동체가 최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체 이탈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보관대를 상하로 구성하여 자전거를 상하 이 단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보관면적과 공간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보관대를 수직지지대에 설치된 무게추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조작핸들을 이용하여 작은 힘만으로도 상단보관대의 승강조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쉽고 간편하게 자전거를 2단으로 보관하거나 회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보관대(100)는 지면에 설치된 단일의 수직지지관(110)과, 상기 수직지지관(110)의 전방 지면에 설치된 하단보관대(120)와, 하단보관대(120)와 나란하게 수직지지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131)과 상기 안내레일(131)을 따라 승강하는 이동체(132)로 이루어진 상단보관대(130)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동력전달수단(140)과, 상기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와 동력전달수단(140)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각 수직지지관(110)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매달린 무게추(150)와, 상단보관대(130) 및 하단보관대(120)에 각각 설치된 자전거 결속수단(160)과, 상기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가 최전방 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체 이탈방지구(1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지지관(110)은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수직지지관(110)의 전방에는 하단보관대(1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단보관대(120)는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진 지지면(121)과 자전거가 하단보관대(120)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121) 양측에 형성된 수직가이드부(122)로 이루어진 "∪" 형 단면을 가진 부재로서, 전단이 지면에 대하여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면(121)에는 자전거가 하단보관대(120)에 완전하게 진입된 상태에서 자전거의 전륜의 하단 일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안치공(12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121)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전거의 전륜이 안치공(123)에 안치된 상태이어도 지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안치공(123)에 자전거의 전륜의 하단 일부가 안치된 상태에서는 자전거의 전륜이 안치공(123)에 의해 지지되므로 자전거는 횡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자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전거의 하단보관대(120)로의 진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안치공(123) 후방의 지지면(121)에는 로울러(124)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전거의 안정적인 보관을 위하여 상기 지지면(121)에는 자전거의 후륜에 대응하는 안치공(125)이 더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로울러(124)는 안치공들(123,125)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단보관대(130)는 하단보관대(120)의 연직상방의 수직지지관(110)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상단보관대(130)는 하단보관대(120)와 나란하게 수직지지관(110)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외팔보 형태로 고정된 안내레일(131)과, 상기 안내레일(131)의 상단에 끼워져 안내레일(131)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안내레일(131)을 따라 전후진되는 과정에서 승강되는 이동체(132)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레일(131)은 단부(이하 후단이라 칭함)가 지면을 향하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되게 형성된 호형상의 부재로서, 전단이 수직지지관(110)과 연통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레일(131)이 하중을 크게 받는 구성임을 감안하여, 안내레일(131)의 전단에 별도의 브라켓트(173)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이 브라켓트(173)이 수직지지관(110)을 관통한 상태에서 관통부의 저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안내레일(131)의 상단에는 이동체(132)가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이동체(132)는 안내레일(131)과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단이 안내레일(131)보다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체(132)는 자전거가 보관되는 장소로서,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진 지지면과 자전거가 이동체(132)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 양측에 형성된 수직가이드부로 이루어진 "∪" 형 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132)의 저부에는 이동체(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일(132a)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자전거의 안정된 자립을 위하여 자전거의 전륜 하부를 가이드하는 안전망(134)이 더 부착된다. 도시하지는 않 았으나, 상기 안전망(134)은 하부보관대(120)의 전단에 더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안내레일(131)의 상단에는 상기 레일(132a)과 대응되는 가이드홈(131a)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레일(131)의 하부에는 후술할 롤러체인(143)의 통로역할을 수행하는 통과홀(131b)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체(132)가 안내레일(131)을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승강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는 동력전달수단(140)을 통해 외부로부터 승강력을 부여받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지지관(110)의 내부에는 무게추(150)가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와 동력전달수단(140)을 통해 승강이 가능하도록 매달려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은 수직지지관(110)과 안내레일(131)의 연통부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141)과, 안내레일(131)의 후단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142)과, 양단이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의 후단과 무게추(150)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2스프로켓(141,142)에 연속적으로 감겨진 롤러체인(143)과,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스프로켓(142)의 회전축에 설치된 조작핸들(144)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프로켓(141) 