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632A - 360도 회전형 선풍기 - Google Patents

360도 회전형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632A
KR20110072632A KR1020090129644A KR20090129644A KR20110072632A KR 20110072632 A KR20110072632 A KR 20110072632A KR 1020090129644 A KR1020090129644 A KR 1020090129644A KR 20090129644 A KR20090129644 A KR 20090129644A KR 20110072632 A KR20110072632 A KR 20110072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ase plate
plate
electrode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118B1 (ko
Inventor
박만철
Original Assignee
박만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철 filed Critical 박만철
Priority to KR102009012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1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3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60도 회전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며 연결되어 내부에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상, 하판으로 이루어진 설치부와, 상기 하판에 중단이 연결되고 다수의 지지고리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벽체 또는 천정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프레임과, 감속기와 함께 상판의 상면에 설치되되 회전축이 상판을 관통하여 소정공간에 위치되는 제 1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과 소정공간 내에서 제 1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주축 샤프트와, 상기 소정공간 내에서 주축 샤프트에 연결되는 전극부와, 상기 하판의 저면에서 주축 샤프트의 외주연에 연결되는 제 2베어링과, 상기 주축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되, 주축 샤프트와 힌지결합되어 각도 지지대에 의해 좌, 우로 각도조절가능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제 2구동모터와, 상기 제 2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수평을 이루며 회전되는 환풍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360도 회전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360도, 회전, 선풍기, 환풍기, 환풍수단

Description

360도 회전형 선풍기{360 Degree Rotation Type Electric Fan}
본 발명은 건물 내 다양한 부분에 설치가 용이하고, 360도 회전이 가능한 환풍수단에 관한 것이다.
환풍수단은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가정의 선풍기뿐만 아니라 건물 내 환풍기 등 적시적소의 공간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소나 돼지, 닭 등의 가축을 양육하기 위한 축사의 경우를 살펴보면, 가축의 분뇨 등으로 인하여, 축사 내에 악취가 심하고, 바닥의 습기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가축의 생산성이 감소하고, 번식률도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이유로 축사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순환되도록 한 환풍기를 벽면이나 천정에 설치함으로써, 축사 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송풍하도록 하며, 축사 바닥을 건조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환풍기는 주로, 축사 등의 실내에 결합, 설치되도록 한 환풍기 본체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팬으로 구성되 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팬이 회전하게 되어, 축사 내의 공기를 송, 배풍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환풍기의 경우, 환풍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환풍기를 설치위치에 고정시켜주는 결합부위가, 환풍기의 오랜 시간동안 사용으로 인해 노후되거나, 환풍기 자체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손상되어 상기 환풍기가 추락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상기 환풍기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무게 중심과 회전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회전으로 인해 결합부위에 손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환풍기의 동작시에 진동이 발생하여, 환풍기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목적은 선풍기 등과 같은 환풍수단을 건물 내 천장, 벽 등 어느 곳에 설치하여도, 환풍수단의 하중에 의해 이를 설치부위에 고정시켜주는 지지체 부분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환풍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환풍수단 구동시 환풍수단에 꼬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환풍수단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360도의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360도 회전형 선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 하판을 다수개의 연결부재에 의해 이격시켜 연결하는 설치부와; 상기 하판을 중단에 고정결합한 채로,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고리를 이용하여 벽체 또는 천정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판에 고정설치되고, 감속기가 구비되되,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제 1구동모터와; 상기 상판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구동모터의 회전축이 상판에 이어 관통하는 제 1베어링과; 상기 제 1베어링을 관통한 회전축을 소정공간 내에서 일단에 내입고정하여, 상기 회전축 과 함께 회전하는 주축 샤프트와; 상기 소정공간 내에서 주축 샤프트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전극부와; 상기 하판의 저면에 설치되어 주축 샤프트가 관통되는 제 2베어링과; 상기 주축 샤프트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주축 샤프트와 동반회전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제 2구동모터와; 상기 제 2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다수의 결합수단에 의해 베이스판과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환풍수단과; 상기 주축 샤프트의 외주연과 베이스판의 상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판을 좌, 우로 각도조절하는 각도 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하우징 내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링 형태의 전극이, 동심원을 이루며 다수개 배치되어 단상 또는 3상 형태를 이루는 링 전극부와, 상기 다수개의 전극 사이에 링 