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702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702A
KR20110072702A KR1020090129749A KR20090129749A KR20110072702A KR 20110072702 A KR20110072702 A KR 20110072702A KR 1020090129749 A KR1020090129749 A KR 1020090129749A KR 20090129749 A KR20090129749 A KR 20090129749A KR 20110072702 A KR20110072702 A KR 20110072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ezel
synchronization signal
signal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702A/ko
Publication of KR2011007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외부 셔터 안경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하는 신호 송신부와; 상기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광유도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외부 셔터 안경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출사하는 신호 송신부를 내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3 차원 영상, 셔터 안경, 에미터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아날로그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최근에는 사용자들은 3차원 영상신호인 입체영상을 사용 접근성이 용이한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입체영상신호는 2차원 영상신호와 상이하게 사용자의 우안 및 좌안에 따라 컨텐츠가 분리되는 것이 필요하며, 분리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자가 우안 및 좌안으로 각각 분리된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경험하기 위하여 셔터안경을 온/오프하면서 좌우 화면이 교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셔터 글라스 방식이 사용된다.
셔터 글라스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셔터 안경을 온/오프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예컨대, IR 에미터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어 외부에 마련된다. 즉, IR 에미터는 별도의 키트(kit)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 이다.
본 발명은 외부 셔터 안경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출사하는 신호 송신부를 내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관이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셔터 안경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의 방사각이 증가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외부 셔터 안경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하는 신호 송신부와; 상기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광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 방향으로 출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신호 송신부를 수용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고, 기 광유도부는 상기 베젤과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젤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유도부는 입사되는 상기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상기 베젤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동기신호가 반사되기 위하여 상기 동기신호가 상기 경사면에 입사되는 입사각은 상기 베젤의 임계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유도부는 입사되는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 로 반사 시키는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러는 베젤과 접촉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광유도부는 입사되는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수렴하는 오목 미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광유도부가 미러로 마련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신호 송신부를 수용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유도부를 경유한 상기 동기신호는 상기 베젤을 통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따르면 외부 셔터 안경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출사하는 신호 송신부를 내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관이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셔터 안경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의 방사각이 증가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 셔터 안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셔터 안경(2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고, 셔터 안경(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동기하여 개폐되는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포함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프레임 별로 분리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는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의 개폐를 통하여 분리된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시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일정한 주기에 동기하여 셔터 안경(200)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셔터 안경(200)으로 송신한다.
도 2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셔터 안경(200)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셔터 안경(200)으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120), 이들을 수용하는 베젤(130) 및 샤시(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소스로부터 3차원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전, 모니터,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셔터 안경(200)의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셔터 안경(200)으로 송신한다. 동기신호는 한 쌍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마다, 즉 두 프레임마다 송신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레임 마다 송신될 수도 있다. 동기신호는 외부의 다른 신 호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신호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신호 송신부(120)는 셔터 안경(200)의 신호 수신부(미도시)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또는 RF 통신 등의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또는 유기물로 구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샤시(14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패널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는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미도시),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미도시), 전원부 등이 실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모든 기술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샤시(1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신호 송신부(1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되는 키트가 아닌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된다. 신호 송신부(120)가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에 실장 됨으로써 미관이 개선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이 간소화 된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동시킬 때도 간편하고, 사용자가 신호 송신부를 별도로 연결하거나 신호 송신부에 별도로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호 송신부를 신경 쓸 필요가 없 다. 즉,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신호 송신부(120)는 적외선 신호와 같은 신호를 출사하는 IR-LED와, IR-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송신부(120)는 동기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나란한 방향,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단 방향으로 출사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송신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단 방향 또는 사이드 방향으로 출사할 수도 있다.
베젤(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신호 송신부(120)를 수용하며, 샤시(14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젤(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 구체적으로, 동기신호를 투과하기 위한 부분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빛을 최대한 투과할 수 있도록 무색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샤시(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수용하고 지지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패널로 마련될 경우, 백라이트 어셈블리(미도시) 역시 수용한다.
광유도부(135)는 신호 송신부(120)로부터 출사된 동기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 즉 셔터 안경(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도한다.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부(135)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유도부(135)는 베젤(130)과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젤(130)의 일 부분으로 구성된다. 광유도부(135)는 동기신 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베젤(130)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동기신호는 베젤(130)을 구성하는 경사면에서 경로가 변경되고, 베젤(130) 내부를 통과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로 출사된다. 동기신호는 베젤(130)을 통과하면서 베젤(130) 내부의 가로 방향(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로 변 방향)으로도 확산되기 때문에 동기신호는 넓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가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 동기신호의 방사각은 약 ±10~15°정도이지만, 본 실시예를 따를 경우, 베젤(13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출사되는 동기신호의 방사각은 약 ±90°이 가능하다. 동기신호가 경사면에서 전반사 되기 위하여, 경사면에 입사되는 동기신호의 입사각(θ1)은 베젤(130)의 임계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임계각이란 베젤(130)로 입사된 빛이 전반사가 되기 시작하는 입사각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부(135)는 동기신호의 입사각(θ1)이 베젤(130)의 임계각보다 크도록 경사 정도가 조절된 베젤(130)의 경사면으로 마련된다. 베젤(140)는 고굴절율을 갖는 PC(poly carbonate) 또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유리 등의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동기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단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출사될 수도 있다. 베젤(130)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방향으로 출사되는 동기신호라도 경사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호 송신부(120)는 복 수개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복 수개의 신호 송신부(120)가 동일 방향으로 복 수의 동기신호를 출사할 수도 있고, 상이한 방 향으로 동기신호를 출사하는 것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부(12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뒷면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중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면에 인접하게,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아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체적으로 슬림화 되고, 신호 송신부(121)에서 출사되어 셔터 안경(200)까지 전달되는 동기신호의 경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동기신호의 세기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배젤(130)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광유도부(135)에 대한 설명은 도 2 및 3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유도부(135)는 표면이 평평한 2차원 면이 아니고, 동기신호를 수렴하거나 또는 확산시킬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유도부(135)의 표면은 굴곡지거나 일정한 패턴의 입체각을 갖는 3차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광유도부(135)는 베젤(130)의 투명성을 이용하여 신호의 세기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광학 기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동기신호가 광유도부(135)에 입사되는 각이 일정하지 않고 다소 편차가 존재하더라도(빛의 성질상 거리에 비례하여 퍼짐), 동기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동기신호의 세기 및 신호 전달에 따른 효율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부(150)는 동기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미러를 포함한다. 미러는 반사 코팅이 되어 있는 광학 부재로써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에 무관하게 광을 전반사 시킬 수 있다.
광유도부(150)는 베젤(130)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 베젤(130)과 이격되어 베젤(130)의 형상과 상관 없이 마련될 수도 있다. 만약, 광유도부(150)가 베젤(130)과 이격되어 독립적인 광학 부재로 마련된다면, 입사되는 광의 방향에 따라 광유도부(150)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이동시키거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더라도, 베젤(13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유도부(150)를 경유한 동기신호는 베젤(130)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출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부(155)는 입사되는 동기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수렴하는 오목 미러를 포함한다. 오목 미러는 입력되는 광을 한 곳으로 수렴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동기신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광유도부의 구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기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 의 전면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광학 부재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동기신호를 출사하는 신호 송신부를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에 배치 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미관을 개선하고, 투명한 베젤을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 셔터 안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신호 송신부 130 : 베젤
135 : 광유도부 140 : 샤시