및 제2스프로켓(142)은 안내레일(131) 전,후단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트(173)를 통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스프로켓(142)의 전방에 롤러체인(143)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3스프로켓(145)이 더 설치되도록 하였고 제1스프로켓(141)은 무게추의 승강거리에 제한이 있으므로 롤러체인(143)이 권취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무게추(150)의 총무게는 조작핸들(144)의 조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동체(132)의 무게와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조작핸들(144)에 자전거의 무게만큼의 작은 조작력만 가하여 상단보관대(130)를 쉽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되고, 무게추(150)의 무게로 인해 상단보관대(130)가 급하강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132)가 완전히 하강할 때 이동체(13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안내레일(131)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163)와, 상기 이동체(132)의 저면에 형성되어 이동체(132)가 완전히 하강하기 직전에 상기 탄성부재(163)와 접촉되는 걸림편(164)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안내레일(131)의 내부에는 안내레일(131)의 상단으로 개방된 공간부(131c)가 안내레일(13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63)는 상기 공간부(131c)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132)의 걸림편(164)은 상기 공간부(131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63)로는 압축스프링이나 압축실린더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동작시 진동이 적은 압축실린더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하단보관대(120)에는 자전거 결속수단(160)이 구비된다. 상기 자전거 결속수단(160)으로는 자물쇠(161)와 고리(162)가 적당하다. 이 자물쇠(161)는 목욕탕이나 물품보관소에서 채용하고 있는 자물쇠처럼 사용자가 자물쇠(161)를 고리(162)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에 밀착시키면 돌기가 자물쇠(161)의 내부로 삽입됨 면서 자동으로 록킹됨과 동시에 열쇠가 자동으로 배출되면서 자전거를 하단보관대(120)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록킹시 자물쇠(161)로부터 배출된 열쇠를 소지하고 다니다가 자전거를 보관대로부터 인출시킬 때 자물쇠(161)에 열쇠를 삽입시키면 자물쇠(161)와 고리(162)와의 록킹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면서 열쇠는 자물쇠(161)에 자동으로 결속되는 동시에 자전거의 결속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수단(160)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도난 및 하단보관대(12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보관대(130)에 설치되는 자전거 결속수단(160)은 상기 이동체(132)의 바닥면에 형성된 자전거 후륜 안치공(165)과 결속후크(166)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속후크(166)는 상기 이동체(132)의 후단 양측면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동체(166a)와, 상기 회동체(132)의 하단으로부터 이동체(132)의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후륜 안치공(166a)에 삽입된 자전거 후륜에 눌리면서 회동체(166a)에 상향회동력을 부여하는 작동단(166b)과, 회동체(166a)의 상단으로부터 회동체(166a)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회동체(166a)가 상향회동할 때 자전거 후륜의 양측으로 근접이동하여 후륜의 양측과 간섭되는 간섭단(166c)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회동체(166a)에는 하향회동력을 부여하는 텐션스프링(166d)이 개재되어 자전거가 이동체(132)에 탑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체(132)가 자동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속수단(160)을 통해 자전거가 상단보관대(13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가 최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체 이탈방지구(17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체 이탈방지구(170)는 이동체(132)의 전단에 설치된 자물쇠(171)와 수직지지관(110)에 고정된 걸림돌기(172)로 구성되어 이동체(132)가 완전히 상승하여 전단이 수직지지관(110)에 도달하면 상기 걸림돌기(172)에 자물쇠(171)를 채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자물쇠(171)는 상술한 자전거 결속수단(160)의 자물쇠(161)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조작핸들(144)이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역회전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조작핸들(144)의 역회전 방지수단(18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핸들(144)의 역회전 방지수단(180)은 제2스프로켓(142)의 회전축에 설치된 래치기어(181)와, 상기 래치기어(181)와 인접하게 안내레일(131) 일측에 설치된 래치폴(182)이 적당하다. 상기 래치폴(182)은 안내레일(131)의 후단에 고정된 브라켓트의 외측면에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로 래치폴(182)을 들어올려 래치기어(181)를 역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조작핸들(144)은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가 하강하도록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실수로 조작핸들(144)이 역회전하면서 이동체(132)가 급작스럽게 하강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전거 보관대(100)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이단으로 보관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단보관대(120)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하단보관대(120)에 자전거를 하단보관대(120)의 전단까지 진입시키면 자전거의 전륜(및 후륜)의 하부가 하단보관대(120)의 지지면(121)에 형성된 안치공(123,125)에 삽입되면서 더 이상 진입이 불허되고 자전거는 자립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자전거가 하단보관대(120)에 정상적으로 진입된 상태를 의미하므로 사용자는 안치공(123,125)에 전륜(및 후륜)이 안치된 것을 확인한 다음 자전거 결속수단(160)을 이용하여 자전거를 하단보관대(120)에 결속시켜 보관을 완료한다.
한편, 자전거를 상단보관대(130)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32)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자전거를 이동체(132)로 진입시킨 다음 자전거 결속수단(160)을 이용하여 자전거를 상단보관대(130)에 결속시킨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후륜을 이동체(132)의 바닥면에 형성된 후륜안치공(165)에 자전거의 후륜의 하부가 삽입되면서 결속후크(166)의 간섭단(166b)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며 이 간섭단(166b)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회동체(166a)가 상향회동된다.
