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288A - 기판도금장치 - Google Patents

기판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288A
KR20110071288A KR1020090127808A KR20090127808A KR20110071288A KR 20110071288 A KR20110071288 A KR 20110071288A KR 1020090127808 A KR1020090127808 A KR 1020090127808A KR 20090127808 A KR20090127808 A KR 20090127808A KR 20110071288 A KR20110071288 A KR 2011007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rocessing chamber
electrolyte
target body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471B1 (ko
Inventor
조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텍
Priority to KR102009012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4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lytic coating of wafers, e.g. semiconductors or sola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25D17/12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18Electroplating using modulated, pulsed or reversing 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8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one side electroplating, e.g. substrate conveyed in a bath with inhibited background p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전해액 흐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판도금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기판도금장치는, 전해액을 수용하며, 도금면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침지되어 음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출입되는 처리챔버, 처리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양측면이 각각 기판과 마주하도록 전해액에 침지되어 양극(+) 인가시 금속이온을 발생시키되, 기판의 도금면과 마주하는 양측면의 중심이 기판을 향해 볼록한 유선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켓체 및, 기판과 타켓체의 사이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해액이 기판과 타켓체 사이로 마찰 저항 없이 흐름을 형성할 수 있어, 기판으로 금속이온의 공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기판, 웨이퍼, 도금, 전해액, 구리, 황산구리, 볼록, 유선, 흐름.

