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343A - 야간용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야간용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343A
KR20110072343A KR1020090129225A KR20090129225A KR20110072343A KR 20110072343 A KR20110072343 A KR 20110072343A KR 1020090129225 A KR1020090129225 A KR 1020090129225A KR 20090129225 A KR20090129225 A KR 20090129225A KR 20110072343 A KR20110072343 A KR 2011007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night
optical system
refractive power
imag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9885B1 (ko
Inventor
정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8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2B13/143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for use with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 전방까지 순서대로 배치되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 면이 볼록한 제1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 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2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 면이 오목한 제3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 면이 볼록한 제4렌즈;를 포함하며, 광학계와 상면간의 거리에 관하여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한다.
[조건식 1] 0 < T3/BFL < 0.2
(여기서, T3는 제3렌즈의 중심 두께이고, BFL는 후초점 거리이다.)
난반사

Description

야간용 촬상 광학계{optical system for night}
본 발명은 야간용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두운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차량용 적재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또는 PC용 카메라의 기능이 발달, 보급되면서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캠코더를 대체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자동차에 감시 및 센싱용 카메라의 장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카메라, PC용 카메라나 자동차용 카메라는 소형 경량이면서 고화질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야간주행 중에 보행자를 인식해서 운전자에게 정보를 주기 위한 광학계도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물체를 구분하기 위하여 밝은 광학계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야간에 사용되는 촬상 광학계의 경우 어두운 환경에서 광원에 의해 발생하는 난반사에 의한 화질 열화가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이 가능한 야간용 카메라에 쓰이기 위한 저비용이면서 난반사에 의한 화질 열화를 방지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 전방까지 순서대로 배치되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 면이 볼록한 제1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 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2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 면이 오목한 제3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 면이 볼록한 제4렌즈;를 포함하며, 광학계와 상면간의 거리에 관하여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0 < T3/BFL < 0.2
여기서, T3 : 제3렌즈의 중심 두께
BFL : 후초점 거리
바람직하게, 상기 제2렌즈와 제3렌즈의 아베수에 관하여 하기 조건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0.2 < v3/v2 < 0.7
여기서, v2 : 제2렌즈의 아베수
v3 : 제3렌즈의 아베수
또한 바람직하게,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굴절력에 관하여 하기 조건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 1.4 < f1/f2 < 3
여기서, f1 : 제1렌즈의 초점거리
f2 : 제2렌즈의 초점거리
또한 바람직하게, 광축 방향 치수에 관하여 하기 조건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 0.5 < fl/TL < 0.9
여기서, fl :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
TL : 제1렌즈의 물체측 면의 정점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구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상기 제 1 내지 4 렌즈 중 이웃한 두 렌즈 사이에 위치하며, 적외선 영역의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광학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 필터는 500nm 미만의 파장대역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상기 제1 내지 제4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일면에는 적외선 영역의 파장만을 통과시키도록 하는 광학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 코팅은 500nm 미만의 파장대역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상면과 가장 가까운 렌즈의 형상을 볼록하게 하고, 상면과 이웃하게 위치할 경우 난반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광학적 필터를 이웃한 렌즈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난반사에 의한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경우 저비용으로 컴팩트한 야간용 촬상 광학계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 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IP)까지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 면이 볼록한 제1렌즈(L1),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 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2렌즈(L2),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 면이 오목한 제3렌즈(L3),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 면이 볼록한 제4렌즈(L4), 및 상기 제1렌즈(L1) 내지 제4렌즈(L4) 중 이웃한 두 렌즈 사이에 위치하며 적외선 영역의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광학 필터(O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렌즈(L3)와 제4렌즈(L4) 사이에 빛의 양을 조절하는 개구 조리개(AS)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상면(IP)과 가장 가까운 