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009A - 구멍을 갖춘 블레이드를 구비한 디퓨져 - Google Patents

구멍을 갖춘 블레이드를 구비한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009A
KR20110071009A KR1020117011000A KR20117011000A KR20110071009A KR 20110071009 A KR20110071009 A KR 20110071009A KR 1020117011000 A KR1020117011000 A KR 1020117011000A KR 20117011000 A KR20117011000 A KR 20117011000A KR 20110071009 A KR20110071009 A KR 2011007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flank
recess
vane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892B1 (ko
Inventor
제롬 포로도
로랑 타르노브스키
허버트 비뇨
Original Assignee
터보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터보메카 filed Critical 터보메카
Publication of KR2011007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04D17/12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2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04D27/0207Surge control by bleeding, bypassing or recycling fluids
    • F04D27/0215Arrangements therefor, e.g. bleed or 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의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디퓨져는 가압부, 흡인부, 및 제1 플랭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구비하고, 이러한 날개는 흡인부 및/또는 가압부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날개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오목부에 연통되는 다수의 오리피스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날개에 대해 횡방향으로 확장되고,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오목부의 단면이 날개의 횡방향으로 변화하고, 이러한 단면이 상기 제1 플랭크를 향해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멍을 갖춘 블레이드를 구비한 디퓨져{Diffuser having blades with apertures}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압축단계,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와 같은 압축단계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디퓨져의 역할은 정압의 형태로 유체의 동압(dynamic pressure)을 회복시키기 위해 압축기의 임펠러로부터 나오는 유체를 똑바르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퓨져는 일반적으로 둘레를 따라 배열되고, 2개의 홀더링(holder ring)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의 날개(vane)를 구비한다.
디퓨져의 날개에 의해 강제되는 편향(deflection)은 날개의 가압부 또는 흡인부에서 유체(fluid)에 세페레이팅(separating)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세퍼레이션(separation)은 유체의 박리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징(surging)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서징효과는 압축기의 구성요소에 전적으로 해롭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고, 이에 따라 서징이 발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상기에서 언급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특히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의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디퓨져는 가압부, 흡인부, 및 제1 플랭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구비하고, 이러한 날개는 흡인부 및/또는 가압부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날개에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오목부에 연통되는 다수의 오리피스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날개에 대해 상기 횡방향으로 확장되고,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횡방향은 날개의 제1 플랭크와 제1 플랭크와 마주하는 날개의 제2 플랭크 사이에서 확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가 날개로부터 세퍼레이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인부 및/또는 가압부를 지나서 흐르는 유체를 서서히 흡인하게 된다.
비록 요구되는 효과가 다를지라도, 이러한 디퓨져의 구조가 이미 미국 특허 제6 210 104에 공개되어 있다.
터빈의 가열부를 냉각하기 위한 차가운 유체로 사용하기 위해, 미국특허는 날개의 흡인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유체의 일부를 흡인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미국특허의 단점은 구멍을 통해 이송된 유체의 흡인이 흡인부 전체에서 균일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유체가 여전히 세퍼레이레이트(separate)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를 일정하게 흡인할 수 있는 원심압축기 또는 혼합류 압축기를 위한 디퓨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오목부의 단면이 날개의 횡방향을 따라서 변화하고, 이러한 단면이 제1 플랭크를 향해 증가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즉, 바꿔말하면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제1 플랭크 쪽에서의 오목부의 단면이 오목부의 바닥(bottom)쪽에서의 오목부의 단면보다 더 크고, 오목부의 바닥이 제1 플랭크에 횡방향으로 마주하여 위치되어 있다.
