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749A -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749A
KR20110071749A KR1020090128395A KR20090128395A KR20110071749A KR 20110071749 A KR20110071749 A KR 20110071749A KR 1020090128395 A KR1020090128395 A KR 1020090128395A KR 20090128395 A KR20090128395 A KR 20090128395A KR 20110071749 A KR20110071749 A KR 20110071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ntents
highlight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172B1 (ko
Inventor
이승재
유원영
서용석
이상광
윤영석
이정호
서영호
심광현
남도원
김정현
김성민
박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 및 컨텐츠 특징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컨텐츠를 검색 시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구간 컨텐츠와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 사이의 유사구간을 검색하는 구간 검색부와, 검색된 상기 유사구간, 전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 하이라이트 구간의 인기도,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연산하여 갱신하는 하이라이트 설정부와, 실시간으로 갱신된 하이라이트 구간, 인기도, 및 특징 정보를 전체 컨텐츠 별로 관리하는 검색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ONTENTS INFORMATION}
본 발명은, 컨텐츠 검색 시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생성하고 관리하여, 컨텐츠 검색 및 사용 시 컨텐츠의 일반적인 특징 정보와 함께 하이라이트 구간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검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화체육관광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관리번호: 2007-S-017-03, 과제명: 사용자 중심의 컨텐츠 보호 유통 기술 개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 및 사용자간의 컨텐츠 공유는 유무선 통신의 발달 및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컨텐츠 검색을 용이하게 하고, 컨텐츠 검색 시에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컨텐츠 검색 서비스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또는 특징을 이용하여 연관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이를 리스트화하거나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 검색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정할 시에, 재생 횟수 또는 사용자의 평점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인기도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컨텐츠를 검색 시에 컨텐츠 맛보기 등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할지를 직접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의 경우 소정 시간 동안 미리 듣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컨텐츠의 양이 날로 늘어나고 검색해야 할 대상 컨텐츠의 양이 막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검색 대상 컨텐츠를 가려서 검색함으로써 컨텐츠 검색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기술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컨텐츠 검색 및 재생 횟수, 티비 등의 시청률을 컨텐츠 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이 실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별 데이터 베이스 관리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 검색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고,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 선택 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 즉 컨텐츠의 주요 부분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컨텐츠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최근의 추세를 비추어 볼 때, 상기 언급한 새로운 컨텐츠 검색 관련 기술의 필요성은 클 것이다.
상기 언급한 필요성 및 기존 컨텐츠 검색 기술의 미비점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개선된 컨텐츠 검색 기술 제공을 위한 컨텐츠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또는 원본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생성하고 이를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 구간을 컨텐츠 검색 또는 사용 시 제공하여 사용자가 더욱 정확하게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또는 컨텐츠 구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구간 컨텐츠와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 사이의 유사구간을 검색하는 구간 검색부와, 검색된 유사구간, 전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연산하여 갱신하는 하이라이트 설정부와, 실시간으로 갱신된 하이라이트 구간, 및 특징 정보를 전체 컨텐츠 별로 관리하는 검색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체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 특징 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에는 시청률, 재생횟수, 검색횟수, 영상 또는 오디오 컨텐츠 특징 기반의 하이라이트 구간 확률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 구간 에는 각 하이라이트 구간 별 인기도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설정부에는, 특정 구간이 하이라이트 구간인지 판단하는 기능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새롭게 생성되는 하이라이트 구간의 인기도를 연산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방법은, 구간 검색부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구간 컨텐츠와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 사이의 유사구간을 검색하는 단계; 하이라이트 설정부가 검색된 유사구간, 전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연산하여 갱신하는 단계; 및 검색 정보 저장부가 하이라이트 구간, 유사구간 데이터,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전체 컨텐츠 별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생성 관리와 더불어 컨텐츠 검색 또는 사용 시에 일반적인 컨텐츠 정보 이외에,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컨텐츠 검색 및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는 구간 검색부(101), 하이라이트 설정부(102) 및 검색 정보 저장부(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간 검색부(101)는, 사용자 단말기(104)로부터 구간 컨텐츠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구간 컨텐츠와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 사이의 유사구간을 검색한다. 구간 검색부(101)에는,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 저장부(10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4)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송수신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 및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기(104)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4)에는, 일반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이동 통신기기, 휴대용 컴퓨터를 포함하여 상기 언급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기(104)는 컨텐츠 저장부(100)에 저장된 전체 컨텐츠의 부분, 즉 일 구간에 대해 가공하여 구간 컨텐츠를 생성한다. 상기 구간 컨텐츠가 구간 검색부(101)에 입력된다. 구간 컨텐츠는, 단순히 전체 컨텐츠의 일부를 잘라서 편집한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UCC 등 사용자가 전체 컨텐츠의 일부를 가공하여 새롭게 제작한 컨텐츠 역시 구간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구간 검색부(101)는, 사용자 단말기(104)에서 가공 또는 제작된 구간 컨텐츠 를 입력받고, 컨텐츠 저장부(100) 또는 외부의 서버에서 입력된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를 수신한다.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는, 구간 컨텐츠의 내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원본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구간 컨텐츠가 3개의 드라마에 대해 사용자가 가공한 평가 UCC 라면, 전체 컨텐츠는 3개의 드라마 원본 컨텐츠 각각이 될 것이다.
