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724A -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724A
KR20110072724A KR1020090129775A KR20090129775A KR20110072724A KR 20110072724 A KR20110072724 A KR 20110072724A KR 1020090129775 A KR1020090129775 A KR 1020090129775A KR 20090129775 A KR20090129775 A KR 20090129775A KR 20110072724 A KR20110072724 A KR 20110072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unit
switch
switch devic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370B1 (ko
Inventor
박성수
정선태
한동균
박명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3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와 회로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와, 상기 펜 본체부에서 착탈되는 펜 커버부와,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제품의 사용시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이 온(ON)되고, 미사용시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결합시 전원이 오프(OFF)되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타일러스 펜, 펜 본체부, 펜 커버부, 스위치부.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는 PDA, PMP,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종래의 키버튼 입력 방식을 대신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정보 입력 또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 패널 방식을 패널을 통해 컴퓨터와 인터페이스에 직접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상기 패널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팁을 갖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접촉이 있으면 그 접촉된 위치의 좌표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좌표값을 통해 해당 좌표값에 대응하는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패널은 정보 표시부로서의 기능과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터치 패널은 동작 원리에 따라 크게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등으로 구분되며, 이 중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이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저항막 방식에 비교하여 내구성 및 투과율 측면에서 특성이 우수한 정전용량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필름 형태로 된 상부 기판과 이와 대향되는 하부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기판의 하부면에는 상부 투명도전막이 도포되고, 양 가장자리측으로는 상부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기판의 상부면에는 하부 투명도전막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기판의 양 가장자리측으로는 상부 전극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하부 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의 일단부로부터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 기판의 일측에 상부 및 하부 전극이 집합되어 연성회로(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로 이루며, 상기 연성회로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어진다.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팁이 구비된 스타일러스 펜이나 손가락의 손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기판을 접촉하면, 터치한 부분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이 서로 맞닿아야 터치 위치를 인식한다.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투명 필름의 아랫면에 ITO로 이루어지는 정전용량 감지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용량 감지패턴은 터치점의 위치 인식을 하기 위해 다수개로 배열된다. 상기 각각의 정전용량 감지 패턴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며 정전용량 전극선을 매개로 하여 정전용량센서에 연결된다. 정전용량 전극선은 보호막에 의해 덮어져 보호된다.
투명필름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정전용량센서는 다수개의 정전용량 감지패턴을 통해 입력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XY 터치 좌표를 연산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투명필름의 아랫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정전용량 감지패턴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생겨야만 터치좌표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뽀족한 팁이 구비된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톱등을 사용할 경우 작은 면적에 대한 터치시 정전용량의 변화가 거의 없어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팁이 구비된 스타일러스 펜에 배터리부를 내장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 상기 펜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펜은 전기적 신호 발생을 위해서 상기 배터리부를 내장하게 되는데 상기 펜은 모두 소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배터리부도 함께 소형으로 이루어져야 함으로 소형의 배터리부는 전력량이 매우 작아 장시간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펜에는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사용 후 스위치를 오프(OFF)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펜은 온(ON)상태이므로 소형의 배터리부가 쉽게 방전될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펜은 사용자가 별도로 전원을 온/오프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에서 사용자가 별도로 스위치를 온(ON)/오프(OFF)하는 동작 없이도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고, 또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펜을 사용할때만 전원이 온(ON)되고 미사용시에는 오프(OFF)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시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이 온(ON)되고,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결합시 전원이 오프(OFF)되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전원의 온(ON)/오프(OFF)가 가능함으로 별도로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펜으로부터 인장/축소시킴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를 할 수 있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와 회로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
상기 펜 본체부에서 착탈되는 펜 커버부; 및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와 회로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
상기 펜 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펜 본체부에서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펜 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부; 및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펜 본체부에서 인장/축소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와 회로부 및 절연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
