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762B1 -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762B1
KR100909762B1 KR1020070121731A KR20070121731A KR100909762B1 KR 100909762 B1 KR100909762 B1 KR 100909762B1 KR 1020070121731 A KR1020070121731 A KR 1020070121731A KR 20070121731 A KR20070121731 A KR 20070121731A KR 100909762 B1 KR100909762 B1 KR 10090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rocessor
logic processor
protection system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4838A (ko
Inventor
허섭
김동훈
이철권
이현철
이동영
권기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7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자동주기시험시 운전원에 의해 수동으로 채널 우회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 전송하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와,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 상기 입력된 제1, 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면, 상기 출력된 분석 결과를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캐비닛 운전원 모듈에 제공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자동주기시험,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Description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TESTING DEVICE IN DIGITAL REACTO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자동주기시험시 운전원에 의해 수동으로 채널 우회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보통 100개 이상의 개별적인 기능을 가진 계통(system)으로 구성된다. 이들 계통은 크게, 원자로를 중심으로 한 핵 증기 공급계통(NSSS: Nuclear Steam Supply System), 증기를 발전기로 전달하는 2차 순환냉각계통, 상기 2차 순환냉각계통으로부터 증기를 공급 받아 발전기를 돌리는 터빈 발전기 계통, 및 기타 부수설비로 구분된다. 현재 한국 원자력발전소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가압 경수로형 발전소를 살펴보면 원자로를 중심으로 한 1차 계통과, 증기발생기, 터빈, 발전기 및 복수기를 포함하는 2차 계통과, 사고에 대비한 공학적 안전설비계통과, 송배전계통과, 계측제어계통, 및 기타 보조계통들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을 수행하면서 각 계통의 건전성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센서를 원자로 계통에 설치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를 감시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이때, 원자력 발전소 운전 중 원자로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계통의 이상이나 핵증기 공급계통내의 냉각 기능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봉 낙하에 의한 원자로 정지기능을 개시하고, 공학적 안전설비작동계통을 구동하여 원자로를 냉각시켜야 하며, 이러한 과정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원자로 보호계통이다.
원자로 보호계통은 원자로 보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에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원자력 발전소를 안전한 상태로 유지하고, 방사선 및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원자로 보호계통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계통이라 할 수 있다.
발전소 현장에 대한 원자로 보호계통의 최적한 적용을 위해서는, 높은 신뢰도 및 높은 정밀성을 갖는 원자로 보호계통을 구현하여야 하고, 또한 원자로 보호계통 내부 및 외부에서 사소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원자로를 정지시키는 기능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원자력 발전소는 보통 복수개(일반적으로 4개)의 채널로 원자로 보호계통을 구성한다. 채널이 4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4개의 채널은 각기 그 채널에 속한 센서 혹은 기기로부터 플랜트의 상태 신호를 받아 원자로 정지 혹은 안전기기 작동조건을 판단하고 있고, 원자로 보호계통은 4개의 채널 중 2개 이상의 채널로부터의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원자로를 정지하거나 안전기기를 작동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한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 운영되는 원자로보호계통(또는 발전소보호계통)은 아날로그형과 디지털형으로 나뉜다. 디지털형 원자로보호계통은 울진5,6호기 이후의 원자력발전소에 채택되고 있으며, 그 이전에는 모두 아날로그형 원자로보호계통이다. 아날로그형 원자로 보호계통의 계통건전성 시험은 운전원/보수요원에 의해 수동시험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디지털형 원자로보호계통(울진5,6, 신고리1,2 호기)의 경우에는 자동시험개념이 도입되어, 크게 비교논리프로세서 자동주기시험과 동시논리프로세서 자동주기시험이 제공된다.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채널 우회'가 있다.