렌즈면인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10)을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시 광원에 의한 난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면(IP)과 가장 가까운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10)이 평평 또는 오목하게 형성될 경우 상면(IP)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 등을 보호하기 위 하여 상면(IP)의 전방에 구비되는 커버 글래스(CG)와의 사이에서 빛이 반복해서 난반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10)이 평평하거나 오목하다면 상기 커버 글래스(CG)에서 난반사된 빛은 다시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10)에서 난반사되어 상기 커버 글래스(CG)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10)을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버 글래스(CG)에서 난반사되어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10)으로 되돌아온 빛은 반사되어 상기 커버 글래스(CG) 이외의 영역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적외선 영역의 파장만을 통과시키기 위해 구비하는 광학 필터(OF)를 상기 제1렌즈(L1) 내지 제4렌즈(L4) 중 이웃한 두 렌즈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시 광원에 의한 난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 필터(OF)는 500nm 미만의 파장대역을 차단하고, 500nm 이상의 파장대역만을 통과시키는 광학 필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필터(OF)를 상기 제4렌즈(L4)와 상기 커버 글래스(CG)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열하는 경우 상기 광학 필터(OF)의 상측면(8)은 평평하므로 상기 커버 글래스(CG)와의 사이에서 난반사가 일어날 가능성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학 필터(OF)를 가능한 상면(IP)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난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체적인 구성 하에서 다음의 조건식 1 내지 4의 작용효과에 대 하여 살펴본다.
[조건식 1] 0 < T3/BFL < 0.2
여기서, T3은 제3렌즈의 중심 두께이고, BFL은 후초점 거리이다.
조건식 1은 광학계의 해상도와 난반사에 의한 화질저하에 관련된 조건이다.
조건식 1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렌즈계와 센서간의 거리가 짧아져 난반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며 해상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조건식 2] 0.2 < v3/v2 < 0.7
여기서, v2은 제2렌즈의 아베수이고,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이다.
조건식 2는 제2렌즈 및 제3렌즈의 아베수에 관련된 조건이다.
조건식 2의 상한 또는 하한을 벗어나게 되면 각 파장별 포커싱 위치가 상이해져 화상에서 색깔이 심하게 번져보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조건식 3] 1.4 < f1/f2 < 3
여기서, f1은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2은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조건식 3은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굴절력에 관련된 조건이다.
조건식 3의 상한을 벗어나는 경우 제2렌즈의 굴절력이 강해지고 곡률이 작아져서 제작이 어려워지며,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제1렌즈의 굴절력이 강해지고 곡률이 작아져서 제작이 어려워진다.
[조건식 4] 0.5 < fl/TL < 0.9
여기서, fl은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이고, TL은 제1렌즈의 물체측 면의 정점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다.
조건식 4는 광축 방향의 치수에 관한 조건이다.
조건식 4의 상한을 벗어나는 경우 광학계의 화각이 작아지며,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광학계의 길이가 길어져 소형화에 반하게 된다.
이하, 구체적인 수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1실시예]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내는 렌즈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각종 수차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경우, F 넘버(FNo)는 1.6이고, 제1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TL)는 16.30mm,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fl)는 12.2mm이고, 후초점 거리(BFL)는 5.46mm이다. 또한, 제1렌즈의 초점거리(f1)는 23.439mm, 제2렌즈의 초점거리(f2)는 13.674mm, 제3렌즈의 초점거리(f3)는 -4.916mm, 제4렌즈의 초점거리(f4)는 6.911mm이다.
Figure 112009079495401-PAT00001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조건식 1 내지 4의 값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Figure 112009079495401-PAT00002
상기의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1 내지 4를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실시예]
하기의 표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내는 렌즈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각종 수차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경우, F 넘버(FNo)는 1.6이고, 제1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TL)는 16.39mm,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fl)는 12.16mm이고, 후초점 거리(BFL)는 5.30mm이다. 또한, 제1렌즈의 초점거리(f1)는 23.211mm, 제2렌즈의 초점거리(f2)는 13.764mm, 제3렌즈의 초점거리(f3)는 -4.946mm, 제4렌즈의 초점거리(f4)는 6.955mm이다.
Figure 112009079495401-PAT00003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조건식 1 내지 4의 값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Figure 112009079495401-PAT00004
상기의 표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는 조건식 1 내지 4를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내는 렌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각종 수차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내는 렌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야간용 촬상 광학계의 각종 수차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L1: 제1렌즈 L2: 제2렌즈
L3: 제3렌즈 L4: 제4렌즈
OF: 광학 필터 AS: 개구 조리개
CG: 커버 글래스 IP: 상면
1,2,3,4,5,6,7,8,9,10,11,12,13: 면 번호