상기 펜 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펜 본체부에서 기계적인 이동으로 펜 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부; 및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상기 펜 본체부로부터 이동시켜 펜 길이를 축소한 위치에서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절연부를 지나 펜 길이를 인장시킨 위치에서는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시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이 온(ON)되고,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결합시 전원이 오프(OFF)되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사용을 장시간 사용가능하고,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전원의 온(ON)/오프(OFF)가 가능함으로 별도로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펜으로부터 인장/축소시 킴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를 할 수 있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10)는 배터리부(11a)와 회로부(11b)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11)와, 펜 커버부(12)와, 스위치부(1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펜 본체부(11)는 후술하는 펜 커버부(12)와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펜 커버부(12)는 상기 펜 본체부(11)에 구비된 팁(100)을 보호할 수 있게 상기 펜 본체부(11)에서 착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부(13)는 상기 펜 커버부(12)의 착탈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하도록 상기 펜 본체부(11)에 내장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 커버부(12)에는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에서 착탈시 상기 스위치부(13)에 구비된 연결 단자(13a)와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3b)를 접촉 및 이탈시켜 상기 스 위치부(13)를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접촉부(12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12a)는 상기 펜 커버부(12)내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12a)는 삼각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촉부(12a)는 상기 스위치부(13)의 연결 단자(13a)와 착탈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스위치부(14)는 상기 펜 본체부(11)의 외곽에 돌출되어 상기 펜 커버부(12)에 결합시 접촉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결합시에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14)에 구비된 연결 단자(14a)와 상기 회로부(11b)에 연결된 접점 단자(14b)를 이탈시켜 상기 스위치부(14)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에서 이탈시 탄성력에 기계적인 변형이 복원되어 상기 스위치부(14)에 구비된 연결 단자(14a)와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4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위치부(14)를 온(ON)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을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대표적인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1)은 반드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1)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패널에 적용 가 능하고,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이외에 다른 응용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10)는 배터리부(11a)와 회로부(11b)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11)와, 상기 펜 본체부(11)에서 착탈되는 펜 커버부(12)와, 스위치부(13)로 구성된다.
상기 펜 본체부(11)에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과 접촉되는 팁(100)이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로부터 분리하여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펜 커버부(12)에 구비된 접촉부(12a)도 함께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부(12a)는 상기 스위치부(13)에 구비된 연결 단자(13a)에서 이탈된다.
상기 연결 단자(13a)는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3b)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13)를 온(ON)시켜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을 회로부(11b)에 공급하고, 상기 회로부(11b)는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 공급에 따라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펜 커버부(12)가 상기 펜 본체부(11)로부터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펜 본체부(11)에 구비된 팁(100)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잡고 상기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상기 팁(100)을 접촉하여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펜 커버부(12)를 다시 상기 펜 본체부(11)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팁(100)을 닫는다.
이때, 상기 펜 커버부(12)에 구비된 접촉부(12a)도 함께 결합되고, 상기 접촉부(12a)는 상기 스위치부(13)에 구비된 연결 단자(13a)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 단자(13a)와 상기 회로부(11b)의 접점 단자(13b)와의 전기적 접속을 분리시킨다.
상기 연결 단자(13a)는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3b)와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13)를 오프(OFF)시켜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회로부(11b)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스위치부(14)는 상기 펜 커버부(12)의 착탈에 따라서 접촉되도록 상기 펜 본체부(11)의 외곽에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14)는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에 결합시 접촉됨과 아울러 결합시에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14)에 구비된 연결 단자(14a)와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4b)를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부(14)를 오 프(OFF)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회로부(11b)의 전기 신호를 차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14)는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에 이탈시 탄성력에 기계적인 변형이 복원되어 상기 스위치부(14)에 구비된 연결 단자(14a)와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4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가 온(ON)되고, 상기 회로부(11b)에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1)의 펜 커버부(12)를 착탈시킴과 아울러 배터리부(11a)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킴으로써, 배터리부(11a)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이로인해, 제품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1)의 스위치 장치는 배터리부(21a)와 회로부(21b)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21)와,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와, 스위치부(23)로 구성된다.
