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589A -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589A
KR20110071589A KR1020090128202A KR20090128202A KR20110071589A KR 20110071589 A KR20110071589 A KR 20110071589A KR 1020090128202 A KR1020090128202 A KR 1020090128202A KR 20090128202 A KR20090128202 A KR 20090128202A KR 20110071589 A KR20110071589 A KR 20110071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ight
color
crystal display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339B1 (ko
Inventor
현혜린
추교섭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339B1/ko
Priority to US12/816,477 priority patent/US20110149219A1/en
Priority to CN201010299605.7A priority patent/CN102103287B/zh
Publication of KR2011007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패널의 비 구동시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켜 특정 컬러를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상호 직교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 중 일정 개수의 화소영역들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하부기판;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레드(R), 그린(G), 블루(B)의 색광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들과, 상기 반사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임의의 색광을 투과시키는 더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장치, 반사부, 패널 비 구동

Description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패널의 비 구동(非驅動)시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켜 특정 컬러를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액정패널이 외부 케이스와 동일한 색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액정 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통해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 소비 전력구동 등의 장점으로 인해 휴대용 정보기기, 사무기기, 컴퓨터 및 IT 제품에 적용되어 그 응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소자가 아니기 때문에 액정패널의 하부에 마련된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광 또는 외부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패널의 액정층에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이 최대로 증가하면, 상기 액정패널은 휘도가 높은 화이트 영상을 구현하게 되고, 액정층의 광의 투과율이 최소로 감소하면 상기 액정패널은 휘도가 낮은 블랙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하부기판(10), 상부기판(20),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10, 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패널(40)과, 상기 액정패널(4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상기 상부기판(20) 상에 배치되는 편광필름(미도시) 및 상기 액정패널(4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40)의 하부기판(10)에는 수직으로 교차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11) 및 데이터 라인(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라인(11) 및 데이터 라인(12)의 교차부마다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영역에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이 투명 전도성 물질 형성된 화소전극(14)이 상기 데이터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3)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상부기판(20)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11), 데이터 라인(12) 및 박막 트랜지스터(13) 영역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21) 사이에는 특정 파장의 색광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층(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컬러필터층(22)은 레드(R), 그린(G), 블루(B)의 컬러필터들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 면,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을 통하여 상기 화소전극으로 영상신호 인가된다. 이를 통해 액정의 광 투과량이 조절되어 액정층을 투과한 광이 상기 컬러필터층(22)을 경유하여 풀 컬러(full color)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가 적용된 모바일(mobile) 액정 표시장치 단말기(60, 이하 '단말기'라 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60)는 외부 케이스(50), 액정패널(40), 상기 액정패널(4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액정패널(40) 상에 배치되는 편광필름(미도시)을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단말기(60)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비 구동 상태에서는 액정패널(40)에서 광이 출사되지 않고, 상기 편광필름에 의해 외부 광을 흡수하여 액정패널(40)이 블랙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최근에 들어, 모바일 액정 표시장치 단말기(60)는 단순 통신수단이 아닌 액서서리(accessory)의 일부로 여겨지고 있으며, 단말기(60) 자체 외부 케이스(50)의 색상 및 디자인은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 선호도의 실질적인 요소(factor)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케이스(50)의 색상을 블랙 또는 화이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단말기(60)는 비 구동 상태에서 액정패널(40)이 블랙의 색상 만을 표시함으로 외부 케이스(50)와 액정패널(40)의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 선호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비 구동 상태에서 액정패널이 블랙 이외의 다른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비 구동 상태에서 액정패널이 외부 케이스와 동일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상호 직교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 중 일정 개수의 화소영역들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하부기판;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레드(R), 그린(G), 블루(B)의 색광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들과, 상기 반사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임의의 색광을 투과시키는 더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상기 더미 컬러필터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광을 투과시키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상기 반사부와 대응되도록 형성 된 더미 컬러필터의 두께는 상기 화소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컬러필터들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서, 상기 반사부가 형성된 영역의 제 1 셀 갭과 상기 화소영역이 형성된 영역의 제 2 셀 갭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서, 상기 제 1 셀 갭은 상기 제 2 셀 갭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비 구동 상태에서도 액정패널이 검은색이 아닌 다른 색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비 구동 상태에서도 액정패널이 외부 케이스와 동일 색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외관상 외부 케이스를 포함한 액정 표시장치가 단일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비 구동 상태에서 액정패널이 외관상 외부 케이스와 동일 색상을 표시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컬러풀(colorful)한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 제품 구매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하부 기판에 액정패널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부기판에 상기 반사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외부 케이스의 색상과 동일 색상의 광을 투과하는 더미 컬러필터를 형성하여, 액정패널이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액정패널이 외부 케이스와 동일 색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가 적용된 모바일 액정 표시장치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액정 표시장치를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가 적용된 모바일 액정 표시장치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함.)