오목부의 바닥에서 고려했을 때, 오목부의 단면을 증가시키는 것은 오목부에 연통된 오리피스가 동일한 흡인율을 갖도록 선택되게 하고, 이에 따라 하나의 오리피스가 오리피스의 전체적인 부분을 걸쳐서 균일한 흡인률을 갖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날개의 횡방향을 따라 고려할 때, 오목부의 단면은 전체적인 흡인부의 증가와 균일하게 증가하게 된다. 전체적인 흡인부의 길이 구멍과 같은 오리피스 부분의 합과 동일하거나 횡방향 슬롯과 같이 연속적인 흡인구역을 구비한 흡인 오리피스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리피스는 흡인부, 가압부에 단독으로 위치될 수 있고, 심지어는 흡인부와 가압부 모두에 단독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이롭게도,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는 흡인부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날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에 연통되며,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된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리피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디퓨져는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된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오리피스들 모두가 날개의 두께를 형성하는 하나의 오목부에 연통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디퓨져는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된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오목부는 동일한 형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추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오목부의 단면은 제1 플랭크를 향해 증가하는 방사상의 디스크 형태가 된다.
이롭게도, 디퓨져는 가압부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날개에 형성된 적어나 하나의 다른 오목부에 연통되며, 날개의 2개의 플랭크 중의 하나의 플랭크 쪽으로 개방된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를 추가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목부는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롭게도, 이러한 오목부는 제1 플랭크 쪽으로 증가하여 변화하는 단면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유체의 흡인이 흡인부와 가압부에서 균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디퓨져는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된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디퓨져는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된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원추형태로 구성된다.
게다가, 오리피스는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구멍 및/또는 슬롯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실시예가 예견될 수 있다. 즉, 구멍과 슬롯이 연통될 수 있고; 하나의 오목부에 연통된 다수의 천공을 형성하거나, 하나의 오목부에 하나의 슬롯이 연통되거나, 심지어 날개에 형성된 하나의 오목부에 연통된 모든 오리피스을 형성하는 조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퓨져는 방사상 디퓨져(radial diffuser)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를 포함하는 터보엔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와 같은 압축단계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디퓨져는 오목부들의 단면이 상기 날개의 횡방향으로 변화하고, 이러한 단면이 제1 플랭크를 향해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에 의해 유체를 일정하게 흡인할 수 있고, 유체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퓨져에 연결된 윈심압축기를 구비하는 헬리콥터 가스터빈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디퓨져의 날개를 나타내고, 날개는 흡인부와 가압부 쪽으로 개방되는 다수의 슬롯을 구비하며, 각각의 슬롯은 오목부와 연통되어 있다.
도 3은 Ⅲ-Ⅲ 단면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날개의 제1 플랭크를 나타낸다.
도 4는 Ⅳ-Ⅳ 단면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날개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디퓨져의 날개를 나타내고, 날개는 흡인부쪽으로 개방되고, 공동부에 연통된 다수의 슬롯 및 가압부쪽으로 개방되고, 다른 공동부에 연통된 다수의 슬롯을 구비한다.
도 6은 Ⅵ-Ⅵ 단면을 따라 도 5에 도시된 날개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Ⅶ-Ⅶ 단면을 따라 도 5에 도시된 날개의 단면도로, 공동부의 단면변화를 나타낸다.
도 8은 공동부의 단면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디퓨져의 날개로부터 흡인된 유체가 어떻게 배출되는지를 나타내는 도 1에 도시된 가스터빈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이에 한정되지 않은 이하에서 제시된 2개의 실시예를 읽어봄에 따라, 본 발명은 더욱 쉽게 이해되고, 본 발명의 이점이 더욱 잘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퓨져는 특히 원심압축기나 혼합류 압축기에 사용되도록 고안된 것이다. "혼합류 압축기(mixed flow compressor)"는 압축된 유체가 방사방향(radial direction)에 대해 0°에서 70°의 범위의 경사각도에서 압축기 임펠러를 빠져나가는 압축기를 의미한다.
도 1은 차가운 공기 입구(inlet, 16)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공급받는 압축기 임펠러(impeller, 14)를 구비하는 원심압축기(centrifugal compressor, 12) 및 임펠러(14)의 하류에 배치된 디퓨져(diffuser, 18)를 구비한 헬리콥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가스터빈(gas turbine, 10)을 나타낸다.
