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966A - 부유식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966A
KR20110072966A KR1020090130092A KR20090130092A KR20110072966A KR 20110072966 A KR20110072966 A KR 20110072966A KR 1020090130092 A KR1020090130092 A KR 1020090130092A KR 20090130092 A KR20090130092 A KR 20090130092A KR 20110072966 A KR20110072966 A KR 2011007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ffshore structure
floating offshore
float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범선
강희석
김희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966A/ko
Publication of KR2011007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개시된다. 해수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하단부 둘레에 본체와 간격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상하동요 감쇄부를 포함하고,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본체는 극한해양조건에서 흘수선이 오목부에 위치하도록 침수 깊이가 조절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제공함으로써,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하동요 감쇄부에 의해 본체의 부가수질량이 증가되어 상하동요의 공진주기가 증가되고, 상하동요 감쇄부의 중량을 증가시키면 복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하동요 감쇄부에 의한 상하동요의 점성 감쇄력 및 확장부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된 오목부 경사면에 의한 회절 감쇄력에 의해 상하동요 진폭이 작아진다.
부유식, 해양구조물, 상하동요

Description

부유식 해양구조물{Floating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파도에 의한 상하동요가 최소화 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부유하는 상태로 시추 혹은 생산 등에 사용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파도, 바람, 조류등에 의한 횡동요(rolling), 종동요(pitching), 상하동요(heaving) 등의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생산을 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로써 스파(spar), 부이(buoys)와 같이 높이가 직경에 비해 상당히 큰 구조와, 세반 마린(Sevan Marine ASA)의 높이에 비해서 직경이 상당히 큰 구조가 제안 되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 해양구조물들은 원통형, 다각형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설계되고 있으며, 무게 중심이 부력 중심보다 낮도록 설계하여 안정성을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높이가 직경에 비해 상당히 큰 구조를 갖는 스파나 부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선박과 달리 전후, 좌우 및 상하동요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작은 수선면 적(水線面積)을 가지는 이상적인 형상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긴 형상 때문에 제작, 운반 및 설치등에 불리하고또한 저장 기능을 가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스파나 부이의 저장 기능 등을 보완하기 위해, 세반 마린은 높이에 비해 직경이 큰 실린더 형상의 부유식 해양구조물(이하 '세반형 해양구조물'이라 칭한다)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세반형 해양구조물은 실린더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횡동요 및 종동요가 크게 감소된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세반형 해양구조물은 저장 기능을 위한 직경의 증가에 의해 수선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세반형 해양구조물의 상하동요 고유주기는 스파에 비해 짧아지고, 태풍이나 기상 이변 등에 의해 발생되는 100년 이상의 반복주기를 가지는 극한해양조건에서의 파도주기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인다. 세반형 해양구조물의 상하동요 고유주기가 파도주기에 근접하게 되면 공진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과대한 상하동요운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극한해상조건에서 상하동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수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복 수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본체는 극한해양조건에서 흘수선이 오목부에 위치하도록 침수 깊이가 조절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본체의 하단부 둘레에 본체와 간격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상하동요 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동요 감쇄부는, 링 형상의 중량체와, 중량체를 본체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의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는, 본체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각과, 외각으로부터 본체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내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의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외각 및 내각 사이에는 본체의 상부 및 하부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는 내측 공간을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밀격벽을 더 포함하고, 본체 내부의 공간이 수밀격벽, 외각 및 내각에 의해 복수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로 구획된 공간 중 내각의 외측은 카고 탱크, 내각의 내측은 밸러스트 탱크일 수 있다.
본체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본체의 횡단면적이 증가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확장부는 본체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확장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확장부 경사면 및 오목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면 중 오목부의 상측 경사면의 경계부분은 각도의 변화 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하동요 감쇄부에 의해 본체의 부가수질량이 증가되어 상하동요의 공진주기가 증가되고, 상하동요 감쇄부의 중량을 증가시키면 복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하동요 감쇄부에 의한 상하동요의 점성 감쇄력 및 확장부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된 오목부 경사면에 의한 회절 감쇄력에 의해 상하동요 진폭이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에는 본체(120)와, 본체의 상단면에 형성된 상부갑판(121)에 설치된 각종 설비(110)가 포함될 수 있다.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해저면에 매장된 원유나 천연가스와 같은 자원을 시추 또는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20) 상단면의 상부갑판(121)에 설치된 각종 설비(110)는 이러한 시추 또는 생산에 필요한 것이 탑재될 수 있다.