는 액정 표시장치와 상기 액정 표시장치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외부 케이스(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는 서로 대향되는 하부기판(100), 상부기판(200), 상기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20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상기 액정패널 상에 배치되어 액정패널에서 출사되는 광 및 액정패널로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편광필름(미도시)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기판(100)에는 수직으로 교차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110) 및 데이터 라인(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라인(110) 및 데이터 라인(120)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영역(150) 및 반사부(160)가 형성되어 있 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130)와 화소전극(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영역에(150)에 형성된 화소전극(140)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이 투명 전도성 물질로 상기 데이터 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화소전극(140)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부기판(100) 상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110)은 게이트 구동회로(미도시)로부터의 스캔 신호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30)에 공급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120)은 데이터 구동회로(미도시)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30)에 공급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30)는 상기 게이트 라인(110)으로부터 받은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120)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소전극(140)으로 공급한다. 상기 화소전극(14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30)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에 의해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다.
상기 상부기판(200)에는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2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210) 사이에는 특정 파장의 색광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층(2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층(210)은 블랙 매트릭스(BM)로 형성되고, 상기 컬러필터층(220)은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색광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들과, 임의의 특정 색광을 투과시키는 더미 컬러필터(220d)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기판(100)에 형성되는 반사부(160)와 상기 상부기판(200)에 형성되 는 더미 컬러필터(220d)는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16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 일 예로서, 산화마그네슘(MgO), 발광안료, 형광안료, 은(Ag), 금(Au),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의 광 반사 물질 또는 이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flat)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서, 외부 광의 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오목 및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엠보(embo)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160)는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pixel)가 3개의 화소전극(140)으로 구성되는 경우, 3개의 화소전극(140) 마다 1개의 반사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반사부(160)는 반드시 3개의 화소전극(140)마다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액정패널(400)에 따라, 원하는 휘도를 얻기 위해 적절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160)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물질로 형성되므로, 액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부(160)에는 화소영역(150)과 동일하게 박막 트랜지스터(130)가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광 반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사 영역을 넓게 형성하여야 함으로, 박막 트랜지스터(130)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기판(200) 상에 형성된 차광층(210)은 상기 게이트 라인(110), 데이터 라인(120) 및 박막 트랜지스터(130) 영역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광이 투과되지 않는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컬러필터층(220)은 상기 화소영역(150)의 화소전극(14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컬러필터들과, 반사부(16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임의의 색상을 가지는 더미 컬러필터(220d)로 구성된다.
상기 컬러필터층(220)의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컬러필터들 및 상기 더미 컬러필터(220d)는 상기 차광층(210) 사이에 형성되며, 특정 파장 즉, 특정 색상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220) 중 상기 반사부(160)에 대응되는 더미 컬러필터(220d)는 비 구동 상태에서 액정패널이 임의의 색상을 표시하도록 임의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 케이스(500)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컬러필터층(220) 중 상기 반사부(160)에 대응되는 더미 컬러필터층(220d)은 상기 화소영역(150)에 대응되는 컬러필터층(220a, 220b, 220c)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160)는 액정패널의 비 구동 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기 임의의 색상을 가지는 더미 컬러필터(220d)를 통해 액정패널에서 임의의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액정패널(400)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반사부(160)가 형성된 영역에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이 투과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더미 컬러필터(220d)의 두께를 상기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컬러필터보다 두껍게 형성한다. 이를 통해, 상기 반사부(160)와 더미 컬러필터(220d) 사이의 셀 갭을 화소전극(140)과 상기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컬러필터들 사이의 셀 갭보다 작도록 형성하여, 액정패널(400)이 구동될 때 반사부(160)의 영역에서 상기 더미 컬러필터(220d)로 광이 투과되지 않도록 한다.