구간 검색부(101)는 수신한 구간 컨텐츠 및 전체 컨텐츠 사이의 유사구간을 검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유사구간은, 전체 컨텐츠 중 구간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일부를 의미한다. 유사구간은 전체 컨텐츠를 소정 시간별로 나눈 복수의 구간들 중 구간 컨텐츠에 포함된 구간들을 의미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즉, 유사 구간은 예를 들어 드라마 전체 시간 중 일부 시간에 포함된 구간을 의미한다. 상기 유사 구간에 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구간(또는 구간 정보)은, 전체 컨텐츠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초)로 분할한 모든 구간에 대한 시간 범위(또는 시간 정보)를 의미할 것이다.
유사구간을 검색한다는 것은, 상기 언급한 유사 구간에 포함된 컨텐츠 및 컨텐츠에 관한 정보 역시 추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 구간에 포함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는, 유사 구간의 전체 컨텐츠 구간에 대한 시간 범위, 사용자에 의한 가공 여부, 및 컨텐츠 파일의 속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이라이트 설정부(102)는, 검색된 유사구간, 전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연산하여 갱신하는 기능을 한다. 검색된 유사구간은 구간 검색부(101)로부터 수신한다. 전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는 검색 정보 저장부(103)로부터 수신한다.
하이라이트 설정부(102)는, 먼저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정보들을 수신하여 분석하게 된다. 검색 정보 저장부(103)로부터 상기 정보들을 수신하게 된다. 이전의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및 전체 컨텐츠에 대한 특징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는 검색된 유사구간과 그 형식이 동일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는, 이전의 연산에 의해 갱신된 정보이다.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는, 전체 컨텐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로서, 검색된 유사구간의 중복 횟수 및 전체 컨텐츠에 대한 특징정보를 연산하여 생성 및 갱신된다.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 연산 시에는,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인기도 정보가 추가적으로 연산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인기도는, 하이라이트 구간이 사람들에게 얼마나 호응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척도로서, 컨텐츠 검색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인기도는, 역시 하이라이트 설정부(102)에 의해 연산되며 검색 정보 저장부(103)에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실시간으로 관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체 컨텐츠에 대한 특징 정보는, 검색 정보 저장부(103)에 의해 관리되는 전체 컨텐츠에 대한 수집 정보이다. 전체 컨텐츠의 내용(예를 들어 영상 및 음향)을 제외한 복수의 정보들이 특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특징 정보에는 예를 들어, 전체 컨텐츠의 재생횟수, 검색 횟수가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검색 또는 인기도(또는 검색 우선순위) 연산 시에 필요한 것들이다. 또한, 전체 컨텐츠에 대한 현재까지 입력된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 역시 특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특징정보에는 전체 컨텐츠가 티비 프로그램인 경우, 시청률이 될 수 있다. 시청률은 전체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인 경우, 사전에 알려진 후렴구, 전주 부분, 그 외의 부분으로 구분하여 0에서 1 사이의 값을 할당하게 된다.
또한, 영상, 음향의 성질을 물리적으로 분석한 것을 기반으로 한 하이라이트 구간 확률이 특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체 컨텐츠의 전체 구간별로 하이라이트 확률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 전체구간별 하이라이트 확률은, 하이라이트 설정부(102)에 의해 연산되어 검색정보 저장부(103)에 의해 실시간으로 관리된다.
전체구간별 하이라이트 확률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 또는 음향의 성질을 물리적으로 분석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 음향 또는 영상에서 다양한 특징 추출을 통해서 정교하게 얻어낼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황에서 컨텐츠의 성질에 따라 하이라이트 확률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체구간별 하이라이트 확률은, 영상에서는 밝기값, 또는 밝기값의 변화가 큰 구간을 하이라이트가 될 확률이 높은 곳으로 할당한다. 음향에서는 음향 신호의 에너지가 높은 곳을 하이라이트가 될 확률이 높은 곳으로 할당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시스템의 복잡도를 낮추는 한편, 불필요한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하이라이트 설정부는 구간 검색부(101)로부터 수신한 유사구간과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연산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 텐츠의 구간이 새로운 하이라이트 구간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된다. 이하의 함수가 사용된다.
