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746A -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746A
KR20110072746A KR1020090129818A KR20090129818A KR20110072746A KR 20110072746 A KR20110072746 A KR 20110072746A KR 1020090129818 A KR1020090129818 A KR 1020090129818A KR 20090129818 A KR20090129818 A KR 20090129818A KR 20110072746 A KR20110072746 A KR 20110072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rocessor
logic
automatic
logic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342B1 (ko
Inventor
허섭
김동훈
김정택
최종균
이정운
박기용
박재창
이동영
권기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342B1/ko
Priority to CN201010539574.8A priority patent/CN102110485B/zh
Priority to US12/961,936 priority patent/US8675805B2/en
Publication of KR2011007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56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injecting test signals and analyzing monitored process response, e.g. injecting the test signal while interrupt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monitored system; superimposing the test signal onto a control signal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monitored system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1Computer implemented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동안 수동수단을 사용함으로 인해 시험시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야기되는 경제적 손실과 인적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화된 주기적 건전성 시험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자동화된 주기적 건전성 시험은 피동시험수단과 능동시험수단을 융합한 형태이다. 피동시험수단은 하드웨어 자가진단과 온라인 상태비교기능과 같이 발전소 운전 중에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시험이며, 능동시험수단은 외부의 시험설비에 의해 시험이 수행되는 시험으로서 자동논리시험 등이 해당된다. 하드웨어 자가진단 및 온라인 상태비교 기능 등 피동시험 수단은 발전소보호계통을 이루는 부품 또는 기능에 대한 고장모드가 명확히 정해져 있는 경우 사용되며, 자동논리시험 등 능동시험수단은 피동시험기능으로 탐지되지 않는 비 감지 고장 및 과도상태에 대한 시스템의 건전성 점검을 포함한 전반적인 시스템의 건전성을 점검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를 위해 상기 사항 이외에 자동 시험보고체계가 제시된다. 자동 시험보고체계는 발전소 요원이 필요할 때 모든 시험 결과를 항상 제공이 가능하고, 시험이력이 제시되며, 주기적 기능시험 점검 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주기적 건전성 시험, 피동시험, 능동시험, 자동논리시험, 기기자가진단, 온라인상태비교, 디지털원자로보호계통, 자동화 시험보고체계

Description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AUTOMATED PERIODIC SURVEILLANCE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IN DIGITAL REACTOR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자가진단, 온라인 상태비교 등 피동시험수단과 자동논리시험 등의 능동시험수단을 융합한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성 시험의 자동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보호계통은 원자로 보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에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원자력 발전소를 안전한 상태로 유지하고, 방사선 및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발전소보호계통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계통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발전소보호계통은 운영지침서에서 정하는 주기적 건전성 시험주기(통상 31일)에 따라 주기적으로 안전관련기능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주기적 건전성 시험 시에는 다중 채널(4 채널) 중 한 채널을 우회시키 고, 우회된 채널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며, 한 채널 시험이 종료되면, 우회상태를 해제 하고, 타 채널에 대한 시험도 동일 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방법은 과도한 시간소요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인적 시험의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을 채택한 울진 5, 6 발전소의 경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시 소요되는 시간은 발전소 한 호기 당 5일 정도이다.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시 소요되는 시간은 아날로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시 소요되는 시간이 1일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약 5배 정도가 더 소요되고, 이는 디지털 시스템이 갖는 자동시험기능의 장점을 전혀 살리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더욱 악화된 상태이다.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시 소요되는 시간이 긴 이유는 아날로그 시스템에 비해 복작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시험 항목이 대폭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기적 건전성 시험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되,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자가진단, 온라인상태진단, 자동논리시험 등의 시험 및 진단수단을 자동화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시험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전소보호계통 자동논리시험, 기기자가진단, 온라인상태비교 등 디지털화에 따라 가능해진 자동시험 및 진단 기능을 이용하여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을 자동화함으로써, 주기적 건전성 시험 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발전소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과도한 인적행위를 감소시켜 잠재적인 인적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 주기적 건전성시험 자동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자가진단, 온라인 상태진단, 자동논리시험 등의 시험 및 진단수단을 주기적 건전성시험의 수단으로 활용하여 자동화하여,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운전 중 발전소 요원에 의해 수동으로 채널 우회를 수행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주기적 건전성 시험이 수행될 수 있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자동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자동화된 주기적 건전성 시험 방법 및 장치는 3 단계의 시험 및 진단기능을 독립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상호 보완 중첩한 방법으로서 주기적 건전성 시험에 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자동화된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디지털 시스템의 내장된 진단 기능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메모 리 건전성, 입출력 장치 건전성, 운영체계 건전성, 통신장치 건전성이 점검된다. 점검된 진단기록은 자동시험보고체계에 의해 기록 관리함으로써, 기기자가진단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자동화된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에서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의 상태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온라인 상태진단을 수행한다. 디지털 보호계통은 통상 다중성을 갖는 독립적인 채널 (통상 4 채널)로 이루어지며, 채널 내에서도 다중성을 갖는다. 따라서 시스템의 다중화 정도에 따라 내장된 상수 비교, 설정치 비교, 처리상태 비교, 결과값 비교 등을 통해 고장난 경로를 찾는다. 각각의 프로세서에 대한 박동신호는 정상적인 경우 일정한 주기로 신호값을 증가시키는 반면, 프로세서 이상이 있을 경우 이 신호값은 정해진 범위 밖에 있으므로 고장을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점검된 기록은 자동시험보고체계에 의해 기록 관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자동화된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디지털 시스템이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시험으로서, 자동논리시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으로서, 기기자가진단, 온라인상태진단 및 자동논리시험을 이용함으로써 주기적 건전성 시험 시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발전소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과도한 인적행위를 감소시켜 잠재적인 인적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자동화된 주기적 건전성시험에 따라 다중화된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이 우회되는 채널 우회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기존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주기적 건전성 시험주기(통상 31일)에 따라 주기적으로 안전관련기능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한다.