형태로 배치되어, 전극 간 통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격링과, 상기 다수의 전극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전원선으로 이루어지는 하단 전극부와; 상기 하단 전극부의 상면에 씌어지며, 다수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연통공 내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가 외주연에 귄취된 상태로 상기 커버에 내설되어 상기 연통공의 길이방향으로 상, 하 이동이 가능토록 하되, 걸림턱이 형성된 일단은 커버의 상면에 걸려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단속되도록 하며, 타단은 상기 다수개 전극에 대응접촉되는 다수의 전극봉과, 상기 전극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선으로 이루어지는 상단 전극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단 전극부는 상판의 저면에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하단 전극부는 주축 샤프트에 고정되어 회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 지지대는 상기 주축 샤프트의 외주연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각도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연결공을 천공형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수개의 연결공 중 하나와 주축 샤프트를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판을 좌, 우로 각도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축 샤프트는 상기 하판이 끼워지는 외주연 부분에 내측으로 파여지는 인입장공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전극부에 연결된 전원선이 소정공간 내에서 상기 인입장공에 끼워져 하판의 저면으로 배출된 후 상기 제 2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풍수단의 무게에 의해 상기 환풍수단을 설치부분에 고정시켜주는 지지체가 파손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풍수단을 건물 내 천장 및 내/외벽 어느 부분에도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각도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환풍수단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풍수단의 전원을 외부와 직접연결시키지 않고, 전극부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시킴으로써, 환풍수단의 회전에 의해 전원선이 꼬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및 "제 3(third)", “제 4(fourth)”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는 설치부(10), 지지프레임(20), 제 1구동모터(30), 제 1베어링(40), 주축 샤프트(50), 전극부(60), 베이스판(90), 제 2베어링(100), 제 2구동모터(110), 환풍수단(120), 각도 지지대(13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10)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원형판 형상의 상판(11)과 하판(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은 상호간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간 사이에 소정공간(S)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연결부재(C)(장볼트 및 볼트의 상, 하단에 나사체결되는 너트 등, 이는 후술 될 다른 연결부재(C)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에 의해 상호간 연결된다.
즉, 상기 상판(11)의 하단에 하판(12)을 위치시키고,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의 가장자리 부분에 장볼트를 위치시키되, 상기 장볼트의 양단부는 상판(11)과 하판(12)을 각각 연통되도록 한다. 이후, 연통되어 돌출된 장볼트의 양단부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이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상판(11)과 하 판(12) 사이에 소정공간(S)을 형성하는 용도라면, 상기 연결부재(C)는 볼트, 너트 등 외에 다른 연결부재(C)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11) 및 하판(12)의 형상 또한 원형 외에 사각 등 다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지면을 수평을 이루며, 사각 또는 다각 또는 원형 단면의 봉재(21)를 다양한 형태(사각, 원, 다각)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중단을 가로지르는 단일프레임(22)을 다수개 형성한 후, 상기 단일프레임(22)의 중단을 하판(12)의 가장부분에 고정부재(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각 모서리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고리(23)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고리(23)에 이음부재(L)(쇠줄, 끈, 체인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설치부위, 즉, 건물 내 천장 또는 내벽을 비롯한 외벽 등의 벽체 등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구동모터(30)는 상판(11)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구동모터(30)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32)이 제 1구동모터(30)와 함께 구비된 감속기(31)에 연결된 후, 상기 감속기(3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32)은 상기 상판(1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판(11)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설치부(10)의 소정공간(S)에 위치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 1구동모터(30) 및 감속기(31)의 구동을 위해서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P)로부터 전원선(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공급이 되어야만 함은 당연할 것 이다.
상기 제 1베어링(40)은 하판(12)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회전축(32)이 일단 중앙에서 내입되어 관통 후 타단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1베어링(40)은 회전축(32)의 외주연에서 회전축(32)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축 샤프트(50)는 일단이 하판(12)의 저면에서부터 하판(12)을 관통하여, 상기 소정공간(S)내에 위치되며, 소정공간(S) 내에 위치된 상기 주축 샤프트(50)의 일단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결홀(51)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제 1베어링(40)을 관통한 회전축(32)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주축 샤프트(50)의 외주연에는 상기 회전축(32)이 주축 샤프트(50)의 연결홀(51)에 끼워진 회전축(32)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주축 샤프트(50)의 외주연에서부터 연결홀(51)까지 관통하여 회전축(32)을 조이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B)가 구비된다.