H = f(Nc, SA, TA) > T
수학식 1은 개략적인 함수에 대한 표현이다. 수학식 1에서, H는 사용자 단말기(104)에 의해 입력되는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을 의미한다. 함수 f에 의해 연산되는 변수는,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들이다. Nc는 전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104)에 의해 입력된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이다. Nc는 유사구간에 포함된 구간 컨텐츠 및 구간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와,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에 대한 지금까지 입력된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이다. Nc는 구간 정보, 즉 소정 시간으로 분할될 전체 컨텐츠의 구간 변수에 근거한 변수로 정의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Nc는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에 포함된 검색 횟수에 대한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의 비율로 정의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Nc는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에 포함된 전체 검색횟수와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검색 횟수의 비율로서 정의될 수 있다.
즉, Nc는 상기 언급한 세가지 종류의 변수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언급한 전체 컨텐츠에 대한 지금까지 입력된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를 Nc로 정의하기로 한다.
SA는 전체 구간 별 시청률 중 입력된 유사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의 시청률을 의미한다. TA는 상기 언급한 전체 구간별 하이라이트 확률 중 입력된 유사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의 하이라이트 확률을 의미한다.
함수 f는 상기 언급한 유사구간 컨텐츠 수, 즉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구간 정보 시간의 시청률, 및 유사구간에 대응하는 구간 정보 시간의 하이라이트 확률에 대한 선형적인 함수이다. 즉 Nc, SA, TA에 비례하여 계산될 수 있는 함수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
함수 f에 의해 계산 된 값은 소정값 T와 비교된다. 소정값 T는 입력된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이 하이라이트가 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값이다. 소정값 T는 함수 f의 정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하이라이트 설정부(102)는, 상기 연산에 따라 입력된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이 하이라이트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간을 새로운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새로운 하이라이트 구간을 기 설정된 하이라이트 구간에 추가하여 하이라이트 구간들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검색 정보 저장부(103)에 새로운 하이라이트 구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4)에 의한 구간 컨텐츠의 입력 시, 구간 검색부(101) 및 하이라이트 설정부(102)에 의한 하이라이트 구간 설정 연산을 언급했다. 그러나, 하이라이트 설정부(102)의 함수 f는 입력된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뿐 아니라, 시청률 또는 검색 횟수 역시 변수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검색 정보 저장부(103)에 의해 갱신되는 시청률 또는 검색 횟수에 의해서도 새롭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인기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P = f(Nc, N, M)
수학식 2에서, Nc는 상기 언급한 수학식 1에서의 Nc와 동일한 것이며, N은 전체 컨텐츠의 재생횟수, M은 전체 컨텐츠의 검색 횟수에 근거한 변수이다. N 및 M은 전체 컨텐츠의 재생 및 검색 횟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별 검색 횟수 및 재생 횟수가 검색 정보 저장부(103)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N 및 M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입력된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에 대한 검색 및 재생횟수가 될 수 있다. 수학식 1에 의해 입력된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이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설정될 경우 하이라이트 구간의 인기도가 새롭게 생성되므로, 이때는 N 및 M은 새롭게 설정된 하이라이트 구간의 검색 및 재생횟수를 의미할 것이다.
검색 정보 저장부(103)는 하이라이트 설정부(102)에 의해 하이라이트 구간 및 입력된 유사구간을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관리한다. 검색 정보 저장부(103)는 또한, 전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설정부(102) 또는 외부 서버에 의해 갱신되는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하이라이트 설정부(102)로부터 하이라이트 구간 및 입력된 유사구간을 수신한다. 전체 컨텐츠 별로 설정된 하이라이트 구간을 갱신하며, 입력된 유사구간을 통해 전체 컨텐츠에 포함된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를 갱신한다.