Claims (9)

  1. 물체측으로부터 상면 전방까지 순서대로 배치되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 면이 볼록한 제1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 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2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 면이 오목한 제3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측 면이 볼록한 제4렌즈;
    를 포함하며, 광학계와 상면간의 거리에 관하여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
    [조건식 1] 0 < T3/BFL < 0.2
    여기서, T3 : 제3렌즈의 중심 두께
    BFL : 후초점 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와 제3렌즈의 아베수에 관하여 하기 조건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
    [조건식 2] 0.2 < v3/v2 < 0.7
    여기서, v2 : 제2렌즈의 아베수
    v3 : 제3렌즈의 아베수
  3. 제1항에 있어서,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굴절력에 관하여 하기 조건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
    [조건식 3] 1.4 < f1/f2 < 3
    여기서, f1 : 제1렌즈의 초점거리
    f2 : 제2렌즈의 초점거리
  4. 제1항에 있어서,
    광축 방향 치수에 관하여 하기 조건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
    [조건식 4] 0.5 < fl/TL < 0.9
    여기서, fl :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
    TL : 제1렌즈의 물체측 면의 정점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구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4 렌즈 중 이웃한 두 렌즈 사이에 위치하며, 적외선 영역의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광학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는 500nm 미만의 파장대역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일면에는 적외선 영역의 파장만을 통과시키도록 하는 광학 코팅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코팅은 500nm 미만의 파장대역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용 촬상 광학계.
KR1020090129225A 2009-12-22 2009-12-22 야간용 촬상 광학계 KR10108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25A KR101089885B1 (ko) 2009-12-22 2009-12-22 야간용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25A KR101089885B1 (ko) 2009-12-22 2009-12-22 야간용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43A true KR20110072343A (ko) 2011-06-29
KR101089885B1 KR101089885B1 (ko) 2011-12-05

Family

ID=4440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225A KR101089885B1 (ko) 2009-12-22 2009-12-22 야간용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8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0283A (zh) * 2014-12-26 2015-04-29 福建福特科光电股份有限公司 适用于“星光级”超低照度的道路监控摄像镜头
CN114791660A (zh) * 2021-01-25 2022-07-26 东京晨美光学电子株式会社 摄像镜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5617A (ja) 1982-06-09 1983-12-15 Olympus Optical Co Ltd 望遠写真レンズ
JPH11249013A (ja) * 1998-02-27 1999-09-17 Fuji Photo Optical Co Ltd 結像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0283A (zh) * 2014-12-26 2015-04-29 福建福特科光电股份有限公司 适用于“星光级”超低照度的道路监控摄像镜头
CN114791660A (zh) * 2021-01-25 2022-07-26 东京晨美光学电子株式会社 摄像镜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885B1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859B1 (ko) 촬상 광학계
KR102620545B1 (ko) 촬상 광학계
KR20180064179A (ko) 촬상 광학계
KR20230135034A (ko) 촬상 광학계
KR101309423B1 (ko) 초광각 렌즈 모듈
KR101813335B1 (ko) 촬상 광학계
TWI641865B (zh) 光學成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2232422B1 (ko) 렌즈 모듈
KR20180067216A (ko) 촬상 광학계
KR20230124880A (ko) 촬상 광학계
KR20180072975A (ko) 촬상 광학계
KR20170061290A (ko) 촬상 광학계
KR102608096B1 (ko) 촬상 광학계
KR20200036395A (ko) 촬상 광학계
KR101089885B1 (ko) 야간용 촬상 광학계
KR20180073904A (ko) 촬상 광학계
KR20140008183A (ko) 소형 광각 광학계
KR20230077333A (ko) 촬상 광학계
KR102207278B1 (ko) 촬상 광학계
KR20170141178A (ko) 촬상 광학계
WO2021056558A1 (en) Optical filter free lens system
KR20190084921A (ko) 촬상 광학계
KR20220024361A (ko) 촬상 광학계
KR20200119774A (ko) 촬상 광학계
KR20140015610A (ko) 카메라용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