상기 제 2베어링(100)은 주축 샤프트(50)가 중앙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판(12)의 저면에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회전하는 주축 샤프트(50)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극부(60)는 소정공간(S) 내에서 주축 샤프트(50)의 외주연에 설치되 는 것으로, 후술 될 환풍수단(12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2구동모터(110)에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역할이며, 상기 전극부(60)는 크게 하단 전극부(70)와 상단 전극부(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 전극부(7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 내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링 형태의 다수개 전극(72)이, 동심원을 이루며 상호간 등간격 이격배치되는 링 전극부(73)와, 상기 링 전극부(73)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전극(72)들 사이에 링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다수개 전극(72)간의 통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격링(74)과, 상기 다수개의 각 전극(72)에 전원선(76)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71)의 외측에서 각 전극(72)까지 관통되는 다수개의 전극공(75)과, 상기 다수개의 전극공(75)을 통해 각 전극(72)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 될 제 2구동모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7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공(75)이 동심원을 이루는 다수의 각 전극(72)까지 관통되기 위해서는, 상기 각 전극(72)의 상측은 동일한 수평상에 위치되되, 상기 각 전극(72)의 하측은 상이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호간의 전극(72)의 폭(D)을 상이하게 형성해야만 할 것이다.
상기 상단 전극부(80)는 하단 전극부(70)의 상단에 대응되며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단 전극부(70)의 상단에서 하단 전극부(70) 전체를 감싸되, 상, 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연통공(82)이 형성되는 커버(81)와, 외주연에 탄성부재(84)(스프링 등)를 권취한 상태로 상기 연통공(82)에 내입되어(이때, 상기 탄성부재(84)는 연통공(82)의 내부 상단에 있는 단턱(83)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측으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84)를 압축 또는 인장시키며 연통공(82) 내에서 상, 하 이동되되, 일단에는 볼트 등에 의한 걸림턱(85)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85)이 커버(81)의 상면에 위치되어 단턱(83)에 의해 단속되며 지지되며, 타단은 다수의 전극(72)에 대응접촉되는 전극봉(86)과,(즉, 최초, 외부의 압력이 없을 시, 상기 연통공(82) 내에서는 탄성부재(84)가 인장된 형태로 위치되어 있고, 전극봉(86)의 일단은 걸림턱(85)에 걸려 커버(81)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가진다. 이후, 상기 커버(81) 외측에서 전극봉(86)의 걸림턱(85) 부분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84)는 연통공(82) 내에서 압축하면서 전극봉(86)은 상부로 이동하게 되되, 잡아당기던 걸림턱(85)을 놓아주게 되면, 전극봉(86)은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84)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인장) 상기 연통공(82) 내에서 하단으로 내려가 외부의 압력이 없을 시와 동일한 위치를 취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85)이 형성된 커버(81) 외측의 전극봉(86)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공급장치(P)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선(87)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원공급선(87)을 통해 외부의 상기 전원공급장치(P)로부터 전극봉(86)에 전원이 유입되고, 유입된 전원은 각 전극봉(86)이 대응되며 접촉되는 다수개의 전극(72)에 전원을 통전시키게 되고, 상기 각 전극(72)의 전원은 전원선(76)을 통해 후술 될 제 2구동모터(110)에 공급이 되는 것이다.