이때,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통상적으로 주기적 건전성 시험 시, 다중 채널(4 채널) 중 한 채널을 우회시키고, 우회된 채널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며, 한 채널 시험이 종료되면, 우회상태를 해제하고, 타 채널에 대한 시험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비교논리 기능시험, 동시논리 기능시험, 개시논리 기능시험, 개시회로 기능시험 및 수동작동 기능시험을 포함하는 주기적 건전성시험(Periodic Surveillance Testing) 항목에 대해,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는 주기적 건전성 시험주기(통상 31일)에 따라 주기적으로 안전관련기능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한다.
이때,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통상적으로 주기적 건전성 시험 시, 다중 채널(4 채널) 중 한 채널을 우회시키고, 우회된 채널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며, 한 채널 시험이 종료되면, 우회상태를 해제하고, 타 채널에 대한 시험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기존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와 달리, 비교논리 기능시험, 동시논리 기능시험, 개시논리 기능시험을 제외한, 개시회로 기능시험 및 수동작동 기능시험만을 포함하는 주기적 건전성시험(Periodic Surveillance Testing) 항목에 대해,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우회된 채널에 대한 시험이 종료된 후, 정상운전 동안에 자동논리시험을 포함한 자가진단 및 온라인상태진단을 통해, 디지털 시스템에 대한 시험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논리시험은 가령, 비교논리 기능시험, 동시논리 기능시험 및 개시논리 기능시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비교논리 기능시험, 동시논리 기능시험 및 개시논리 기능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자동시험보고체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 장치는 정상운전 동안에는 디지털 시스템에 대한 시험 즉, 비교논리 기능시험, 동시논리 기능시험 및 개시논리 기능시험을 수행하고, 주기적 건전성시험(PST) 동안에는 아날로그 시스템 즉, 개시회로 기능시험 및 수동작동 기능시험에 대한 시험만을 수행함으로써, 주기적 건전성시험(PST)시간 및 채널우회시간을 단축하여 경제성,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30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301), 비교논리프로세서(BP)(303), 동시논리프로세서(CP)(305), 제어 수단(307), 유지보수 프로세서(309) 및 자동시험보고체계(311)를 포함한다.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303)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305)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이 만족해야 하는 조건은 예를 들어, 자채널의 비교논리프로세서(303), 동시논리프로세서(305)로부터의 상태 정보에 트립/예비트립이 미존재인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 비교논 리프로세서(303), 동시논리프로세서(305)에서 모듈 오류 없는 경우, 수동개시시험 및 수동시험신호가 없는 경우, 비정상적 시험종료를 포함하여 시험결과가 오류상태가 아닌 경우, 자체의 시험시간 점검 타이머로부터 종료 신호가 없는 경우, 자채널 우회 없는 경우 또는 타 채널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 시험 가능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의 시험값 및 시험개시신호를 입력 받아 자체적으로 시험가능 또는 허용조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조건은 예를 들어, 이전 스캔의 결과 모든 트립변수에 트립/예비트립이 없는 경우, 수동개시자동시험 및 수동시험신호가 없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303) 내 오류발생이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 시험중단신호가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 시험시작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 수신한 피시험 프로세서 ID가 일치하는 경우 또는 자체의 시험시간 점검 타이머로부터 종료신호가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신호 처리에 허용된 응답 시간(T)을 복수 개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시험개시신호가 수신된 이후 n개의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공정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공정 입력값에 대한 처리를 위한 단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응답 시간을 분할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하드 실시간 처리 개념을 가지므로, 주어진 응답시간(T) 내에 반드시 논리수행결과를 동시논리프로세서(305)에 전달할 수 있다. 주어진 응답시간(T) 중 T/2는 실제 공정입력값을 이용한 비교논리수행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T/2는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시간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프로세서 스캔시간마다 한 번은 실제 비교논리를, 다른 한번은 시험논리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한 스캔 내에 시험논리와 실제논리가 연관되게 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동시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 시험은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시험과 달리,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다.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결정론적 상태기반 처리를 위해 자동주기시험이 없는 경우에도 나머지 T/2 시간은 실제 비교논리수행과는 관련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체적으로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인지 판단하는 비교논리프로세서(303)의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은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 개시 신호 및 시험값의 입력 없이 비교논리를 위한 자체 시험 시나리오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와,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저장된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저장하는 시험출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공정입력값과는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시험입력버퍼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 입력된 시험값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공정입력값과의 상호연관성의 소지를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시험출력버퍼를 마련하여,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시험결과값, 또는 논리결과의 중간값 등을 상기 시험출력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공장입력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상호 연관성을 차단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상기 자동논리 수행 결과 출력된 제1 시험결과값을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303)는 상기 자동논리 수행 결과 출력된 제1 시험결과값을 비교논리프로세서(303) 및 동시논리프로세서(305)간의 통신 경로를 통해 동시논리프로세서(305)로 전송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305)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허용조건은 예를 들어, 모든 채널의 비교논리프로세서(303)로부터 어느 변수도 트립/예비트립이 없는 경우, 이전 