일 예로서, 액정패널(400)이 구동될 때, 상기 화소전극(140)과 상기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컬러필터들 사이의 액정이 1/2λ의 유전성 이방율을 가지도록 배열되어 광을 투과시킨다. 한편, 상기 반사부(160)와 더미 컬러필터(220d) 사이의 셀 갭은 1/4λ의 유전성 이방율을 가지도록 배열되어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액정패널(400)이 구동될 때에는 상기 화소전극(140) 영역에서는 광이 투과되어 상기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컬러필터를 통해 풀 컬러의 화상이 표시된다. 반면, 액정패널이 구동될 때에는 상기 반사부(160)와 더미 컬러필터(220d) 사이의 액정 셀들이 1/4λ의 유전성 이방율을 가지도록 배열되어 해당 영역은 광을 투과시키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160)와 더미 컬러필터(220d) 사이의 셀 갭이 상기 화소전극(140)과 상기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컬러필터들 사이의 셀 갭보다 작게 형성되어도 화소영역(150)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패널(400)의 컬러필터(220)층 중 반사부(160)에 대응되는 더미 컬러필터층(220d)은 상기 외부 케이스(500)의 동일한 색상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액정패널(400)의 비 구동 시 액정패널(400)은 외부 케이스와 동일 색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정패널(400) 비 구동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오프(off) 즉, 액정패널(400)에 광이 공급되지 않아 화소영역(150)의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컬러필터를 경유하여 광이 출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액정패널(400)의 표시영역 중, 화소영역(150)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은 블랙의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500)와 동일 색상의 광을 투과시키는 물질로 형성된 더미 컬러필터(200d)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반사부(160)의 영역으로 입사된 외부 광은 상기 반사부(160)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부(160)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더미 컬러필터(200d)를 경유하여 액정패널(400) 외부로 출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판(160) 및 더미 컬러필터(220d)를 통해 전력 소비 없이 액정패널(400)이 외부 케이스(500)와 동일 색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사부(160)는 레드(R), 그린(G), 블루(B)의 화소로 이루어진 단위화소마다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액정패널(400) 전체 표시영역에서 외부 케이스(500)와 동일 색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비 구동 상태에서 액정패널(400)에서 표시되는 색상을 외부 케이스(500)의 색상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액정패널(400) 구동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온(On) 즉, 액정패널(400)에 광이 공급되므로, 화소영역(150)의 레드(R, 220a), 그린(G, 220b), 블루(B, 220c)의 컬러필터를 경유하여 색광이 출사되게 된다. 따라서, 액정패널(400)의 표시영역 중, 화소영역(150)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은 풀 컬러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부(160)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입사되는 외부 광은 편광 필름에 의해 흡수되고, 상기 반사부(160)와 더미 컬러필터(220d) 사이의 액정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1/4λ의 유전성 이방율을 가지게 되므로, 백라이트 유닛에서 출사된 광이 액정층에 의해 차단된다. 즉, 액정패널 구동 상태에서는 반사부(160)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출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반사부(160)와 대응되는 영역은 블랙의 색상을 표시하고, 화소영역(150)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은 풀 컬러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가 적용된 모바일(mobile) 액정 표시장치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가 적용된 모바일 액정 표시장치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액정 표시장치를 A-A'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하부기판 150: 화소영역
160: 반사부 200: 상부기판
210: 차광층 220: 컬러필터층
400: 액정패널 500: 외부 케이스
220a, 220b, 220c: R, G, B 컬러필터
220d: 더미 컬러필터

Claims (10)

  1. 상호 직교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 중 일정 개수의 화소영역들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하부기판;
    상기 복수의 화소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레드(R), 그린(G), 블루(B)의 색광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들과, 상기 반사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임의의 색광을 투과시키는 더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컬러필터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광을 투과시키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기판에서 출사되는 광 및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편광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산화마그네슘(MgO), 발광안료, 형광안료, 은(Ag), 금(Au),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의 광 반사 물질 또는 이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편평(flat)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오목 및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엠보(embo)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더미 컬러필터의 두께는 상기 화소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컬러필터들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가 형성된 영역의 제 1 셀 갭과 상기 화소영역이 형성된 영역의 제 2 셀 갭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 갭은 상기 제 2 셀 갭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 시,