상기 '채널 우회'란, 네 개 채널의 리던던시 구조를 갖는 원자로보호계통에서 주기적으로 계통 건전성 점검(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시험으로 인해 계통 본연의 기능이 방해 받거나 거짓 제어행위(트립)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네 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무력화시켜, 최종 트립개시에 해당 채널을 참여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채널 우회가 없을 경우, 네 개의 채널이 모두 운용되므로 네 개의 독립적 채널 중 2개 이상의 채널에 트립이 발생하면(2/4 논리) 최종 트립개시신호가 발생되는데 반해, 채널 우회가 존재할 경우, 우회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개의 채널 중 2개 이상의 채널에서 트립이 발생되면(2/3 논리) 최종 트립개시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운전원이 시험을 개시하는 수동개시자동시험만이 규제기관에서 인정받고 있으며, 상기 자동주기시험은 채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주기 시험이 채택되지 못한 이유 중 가장 큰 요인은 시험을 위해서는 해당 채널을 우회해야 되는데, 채널 우회는 운전원이 수동으로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운전원이 시험 중임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는 온라인 자동주기시험은 정규시험수단으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자가진단, 자동시험 등의 시험 및 진단수단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운전 중 운전원에 의해 수동으로 채널 우회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운전 중, 채널 우회 없이 계속적인 트립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가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운전 중, 연속적인 자체시험과 일정주기의 객관적 시험을 수행 함으로써, 기기고장을 조기에 발견하여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신뢰성 및 가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 자원을 분리 및 독립하고 예약 보장함으로써 실 트립논리 수행의 결정론적 특성의 향상 및 그에 따른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시험에 의한 사건기반의 프로세싱을 회피하고, 이에 따라 연계 데이터 용량의 안정화와 보호계통 주기시험의 자동화에 따른 보수 및 운전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 전송하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와,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 상기 입력된 제1, 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면, 상기 출력된 분석 결과를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캐비닛 운전원 모듈에 제공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제어 방법은,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 전송하는 단계와,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단계, 및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 상기 입력된 제1, 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면, 상기 출력된 분석 결과를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캐비닛 운전원 모듈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자가진단, 자동시험 등의 시험 및 진단수단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운전 중 운전원에 의해 수동으로 채널 우회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운전 중, 채널 우회 없이 계속적인 트립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가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운전 중, 연속적인 자체시험과 일정주기의 객관적 시험을 수행 함으로써, 기기고장을 조기에 발견하여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신뢰성 및 가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 자원을 분리 및 독립하고 예약 보장함으로써 실 트립논리 수행의 결정론적 특성의 향상 및 그에 따른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시험에 의한 사건기반의 프로세싱을 회피하고, 이에 따라 연계 데이터 용량의 안정화와 보호계통 주기시험의 자동화에 따른 보수 및 운전성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10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 인터페이스 수단(120), 및 제어 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140)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1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만족해야 하는 상기 허용 조건의 일례로, 자채널의 비교논리프로세서(140), 동시논리프로세서(150)로부터의 상태 정보에 트립/예비트립이 미존재인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 비교논리프로세서(140), 동시논리프로세서(150)에서 모듈 오류 없는 경우, 수동개시시험 및 수동시험신호가 없는 경우, 비정상적 시험종료를 포함하여 시험결과가 오류상태가 아닌 경우, 자체의 시험시간 점검 타이머로부터 종료 신호가 없는 경우, 자채널 우회 없는 경우, 그리고 타 채널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시험 가능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 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는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논리프로세서(BP)(140)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150)에 제공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BP, Bistable Processor)(14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의 시험개시신호 및 시험값을 입력 받아 자체적으로 시험가능 또는 허용조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일례로, 이전 스캔의 결과 모든 트립변수에 트립/예비트립이 없는 경우, 수동개시자동시험 및 수동시험신호가 없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140) 내 오류발생이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시험중단신호가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시험시작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수신한 피시험 프로세서 ID가 일치하는 경우, 자체의 시험시간 점검 타이머로부터 종료신호가 없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상기 조건이 참일 경우 시험입력값에 기초하여 자동논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신호 처리에 허용된 응답 시간(T)을 복수 개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시험개시신호가 수신된 이후 n개의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공정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공정 입력값에 대한 처리를 위한 단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응답 시간을 분할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하드 실시간 처리 개념을 가지므로, 주어진 응답시간(T) 내에 반드시 논리수행결과를 동시논리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주어진 응답시간(T) 중 T/2는 실제 공정입력값을 이용한 비교논리수행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T/2는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시간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프로세서 스캔시간마다 한 번은 실제 비교논리를, 다른 한번은 시험논리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한 스캔 내에 시험논리와 실제논리가 연관되게 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동시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 시험은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시험과 달리,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다.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결정론적 상태기반 처리를 위해 자동주기시험이 없는 경우에도 나머지 T/2 시간은 실제 비교논리수행과는 관련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체적으로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인지 판단하는 비교논리프로세서(140)의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은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 개시 신호 및 시험값의 입력 없이 비교논리를 위한 자체 시험 시나리오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와,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저장된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저장하는 시험출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공정입력값과는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시험입력버퍼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입력된 시험값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공정입력값과의 상호연관성의 소지를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시험출력버퍼를 마련하여,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시험결과값, 또는 논리결과의 중간값 등을 상기 시험출력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공장입력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상호 연관성을 차단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상기 자동논리 수행 결과 출력된 제1 시험결과값을 인터페이스 수단(120)에 전송하여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상기 자동논리 수행 결과 출력된 제1 시험결과값을 비교논리프로세서(140) 및 동시논리프로세서(150)간의 통신 경로를 통해 동시논리프로세서(150)로도 전송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15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시논리프로세서(150)는 시험으로 인한 실제 트립의 방해 및 시험으로 인한 거짓 트립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분리된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지만, 