스캔의 결과 트립이 없는 경우, 수동개시자동시험 및 수동시험신호가 없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305) 내 오류발생이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 시험중단신호가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 시험시작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 수신한 피시험 프로세서 ID가 일치하는 경우, 자체의 시험시간 점검 타이머로부터 종료신호가 없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303)의 박동신호 오류가 없는 경우, 모든 채널이 우회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CP, Coincidence Processor)(305)는 비교논리프로세서(303)로부터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시험결과값에 기초하여 제2 시험결과값을 생성하여,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시논리프로세서(305)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과 실제 비교논리프로세서(303)로부터 전송된 비교논리 결과값을 피동적 논리합(OR)을 수행한 뒤, 2/4 보팅논리를 수행하여, 2/4 보팅논리 결과를 트립 개시논리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주기시험 중인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305)는 상기 2/4 보팅논리 결과의 개시회로로의 출력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또한, 동시논리프로세서(305)에서 자동주기시험이 허용되지 않는 시작 금지 조건은 예컨대, 비교논리프로세서(303)로부터의 비교논리결과값이 하나 이상이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에 있거나,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단 자동주기시험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시험으로 인한 트립개시논리는 거짓 트립이므로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305)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시논리프로세서(305)는 시험으로 인한 실제 트립의 방해 및 시험으로 인한 거짓 트립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303)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분리된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지만, 시험출력버퍼는 별도로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수단(307)은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비교논리프로세서(303)로부터의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동시논리프로세서(305)로부터의 시험값에 대응 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비교논리프로세서(303)와 동시논리프로세서(305)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 수단(307)은 비교논리프로세서(303)와 동시논리프로세서(305)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301)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신된 제1 시험결과값 및 제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비교논리프로세서(303)와 동시논리프로세서(305)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수단(307)은 제1 시험결과값과 제2 시험결과값과의 연관도 정도를 판단한 결과를, 유지보수 프로세서(309)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지보수 프로세서(309)는 캐비닛 운전원 모듈일 수 있다.
유지보수 프로세서(309)는 채널 내 모든 프로세서의 상태정보와 시험 결과를 운전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프로세서(309)는 제1 시험결과값과 제2 시험결과값과의 연관도 정도를 판단한 결과를, 자동시험보고체계(311)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의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에 대한 일부 구성으로, 온라인상태진단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계통의 정상운전시 온라인상태진단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채널 내부의 전반적인 상태 및 프로세서의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상태진단의 대상은 보호 논리 수행에 필요한 공정입력값, 비교논리에 사용되는 설정치, 비교논리 및 동시논리 수행상태 및 프로세서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박동계수 등을 포함한다.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401)는 비교논리프로세서(411), 동시논리프로세서(413), 개시회로 등 계통 고유 기능에 관련된 기기로부터 계통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태값 비교 등의 상태진단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캐비닛 운전원모듈(421)로 전송한다.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401)는 모든 채널(4채널) 및 모든 그룹(채널 내 다중화)의 비교논리프로세서(411) 및 동시논리프로세서(413)로부터 공정변수, 설정치, 트립/예비트립 상태, 박동신호 등을 입력받아 비교를 통한 진단을 수행하고, 진단 결과를 채널내부통신망을 통해 캐비닛 운전원모듈(421)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401)는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 동시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5), 기타 온라인상태진단부(407) 및 박동계수감시부(409)를 포함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공정변수값 비교감시하는 경우, 모든 채널 및 채널 내 두 그룹의 비교논리프로세서(411)의 공정변수에 대한 A/D 변환값을 입력받아 두 그룹의 공정변수 값을 상호 비교하여 정해진 값 이상의 편차가 발생할 경우, 캐비닛 운전원모듈(421)에 오류신호를 제공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비교논리프로세서(411)에서 입력되는 공정값이 기 정해진 공정값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벗어나는 경우, 오류신호를 캐비닛 운전원모듈(421)에 전달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설정치 비교감시하는 경우, 채널 내 두 그룹의 비교논리프로세서(411)로부터 비교논리의 설정치를 채널내부 통신망을 통해 입력받아 비교감시를 수행함과 동시에, 타 채널의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로부터 타채널 설정치 상수를 채널간 통신망을 통해 입력받아 채널간 비교감시를 수행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자신이 갖고 있는 히스테리시스 값과 비교논리프로세서에서 제공되는 히스테리시스 값을 비교 감시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비교논리프로세서의 고정 예비트립/트립 설정치를 입력받아 자체의 상수값과 비교함으로써, 고정 설정치의 건전성을 검사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수동리셋 가변설정치 예비트립 및 트립설정치에 대해서 현재의 공정값과 그에 따른 설정치 값이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갖는다.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비교논리프로세서(411)로부터 고정 스텝값, 고/저 한계값, 현재 트립설정치 및 예비트립설정치를 입력받는다.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상기 비교논리 상수값에 대해 자체에 있는 상수값과 비교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비율제한 가변설정치 예비트립 및 트립설정치에 대해서 현재와 과거의 예비트립/트립 설정치의 차이를 확인하여 그 변화율이 비율제한값보다 작은지 확인한다.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3)는 예비트립/트립 상태비감시하는 경우, 채널 내 두 그룹의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예비트립상태 및 트립상태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이를 캐비닛 운전원모듈(421)에 제공한다.