물론, 단상인 경우, 상기 전극(72)은 복수개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극(72)에 대응접촉되는 전극봉(86) 또한 복수개가 존재해야 할 것임과 동시에, 3상일 경우, 상기 전극(72)은 3개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극(72)에 대응접촉되는 전극봉(86) 또한 동일한 수로 존재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하단 전극부(70) 상단에 놓여져 결합되는 상단 전극부(80)를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상단 전극부(80)의 상면과 하판(12)의 저면 사이에 다수의 연결부재(C)를 설치하여,(상기 상단 전극부(80)가 눌러지도록 상기 상단 전극부(80)의 상면과 하판(12)의 저면 사이에서, 일단은 상단 전극부(80)의 커버(81)에 고정체결되고 타단은 상단 전극부(80)를 관통하는 장볼트를 끼워놓고, 상기 상단 전극부(80)의 상면에서 돌출된 장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면 된다.) 상기 연결부재(C)에 의해 상단 전극부(80) 상면이 눌러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전극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전극봉(86)의 일단은 상기 상단 전극부(80)가 눌러짐으로 인해, 커버(81)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단 전극부(80)와 하단 전극부(70) 중, 상단 전극부(8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C)에 의해 상판(11)과 고정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하단 전극부(70)는 전극부(60) 저면에 결합부(77)를 돌출시켜 고정부재(볼트)에 의해 주축 샤프트(50)와 고정연결되어, 상기 주축 샤프트(50)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의 다수 전극(72) 및 전극봉(86)은 텅스텐(Tungsten)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의 재질과 같이 전기가 통전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며, 상단 전극부(80)가 하단 전극부(70)를 감싸는 이유는 습기 또는 먼지 등으로부터 전극(72)과 전극봉(86)의 접촉부위에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베이스판(90)은 원형판 형태를 이루며, 회전되는 주축 샤프트(50)의 타단이 중앙에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되는 주축 샤프트(50)와 동반 회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90)과 주축 샤프트(50)는 상호간 힌지결합되어, 직립 설치된 상기 주축 샤프트(50)의 저면에서 상기 베이스판(90)은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90)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도 지지대(130) 일단이 베이스판(90)의 상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주축 샤프트(50)의 외주연에 연결되는 것으로, 좌, 우로 움직이는 베이스판(90)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도(α)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각도 지지대(130)는 베이스판(90)이 기울어지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베이스판(90)과 각도 지지대(130)를 상호 연결해야만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의 좌, 우 각도(α)조절을 위해, 상기 각도 지지대(130)의 타단 즉, 주축 샤프트(50)에 연결되는 소정부위에는 주축 샤프트(50)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등간격으로 이격천공되는 연결공(131)을 천공형성하며, 상기 다수개의 연결공(131) 중 하나를 상기 주축 샤프트(50)에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판(90)의 각도(α)가 지정되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다수개의 연결공(131)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90)과 주축 샤프트(50) 상호간의 거리가 조절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연결공(131) 중 주축 샤프트(50)의 타단 맨 끝에 천공된 연결공(131)(①)을 주축 샤프트(50)에 연결시키는 경우보다, 상기 다수개의 연결공(131) 중 주축 샤프트(50)의 중단부에 가까운 연결공(131)(②)을 주축 샤프트(50)에 연결시키는 경우, 상기 각도 지지대(130)의 일단이 연결된 베이스판(90)이 상부로 들어올려져 베이스판(90)이 중심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는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주축 샤프트(50)에는 각도 지지대(130)의 타단과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구멍이 천공되어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제 2구동모터(110)는 모터축(111)이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베이스판(90)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후술 될 환풍수단(120)과 연결되어 환풍수단(12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구동모터(110)는 일단이 하단 전극부(70)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선(76)의 타단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환풍수단(120)은 선풍기, 환풍기 등이 사용되며, 상기 제 2구동모터(110)의 모터축(111)에 고정결합되어 회전된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환풍수단(120)에는 환풍수단(120)의 날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틀(121)을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틀(121)과 베이스판(90)의 저면 사이를 다수개의 연결부재(C)로 연결고정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90)과 환풍수단(120)이 상호간 수평을 이루며 회전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의 전원공급장치(P)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 1구동모터(30)와 감속기(31)가 구동을 하게 되어, 상기 제 1구동모터(30)의 회전축(32)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32)은 주축 샤프트(50)에 전달되어 주축 샤프트(50) 및 주축 샤프트(50)와 고정되어 있는 하단 전극부(7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는 베이스판(90)을 회전시킴으로써, 결론적으로는 구동전인 환풍수단(120)이 큰 원을 그리며 돌게된다.
이때, 상기 각도 지지대(130)를 통해 베이스판(90)을 좌, 우로 기울이며 각도(α) 조절하게 되는 경우, 상기 환풍수단(120) 또한 기울어진 베이스판(90)과 수평을 이루며 기울어져 큰 원을 그리며 돌게 된다.