시험출력버퍼는 별도로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150) 또한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일례로, 모든 채널의 비교논리프로세서(140)로부터 어느 변수도 트립/예비트립이 없는 경우, 이전 스캔의 결과 트립이 없는 경우, 수동개시자동시험 및 수동시험신호가 없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150) 내 오류발생이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시험중단신호가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시험시작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수신한 피시험 프로세서 ID가 일치하는 경우, 자체의 시험시간 점검 타이머로부터 종료신호가 없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140)의 박동신호 오류가 없는 경우, 모든 채널이 우회 없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150)는 상기 시험값과 비교논리프로세서(140)로부터 전송된 제1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출력된 제2 시험결과값의 개시 회로로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동시논리프로세서(15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과 실제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비교논리 결과값을 피동적 OR 논리를 수행한 뒤, 2/4 보팅논리를 수행하여, 2/4 보팅논리 결과를 트립 개시논리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주기시험 중인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2/4 보팅논리 결과의 개시회로로의 출력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또한,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 자동주기시험이 허용되지 않는 시작 금지 조건은 예컨대,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비교논리결과값이 하나 이상이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에 있거나,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단 자동주기시험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시험으로 인한 트립개시논리는 거짓 트립이므로 이를 차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수단(120)은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비교논리프로세서(BP)(140)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동시논리프로세서(CP)(150)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에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해당 프로세서의 시험이 종료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수단(120)은 피시험 프 로세서(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 제1, 2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는 제1, 2 시험결과값을 분석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CP, Coincidence Processor)(150)는 비교논리프로세서(140)로부터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시험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험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으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제2 시험결과값과의 연관도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수단(130)은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에서 상기 입력된 제1, 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비교논리프로세서(BP)(140)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150)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면, 상기 출력된 분석 결과를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캐비닛 운전원 모듈(COM)(16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각 프로세서간 연계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는 주기적으로 자동주기시험 가능 및 허용조건을 점검하고, 만일 시험 허용조건이 참이 되는 경우, 각각의 해당 피시험 프로세서(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에 순차적으로 시험개시신호와 시험값 또는 시험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프로세서의 시험이 종료되는 경우, 피시험 프로세서(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시험결과값을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는 피시험 프로세서(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된 시험결과값을 분석하여,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캐비닛 운전원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시험시,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개시신호 및 시험값을 입력 받아 자체적으로 시험가능 또는 허용조건인지를 판단한 후, 상기 조건이 참일 경우 시험입력값에 기초하여 자동논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상기 자동논리 수행 결과 출력된 제1 시험결과값을 동시논리프로세서 및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한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시험 및 연계프로세서에서는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시험결과값과, 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간 통신 결과 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시험결과값에 대한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간 데이터 통신경로에 대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시험은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입력카드 시험과,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논리시험, 및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간 연계통신에 대한 건전성을 점검하는 시험의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입력카드 시험의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실제 공정입력 채널과는 무관한 여분의 채널에서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 전압을 받아 들여 시험입력값과 시험출력값을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논리시험의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는 별도의 시험버퍼, 예컨대, 시험입력버퍼, 시험출력버퍼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시험값을 저장한 뒤, 시험 허용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시헙입력버퍼에 저장된 시험값을 자동논리에 입력하여 시험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시험으로 인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본연의 바이스테이블 논리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시분할 방식으로 실제 기능 수행과 시험 기능을 엄격히 분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간 연계통신에 대한 건전성 점검 시험은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 동일한 자동논리 시험결과값을 동시에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 전송하도록 하여,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자동논리 시험결과값을 비교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에서, 자동주기시험시 각 프로세서에 전송되는 시험입력값/시험결과값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본연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된 시험값을 이용하여 비교논리를 시험하기 위해 공정입력값과는 별도의 저장공간 즉, 시험입력버퍼를 마련할 수 있으며,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상기 입력된 시험 값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공정입력값과의 상호연관성의 소지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시험출력버퍼를 마련하여,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시험결과값, 또는 논리결과의 중간값 등을 상기 시험출력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논리프로세서는 공장입력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상호 연관성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시험으로 인한 실제 트립의 방해 및 시험으로 인한 거짓 트립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분리된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지만,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달리, 시험출력버퍼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시험 허용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과 실제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비교논리 결과값을 피동적 OR 논리를 수행한 뒤, 2/4 보팅논리를 수행하여, 2/4 보팅논리 결과를 트립 개시논리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주기시험 중인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2/4 보팅논리 결과의 개시회로로의 출력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 자동주기시험이 허용되지 않는 시작 금지 조건은 예컨대,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비교논리결과값이 하나 이상이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에 있거나,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단 자동주기시험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시험으로 인한 트립개시논리는 거짓 트립이므로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에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비교논리와,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비교논리 수행을 시분할 방식으로 분리한 개념도이다.