동시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405)는 모든 채널 및 채널 내 그룹의 동시논리프로세서(413)의 동시논리 상태의 채널 내 그룹간 비교를 수행하여 결과를 캐비닛 운전원모듈(421)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원자로정지 기능과 ESF 작동개시 기능에 대해 동시논리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온라인상태진단부(407)는 원자로정지차단기(RTSG, 415), 계통 캐비닛(417) 및 개시회로(419)로부터의 상태신호를 받아 이들 설비의 건전성을 진단하며, 그 결과를 캐비닛 운전원모듈(421)에 전송한다.
박동계수감시부(409)는 각 프로세서(자가채널 BP1, BP2, CP1, CP2, 타 채널 ATIP)의 박동계수를 감시하며, 그 결과를 캐비닛 운전원모듈(421)로 전송한다. 박동계수감시부(409)는 박동신호 오류 발생시 온라인상태진단, 자동논리시험을 중지한다.
상기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는 외부 독립형 아날로그형 감시타이머를 채용하여 디지털 기기의 고장을 감지한다. 상위 프로세서모듈에서 생성하는 박동신호를 항상 감시하여 상위 프로세서의 고장이 감지되면 계통을 트립상태로 한다. 아날로그형 감시 타이머가 적용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 그룹1의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
- 그룹2의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
-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는 프로세서모듈의 소프트웨어 감시타이머를 채용하여 박동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해당 프로세서의 고장이 감지되면 계통을 트립상태로 하고, 운전원에게 경보를 제공한다.
1) 비교논리프로세서(411)의 고장을 감시하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411)는 주기적으로 박동신호를 데이터링크모듈을 통해 동시논리프로세서(413)로 전송한다. 동시논리프로세서(413)는 소프트웨어 감시타이머에 의해 박동신호가 상실되거나 예상된 박동신호값이 아닐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411)를 고장으로 감지하고, 비교논리프로세서(411)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트립상태로 간주한다.
동시논리프로세서(413)는 비교논리프로세서(411)와 연계된 HR-SDL의 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오류가 있을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411)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트립상태로 간주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411)는 주기적으로 박동신호를 데이터통신모듈을 통해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401)로 전송한다.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401)는 감시타이머에 의해 박동신호가 상실되거나 예상된 박동신호값이 아닐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411)를 고장으로 감지하고 경보계통에 'RPS Trouble' 경보 신호를 전송한다.
2) 동시논리프로세서(413)의 고장을 감시하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413)의 고장 발생시, 해당 하드웨어 감시타이머는 'time out' 되어 개시릴레이로 공급 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동시논리프로세서(413)는 주기적으로 박동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411)와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401)로 전송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411)는 동시논리프로세서(413)의 박동신호가 상실되거나 예상된 박동신호값이 아닐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413)의 우회관련 신호를 모두 기설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비교논리프로세서(411)는 동시논리프로세서(413)와 연계된 HR-SDL의 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오류가 있을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413)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기설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401)는 동시논리프로세서(413)의 박동신호가 상실되거나 예상된 박동신호값이 아닐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413)를 고장으로 감지하고 경보계통에 'RPS Trouble' 경보 신호를 전송한다.
3)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401)의 고장을 감시하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401)의 고장 발생시, 해당 하드웨어 감시타이머는 'time out' 되고 노심보호연산기에 경보신호(RPS Error)를 제공한다.
타 채널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 동 채널 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의 박동신호를 검사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자동논리시험을 금지시킨다.
이외에도 연계되는 채널간 통신망과 채널내 통신망의 진단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자동논리시험을 금지시킨다.
4) 입출력모듈의 고장을 감시하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411)의 아날로그 입력카드 및 디지털 입력카드의 고장은 프로세서모듈에 의해 감지되고 관련된 공정변수를 트립상태로 설정한다.