이 후, 외부의 전원공급장치(P)로부터 상단 전극부(80)에 전원이 공급되면, 이는 회전되는 하단 전극부(70) 및 전원선(76)을 통해 제 2구동모터(110)에 공급이 되어, 상기와 같이 큰 원을 그리며 돌고 있는 환풍수단(120)을 자체 회전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주축 샤프트(50)에는, 상기 하단이 끼워지는 주축 샤프트(50)의 외주연 부분에, 내측으로 파여지는 인입장공(52)을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함으로써, 소정공간(S) 내에서 일단이 하단 전극부(70)와 연결된 전원선(76)의 타단을 인입장공(52)에 끼운 후, 상기 주축 샤프트(5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인입장공(52)을 거쳐, 하판(12)의 저면에서 배출되도록 하며, 배출된 전원선(76)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회전하는 주축 샤프트(50)의 외주연에 중단을 고정시킨 후, 상기 베이스판(90)을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여 제 2구동모터(11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지지대를 통해 환풍수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지지대의 각도 조절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회전형 선풍기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과 전극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전극부와 상단 전극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입장공의 역할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3상인 경우와 단상인 경우의 전극부를 각각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설치부 11: 상판
12: 하판 20: 지지프레임
21: 봉재 22: 단일프레임
23: 지지고리 30: 제 1구동모터
31: 감속기 32: 회전축
40: 제 1베어링 50: 주축 샤프트
51: 연결홀 52: 인입장공
60: 전극부 70: 하단 전극부
71: 하우징 72: 전극
73: 링 전극부 74: 이격링
75: 전극공 76: 전원선
80: 상단 전극부 81: 커버
82: 연통공 83: 단턱
84: 탄성부재 85: 걸림턱
86: 전극봉 87: 전원공급선
90: 베이스판 100: 제 2베어링
110: 제 2구동모터 111: 모터축
120: 환풍수단 121: 보호틀
130: 각도 지지대 131: 연결공
B: 고정부재 C: 연결부재
D: 폭 L: 이음부재
P: 전원공급장치 S: 소정공간

Claims (4)

  1. 내부에 소정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 하판(11, 12)을 다수개의 연결부재(C)에 의해 이격시켜 연결하는 설치부(10)와;
    상기 하판(12)을 중단에 고정결합한 채로,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고리(23)를 이용하여 벽체 또는 천정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상판(11)에 고정설치되고, 감속기(31)가 구비되되, 전원공급장치(P)에 의해 구동되는 제 1구동모터(30)와;
    상기 상판(11)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구동모터(30)의 회전축(32)이 상판(11)에 이어 관통하는 제 1베어링(40)과;
    상기 제 1베어링(40)을 관통한 회전축(32)을 소정공간(S) 내에서 일단에 내입고정하여, 상기 회전축(32)과 함께 회전하는 주축 샤프트(50)와;
    상기 소정공간(S) 내에서 주축 샤프트(5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전극부(60)와;
    상기 하판(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주축 샤프트(50)가 관통되는 제 2베어링(100)과;
    상기 주축 샤프트(50)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주축 샤프트(50)와 동반회전되는 베이스판(90)과;
    상기 베이스판(90)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제 2구동모터(110)와;
    상기 제 2구동모터(110)의 모터축(111)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다수의 결합수 단에 의해 베이스판(90)과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환풍수단(120)과;
    상기 주축 샤프트(50)의 외주연과 베이스판(90)의 상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판(90)을 좌, 우로 각도(α)조절하는 각도 지지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회전 선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60)는
    하우징(71) 내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링 형태의 전극(72)이, 동심원을 이루며 다수개 배치되어 단상 또는 3상 형태를 이루는 링 전극부(73)와, 상기 다수개의 전극(72) 사이에 링 형태로 배치되어, 전극(72) 간 통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격링(74)과, 상기 다수의 전극(7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구동모터(110)에 연결되는 전원선(76)으로 이루어지는 하단 전극부(70)와;
    상기 하단 전극부(70)의 상면에 씌어지며, 다수의 연통공(82)이 형성되는 커버(81)와, 상기 연통공(82) 내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84)가 외주연에 귄취된 상태로 상기 커버(81)에 내설되어 상기 연통공(82)의 길이방향으로 상, 하 이동이 가능토록 하되, 걸림턱(85)이 형성된 일단은 커버(81)의 상면에 걸려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단속되도록 하며, 타단은 상기 다수개 전극(72)에 대응접촉되는 다수의 전극봉(86)과, 상기 전극봉(86)의 일단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P)로부터 전원을 공 급받는 전원공급선(87)으로 이루어지는 상단 전극부(80); 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단 전극부(70)는 상판(11)의 저면에 연결부재(C)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하단 전극부(70)는 주축 샤프트(50)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회전 선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지지대(130)는
    상기 주축 샤프트(50)의 외주연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각도 지지대(13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연결공(131)을 천공형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수개의 연결공(131) 중 하나와 주축 샤프트(50)를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판(90)을 좌, 우로 각도(α)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회전 선풍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샤프트(50)는
    상기 하판(12)이 끼워지는 외주연 부분에 내측으로 파여지는 인입장공(5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전극부(60)에 연결된 전원선(76)이 소정공간(S) 내에서 상기 인입장공(52)에 끼워져 하판(12)의 저면으로 배출된 후 상기 제 2구동모터(1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회전 선풍기.