비교논리프로세서는 하드 실시간 처리 개념을 가지므로, 주어진 응답시간(T) 내에 반드시 논리수행결과를 동시논리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주어진 응답시간 중 T/2는 실제 공정입력값을 이용한 비교논리수행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T/2는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시간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는 프로세서 스캔시간마다 한 번은 실제 비교논리를, 다른 한번은 시험논리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한 스캔 내에 시험논리와 실제논리가 연관되게 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결정론적 상태기반 처리를 위해 자동주기시험이 없는 경우에도 나머지 T/2 시간은 실제 비교논리수행과는 관련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체적으로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인지 판단하는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은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 개시 신호 및 시험값의 입력 없이 비교논리를 위한 자체 시험 시나리오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동시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 시험은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시험과 달리,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 금지 조건, 및 중단 조건의 일례를 도시한 표이다.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도 5에 도시된 허용조건의 일례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AND 연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동시논리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비교논리프로세서(BP), 및 동시논리프로세서(CP) 또한 도 5에 도시된 허용조건의 일례들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AND 연산), 시험입력값에 기초하여 비교논리 및 동시논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허용조건의 일례들 중 'o' 표시된 조건들이 적어도 하나 만족되지 않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비교논리프로세서(BP), 및 동시논리프로세서(CP)는 자동주기시험을 시작 금지 또는 중단될 수 있다. 예컨대, 자채널의 비교논리프로세서/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상태 정보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이 존재하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은 허용될 수 없다. 또한,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은 허용될 수 없으며,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비교논리결과값이 하나 이상이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에 있거나,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은 허용될 수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6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도 6을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610에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 전송한다.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허용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순차적으로 비교논리프로세서(BP)(140)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150)에 제공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BP, Bistable Processor)(14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의 시험개시신호 및 시험값을 입력 받아 자체적으로 시험가능 또는 허용조건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이 참일 경우 시험입력값에 기초하여 자동논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신호 처리에 허용된 응답 시간(T)을 복수 개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시험개시신호가 수신된 이후 n개의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공정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공정 입력값에 대한 처리를 위한 단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응답 시간을 분할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하드 실시간 처리 개념을 가지므로, 주어진 응답시간(T) 내에 반드시 논리수행결과를 동시논리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주어진 응답시간(T) 중 T/2는 실제 공정입력값을 이용한 비교논리수행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T/2는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시간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프로세서 스캔시간마다 한 번은 실제 비교논리를, 다른 한번은 시험논리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한 스캔 내에 시험논리와 실제논리가 연관되게 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동시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 시험은 비교논리프로세서의 자동주기시험과 달리,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다.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결정론적 상태기반 처리를 위해 자동주기시험이 없는 경우에도 나머지 T/2 시간은 실제 비교논리수행과는 관련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체적으로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인지 판단하는 비교논리프로세서(140)의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체 온라인 논리진단은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 개시 신호 및 시험값의 입력 없이 비교논리를 위한 자체 시험 시나리오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와,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저장된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저장하는 시험출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공정입력값과는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시험입력버퍼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입력된 시험값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공정입력값과의 상호연관성의 소지를 차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시험출력버퍼를 마련하여,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1 시험결과값, 또는 논리결과의 중간값 등을 상기 시험출력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공장입력값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의 상호 연관성을 차단할 수 있다.