본체(120)는 해수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본체(120)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본체(120)는 원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체(120)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130)가 형성되며, 본체(120)의 하단부 둘레에는 상하동요 감쇄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20)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본체(120)의 횡단면적이 증가되는 확장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122)는 상부갑판(121)의 면적을 증가시켜 각종 설비(110)가 설치될 공간이 확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체(120)는 평상시에 흘수선(WL)이 만재흘수선(FLDL: Full Load Draft Line)이나 그 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극한해양조건일 때에는 흘수선(WL)이 오목부(130)에 위치하도록 침수 깊이가 조절되는데, 이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도 1의 Ⅱ-Ⅱ직선에 따른 본체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20)에는 외각(123), 내각(124) 및 복수의 수밀격벽(125)이 포함될 수 있다.
외각(123)은 본체의 외주면을 형성하고, 내각(124)은 본체(120)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수밀격벽(125)은 본체(1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데, 수밀격벽(125)은 본체의 내측 공간을 수직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본체(120)의 중심 영역에는 본체(120)의 내측 공간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는 공간인 중심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20) 내측은 외각(123), 내각(124) 및 수밀격벽(125)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중 내각(124)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은 본체(120)의 중심을 조절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126)로 활용될 수 있고, 내각(124)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은 카고 탱크(127)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20)는 외각(123) 및 내각(124)에 의해 구획되어, 외각(123)이 손상되더라도 카고 탱크(127)에 저장된 원유나 천연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중심부(140)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운용에 필요한 도시되지 않은 기계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배관라인(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이 시추의 용도로 활용될 경우에는 중심부(140)에 드릴 스트링(drill string, 도시되지 않음)이나 라이저(riser,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관형시추장비를 수용하기 위한 문풀(moon pool)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내각(124) 외측에 형성된 공간 중 일부에는 복수의 수직관(150)이 설치될 수 있다. 수직관(150)은 본체(120)의 상부 및 하부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Safety Of Life At Sea)을 만족시키며, 상술한 바와 같은 관형시추장비(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직관(150)이 외각(123)의 외측에 설치될 경우, 다른 선박이나 유빙 과의 충돌, 반복되는 파랑하중에 의한 피로균열 등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수직관(150)은 외각(123)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직관(150)은 많이 설치될수록 유리한데, 이에 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도 1의 Ⅲ-Ⅲ직선에 따른 본체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20)의 오목부(130)가 형성된 부분의 횡단면은 외각(123) 및 내각(124)의 일부분이 본체(120)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오목부(130)는 수밀격벽(125)의 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부(130)는 수밀격벽(125) 중 일부 수밀격벽(125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오목부(130)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는 수밀격벽(125b)은 반경 방향의 길이가 감소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130)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오목부(130)에 의해 본체(120)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각(123), 내각(124) 및 수밀격벽(125)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공간들은 도 2에 도시한 오목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복수의 공간들과 수직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밸러스트 탱크(126a) 뿐만 아니라, 오목부(130)가 형성된 부분의 밸러스트 탱크(126b) 또한 그 내부공간은 각각 본체(120)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오목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밸러스트 탱크(126b)는 본체(120)의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20)의 상부 및 하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직관(15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Ⅳ-Ⅳ직선에 따른 본체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직선에 따른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20)의 중심부(140) 하부에는 기계실(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기계실(141) 하측에는 공동부(void space, 142)가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141)에는 밸러스트 탱크(도 2 및 도 3의 126) 내의 물이나 카고 탱크(127) 내의 저장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41)에 설치된 펌프는 밸러스트 탱크(126) 내의 물의 양을 조절하여 본체(120)의 침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극한해양조건일 때에는 흘수선(WL)이 오목부(13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오목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각(123) 및 내각(124) 사이에 수직관(150)이 설치될 수 있다.