검색 정보 저장부(103)에는 시청률의 실시간 갱신을 위하여 방송사의 시청률 정보 공급 수단이 추가적으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검색 횟수 및 재생 횟수는 사용자 단말기(104)가 검색 정보 저장부(103)를 통해 컨텐츠 검색 시 갱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검색 정보 저장부(103)이외에도 별도의 검색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사용자 단말기(104)와 검색 정보 저장부(103) 사이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별도의 검색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검색 정보 저장부(103)는 별도의 검색 장치에서 검색 및 재생 횟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검색 정보 저장부(103)는 사용자 단말기(104)에 의해 컨텐츠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 검색 정보 저장부(103)는 검색 대상 컨텐츠를 전체 컨텐츠별로 관리되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 대상 컨텐츠에 대한 특징 정보 및 컨텐츠의 미리보기 제공 서비스로서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컨텐츠 내용을 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검색 정보 저장부(103)는 전체 컨텐츠에 대한 검색 횟수, 재생횟수, 하이라이트 구간의 인기도, 및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전체 컨텐츠의 검색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체 컨텐츠의 검색 우선 순위는, 사용자 단말기(104)에 의해 컨텐츠 검색 요청 수신시, 검색 우선 순위가 높은 전체 컨텐츠를 상위에 표시하는 것에 대한 순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 검색시에, 상기 언급한 객관적인 정보 이외에도 하이라이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기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경우, 하이라이트 정보에 따라서 다시 한 번 자기가 원하는 컨텐츠가 포함되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컨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정보를 제공 받음으로써, 컨텐츠를 미리 체험하고 판단할 수 있어 사용자 친화적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설정부(202)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이라이트 설정부(202)에는 유사구간 확인부(204), 하이라이트 연산부(205), 인기도 연산부(206), 및 검색정보 생성부(207)가 포함된다.
유사구간 확인부(204)는, 구간 검색부(201)로부터 구간 컨텐츠를 수신하고 검색 정보 저장부(203)로부터 전체 컨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구간 및 특징 정보를 수신한다. 구간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 정보 요청 을 검색 정보 저장부(203)에 하게 된다. 그리고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에 대한 구간 정보에 근거하여 유사구간을 검색한다.
하이라이트 연산부(205)는 수신한 유사구간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된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에 대한 구간이 하이라이트 구간이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검색 정보 저장부(203)에 의해 갱신된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에 따라서, 전체 컨텐츠의 구간 중 새로운 하이라이트 구간이 될 구간에 대한 판단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기도 연산부(206)은 하이라이트 연산부(205)에 의해 연산되는 전체 컨텐츠의 일 구간에 대한 인기도를 연산한다. 검색정보 생성부(207)는 하이라이트 연산부(205) 및 인기도 연산부(206)에 의해 계산된 결과를 통해 갱신된 하이라이트 구간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검색 정보 저장부(203)에 송신하여 갱신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검색정보 저장부(103, 203)에 저장되는 전체 컨텐츠별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체 컨텐츠별 데이터 베이스(300)는 컨텐츠 인덱스 A를 포함한다. 컨텐츠 인덱스 A는 컨텐츠 명 또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및 전체 컨텐츠를 식별한 수 있는 모든 식별자가 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구간은 각 구간 H1, H2별로 전체 컨텐츠에 대한 구간 정보를 의미하며, 하이라이트 구간 정보에는 각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인기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유사구간 컨텐츠 정보는, 상기 언급한 구간 컨텐츠의 중복 횟수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다. 도 3에서는 입력된 구간 컨텐츠 자체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유사구간 컨텐츠는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해서만 관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외에도 전체 구간별로 유사구간 컨텐츠가 관리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재생수 N은 각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재생 횟수의 집합, 전체 컨텐츠의 재생 횟수, 또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별 재생 횟수의 집합이 될 수 있다. 컨텐츠 검색수는, 전체 컨텐츠 검색 횟수, 하이라이트 구간 별 검색 횟수, 또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별 재생 횟수의 집합이 될 수 있다.
전체 구간 별 시청률 SA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별 시청률 집합을 의미한다. 전체 구간별 하이라이트 확률 TA는 전체 컨텐츠의 구간별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설정되는 하이라이트 확률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에 근거하여, 하이라이트 설정부는 하이라이트 구간 판단을 위한 연산을 위해 상기 언급한 수학식 1(301) 및 수학식 2(302)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다시 검색 정보 저장부의 데이터 베이스(300)에 갱신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에 대응하는 컨텐츠 재생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즉,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때의 화면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4)에서 컨텐츠를 검색하면, 본 발명의 실 시 예에 따른 검색 정보 저장부는 상기 언급한 하이라이트 정보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4)에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채택하면, 도 4의 화면이 표시된다.