상기 펜 본체부(21)에는 후술하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홈(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는 상기 펜 본체부(21)에서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펜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펜 본체부(21)의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부(23)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펜 본체부(21)에서 인장/축소시 상기 배터리부(21a)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펜 본체부(21)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에는 정정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에 접촉되도록 팁(10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팁(100)이 구비된 슬라이딩 이동부(22)를 상기 펜 본체부(21) 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 길이를 축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23)에 구비된 연결 단자(23a)와 상기 회로부(21b)와 연결된 접점 단자(23b)를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부(23)를 오프(OFF)시키고, 이때, 상기 회로부(21b)는 상기 배터리부(21a)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팁(100)이 구비된 슬라이딩 이동부(22)를 상기 펜 본체부(2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 길이를 인장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23)에 구비된 연결 단자(23a)와 상기 회로부(21b)와 연결된 접점 단자(23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스위치부(23)를 온(ON)시키고, 이때, 상기 회로부(21b)는 상기 배터리부(21a)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의 팁(100)을 상기 정정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에 접촉시켜 사용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3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펜 본체부(31)에 팁(100)을 구비하고, 상기 팁(100)이 구비된 펜 본체부(31)에 상기 스위치부(33), 상기 배터리부(31a) 및 상기 회로부(31b)를 내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펜 본체부(31)에 팁(100)과 상기 스위치부(33)를 함께 구비하고, 상기 팁(100)이 구비되지 않은 슬라이딩 이동부(32)를 상기 펜 본체부(31)의 후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펜 본체부(31)에서 펜 길이를 인장/축소시킨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33)는 상기 팁(100)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32)를 상기 펜 본체부(3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 길이를 인장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33)에 구비된 연결 단자(33a)와 상기 회로부(31b)와 연결된 접점 단자(33b)를 접점시켜 상기 스위치부(33)를 온(ON)시킨다. 이때, 상기 회로부(31b)는 상기 배터리부(31a)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정정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접촉시킨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33)는 상기 팁(100)이 구비되지 않은 슬라이딩 이동부(32)를 다시 상기 펜 본체부(31)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 길이를 축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33)에 구비된 연결 단자(33a)와 상기 회로부(31b)와 연결된 접점 단자(33b)를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부(33)를 오프(OFF)시키고, 이때, 상기 회로부(31b)는 상기 배터리부(31a)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40)는 배터리부(41a)와, 회로부(41b) 및 절연부(41c)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41)와, 슬라이딩 이동부(42)와, 스위치부(43)로 구성된다.
상기 펜 본체부(41)는 후술하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는 상기 펜 본체부(41)에서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펜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펜 본체부(4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부(43)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상기 펜 본체부(41)로부터 이동시켜 펜 길이를 축소한 위치(A1)에서는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이동시켜 상기 절연부(41c)를 지나 펜 길이를 인장시킨 위치(A2)는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펜 본체부(41)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부(43)는 제 1, 2 연결 단자(43a)(43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43a)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여 후술하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4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 연결 단자(43b)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펜 본체부(41)에서 인장시 상기 제 1 연결 단자(4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펜 본체부(41)에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의 인장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연부(41c)는 상기 펜 본체부(41) 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 중에서 외측 부분의 내측면 둘레를 감싸면서 구비되고, 상기 펜 본체부(41) 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 중에서 외측 부분과 상기 절연부(41c)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43b)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선(5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상기 펜 본체부(4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장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의 제 1 연결 단자(43a)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연결 단자(43a)는 상기 절연부(41c)를 관통하여 지나 펜길이의 인장 위치(A2)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연결 단자(43b)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때,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이 온(ON)되어 상기 회로부(41b)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회로부(41b)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에 접촉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다시 상기 펜 본체부(41)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축소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와 상기 제 1 연결 단자(43a)가 함께 펜 길이의 축소 위치(A1)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연결 단자(43a)(43b)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을 오프(OFF)시킨다.
이때, 상기 회로부(41b)는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에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배터리부(41a)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함으로써, 배터리부(41a)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이로인해, 제품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펜 커버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펜 커버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펜 커버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펜 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펜 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펜 커버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펜 커버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절연부를 나타낸 정면도.