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상기 자동논리 수행 결과 출력된 제1 시험결과값을 인터페이스 수단(120)에 전송하여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논리프로세서(140)는 상기 자동논리 수행 결과 출력된 제1 시험결과값을 비교논리프로세서(140) 및 동시논리프로세서(150)간의 통신 경로를 통해 동시논리프로세서(150)로도 전송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15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시논리프로세서(150)는 시험으로 인한 실제 트립의 방해 및 시험으로 인한 거짓 트립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논리프로세서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분리된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할 수 있지만, 시험출력버퍼는 별도로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150) 또한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일례로, 모든 채널의 비교논리프로세서(140)로부터 어느 변수도 트립/예비트립이 없는 경우, 이전 스캔의 결과 트립이 없는 경우, 수동개시자동시험 및 수동시험신호가 없는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150) 내 오류발생이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시험중단신호가 없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시험시작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로부터 수신한 피시험 프로세서 ID가 일치하는 경우, 자체의 시험시간 점검 타이머로부터 종료신호가 없는 경우, 비교논리프로세서(140)의 박동신호 오류가 없는 경우, 모든 채널이 우회 없는 경우, 동시 논리프로세서(150)는 상기 시험값과 비교논리프로세서(140)로부터 전송된 제1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출력된 제2 시험결과값의 개시 회로로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동시논리프로세서(150)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과 실제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비교논리 결과값을 피동적 OR 논리를 수행한 뒤, 2/4 보팅논리를 수행하여, 2/4 보팅논리 결과를 트립 개시논리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주기시험 중인 경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2/4 보팅논리 결과의 개시회로로의 출력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또한,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 자동주기시험이 허용되지 않는 시작 금지 조건은 예컨대,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의 비교논리결과값이 하나 이상이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에 있거나, 이전 스캔 주기에 트립상태/예비트립상태가 있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단 자동주기시험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시험으로 인한 트립개시논리는 거짓 트립이므로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는 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 각각 수신한 제1, 2 시험결과값을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 입력한다.
인터페이스 수단(120)은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비교논리프로세서(BP)(140)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동시논리프로세서(CP)(150)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에 입력할 수 있다.
해당 프로세서의 시험이 종료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수단(120)은 피시험 프로세서(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로부터 제1, 2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110)는 제1, 2 시험결과값을 분석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동시논리프로세서(CP, Coincidence Processor)(150)는 비교논리프로세서(140)로부터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시험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험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으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제2 시험결과값과의 연관도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는 제1, 2 시험결과값을 이용한 분석 결과를 캐비닛 운전원 모듈에 제공한다.
제어 수단(130)은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110)에서 상기 입력된 제1, 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비교논리프로세서(BP)(140)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150)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면, 상기 출력된 분석 결과를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캐비닛 운전원 모듈(COM)(1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각 프로세서간 연계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에서, 자동주기시험시 각 프로세서에 전송되는 시험입력값/시험결과값이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본연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에서,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비교논리와, 자동주기시험을 위한 비교논리 수행을 시분할 방식으로 분리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비교논리프로세서, 및 동시논리프로세서에서의 자동주기시험에 대한 허용 조건, 금지 조건, 및 중단 조건의 일례를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110: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ATIP)
120: 인터페이스 수단
130: 제어 수단
140: 비교논리프로세서(BP)
150: 동시논리프로세서(CP)
160: 캐비닛 운전원 모듈(COM)

Claims (11)

  1.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 전송하는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 상기 입력된 제1, 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면, 상기 출력된 분석 결과를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캐비닛 운전원 모듈에 제공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시험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험결과값을 출력하고,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제2 시험결과값과의 연관도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신호 처리에 허용된 응답 시간을 복수개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시험개시신호가 수신된 이후 n개의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는,
    공정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공정 입력값에 대한 처리를 위한 단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응답 시간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 또는 상기 동시논리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허용조건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는,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 및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저장된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저장하는 시험출력버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로부터의 시험값을 저장하는 시험입력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입력버퍼에 저장된 상기 시험값과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제1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제2 시험결과값을 출력하며,
    선정된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개시 회로로의 상기 제2 시험결과값 입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8.