동시논리프로세서(413)의 디지털 입력카드 고장은 동시논리프로세서에 의해 감지되고 고장시 관련된 우회요구신호를 기 설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동시논리프로세서의 릴레이 출력카드 고장은 동시논리프로세서에 의해 감지되고 고장시 개시논리 출력을 트립상태로 설정한다.
도 5a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의 자동시험보고체계에 기록된 자가진단정보의 고장분류 및 계통조치사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내지 도 5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는 계통기기의 건전성을 계속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각 프로세서(BP, CP, ATIP 및 COM)의 기기자가진단기능을 이용한다.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는 기기자가진단결과를 진단결과의 중요도에 따라 중대고장, 비-중대고장, 단순고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중대고장은 발생된 고장으로 인하여 계통 또는 채널의 안전기능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고장으로서 해당 고장은 그룹의 트립상태를 발생한다. 고장상태는 캐비닛운전원모듈, 운전원모듈, 경보계통 및 정보처리계통에 제공한다.
비-중대고장은 트립기능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계통운전에 영향을 주는 고장으로서, 캐비닛운전원모듈, 운전원모듈, 경보 및 지시계통, 정보처리계통에 진단 결과를 제공하여 경보를 운전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단순고장은 계통운전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운전 지원 정보로 고려되는 고장을 의미하며 고장발생시 진단결과는 캐비닛운전원모듈을 통해 정보처리계통에 제공된다.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는 계통에서 심각도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계통논리에 활용한다. 즉, 각각의 기기자가진단 정보는 각각의 프로세서에서 트립기능, 우회 기능, 혹은 경보/정보로 활용한다.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는 자동논리시험 허용조건에서 상기의 기기자가진단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시험을 금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에서, 자동주기시험시 각 프로세서에 전송되는 시험입력값/시험결과값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본연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된 시험값을 이용하여 비교논리를 시험하기 위해 공정입력값과는 별도의 저장공간 즉, 시험입력버퍼를 마련할 수 있으며,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상기 입력된 시험값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공정입력값과의 상호연관성의 소지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시험출력버퍼를 마련하여,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시험결과값, 또는 논리결과의 중간값 등을 상기 시험출력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논리프로세서는 공장입력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상호 연관성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시험으로 인한 실제 트립의 방해 및 시험으로 인한 거짓 트립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분리된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지만,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달리, 시험출력버퍼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시험 허용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과 실제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비교논리 결과값을 피동적 논리합(OR)을 수행한 뒤, 2/4 보팅논리를 수행하여, 2/4 보팅논리 결과를 트립 개시논리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주기시험 중인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2/4 보팅논리 결과의 개시회로로의 출력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 자동주기시험이 허용되지 않는 시작 금지 조건은 예컨대,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비교논리결과값이 하나 이상이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에 있거나,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단 자동주기시험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시험으로 인한 트립개시논리는 거짓 트립이므로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에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비교논리와,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비교논리 수행을 시분할 방식으로 분리한 개념도이다.
비교논리프로세서는 하드 실시간 처리 개념을 가지므로, 주어진 응답시간(T) 내에 반드시 논리수행결과를 동시논리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주어진 응답시 간 중 T/2는 실제 공정입력값을 이용한 비교논리수행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T/2는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시간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는 프로세서 스캔시간마다 한 번은 실제 비교논리를, 다른 한번은 시험논리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한 스캔 내에 시험논리와 실제논리가 연관되게 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결정론적 상태기반 처리를 위해 자동주기시험이 없는 경우에도 나머지 T/2 시간은 실제 비교논리수행과는 관련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체적으로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인지 판단하는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은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 개시 신호 및 시험값의 입력 없이 비교논리를 위한 자체 시험 시나리오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동시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 시험은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시험과 달리,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 금지 조건, 및 중단 조건의 일례를 도시한 표이다.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도 8에 도시된 허용조건의 일례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AND 연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비교논리프로세서(BP), 및 동시논리프로세서(CP) 또한 도 8에 도시된 허용조건의 일례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AND 연 산), 시험입력값에 기초하여 비교논리 및 동시논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허용조건의 일례들 중 'o' 표시된 조건들이 적어도 하나 만족되지 않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비교논리프로세서(BP), 및 동시논리프로세서(CP)는 자동주기시험을 시작 금지 또는 중단될 수 있다. 예컨대, 자채널의 비교논리프로세서/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상태 정보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이 존재하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은 허용될 수 없다. 또한,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은 허용될 수 없으며,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비교논리결과값이 하나 이상이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에 있거나,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은 허용될 수 없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의 자동시험보고체계에 대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면, 자동시험보고체계는 시험종류별 선택 기능, 시험종류별 요약 기능 및 상세시험결과 보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시험종류별 선택 기능은 시험종류별 결과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날짜별로 성공/실패, 프로세서별 시험항목선택 및 결과를 요약하여, 테이블(table) 또는 차트(chart)로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즉, 자동시험보고체계는 온라인상태진단, 기기자가진단, 자동주기시험 또는 수동개시자동시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고, 자동주기시험을 선택 받으면 프로세서별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성공(SUCESS), 중단(STOP), 오류(ERROR) 등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시험종류별 요약 기능은 각 시험에 대해서 전체적인 시험요약을 제공하고, 시험 오류 및 중단원인을 분석해주는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즉, 자동시험보고체계는 성공/오류/중단의 시험 상태를 제공하고, 각 시험 상태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자동시험보고체계는 모든 프로세서 자동주기 시험을 성공하거나, BP1, BP2, CP1, CP2 프로세서 자동주기 시험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TRIP 발생 및 기기 오류로 인해, BP2 시험 중 자동주기 시험을 중단한 것에 대한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세시험결과 보고 기능은 시험입력과 시험결과값을 구체화하여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즉, 자동시험보고체계는 시험입력과 시험결과값을 구체화하여, BP 1에 대한 VARIABLE OVERPOWER 테스트 결과를 상세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 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 전송한다(1001).