잘 알려진 방식에서, 각운동량(angular momentum)이 형성되는 동안에, 압축공기가 임펠러(14)를 방사상으로 빠져나간다.
디퓨져(18)의 역할은 임펠러(14)로부터 유입된 공기(F)를 똑바르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퓨져(18)는 디퓨져(18)의 둘레 주변에 배치된 다수의 날개(vane, 20)를 구비한다. 잘 알려진 방식으로, 각각의 날개(20)는 길이방향(longitudinal direction, L),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 T), 흡인부(suction side, E), 가압부(pressure side, I)를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디퓨져(18)의 제1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날개(20) 중의 한 개를 나타내는 도 2 내지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이러한 날개는 제1 플랭크(first flank, 22)와 상기 제1 플랭크(22)와 횡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플랭크(second flank, 24)를 구비한다.
게다가, 날개(20)는 흡인부(E)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리피스(first serise of orifices, 26)를 구비한다. 제1 실시예에서,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리피스(26)는 날개(20)의 횡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슬롯형태로 구성되며, 이러한 슬롯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리피스(26)의 각각은 제1 오목부(recesses, 30)를 형성하는 공동부(cavity)에 연통되어 있다. 옆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오목부(30)들은 날개(20)의 제1 플랭크(22)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반면에 날개에 대해 횡방향으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날개(20)의 두께 내에서 형성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각각의 제1 오목부(30)의 횡방향 길이가 제1 오리피스(26)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오목부(30)의 단면은 도 8에 나타난 변화관계가 적용되면서 제1 플랭크를 향해 증가하도록 변화한다. 이러한 점에서, 각각의 제1 오목부(30)는 제1 플랭크쪽으로 개방된 원추형태(frustoconical)가 된다. 특히 디스크 형태인 각각의 오목부의 단면이 제1 오목부(30)의 베이스의 위치에서보다 제1 플랭크(22)의 에서 더 크다. 즉 바꿔말하면, 제1 오목부의 단면은 제2 플랭크(24)로부터 제1 플랭크(22)를 향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내용이 도 3과 도 4에 더욱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도 3 날개(20)의 제1 플랭크(22)를 나타내고, 제1 오목부(30)가 날개의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반면에 도 4는 제1 플랭크(22)로부터 소정의 거리에서 날개(2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평면상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 제1 오목부(30)의 베이스의 위치에서 날개의 단면이 오목부 쪽으로 개방되는 제1 플랭크(22)의 위치에서의 단면보다 더 작게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변수는 선형함수(linear function)로 나타난다. 그러나, 조건이 선형이 아닌 다른 형태의 함수가 되도록 변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오리피스(26)는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멍(perforation. 32)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모든 구멍(32)들은 제1 오목부(30)에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에 있어서, 디퓨져(18)는 제1 오리피스(26)와 비슷하고, 가압부(I)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second serise of orifices, 34)를 추가로 구비한다.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목부(30)와 마찬가지로,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34)가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1 시리즈의 오리피스(26)에 연통된 제1 오목부(3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공동부인 제2 오목부(36)에 연통되어 있다.
특히,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제1 오목부(30)와 제2 오목부(36)는 유사하고, 2개의 층에 배치되어 있다.