Description

기판도금장치{WAFER P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판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켓체의 표면에 대한 전해액의 균일한 흐름이 가능한 기판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를 구성하는 실리콘 기판 상에 금속배선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전면에 금속막을 형성하여 이 금속막을 패터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금속막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에 의해 형성된다.
이 중, 상기 구리막은 상기 알루미늄막에 비해 녹는점이 높아 전기이동도에 대한 큰 저항력을 가짐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리막이 형성된 기판은 비저항이 낮아 신호전달 속도가 증가되는 이점을 가진다. 그로 인해,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금속막은 알루미늄막 대신에 구리막이 일반적으로 주로 채택된다.
현재, 상기 기판 상에 구리막을 형성하여 이를 패터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물리기상증착 또는 화학기상증착이 주로 채용되나, 전기 이동도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화학기상증착 즉, 전기도금이 보다 선호되는 추세이다. 상기 기판에 대한 구리 전기도금의 원리는, 도금챔버의 전해액 상으로 양극의 구리 판과 음극의 기판를 침지시킨 후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구리판으로부터 구리이온이 분리되어 기판상에 구리막을 형성시킨다.
한편, 근래에는 한 번의 도금공정으로 복수개의 웨이퍼를 동시에 도금시키기 위해, 상기 웨이퍼의 도금면이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침지시키는 수직형 도금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수직형 도금방식의 경우, 구리이온의 효율적인 이동을 위해, 상기 구리판이 상기 웨이퍼의 도금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수직형 도금방식의 경우, 상기 전해액은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흐르며 구리판의 표면이 평탄함에 따라, 상기 전해액이 구리판의 표면에서의 저항에 의해 유속이 감속되어 구리이온의 불균일한 전달이 야기된다. 즉, 상기 도금챔버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흐르는 전해액의 유속이 점차 느려짐에 따라, 상기 구리판과 접촉되는 전해액의 흐름이 불균일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전해액 흐름의 불균일은 도금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해액의 흐름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판도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의 전면에 균일한 도금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기판도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판도금장치는, 처리챔버, 타켓체 및, 전해액 공급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처리챔버는, 전해액을 수용하며, 도금면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침지되어 음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출입된다.
상기 타켓체는, 상기 전해액에 침지되어 양극(+) 인가시 금속이온을 발생시키되, 상기 기판의 도금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의 중심이 상기 기판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타켓체는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양측면이 각각 상기 기판과 마주하며, 상기 기판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유선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상기 타켓체의 바닥면이 상기 처리챔버에 고정되며,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과 상기 타켓체의 사이에는 상기 양극이 인가되는 양전극부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타켓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타켓척을 포함하며, 상기 타켓척의 양측면과 상기 타켓체의 사이에 상기 양극이 인가되는 양전극부가 설치되는 것과 같은 변형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 전해액 공급원은,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로 전해액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전해액 공급원은 상기 기판과 타켓체 사이로 상기 전해액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기판도금장치는, 전해액을 수용하며, 도금면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침지되어 음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출입되는 처리챔버,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양측면이 각각 상기 기판과 마주하도록 상기 전해액에 침지되어 양극(+) 인가시 금속이온을 발생시키되, 상기 기판의 도금면과 마주하는 양측면의 중심이 볼록한 유선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켓체 및, 상기 기판과 타켓체의 사이로 상기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면이 처리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침지되는 기판과 마주하는 타켓체의 대략 중앙을 기판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시킴으로써, 타켓체를 경유하는 전해액이 마찰 저항에 의해 유속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전해액의 흐름 효율 향상에 따른 금속이온 전달 효율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액의 균일한 유속에 의해 기판의 전면에 균일한 도금면을 형성시 킬 수 있어, 도금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판도금장치(1)는 처리챔버(10), 타켓체(20) 및, 전해액 공급원(30)을 포함한다.
상기 처리챔버(10)는 전해액(S)이 수용되며, 기판(W)이 선택적으로 침지된다. 이러한 처리챔버(10)는 기판(W)의 출입을 위해 상부가 개방된 출구(11)가 마련된 욕조(bath)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처리챔버(10)의 상부가 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일측면이 개방되는 것과 같이, 기판(W)이 침지될 수 있는 용량의 전해액(S)을 수용함과 아울러, 기판(W)이 선택적으로 출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참고로, 상기 처리챔버(10) 내외로 출입하는 기판(W)은 척(12)에 의해 후면이 지지되며, 상기 기판(W)과 척(12) 사이에 마련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음전극부(13)에 의해 음극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기판(W)은 척(1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처리챔버(10)의 내외로 승하강된다. 아울러, 상기 기판(W)은 도금공정 중 척(12)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척(12)에 의해 지지되는 기판(W)의 구체적인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기판(W)은 반도체 기판이 되는 실리콘 웨이퍼로 예시하나, 꼭 이 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기판(W)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기판이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기판(W)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될 면(이하, 도금면으로 지칭함)이 상기 처리챔버(10)의 바닥면(14)에 대해 수직하게 처리챔버(10)로 침지되며, 그로 인해, 도금면이 상기 처리챔버(10)의 측면과 마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기판(W)은 한 쌍의 척(12)에 의해 각각 후면이 지지된 상태로, 처리챔버(10)의 내외로 출입된다.
상기 타켓체(20)는 상기 전해액(S)에 침지되며, 양전극부(21)와 연결되어 양극이 인가될 경우 산화반응에 의해 금속이온을 발생시키는 금속플레이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켓체(20)가 구리이온을 발생시키는 구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와 대응하여, 상기 전해액(S)은 상기 타켓체(20)로부터 분리된 금속이온을 상기 기판(W)으로 전달하는 이온전달매체임에 따라, 황산구리액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타켓체(20)는 상기 전해액(S)에 침지된 기판(W)의 도금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처리챔버(10)의 바닥면(14)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타켓체(20)는 상기 기판(W)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처리챔버(10)의 내부에 복수개 설치됨이 좋다. 이때, 상기 복수의 타켓체(20) 각각은 상기 복수의 기판(W) 각각의 도금면과 대면하는 일측면의 대략 중심이 기판(W)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타켓체(20)가 상기 처리챔버(10) 에 대한 기판(W)의 진입방향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절단한 형상이 유선형인 것으로 예시한다. 즉, 상기 타켓체(20)의 양측면 중앙이 모두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이렇게 타켓체(20)의 단면 형상이 유선형일 경우, 하나의 타켓체(20)의 양측면이 모두 기판(W)의 도금면과 마주하여 금속이온을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도 2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타켓체(20)에 대해 2개의 기판(W)이 동시에 마주할 수 있는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켓체(20)의 단면 형상이 꼭 유선형인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하나의 타켓체(20)에 대해 하나의 기판(W) 만이 마주할 경우, 상기 기판(W)과 마주하는 일측면의 중앙만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변형 실시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타켓체(20)는 상기 처리챔버(10)의 바닥면(14)과 마주하는 저면이 처리챔버(10)에 고정되며, 상기 처리챔버(10)의 바닥면(14)과 타켓체(20)의 사이에는 양극(+)이 인가되는 양전극부(21)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타켓체(20)의 저면이 양전극부(21)를 사이에 두고 처리챔버(10)의 바닥면(14)에 고정되는 것은 일 예일 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처리챔버(10)의 바닥면(14)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타켓체(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타켓척(22)을 별도로 구비하며, 상기 타켓척(22)의 양측면과 상기 타켓체(20)의 사이에 상기 양극이 인가되는 양전극부(21')가 설치되는 변형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타켓체(20)는 상기 기판(W)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짐으로써, 도금향상에 기여함이 좋다.
참고로, 상기 처리챔버(10)의 내부에는 상기 타켓체(20)와 기판(W)의 사이에, 상기 타켓체(20)로부터 분리된 금속이온을 여과하여 균일하게 기판(W)으로 공급하는 필터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부의 기술구성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해액 공급원(30)은 상기 처리챔버(10)의 내부로 전해액(S)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해액 공급원(30)은 상기 기판(W)과 타켓체(20)의 사이에 마련되도록 처리챔버(10)의 바닥면(14)과 연통하는 공급라인(31)과 연결되어, 상기 처리챔버(10)의 내부로 전해액(S)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해액(S)은 상기 기판(W)과 타켓체(20)의 사이로 공급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흐름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타켓체(20)의 단면 형상이 유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해액(S)은 타켓체(20)의 표면에 대한 마찰이 저감됨에 따라, 균일한 유속을 가지는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처리챔버(10)의 상부에는 전해액(S)의 순환을 위해 전해액(S)이 배출되는 배출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전해액 공급원(30)과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전해액(S)이 순환되는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도금장치(1)의 도금공정을 도 1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타켓체(20)와 마주하도록 처리챔버(10)의 전해액(S)에 기판(W)이 침지되면, 상기 타켓체(20) 및 기판(W)과 각각 연결된 양전극부(21) 및 음전극 부(13)에 각각 양극(+)과 음극(-)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켓체(20)은 양극화되어 산화반응에 의해 금속이온이 전해액(S)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전해액(S)이 상기 처리챔버(10)의 바닥면(14)과 연결된 공급라인(31)을 통해 공급되어 유선형의 타켓체(20)의 볼록한 측면을 경유함에 따라, 마찰 저항이 저감되어 균일한 유속으로 분리된 금속이온을 기판(W) 상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기판(W) 상으로 금속이온이 이동되면, 음극화된 기판(W)의 환원반응에 의해 상기 금속이온이 기판(W)의 전면에 도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기판도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타켓체가 설치되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기판도금장치 10: 처리챔버
20: 타켓체 30: 전해액 공급원
W: 기판