재생 화면(400)에 화면이 재생되는 한편, 화면의 일부에는 하이라이트 구간 H1, H2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정보에는 인기도, 및 유사구간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에 근거한 컨텐츠 링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재생 화면(400)에 제공되는 구간 선택 바(Bar)에는 하이라이트 구간 H1, H2를 표시해 주고 있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4)를 통해 하이라이트 구간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도 4에 표시되는 화면은 검색 화면 상에서 유사하게 표현될 수 있다. 즉, 검색 화면에는 재생화면(400) 및 구간 선택 바를 제외하고 하이라이트 정보는 그대로 또는 요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의 일 화면을 정지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컨텐츠명을 포함하는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역시 도 1 내지 4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구간 검색부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구간 컨텐츠를 입력받는 단계(S1)가 수행된다. 구간 검색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구간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간 컨텐츠와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 사이의 유 사구간을 검색한다(S2).
하이라이트 설정부는, 유사구간과 전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 즉 검색 정보를 검색 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한다(S3). 그리고 추출된(또는 수신한) 하이라이트 구간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 및 수신한 유사구간 데이터를 수학식 1에 근거하여 하이라이트 함수를 연산한다(S4). 하이라이트 함수값이 소정값 T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S5) 하이라이트 함수값이 소정값 T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운 하이라이트 구간을 설정하여 전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갱신하는 단계(S6)를 수행한다. 그리고 하이라이트 구간의 인기도를 연산하여 갱신하는 단계(S7)가 수행된다.
하이라이트 함수값이 소정값 T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기존의 하이라이트 구간의 인기도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하이라이트 구간에 대한 인기도를 연산하여 갱신하는 단계(S7)가 수행된다.
검색 정보 저장부는 전체 컨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정보 및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 즉 검색 정보를 하이라이트 연산부의 연산에 따라서 갱신하는 단계(S8)를 최종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 S1 내지 S8 단계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설명은 오로지 설명적인 용도로만 사용되어야 할 것이며,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임은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설정부에 대한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검색정보 저장부에 저장되는 전체 컨텐츠별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에 대응하는 컨텐츠 검색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구간 컨텐츠와 상기 구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전체 컨텐츠 사이의 유사구간을 검색하는 구간 검색부와,
    검색된 상기 유사구간, 상기 전체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구간, 및 상기 전체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연산하여 갱신하는 하이라이트 설정부와,
    실시간으로 갱신된 상기 하이라이트 구간, 및 상기 특징 정보를 상기 전체 컨텐츠 별로 관리하는 검색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KR1020090128395A 2009-12-21 2009-12-21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24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395A KR101624172B1 (ko) 2009-12-21 2009-12-21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395A KR101624172B1 (ko) 2009-12-21 2009-12-21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749A true KR20110071749A (ko) 2011-06-29
KR101624172B1 KR101624172B1 (ko) 2016-05-26

Family

ID=4440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395A KR101624172B1 (ko) 2009-12-21 2009-12-21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804B1 (ko) * 2011-10-27 2013-07-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영상 콘텐츠의 영상을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56634A (ko) * 2012-10-30 2014-05-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9818A1 (ko) * 2020-09-18 2022-03-24 주식회사 사이 동영상 검색에서 크라우드 메타 정보들의 서사 구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804B1 (ko) * 2011-10-27 2013-07-0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영상 콘텐츠의 영상을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56634A (ko) * 2012-10-30 2014-05-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172B1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6048B (zh) 娱乐媒体可视化及交互方法
KR101242664B1 (ko) 재생목록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3947214A (zh) 背景相关的交互式电视
JP5106455B2 (ja) コンテンツ推薦装置及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KR101404585B1 (ko) 구간 작성 장치, 구간 작성 방법 및, 구간 작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00134610A (ko) 비디오 인터벌 주석
US201300245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305080B2 (ja) 映像再生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5352754A (ja) 情報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2108892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30054535A (ko) 콘텐츠 리스트를 추천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US10776421B2 (en) Music search system, music search method, server device, and program
KR101624172B1 (ko) 컨텐츠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US8352985B2 (en) Method of storing and displaying broadcast contents and apparatus therefor
KR20130071829A (ko) 콘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검색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
KR101108688B1 (ko)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파일과 관련된 동영상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장치
JP2008059383A (ja) コンテンツ提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084966A (ja) 動画情報視聴装置及び動画情報視聴方法
JP4104569B2 (ja) 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放送受信システム
TWI497959B (zh) Scene extraction and playback system, method and its recording media
JP3901973B2 (ja) リモコン、番組選択方法および放送受信システム
JP2004318614A (ja) 番組シナリオ配信装置、番組シナリオ配信システム、番組シナリオ配信方法及び番組シナリオ配信プログラム
US20180322195A1 (en) Method for recommending musing in playlis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U20222754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Within Region of Interest of a User
JP58345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