화살표로 표시된 유체(fluid, F)가 흘러갈 때, 흡인이 제1 오목부(30)와 제2 오목부(36)에 적용되고, 이에 따라 흡인부(E)와 가압부(I)의 표면에서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리피스(26)와 제2 오리피스(34)를 통해서 흡인작용(suction action, a)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흡인작용(a)은 날개(20)의 흡인부(E)와 가압부(I)에 대해 유체(F)의 흐름을 유지하기 쉽고, 이에 따라 이롭게도 유체(F)의 분리가 방지되게 된다. 즉 바꿔말하면, 유체(F)의 흐름이 흡인부(E)와 가압부(I)의 형태대로 이루어지도록 강제된다.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이 동일한 도면부호에 100을 더하여 도면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날개(12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날개(120)는 흡인부(E) 쪽으로 개방된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리피스(first serise of orifices, 126) 및 가압부(I) 쪽으로 개방된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second serise of orifices, 134)를 구비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제1 오리피스(126)와 제2 오리피스(134)는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구멍(perforation, 132)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오리피스와 구멍들은 요구되는 효과(sought-after effect)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실시예는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리피스(126)들이 날개(120)에 형성된 한 개의 제1 오목부(200)에 연통되고, 반면에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134)들이 날개(120)에 형성된 한 개의 제2 오목부(210)에 연통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 오목부(200)는 제1 오리피스(126)의 길이보다 약간 더 큰 횡방향 크기를 갖고, 제1 오목부는 제1 오리피스(126)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보다 작지 않은 길이방향의 크기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오목부(210)는 제2 오리피스(134)의 길이보다 약간 큰 횡방향 크기를 갖고, 제2 오목부는 제2 오리피스(134)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보다 작지 않은 길이방향 크기를 갖는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제1 오목부(200)와 제2 오목부(210)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되고, 동시에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는 서로에 대해 겹쳐져 있다.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는 날개(120)의 제1 플랭크(122)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7은 제1 오목부(200)의 단면(S1)과 제2 오목부(210)의 단면(S2)이 제1 플랭크(122)를 향해서 증가하는 변화를 나타내는 횡방향으로 Ⅶ-Ⅶ면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 오목부(200)와 제2 오목부(210)는 제1 플랭크(122)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수는 선형함수(linear function)로 나타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체(F)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흡인작용이 흡인부(E)와 가압부(I)의 표면을 따라 유체(F)의 흐름을 제1 오리피스(126)와 제2 오리피스(134)를 통해서 배출하는 방식으로 제1 오목부(200)와 제2 오목부(21)를 거쳐서 적용된다.
단면변화 관계가 도 8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그래프는 1로 크기가 동일한 4개의 구멍(32, 132)과 관련하여 오목부의 단면변화를 나타낸다. X축은 날개의 횡축을 나타내고, 반면에 Y축은 표준화된 단면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도 9는 가스터빈(10)의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디퓨져(18)를 나타낸다. 비록 도 9가 제1 실시예의 날개를 나타낼지라도, 상기에서 언급된 설명은 전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리피스(26)에 연통된 제1 오목부(30)가 제1 챔버(first chamber, 50)에 연결되고, 반면에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34)에 연통된 제2 오목부(36)가 제1 챔버(5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2 챔버(second chamber, 52)에 연결된다.
대기로 배출되기 전에, 제1 오리피스(26)로부터 흡인된 유체가 제1 오목부(30)를 따라서 제1 챔버(50)로 흘러가고, 반면에 제2 오리피스(34)로부터 흡인된 유체가 대기(atmosphere, AT)로 배출되기 전에 제2 오목부(36)를 따라서 제2 챔버(52)로 흘러간다. 당연히, 제1 챔버(50)와 제2 챔버(52) 사이의 누설방지(leak-tightness)가 보장되어야만 한다. 제1 오리피스(26)에 의해 흡인된 유체가 제2 오리피스(34)에 의해 흡인된 유체와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동안에, 배출의 다른 방식을 위한 조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플랭크(24) 쪽으로 개방된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에 연결된 오목부를 위해, 흡인된 공기가 흡인부(E)로부터 흡인된 공기를 위한 제1 플랭크(22)에 의해 배출되거나, 가압부(I)로부터 흡인된 공기를 위한 제2 플랭크(24)에 의해 배출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10 : 가스터빈, 12 : 원심압축기,
14 : 임펠러, 16 : 입구,
18 : 디퓨져, 20 : 날개,
22 : 제1 플랭크, 24 : 제2 플랭크,
26 : 제1 오리피스, 30 : 제1 오목부,
32 : 구멍, 34 : 제2 오리피스,
36 : 제2 오목부, 50 : 제1 챔버,
52 : 제2 챔버, 120 : 날개,
122 : 제1 플랭크, 124 : 제2 플랭크,
126 : 제1 오리피스, 132 : 구멍,
134 : 제2 오리피스, 200 : 제1 오목부,
210 : 제2 오목부, L : 길이방향,
T : 가로방향, E : 흡인부,
I : 가압부, F : 유체,
a : 흡인작용, S1 : 제1 오목부의 단면,
S2 : 제2 오목부의 단면, AT : 대기.