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내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과 연관된 시스템 조건이 선정된 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험값을 포함하는 시험개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험개시신호를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내 인터페이스 수단에서, 상기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서, 상기 시험개시신호에 응답한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CP)로부터, 상기 시험값에 대응하는 제2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서, 상기 입력된 제1, 2 시험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BP)와 동시논리프로세서(CP)와의 데이터 경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 내 제어 수단에서, 상기 출력된 분석 결과를 상기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캐비닛 운전원 모듈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논리프로세서는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시험결과값 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시험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험결과값을 출력하고,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시험결과값과 상기 제2 시험결과값과의 연관도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시험 및 연계 프로세서에 입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에서 신호 처리에 허용된 응답 시간을 복수개의 단위 시간으로 분할하는 경우, 상기 시험개시신호가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에 수신된 이후 n개의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비교논리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시험결과값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제어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070121731A 2007-11-27 2007-11-27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731A KR100909762B1 (ko) 2007-11-27 2007-11-27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731A KR100909762B1 (ko) 2007-11-27 2007-11-27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838A KR20090054838A (ko) 2009-06-01
KR100909762B1 true KR100909762B1 (ko) 2009-07-29

Family

ID=4098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731A KR100909762B1 (ko) 2007-11-27 2007-11-27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835B1 (ko) 2009-07-29 2011-12-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디지털 원자로 보호 계통의 자가 논리 시험 장치 및 방법
CN106782702A (zh) * 2016-12-28 2017-05-31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反应堆保护系统外部输出信号试验回路设计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37B1 (ko) * 2009-06-25 2009-08-27 주식회사 리얼게인 제어봉제어계통 모의시험장치
KR101073342B1 (ko) 2009-12-23 2011-10-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CN113726628B (zh) * 2020-05-26 2023-03-28 北京广利核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反应堆保护机柜接口试验系统及方法
CN115359932B (zh) * 2022-08-19 2023-09-26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P11非允许信号生成装置和方法、核电厂用相关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542A (ko) * 2000-01-26 2001-08-16 이종훈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 발전소 보호 계통
KR20020034011A (ko) * 2000-11-01 2002-05-08 윤덕용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 온라인 능동 시험 발전소 보호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64008A (ko) * 2005-12-16 2007-06-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발전소 보호 시스템
KR100788826B1 (ko) 2006-12-05 2007-12-27 한국원자력연구원 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 및 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의 시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542A (ko) * 2000-01-26 2001-08-16 이종훈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 발전소 보호 계통
KR20020034011A (ko) * 2000-11-01 2002-05-08 윤덕용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 온라인 능동 시험 발전소 보호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64008A (ko) * 2005-12-16 2007-06-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발전소 보호 시스템
KR100788826B1 (ko) 2006-12-05 2007-12-27 한국원자력연구원 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 및 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의 시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835B1 (ko) 2009-07-29 2011-12-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디지털 원자로 보호 계통의 자가 논리 시험 장치 및 방법
CN106782702A (zh) * 2016-12-28 2017-05-31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反应堆保护系统外部输出信号试验回路设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838A (ko)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342B1 (ko) 디지털 발전소보호계통의 주기적 건전성 시험의 자동화 방법 및 장치
KR100931136B1 (ko) 삼중화된 bp와 cp 및 2/3 논리의 개시회로 구조를 갖는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 및 그 구동 방법
JP7482205B2 (ja) 原子炉保護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09762B1 (ko) 디지털 원자로보호계통의 시험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88826B1 (ko) 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 및 디지털 원자로 보호계통의 시험 방법
KR101149685B1 (ko) 원자력 발전소 디지털 안전계통의 실시간 진단기능을 갖춘 제어장치
Park et al. Software FMEA analysis for safety-related application software
KR101089835B1 (ko) 디지털 원자로 보호 계통의 자가 논리 시험 장치 및 방법
Choi et al. Fault detection coverage quantification of automatic test functions of digital I&C system in NPPS
KR101042030B1 (ko) 비교논리 및 동시논리를 통합한 발전소보호계통
KR102370659B1 (ko) 발전소보호시스템
JPS6212878B2 (ko)
Gustafsson Reliability analysis of safety-related digital instrumentation and control in a nuclear power plant
Vesely Utilizing Probabilistic Risk Analyses (Pras) In Decision Support Systems
Kang et al. Development strategies on an integrated operator decision aid support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s
Moutrey et al. Sizewell B power station primary protection system design application overview
Fairbrother Reactor protection system design using micro-computers
Xie et al. Research on periodic test scheme of safety digital control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Park et al. Software FMEA Analysis for Safety Software
CN115497655A (zh) 核电厂火灾工况事故诊断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Fride et al. Safety assessment of computerized instrumentation and control for nuclear power plants
Tooley et al. Dynamic testing of the primary protection system (at Sizewell B)
Kima et al.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of the Application Software of the Safety-critical I and C System in APR1400
Seidel Application of the defense-in-depth concept to qualify computer-based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s important to safety
JPS58182711A (ja) プラント異常原因推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