그 결과 작동단(166c)이 자전거의 후륜의 측면으로 근접이동하여 후륜의 양측과 간섭됨으로써 이동체(132)에 진입된 자전거는 결속후크(166)에 의해 결속된다. 이 상태에서는 자전거의 전륜이 안전망(134)에 의해 가이드되고 자전거의 후륜의 하부가 후륜안치공(165)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자전거는 안정적으로 자립된 상태가 된다.
한편, 자전거가 결속후크(166)에 의해 결속된 상태에서의 회동체(166a)에 하향회동력을 부여하는 텐션스프링(166d)은 압축된 상태로서, 이후 사용자가 상부보 관대(130)에 보관된 자전거를 회수하여 이동체(132)로부터 자전거를 이탈시키면 상기 텐션스프링(166d)이 이완되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후크(166)는 자동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조작핸들(144)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자전거가 보관된 이동체(132)를 상승시킨다. 이동체(132)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조작핸들(144)을 자전거의 무게보다 큰 힘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렇게 하면 조작핸들(144)에 연결된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롤러체인(143)이 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가 이동력을 부여받아 상승하게 된다. 이때, 이동체(132)는 롤러체인(143)에 의해 무게추(150)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자전거의 무게에 해당하는 작은 조작력만으로도 쉽게 이동체(132)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역회전 방지수단(180)으로서 래치기어(181)와 래치폴(182)이 설치된 경우에는 래치폴(182)이 래치기어(181)의 역회전을 방지해 주므로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조작핸들(144)을 놓치거나 조작력이 제거되더라도 이동체(132)가 낙하되지 않고 항상 안전한 상태에서 이동체(132)의 상승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32)가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이동체 이탈방지구(170)를 이용하여 이동체(132)와 수직지지관(110)을 결속시켜 상단보관대(130)에 자전거의 보관을 완료한다. 상단보관대(130)에 보관된 자전거는 상기 이동체 이탈방지구(180)에 의해 조작핸들(144)에 외력이 가해지더라고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가 수직지지관이 결속된 상태이므로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된다. 한편, 이동체 이탈방지구(180)를 록킹시킬 때 자물쇠(171)로부터 튀어나오는 열쇠는 소지하고 다니다가 추후에 자전거를 회수할 때 사용한다.
자전거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를 하강시켜야 한다. 상단보관대의 하강동작은 상기 상승동작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즉, 이동체(132)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이동체 이탈방지구(170)의 자물쇠(171)에 소지하고 있던 열쇠를 삽입시켜 고리(172)와의 록킹상태를 해제시켜 이동체(132)와 수직지지관(110)과의 결속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핸들(14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핸들(144)에 연결된 제2스프로켓(14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러체인(143)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상단보관대(130)의 이동체(132)가 하강이동력을 부여받아 하강하게 된다. 이때, 이동체(132)는 롤러체인(143)에 의해 무게추(150)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작은 조작력만으로도 쉽게 이동체(132)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역회전 방지수단(180)으로서 래치기어(181)와 래치폴(182)이 설치된 경우에는 래치폴(182)을 들어올려 래치기어(181)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조작핸들(14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이동체(132)는 완전히 하강하여도 이동체(132)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므로 사용자의 발등에 이동체(132)의 하단이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132)가 완전히 하강할 때 이동체(132)로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실린더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이 더 구비된 경우에는 이동 체(132)가 완전히 하강하기 직전에 압축실린더의 로드 단부가 이동체(132)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편(164)과 접촉되면서 실린더 내부를 압축시키면서 인입된다. 따라서, 이동체(132)의 하강속도가 현저히 줄어들면서 충격이 흡수되므로 이동체(132)는 부드럽게 멈추게 되므로 급작스런 하강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결속후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자전거 보관대를 구성하는 조작핸들의 역회전 방지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사용상태 측면도로서, 하강한 상단보관대에 자전거가 안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사용상태 측면도로서, 자전거가 상단보관대와 하단보관대에 정상적으로 보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자전거 보관대 110...수직지지관
120...하단보관대 130...상단보관대
131...안내레일 131a...가이드홈
131b...통과홀 131c...공간부
132...이동체 132a...레일
140...동력전달수단 141...제1스프로켓
142...제2스프로켓 143...롤러체인
144...조작핸들 150...무게추
160...자전거 결속수단 163...탄성부재
164...걸림편 165...후륜 안치공
166...결속후크 170...이동체 이탈방지구
180...이탈방지구 180...역회전 방지수단
181...래치기어 182...래치폴

Claims (11)

  1. 지면에 설치된 단일의 수직지지관;
    상기 수직지지관의 전방 지면에 설치된 하단보관대;
    하단보관대와 나란하게 수직지지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며 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호형상을 갖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전후진되는 과정에서 승강되는 이동체로 이루어진 상단보관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단보관대의 이동체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상단보관대의 이동체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각 수직지지관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매달린 무게추;
    상단보관대 및 하단보관대에 각각 설치된 자전거 결속수단; 및