이때,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BP, Bistable Processor)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개시신호 및 시험값을 입력 받아 자체적으로 시험가능 또는 허용조건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이 참일 경우 시험입력값에 기초하여 자동논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신호 처리에 허용된 응답 시간(T)을 복수 개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시험개시신호가 수신된 이후 n개의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는 공정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공정 입력값에 대한 처리를 위한 단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응답 시간을 분할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는 하드 실시간 처리 개념을 가지므로, 주어진 응답시간(T) 내에 반드시 논리수행결과를 동시논리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주어진 응답시간(T) 중 T/2는 실제 공정입력값을 이용한 비교논리수행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T/2는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시간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는 프로세서 스캔시간마다 한 번은 실제 비교논리를, 다른 한번은 시험논리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한 스캔 내에 시험논리와 실제논리가 연관되게 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동시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 시험은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시험과 달리,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다.
비교논리프로세서는 결정론적 상태기반 처리를 위해 자동주기시험이 없는 경우에도 나머지 T/2 시간은 실제 비교논리수행과는 관련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체적으로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인지 판단하는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은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 개시 신호 및 시험값의 입력 없이 비교논리를 위한 자체 시험 시나리오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와,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저장된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저장하는 시험출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는 공정입력값과는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시험입력버퍼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된 시험값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공정입력값과의 상호연관성의 소지를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시험출력버퍼를 마련하여,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시험결과값, 또는 논리결과의 중간값 등을 상기 시험출력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논리프로세서는 공장입력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상호 연관성을 차단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상기 자동논리 수행 결과 출력된 제1 시험결과값을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상기 자동논리 수행 결과 출력된 제1 시험결과값을 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간의 통신 경로를 통해 동시논리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허용조건은 예를 들어, 모든 채널의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어느 변수도 트립/예비트립이 없는 경우, 이전 스캔의 결과 트립이 없는 경우, 수동개시자동시험 및 수동시험신호가 없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 내 오류발생이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 시험중단신호가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 시험시작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피시험 프로세서 ID가 일치하는 경우, 자체의 시험시간 점검 타이머로부터 종료신호가 없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의 박동신호 오류가 없는 경우, 모든 채널이 우회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CP, Coincidence Processor)는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시험결과값에 기초하여 제2 시험결과값을 생성하여,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과 실제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비교논리 결과값을 피동적 논리합(OR)을 수행한 뒤, 2/4 보팅논리를 수행하여, 2/4 보팅논리 결과를 트립 개시논리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주기시험 중인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2/4 보팅논리 결과의 개시회로로의 출력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또한,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 자동주기시험이 허용되지 않는 시작 금지 조건은 예컨대,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비교논리결과값이 하나 이상이 트립상태/예 비트립상태에 있거나,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단 자동주기시험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시험으로 인한 트립개시논리는 거짓 트립이므로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시험으로 인한 실제 트립의 방해 및 시험으로 인한 거짓 트립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분리된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지만, 시험출력버퍼는 별도로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제어 수단은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한다(1003).
즉, 제어 수단은 제1 시험결과값과 제2 시험결과값과의 연관도 정도를 판단한 결과를, 유지보수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기기자가진단, 온라인상태진단 및 자동논리시험을 수행한다(1005).
즉,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주기적 건전성시험 시, 개시회로 기능시험 및 수동작동 기능시험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하는 반면, 정상운전 시, 비교논리 기능시험, 동시논리 기능시험 및 개시논리 기능시험을 포함하는 자동논리시험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기기자가진단결과를 진단결과의 중요도에 따라 중대고장, 비-중대고장, 단순고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중대고장은 발생된 고장으로 인하여 계통 또는 채널의 안전기능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고장으로서 해당 고장은 그룹의 트립상태를 발생한다. 고장상태는 캐비닛운전원모듈, 운전원모듈, 경보계통 및 정보처리계통에 제공한다.