Claims (16)

  1.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와 회로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
    상기 펜 본체부에서 착탈되는 펜 커버부; 및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커버부에는 상기 펜 커버부를 상기 펜 본체부에서 착탈시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접촉 및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부를 온(ON)/오프(OFF)시키는 접촉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펜 커버부내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는 삼각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연결 단자와 착탈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펜 본체부의 외곽에 돌출되어 상기 펜 커버부에 결합시 접촉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결합시에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이탈시켜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펜 커버부를 이탈시 탄성력에 기계적 변형이 복원되어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온(ON)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7.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와 회로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
    상기 펜 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펜 본체부에서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펜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부; 및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펜 본체부에서 인장/축소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상기 펜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길이를 축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상기 펜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길이를 인장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스위치부를 온(ON)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는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팁부분 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펜 본체부에는 팁과 상기 스위치부를 함께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팁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상기 펜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길이를 축소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팁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상기 펜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길이를 인장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접점시켜 상기 스위치부를 온(ON)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12.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와 회로부 및 절연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
    상기 펜 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펜 본체부에서 기계적인 이동으로 펜 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부; 및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상기 펜 본체부로부터 이동시켜 펜 길이를 축소한 위치에서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절연부를 지나 펜 길이를 인장시킨 위치에서는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에 구비되는 제 1 연결 단자와,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인장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펜 길이 인장시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연결 단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펜 본체부 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 중에서 외측 부분의 의 내측면 둘레를 감싸면서 구비되고, 상기 펜 본체부 또는 슬라이딩 이동부 중에서 외측 부분과 상기 절연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선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상기 펜 본체부로부터 이동시켜 펜의 축소 위치일 경우 상기 제 1, 2 연결 단자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상기 펜 본체부로부터 이동시켜 펜의 인장시킴과 아울러 상기 절연부를 지나 펜 길이를 인장 위치일 경우 상기 제 1, 2 연결 단자가 서로 접촉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KR1020090129775A 2009-12-23 2009-12-23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KR101618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75A KR101618370B1 (ko) 2009-12-23 2009-12-23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75A KR101618370B1 (ko) 2009-12-23 2009-12-23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24A true KR20110072724A (ko) 2011-06-29
KR101618370B1 KR101618370B1 (ko) 2016-05-04

Family

ID=4440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775A KR101618370B1 (ko) 2009-12-23 2009-12-23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353A (ko)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체 전력생성부를 구비한 터치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53Y1 (ko) 2016-08-02 2018-02-07 이승환 스타일러스 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071A (ja) 2000-06-21 2002-01-11 Kobayashi:Kk ボード面上の座標値を入力する方法、および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353A (ko) 2014-05-09 2015-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체 전력생성부를 구비한 터치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370B1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495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US20130093681A1 (en) Capacitive touch key panel
CA2925693C (en) Capacitive touch sensor system and method
US8648837B1 (en) Active capacitive control stylus
CA2449447C (en) System for disposing a proximity sensitive touchpad behind a mobile phone keymat
CN204066055U (zh) 一种触控屏及具有该触控屏的终端
US20090211891A1 (en)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US20080266143A1 (en) Input device
CN104793764A (zh) 一种具有切换功能的主动式触控笔
WO2016192641A1 (zh) 按键装置的操控方法、按键装置及终端
US20110234623A1 (en) Interface with and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electronic devices
JP2011516985A (ja) 静電容量感知タッチスクリーン用のポインタデバイス
US10804897B2 (en) Touch-sensitive keypad control device
CN110347208B (zh) 可携式电子装置与折叠式电子输入装置
KR20110138743A (ko) 측면 및 후면 터치센서가 구비된 모바일 장치
CN102004599A (zh) 具有输入装置的电子设备
JP2008140211A (ja) 入力部の制御方法と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618370B1 (ko)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
CN110879665B (zh) 远程电容式接口
KR101106278B1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TWI403924B (zh) 觸控筆與電子裝置
KR100949179B1 (ko)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KR100718988B1 (ko)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KR100557123B1 (ko) 스타일러스 펜
KR20150085396A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