반면, 도 5를 참조하면, 오목부(130)가 형성된 부분은 수직관(150)이 설치되지는 못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126b)가 본체(120)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러스트 탱크(126b)가 오목부(130)에 의해 구획되지 않으므로, 기계실(141)에 설치된 펌프 외에 별도의 펌프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빙이나 다른 선박에 의해 오목부(130) 내측의 외각(123)이 손상되더라도 내각(124)에 의해 카고 탱크(127) 내의 저장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확장부(122)는 본체(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본체(120)의 상측으로 갈수록 본체(120)의 직경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122)는 본체 상측의 외주면을 따라 확장부 경사면(122a)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오목부(130)는 본체(120)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입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오목부(130)의 가장자리 부분 또한 본체(120)의 외주면에 대하여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130) 가장자리 부분의 경사면 중 오목부(130)의 상측에 형성된 오목부 상측 경사면(130a)은, 확장부 경사면(122a)이 오목부(130) 내측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이 상하동요를 할 경우 흘수선(WL)은 보통 만재흘수선(FLDL)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본체(1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오목부 상측 경사면(130a)에 의해 파도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 상측 경사면(130a)이 파도를 일으키는 힘만큼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이 상하동요를 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즉,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오목부 상측 경사면(130a) 의해 상하동요 회절 감쇄력(diffraction damping)이 커져서 상하동요의 진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 경사면(122a)과 오목부 상측 경사면(130a)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상, 즉 확장부 경사면(122a) 및 오목부 상측 경사면(130a)의 경계부분이 각도의 변화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도록 하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이 회절 감쇄력을 얻을 수 있는 구간이 더욱 확장되어 상하동요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확장부 경사면(122a) 및 오목부 상측 경사면(130a)이 각도의 변화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지므로, 부유식 해양구 조물(100)의 제작 또한 용이해질 수 있다.
회절 감쇄력에 의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상하동요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 외에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공진주기를 증가시키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상하동요 공진주기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79859988-PAT00001
여기서, T는 상하동요 공진주기, M은 배수량, Ma는 부가수질량(Added Mass), ρ는 물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Aw는 수선면적을 뜻한다.
수학식 1에 의하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상하동요 공진주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부가수질량(Ma)을 증가시키거나, 수선면적(Aw)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상하동요 공진주기가 증가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이 일반적인 해양조건에 있을 때 주기가 16초인 파도가 발생하고, 극한해양조건일 때 주기가 18초인 극한파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자.
이때,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평상시의 흘수선(WL)이 위치하는 만재흘수선(FLDL)이나 그 아래에서의 상하동요 공진주기가 18초가 되도록 하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상하동요에 의한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런데, 극한해양조건일 때 주기가 18초인 극한파도가 발생하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상하동요에 의한 공진을 하게 된다. 이럴 경우,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흘수선(WL)이 오목부(130)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수선면적(Aw)이 감소되므로 상하동요 공진주기가 증가되어 상하동요에 의한 공진을 하지 않게 된다. 즉,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오목부(130)에 의해 극한해양조건일 때 상하동요에 의한 공진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런데, 수선면적(Aw)이 감소되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복원력이 작아지므로 안정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아래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09079859988-PAT00002
여기서, GM은 메타센터 높이(metacentric height), KB는 바닥에서 부력중심까지의 높이, BM은 부력중심에서 메타센터(metacenter)까지의 높이, KG는 바닥에서 무게중심까지의 수직거리를 뜻한다. GM은 복원력의 지표가 된다. 즉, GM이 클수록 복원력이 커진다.
여기서, BM은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79859988-PAT00003
여기서, M은 배수량, I는 수선면의 이차모멘트를 뜻한다.
즉, 수선면적(Aw)이 감소되면 수선면의 이차모멘트(I)가 감소되므로 BM이 작아진다. BM이 작아지면 GM(수학식 2 참조)이 작아지게 되므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복원력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선면적(Aw)의 감소에 따라 작아진 복원력을 증가시킬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20)는 오목부(130)에 비하여 돌출된 부분의 외각(123)의 외주연이 최대한 길게 형성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본체(120)의 오목부(130)가 형성된 부분의 횡단면은 중심부(140)에서 멀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다. 중심부(140)로부터 멀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되면 단면의 이차모멘트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극한해양조건일 때에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의 흘수선(WL)이 오목 부(130)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경우,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의 수선면에 따른 단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부(140)에서 멀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수선면의 이차모멘트(I)가 증가되어 BM이 커진다.