비-중대고장은 트립기능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계통운전에 영향을 주는 고장으로서, 캐비닛운전원모듈, 운전원모듈, 경보 및 지시계통, 정보처리계통에 진단결과를 제공하여 경보를 운전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단순고장은 계통운전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운전 지원 정보로 고려되는 고장을 의미하며 고장발생시 진단결과는 캐비닛운전원모듈을 통해 정보처리계통에 제공된다.
이후,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계통의 정상운전시 온라인상태진단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채널 내부의 전반적인 상태 및 프로세서의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상태진단의 대상은 보호 논리 수행에 필요한 공정입력값, 비교논리에 사용되는 설정치, 비교논리 및 동시논리 수행상태 및 프로세서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박동계수 등을 포함한다.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는 비교논리프로세서, 동시논리프로세서, 개시회로 등 계통 고유 기능에 관련된 기기로부터 계통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태값 비교 등의 상태진단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캐비닛 운전원모듈로 전송한다.
즉,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는 모든 채널(4채널) 및 모든 그룹(채널 내 다 중화)의 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 공정변수, 설정치, 트립/예비트립 상태, 박동신호 등을 입력받아 비교를 통한 진단을 수행하고, 진단 결과를 채널내부통신망을 통해 캐비닛 운전원모듈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는 비교논리프로세서의 공정변수, 설정치 및 트립/예비트립 상태에 대한 채널 내 두 그룹간에 비교를 수행하고, 채널 내 그룹의 동시논리프로세서의 동시논리 상태에 대한 그룹간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는 원자로정지차단기(RTSG), 계통 캐비닛 및 개시회로로부터의 상태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건전성을 진단하고,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 및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의 박동계수를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 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기존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의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에 대한 일부 구성으로, 온라인상태진단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의 자동시험보고체계에 기록된 자가진단정보의 고장분류 및 계통조치사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에서, 자동주기시험시 각 프로세서에 전송되는 시험입력값/시험결과값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본연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에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비교논리와,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비교논리 수행을 시분할 방식으로 분리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비교논리프 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 금지 조건, 및 중단 조건의 일례를 도시한 표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의 자동시험보고체계에 대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301: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303: 비교논리프로세서
305: 동시논리프로세서 307: 제어 수단
309: 유지보수 프로세서 311: 자동시험보고체계

Claims (14)

  1.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 전송하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및
    상기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로부터의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부터의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에 대한 기기자가진단, 온라인상태진단, 또는 자동논리시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주기적 건전성시험 시, 개시회로 기능시험, 또는 수동작동 기능시험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하고,
    정상운전 시, 비교논리 기능시험, 동시논리 기능시험, 또는 개시논리 기능시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논리시험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 또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자가진단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에 대해 중대고장, 비-중대고장 또는 단순고장 중 어느 하나로 자가진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의 공정변수, 설정치, 또는 트립/예비트립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채널 내 두 그룹간에 비교를 수행하는 비교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
    채널 내 그룹의 동시논리프로세서의 동시논리 상태에 대한 그룹간 비교를 수행하는 동시논리프로세서 온라인상태진단부;
    원자로정지차단기(RTSG), 계통 캐비닛 또는 개시회로로부터의 상태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건전성을 진단하는 기타 온라인상태진단부; 및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 또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의 박동계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하는 박동계수감시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신호 처리에 허용된 응답 시간을 복수개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시험개시신호가 수신된 이후 n개의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출력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시험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험결과값을 출력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 또는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8.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 전송하는 단계;
    제어 수단에서, 상기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로부터의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부터의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에 대한 기기자가진단, 온라인상태진단, 또는 자동논리시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에서, 주기적 건전성시험 시, 개시회로 기능시험, 또는 수동작동 기능시험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에서, 정상운전 시, 비교논리 기능시험, 동시논리 기능시험, 또는 개시논리 기능시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논리시험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에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 또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자가진단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에 대해 중대고장, 비-중대고장 또는 단순고장 중 어느 하나로 자가진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의 공정변수, 설정치 및 트립/예비트립 상태에 대한 채널 내 두 그룹간에 비교를 수행하는 단계;
    채널 내 그룹의 동시논리프로세서의 동시논리 상태에 대한 그룹간 비교를 수행하는 단계;
    원자로정지차단기(RTSG), 계통 캐비닛 및 개시회로로부터의 상태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건전성을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 및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의 박동계수를 감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동작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에서, 신호 처리에 허용된 응답 시간을 복수개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시험개시신호가 수신된 이후 n개의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동작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시험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험결과값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동작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 또는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장치 동작 방법.