Claims (12)

  1.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18)로서,
    상기 디퓨져(18)는 가압부(I), 흡인부(E), 및 제1 플랭크(22, 12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날개(20, 120)를 구비하되;
    상기 날개는 흡인부(E) 및/또는 가압부(I)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날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에 연통되어 있는 다수의 오리피스(26, 126, 34, 134, 32, 132)들을 구비하고;
    오목부(30, 36, 200, 210)들이 상기 날개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플랭크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0, 36, 200, 210)들의 단면이 상기 날개의 횡방향으로 변화하고, 상기 단면이 상기 제1 플랭크를 향해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흡인부(E) 쪽으로 개방되고, 상기 날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0, 200)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플랭크(22, 122)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시리즈 형태의 제1 오리피스(26, 1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제1 플랭크(122) 쪽으로 개방된 한 개의 오목부(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제1 플랭크(22)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다수의 오목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오목부(30)는 원추형태(frustoconical sha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가압부(I)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날개(20, 1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6, 120)에 연통되며, 상기 날개의 2개의 플랭크 중에 하나의 플랭크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34, 13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6, 120)의 단면이 상기 제1 플랭크(22, 122)의 제1 단부를 향해 증가하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134)가 상기 제1 플랭크(122) 쪽으로 개방된 한 개의 오목부(210)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즈 형태의 제2 오리피스(34)가 상기 제1 플랭크(22) 쪽으로 개방된 다수의 오목부(36)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오목부(36)는 원추형태(frustoconical sha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26, 126, 34, 134)는 횡방향 구멍(32,132) 및/또는 슬롯(26, 126, 34, 1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12. 제1항 내지 제11항에 의한 디퓨져(18)를 포함하는 가스터빈(10).




KR1020117011000A 2008-10-17 2009-10-15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KR101727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7053A FR2937385B1 (fr) 2008-10-17 2008-10-17 Diffuseur muni d'aubes a orifices
FR0857053 2008-10-17
PCT/FR2009/051966 WO2010043820A1 (fr) 2008-10-17 2009-10-15 Diffuseur muni d'aubes a orif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009A true KR20110071009A (ko) 2011-06-27
KR101727892B1 KR101727892B1 (ko) 2017-04-18

Family

ID=4044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000A KR101727892B1 (ko) 2008-10-17 2009-10-15 가스터빈의 혼합류 압축기 또는 원심압축기를 위한 디퓨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41373B2 (ko)
EP (1) EP2352922B1 (ko)
JP (1) JP5442741B2 (ko)
KR (1) KR101727892B1 (ko)
CN (1) CN102187101B (ko)
CA (1) CA2740036C (ko)
ES (1) ES2637522T3 (ko)
FR (1) FR2937385B1 (ko)
PL (1) PL2352922T3 (ko)
RU (1) RU2515575C2 (ko)
WO (1) WO2010043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5648B2 (en) * 2008-09-26 2012-08-07 Pratt & Whitney Canada Corp. Diffuser with enhanced surge margin
FR2944060B1 (fr) * 2009-04-06 2013-07-19 Turbomeca Systeme d'air secondaire pour compresseur centrifuge ou mixte