    상기 상단보관대의 이동체가 최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체 이탈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수직지지관과 안내레일의 연통부에 설치된 제1스프로켓과,
    안내레일의 단부에 설치된 제2스프로켓과,
    양단이 각각 상단보관대의 이동체 단부와 무게추에 고정되어 상기 제1,2스프로켓에 연속적으로 감겨진 롤러체인과,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스프로켓의 회전축에 설치된 조작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안내레일과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저부에는 이동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안내레일의 상단에는 상기 레일과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의 하부에는 롤러체인 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들의 총중량은 상단보관대의 이동체의 무게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완전히 하강할 때 이동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안내레일의 내부에는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이동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이동체가 완전히 하강하기 직전에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되는 걸림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의 내부에는 안내레일의 상단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안내레일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공간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체의 걸림편은 상기 공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이 상단보관대의 이동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역회전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조작핸들의 역회전 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방지수단은 제2스프로켓의 회전축에 설치된 래치기어와, 상기 안내레일의 일측에 설치된 래치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보관대에 설치되는 자전거 결속수단은
    상기 이동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자전거 후륜 안치공; 및
    상기 이동체의 후단 양측면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하단으로부터 이동체의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안치공에 안치된 자전거 후륜에 눌리면서 회동체에 상향회동력을 부여하는 작동단과, 회동체의 상단으로부터 회동체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회동체가 상향회동할 때 자전거 후륜의 양측으로 근접이동하여 후륜의 양측에 간섭되는 간섭단으로 이루어진 결속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KR1020090130242A 2009-12-23 2009-12-23 자전거 보관대 KR20110073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242A KR20110073078A (ko) 2009-12-23 2009-12-23 자전거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242A KR20110073078A (ko) 2009-12-23 2009-12-23 자전거 보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078A true KR20110073078A (ko) 2011-06-29

Family

ID=4440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242A KR20110073078A (ko) 2009-12-23 2009-12-23 자전거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307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9440A1 (en) * 2014-08-06 2016-02-11 Hyde Craig Oliver A modular cycle storage apparatus
WO2017039300A1 (ko) * 2015-08-31 2017-03-09 박병철 2단 자전거 보관대
CN108661369A (zh) * 2018-06-20 2018-10-16 宁德师范学院 一种自行车立体停车库
KR102049210B1 (ko) * 2019-10-23 2019-11-26 최지수 2단 자전거 보관대
EP3878722A1 (en) * 2020-03-11 2021-09-15 VelopA B.V. Two-wheeler storage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9440A1 (en) * 2014-08-06 2016-02-11 Hyde Craig Oliver A modular cycle storage apparatus
US10179620B2 (en) 2014-08-06 2019-01-15 Craig Oliver Hyde Modular cycle storage apparatus
AU2015299766B2 (en) * 2014-08-06 2019-03-14 Craig Oliver HYDE A modular cycle storage apparatus
WO2017039300A1 (ko) * 2015-08-31 2017-03-09 박병철 2단 자전거 보관대
CN108661369A (zh) * 2018-06-20 2018-10-16 宁德师范学院 一种自行车立体停车库
KR102049210B1 (ko) * 2019-10-23 2019-11-26 최지수 2단 자전거 보관대
EP3878722A1 (en) * 2020-03-11 2021-09-15 VelopA B.V. Two-wheeler storag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3078A (ko) 자전거 보관대
JP5113898B2 (ja) 車載用ストレッチャーの固定具
CN107119938B (zh) 一种自行车立体停车装置
KR101255695B1 (ko) 자전거 2중 거치장치
JP2008290476A (ja) 駐輪装置
US20060096340A1 (en) Theft-prevention device for parking a two-wheeled vehicle
CA2498069A1 (en) Sun shade apparatus for a vehicle
CN109334826B (zh) 一种自行车竖直停放装置
JP2016014284A (ja) 駐輪装置
JP2011218852A (ja) 二輪車の駐輪装置
KR20110019005A (ko) 자전거 보관대
JP2008044581A (ja) ルーフキャリア
CN111703670B (zh) 一种农业装袋辅助装置
JPH0337348Y2 (ko)
GB2469136A (en) Tipping skip release mechanism
EP2116463B1 (en) Parking device for bicycles
CN220096998U (zh) 一种调节机构及其收纳箱
CN206783265U (zh) 一种应用于巷道式双立柱堆垛起重机中升降锁紧安全钳
DE202013001300U1 (de) Zweirad-Einstellanlage
CN215946687U (zh) 一种带有安全保护机构的单边升降机
CN216841408U (zh) 一种单轨吊驾驶室及其伸缩梯
CN220987911U (zh) 一种箱包用拉杆
CN214776195U (zh) 一种车厢栏板
JP2005105550A (ja) 駐輪施設
KR20110029293A (ko) 자전거보관함의 직립식 자전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