Claims (6)

  1. 전해액을 수용하며, 도금면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침지되어 음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출입되는 처리챔버;
    상기 전해액에 침지되어 양극(+) 인가시 금속이온을 발생시키되, 상기 기판의 도금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의 중심이 상기 기판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켓체; 및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원;
    을 포함하는 기판도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켓체는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양측면이 각각 상기 기판과 마주하며, 상기 기판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유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도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상기 타켓체의 바닥면이 상기 처리챔버에 고정되며,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과 상기 타켓체의 사이에는 상기 양극이 인가되는 양전극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도금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타켓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타켓척을 포함하며,
    상기 타켓척의 양측면과 상기 타켓체의 사이에 상기 양극이 인가되는 양전극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도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공급원은 상기 기판과 타켓체 사이로 상기 전해액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도금장치.
  6. 전해액을 수용하며, 도금면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침지되어 음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출입되는 처리챔버;
    상기 처리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양측면이 각각 상기 기판과 마주하도록 상기 전해액에 침지되어 양극(+) 인가시 금속이온을 발생시키되, 상기 기판의 도금면과 마주하는 양측면의 중심이 상기 기판을 향해 볼록한 유선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타켓체; 및
    상기 기판과 타켓체의 사이로 상기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원;
    을 포함하는 기판도금장치.
KR1020090127808A 2009-12-21 2009-12-21 기판도금장치 KR10110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08A KR101103471B1 (ko) 2009-12-21 2009-12-21 기판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08A KR101103471B1 (ko) 2009-12-21 2009-12-21 기판도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288A true KR20110071288A (ko) 2011-06-29
KR101103471B1 KR101103471B1 (ko) 2012-01-09

Family

ID=4440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808A KR101103471B1 (ko) 2009-12-21 2009-12-21 기판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9717A1 (en) 2011-07-19 2013-01-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015A (ja) * 1997-11-25 1999-06-18 Toshiba Corp メッ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9717A1 (en) 2011-07-19 2013-01-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471B1 (ko) 201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989B2 (en) Prevention of substrate edge plating in a fountain plating process
TWI345801B (en) Electrochemical processing cell
KR20020016772A (ko) 피가공물을 전기화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US119763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copper plating of conductor roll
KR20150088911A (ko) 기판상의 수직방향 갈바닉 금속 성막을 위한 디바이스
US20070261964A1 (en) Reactors,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plating microfeature workpieces
KR20150026728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 제조용 전기 도금 장치
US11105014B2 (en) Distribution system for chemical and/or electrolytic surface treatment
JP2007308783A (ja) 電気めっき装置およびその方法
WO2008071239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ingle-side wet chemical and electrolytic treatment of goods
KR101103471B1 (ko) 기판도금장치
JP2019049046A (ja) 化学および電解の少なくとも一方の表面処理のための分布システム
KR101103442B1 (ko) 기판도금장치
KR20100063248A (ko) 기판도금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77447A (ko) 기판도금장치
KR101122793B1 (ko) 기판도금장치
KR20100077448A (ko) 기판도금장치
KR20110067277A (ko) 기판도금장치
KR200466385Y1 (ko) 기판도금방법 및 이를 채용한 기판도금장치
JP2012007201A (ja) めっき装置
KR101142323B1 (ko) 기판 도금 장치
JP7316908B2 (ja) アノード組立体
KR101070039B1 (ko) 기판도금장치
WO2016003111A1 (ko) 전기도금 및 광유도도금을 병행하는 태양전지 기판용 도금장치
EP4056736A1 (en) Distribution system for a process fluid for chemical and/or electrolytic surface treatment of a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