Claims (7)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외부 셔터 안경을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나란한 방향으로 출사하는 신호 송신부와;
    상기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유도하는 광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 방향으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신호 송신부를 수용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유도부는 상기 베젤과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유도부는 입사되는 상기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으로 반사시키는 상기 베젤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동기신호가 상기 경사면에 입사되는 입사각은 상기 베젤의 임계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는 입사되는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반사 시키는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부는 입사되는 동기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수렴하는 오목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신호 송신부를 수용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유도부를 경유한 상기 동기신호는 상기 베젤을 통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129749A 2009-12-23 2009-12-23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72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49A KR20110072702A (ko) 2009-12-23 2009-12-23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49A KR20110072702A (ko) 2009-12-23 2009-12-23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02A true KR20110072702A (ko) 2011-06-29

Family

ID=4440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749A KR20110072702A (ko) 2009-12-23 2009-12-23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7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6253B1 (en) Terminal device
KR1017061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089705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7042900B2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JP2011041035A (ja) シャッタメガネおよびシャッタ制御方法
US20190004668A1 (en) Display device
KR20110056892A (ko) Lcd 디스플레이장치의 멀티 터치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터치 감지방법
WO2021081763A1 (zh) 屏下指纹识别装置及电子设备
WO2021087741A1 (zh) 屏下指纹识别装置、lcd指纹识别系统和电子设备
US20150226971A1 (en) Head-mount type display apparatus
CN104347001B (zh) 显示装置
JP6114924B2 (ja) 受光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CN112285934B (zh) 图像显示装置及可穿戴设备
KR20150064618A (ko)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47191A (ko) 투명표시장치
US20150309245A1 (en) Backlight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394064B2 (en) Display apparatus
US20120098824A1 (en) Shutter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KR20110072702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050696A (ko) 삼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JP2020527796A (ja) 統合された光学的に動作する近接センサーを持つ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US9367175B2 (en) Camera module for optical touchscreen
JP6796882B1 (ja) 拡張現実提供装置
US9329392B2 (en) Wearable display
KR20120055433A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