KR1020090129818A 2009-12-23 2009-12-23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KR10107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18A KR101073342B1 (ko) 2009-12-23 2009-12-23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CN201010539574.8A CN102110485B (zh) 2009-12-23 2010-11-11 数码发电站保护系统的健全性测试的自动化方法及装置
US12/961,936 US8675805B2 (en) 2009-12-23 2010-12-07 Automated periodic surveillance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in digital reactor prot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18A KR101073342B1 (ko) 2009-12-23 2009-12-23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46A true KR20110072746A (ko) 2011-06-29
KR101073342B1 KR101073342B1 (ko) 2011-10-14

Family

ID=4415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818A KR101073342B1 (ko) 2009-12-23 2009-12-23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75805B2 (ko)
KR (1) KR101073342B1 (ko)
CN (1) CN10211048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775A (ko) 2018-11-30 2020-06-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신호 분류를 이용한 과도 상태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감시하는 방법
KR20200069021A (ko) 2018-12-06 2020-06-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대표신호에 기초한 신호 분류를 이용한 과도 상태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감시하는 방법
KR20200069020A (ko) 2018-12-06 2020-06-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출력을 기준으로 한 신호 분류를 이용한 과도 상태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감시하는 방법
KR20200084667A (ko) 2019-01-03 2020-07-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그룹 대표신호에 기반한 신호 분류를 이용한 과도 상태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감시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4169B2 (ja) * 2007-08-17 2013-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JP5829392B2 (ja) * 2010-09-30 2015-12-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原子力発電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
CN102298980B (zh) * 2011-08-17 2015-02-25 岭东核电有限公司 百万千瓦级数字化核电站反应堆保护退出的方法
CN105448369B (zh) * 2015-11-26 2018-01-26 福建宁德核电有限公司 一种核电站设备故障诊断方法及系统
CN106205755B (zh) * 2016-07-26 2018-08-31 中广核工程有限公司 反应堆保护系统通道响应时间智能化测试系统及方法
CN108766602B (zh) * 2018-06-04 2020-10-16 中广核核电运营有限公司 核电厂反应堆保护系统通道试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7998B2 (ja) * 2001-02-09 2007-04-18 株式会社東芝 変電機器保護制御システム
KR100408493B1 (ko) * 2001-05-07 2003-12-06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공통유형고장을 자체 배제한 디지털원자로 보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998963B2 (en) * 2003-07-24 2006-02-14 Hunt Technologies, Inc. Endpoint receiver system
CN100424978C (zh) * 2005-02-06 2008-10-08 合肥阳光电源有限公司 一种光伏并网逆变方法
KR100909762B1 (ko) * 2007-11-27 2009-07-29 한국원자력연구원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605078B (zh) * 2009-07-14 2012-01-11 南京稳步自动化设备有限公司 基于web多通讯方式的电力系统通讯服务器及其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775A (ko) 2018-11-30 2020-06-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신호 분류를 이용한 과도 상태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감시하는 방법
KR20200069021A (ko) 2018-12-06 2020-06-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대표신호에 기초한 신호 분류를 이용한 과도 상태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감시하는 방법
KR20200069020A (ko) 2018-12-06 2020-06-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출력을 기준으로 한 신호 분류를 이용한 과도 상태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감시하는 방법
KR20200084667A (ko) 2019-01-03 2020-07-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그룹 대표신호에 기반한 신호 분류를 이용한 과도 상태에서 원자력 발전소를 감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0485B (zh) 2014-07-23
KR101073342B1 (ko) 2011-10-14
US8675805B2 (en) 2014-03-18
US20110150162A1 (en) 2011-06-23
CN102110485A (zh)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342B1 (ko)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KR102642462B1 (ko) 핵 반응기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0931136B1 (ko) 삼중화된 bp와 cp 및 2/3 논리의 개시회로 구조를 갖는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 및 그 구동 방법
JP6899884B2 (ja) 原子炉保護システム
KR100788826B1 (ko) 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 및 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의 시험 방법
KR101149685B1 (ko) 원자력 발전소 디지털 안전계통의 실시간 진단기능을 갖춘 제어장치
KR100909762B1 (ko)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75467B1 (ko) 독립적 이중화 구조 리던던시를 갖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및 그 방법
Choi et al. Fault detection coverage quantification of automatic test functions of digital I&C system in NPPS
KR101042030B1 (ko) 비교논리 및 동시논리를 통합한 발전소보호계통
KR101089835B1 (ko) 디지털 원자로 보호 계통의 자가 논리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245049B1 (ko) 원전 다중구조 적응형 제어기기 및 방법
KR101393812B1 (ko) 채널 다중화 안전계통의 통합 보수우회 장치 및 방법
KR102370659B1 (ko) 발전소보호시스템
Kabra et al. Dependability analysis of proposed I&C architecture for safety systems of a large PWR
Xie et al. Research on periodic test scheme of safety digital control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Dang et al. Analyzing cognitive errors using a dynamic crew-simulation model
CN116705369A (zh) 基于安全功能导向的核电站事故后监控与诊断方法和装置
Kang et al. Development strategies on an integrated operator decision aid support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s
Yigitoglu et al. A New Layer to the PRA: Operational Performance Risk Assessment
Guler Yigitoglu et al. A New Layer to the PRA: Operational Performance Risk Assessment
Park et al. Software FMEA Analysis for Safety Software
Huber et al. What Can be Gained by Probabilistic Safety Analyses on Systems of Nuclear Installations?
JPS61109112A (ja) プラント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