수학식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BM이 커지면 GM 또한 커지므로,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의 복원력이 커질 수 있다. 즉,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의 본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140)에서 멀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20)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게 되면 수직관(15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 또한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는 상하동요 감쇄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상하동요 감쇄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하동요 감쇄부(160)는 링 형상의 중량체(161) 및 중량체(161)를 본체(120)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브라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부가수질량(Ma)이 증가되면 상하동요 공진주기가 증가된다. 따라서, 상하동요 감쇄부(160)에 의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부가수질량이 증가되므로,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상하동요 공진주기가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161)는 본체(120)와 간격(d)을 형성하며 결합된다. 이는, 중량체(161) 및 본체(120) 사이의 간격(d)을 통하여 물이 유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이 상하동요를 할 경우 물이 간격(d)을 통하여 유동하게 되면, 상하동요 감쇄부(160)와 물이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물과의 마찰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동요 감쇄부(160)에 의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이 상하동요를 할 때 점성 감쇄력(viscous damping)이 커지게 되므로 상하동요의 진폭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량체(161)는 본체(120)와 별도로 제작되어 브라켓(162)에 의해 본체(120)의 하단부 둘레에 부착되므로, 중량체(161)와 본체(120)의 소재가 다르더라도 용이하게 본체(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량체(161)가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제작될 경우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100)의 무게중심이 낮아지므로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복원력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수학식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중량체(161)의 하중에 의해 KG가 작아지게 되므로 GM이 커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직선에 따른 본체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직선에 따른 본체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직선에 따른 본체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직선에 따른 본체의 종단면도.
도 6은 상하동요 감쇄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부유식 해양구조물 120: 본체
121: 상부갑판 122: 확장부
122a: 확장부 경사면 123: 외각
124: 내각 125: 수밀격벽
130: 오목부 126: 밸러스트 탱크
127: 카고 탱크 130a: 오목부 경사면
140: 중심부 150: 수직관
160: 상하동요 감쇄부

Claims (9)

  1. 해수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극한해양조건에서 흘수선이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위치하도록 침수 깊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 둘레에, 상기 본체와 간격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상하동요 감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동요 감쇄부는,
    링 형상의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은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각; 및
    상기 외각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내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상기 외각 및 상기 내각 사이에는,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을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의 수밀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이 상기 수밀격벽, 상기 외각 및 상기 내각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로 구획된 공간 중 상기 내각의 외측은 카고 탱크, 상기 내각의 내측은 밸러스트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의 횡단면적이 증가되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본체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확장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부 경사면 및 상기 오목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면 중 상기 오목부의 상측 경사면의 경계부분은 각도의 변화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20090130092A 2009-12-23 2009-12-23 부유식 해양구조물 KR20110072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092A KR20110072966A (ko) 2009-12-23 2009-12-23 부유식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092A KR20110072966A (ko) 2009-12-23 2009-12-23 부유식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966A true KR20110072966A (ko) 2011-06-29

Family

ID=4440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092A KR20110072966A (ko) 2009-12-23 2009-12-23 부유식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9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63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WO2018058975A1 (zh) 带延伸筒体的直筒式浮式平台和泳圈式浮筒组
KR101119854B1 (ko) 탄화수소의 시추 또는 생산을 위한 해양 플랫폼
US20100288178A1 (en) Offshore Floating Platform with Motion Damper Columns
NO337873B1 (no) Monokolonne-FPSO
RU2011132406A (ru) Морское плавучее основание для добычи, хранения и выгрузки, используемое в покрытой льдом и чистой воде
WO2008022119A2 (en) Floating offshore drilling/producing structure
US6869251B2 (en) Marine buoy for offshore support
WO2008030689A2 (en) Method for making a floating offshore drilling/producing structure
CN108473185B (zh) 低运动半潜式井台
CN113924248A (zh) 单柱的半潜式平台
AU2008294758B2 (en) A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US7008140B2 (en) Buoyant leg structure with added tubular members for supporting a deep water platform
TWI689446B (zh) 具有隨深度改變之水平截面之浮動支撐結構
US20200354030A1 (en) System for providing stability to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CN112078739B (zh) 一种半潜平台
NO337402B1 (no) Et flytende skrog med stabilisatorparti
KR20110072966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AU2009286256A1 (en) Floating structure of concrete
KR20010108376A (ko) 원유 생산 라이져용 안내 프레임을 갖춘 시스템, 라이져용안내 프레임, 라이져 부력 요소 및 반잠수형 생산 플랫폼
KR100545828B1 (ko) 원유저장 공간을 확장한 스파형 구조물
JP2014058275A (ja) 半潜水式浮体構造物
KR10149167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1099728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그 흘수 조절 방법
KR101213755B1 (ko) 횡동요 및 상하동요 저감을 위한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