    상기 화소영역과 상기 레드(R), 그린(G), 블루(B)의 컬러필터들 사이에 형성된 액정은 1/2λ의 유전성 이방율을 가지도록 배열되어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반사부와 더미 컬러필터들 사이의 형성된 액정은 1/4λ의 유전성 이방율을 가지도록 배열되어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20090128202A 2009-12-21 2009-12-21 액정 표시장치 KR101261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02A KR101261339B1 (ko) 2009-12-21 2009-12-21 액정 표시장치
US12/816,477 US20110149219A1 (en) 2009-12-21 2010-06-16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1010299605.7A CN102103287B (zh) 2009-12-21 2010-09-28 液晶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02A KR101261339B1 (ko) 2009-12-21 2009-12-21 액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589A true KR20110071589A (ko) 2011-06-29
KR101261339B1 KR101261339B1 (ko) 2013-05-07

Family

ID=4415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202A KR101261339B1 (ko) 2009-12-21 2009-12-21 액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49219A1 (ko)
KR (1) KR101261339B1 (ko)
CN (1) CN1021032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6266B (zh) * 2013-06-21 2016-03-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发光器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2561709B1 (ko) * 2016-07-25 2023-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67337A (zh) * 2003-08-08 2007-05-2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彩色滤光片以及半透射式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TWI285288B (en) * 2004-04-27 2007-08-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123208B2 (ja) * 2004-09-03 2008-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
KR20060046964A (ko) * 2004-11-12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WO2006109567A1 (ja) * 2005-04-05 2006-10-19 Sharp Kabushiki Kaisha 反射透過両用型の表示装置
CN100485477C (zh) * 2005-07-15 2009-05-06 爱普生映像元器件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电子设备
JP4950480B2 (ja) * 2005-11-22 2012-06-13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884829B2 (ja) * 2006-05-10 2012-02-2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TWI322909B (en) * 2006-11-22 2010-04-01 Au Optronics Corp Display panel
CN101576679B (zh) * 2008-05-09 2011-02-16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半透射半反射液晶显示面板及半透射半反射液晶显示器
CN101477268B (zh) * 2009-01-22 2010-08-1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半穿透半反射型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3287A (zh) 2011-06-22
US20110149219A1 (en) 2011-06-23
CN102103287B (zh) 2014-10-08
KR101261339B1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9386B2 (en) Apparatus having a flat display
KR100527651B1 (ko) 표시 장치
US6636286B1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ve and transparent pixel electrodes
KR101338998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소자
US7920228B2 (en) Du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040496A (ja) 液晶表示パネル
KR100941866B1 (ko) 듀얼 액정표시장치
KR20090079779A (ko) 듀얼 액정표시장치
TWI315003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60139522A1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balanced chromaticity
JP2007140457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電子機器
JP2001033768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CN107179638B (zh) 一种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KR101251405B1 (ko) 액정 표시장치
KR20070001649A (ko)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61339B1 (ko) 액정 표시장치
JP4186901B2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613437B1 (ko) 반사투과 액정 표시장치
KR2007011923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00762A (ko) 양방향 표시 장치
KR101719815B1 (ko) 액정표시장치의 컬러필터 어레이기판
KR20050120999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47436B1 (ko) 듀얼 액정표시장치
KR101012492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8801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