KR1020090129644A 2009-12-23 2009-12-23 360도 회전형 선풍기 KR101189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44A KR101189118B1 (ko) 2009-12-23 2009-12-23 360도 회전형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44A KR101189118B1 (ko) 2009-12-23 2009-12-23 360도 회전형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632A true KR20110072632A (ko) 2011-06-29
KR101189118B1 KR101189118B1 (ko) 2012-10-10

Family

ID=4440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644A KR101189118B1 (ko) 2009-12-23 2009-12-23 360도 회전형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1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85A1 (ko) * 2012-01-30 2013-08-08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한누리 고정형 송풍기용 회전자 및 이를 구비한 고정형 송풍기
CN104373364A (zh) * 2014-10-30 2015-02-25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折叠小风扇
CN105332934A (zh) * 2015-11-30 2016-02-17 江门市恒天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控制的能够上下左右扫风的风扇
KR101616730B1 (ko) * 2015-10-13 2016-04-29 박만철 고성능 360도 회전형 선풍기
KR20180097958A (ko) * 2017-02-24 2018-09-03 오종경 대형 선풍기용 회전각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0296A (ja) 1985-03-14 1986-09-18 Matsushita Seiko Co Ltd 天井扇風機
JP4655575B2 (ja) 2004-09-30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天井扇風機の安全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85A1 (ko) * 2012-01-30 2013-08-08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한누리 고정형 송풍기용 회전자 및 이를 구비한 고정형 송풍기
CN104373364A (zh) * 2014-10-30 2015-02-25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折叠小风扇
KR101616730B1 (ko) * 2015-10-13 2016-04-29 박만철 고성능 360도 회전형 선풍기
WO2017065479A1 (ko) * 2015-10-13 2017-04-20 박만철 360도 회전형 선풍기
CN105332934A (zh) * 2015-11-30 2016-02-17 江门市恒天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控制的能够上下左右扫风的风扇
KR20180097958A (ko) * 2017-02-24 2018-09-03 오종경 대형 선풍기용 회전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118B1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118B1 (ko) 360도 회전형 선풍기
KR101006552B1 (ko) 천정부착형 360도 회전형 선풍기
ES2649720T3 (es) Planta de energía eólica
US8631764B2 (en) Animal feeding devices and methods
KR20180000898A (ko)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CN206478023U (zh) 太阳能电风扇
KR20130039111A (ko) 태양광을 이용한 에어컨실외기의 자동루버시스템
KR200436206Y1 (ko) 천정형 송풍기 풍향조절장치
KR20100031449A (ko) 풍력 발전기용 배풍기
KR100893730B1 (ko) 제트팬
KR100957753B1 (ko) 360도 회전형 선풍기
CN104596074A (zh) 环绕风空调室内机
KR102093333B1 (ko) 축사용 환풍기 방향조절장치
JPH1182283A (ja) 家屋発電装置
JP2010104300A (ja) 畜舎の換気装置および畜舎の換気方法
KR102005859B1 (ko)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체를 이용한 환풍기
KR101616730B1 (ko) 고성능 360도 회전형 선풍기
JP3146358U (ja) 遠隔給餌装置
KR102086816B1 (ko) 잭서포트의 자립식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101389420B1 (ko) 방재팬
KR101851331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CN219537284U (zh) 一种用于光伏电厂驱鸟系统
JP2004044255A (ja) 先端に電気機材を取付けた可倒式支柱
KR200319801Y1 (ko) 이동호퍼
JP4617712B2 (ja) 換気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