FR2975451B1 (fr) 2011-05-16 2016-07-01 Turbomeca Procede de soufflage dans un diffuseur de turbine a gaz et diffuseur correspondant
FR3003908B1 (fr) * 2013-03-28 2017-07-07 Turbomeca Diffuseur a ailettes d un compresseur radial ou mixte
US9803652B2 (en) 2014-02-10 2017-10-31 Pratt & Whitney Canada Corp.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7530299A (ja) * 2014-10-07 2017-10-12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遠心圧縮機のディフューザ通路の境界層制御
EP3312432B1 (en) 2016-10-19 2021-06-23 IFP Energies nouvelles Diffuser for a fluid compress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vane with opening
US10823197B2 (en) 2016-12-20 2020-11-03 Pratt & Whitney Canada Corp. Vane diffu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or having same
US10690139B2 (en) * 2017-05-10 2020-06-2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Multi-stage pump with enhanced thrust balancing features
CN107023516A (zh) * 2017-05-11 2017-08-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扩压器叶片、压缩机结构和压缩机
US11378005B1 (en) 2020-12-17 2022-07-05 Pratt & Whitney Canada Corp. Compressor diffuser and diffuser pipe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5227A (en) * 1963-07-26 1967-09-27 Rolls Roy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 turbine engines
SU399627A1 (ru) * 1967-09-19 1973-10-03 Диффузор
DE1938132A1 (de) * 1969-07-26 1971-01-28 Daimler Benz Ag Leitschaufeln von Axialverdichtern
US4164845A (en) * 1974-10-16 1979-08-21 Avco Corporation Rotary compressors
US4022541A (en) * 1976-04-12 1977-05-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ssembled diffuser
US4099891A (en) * 1977-07-14 1978-07-11 Miriam N. Campbell Sawtoothed diffuser, vaned, for centrifugal compressors
JPS54127014A (en) * 1978-03-24 1979-10-02 Kobe Steel Ltd Diffuser
AU533765B2 (en) * 1978-11-20 1983-12-08 Avco Corporation Surge control in gas; turbine
JPS5859399A (ja) * 1981-10-02 1983-04-08 Hitachi Ltd タ−ボ形流体機械
JPS59192899A (ja) * 1983-04-15 1984-11-01 Hitachi Ltd 遠心形タ−ボ機械の羽根付デイフユ−ザ
SU1460433A2 (ru) * 1986-10-21 1989-02-23 Свердловский горный институт им.В.В.Вахрушева Лопатка осевого вентил тора
DE19817705C2 (de) * 1998-04-21 2001-02-15 Man Turbomasch Ag Ghh Borsig Kühlluftentnahme aus dem Diffusorteil eines Kompressors einer Gasturbine
DE50106385D1 (de) * 2001-03-26 2005-07-07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urbinenschaufel
US6609881B2 (en) * 2001-11-15 2003-08-26 General Electric Company Steam turbine inlet and methods of retrofitting
US7101151B2 (en) * 2003-09-24 2006-09-05 General Electric Company Diffuser for centrifugal compressor
JP2008075536A (ja) 2006-09-21 2008-04-03 Mitsubishi Heavy Ind Ltd 遠心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87101B (zh) 2015-05-13
WO2010043820A1 (fr) 2010-04-22
CN102187101A (zh) 2011-09-14
JP2012505993A (ja) 2012-03-08
EP2352922B1 (fr) 2017-06-28
PL2352922T3 (pl) 2017-10-31
KR101727892B1 (ko) 2017-04-18
CA2740036C (fr) 2016-05-17
EP2352922A1 (fr) 2011-08-10
US8641373B2 (en) 2014-02-04
US20110255962A1 (en) 2011-10-20
CA2740036A1 (fr) 2010-04-22
RU2011119619A (ru) 2012-11-27
FR2937385B1 (fr) 2010-12-10
FR2937385A1 (fr) 2010-04-23
ES2637522T3 (es) 2017-10-13
JP5442741B2 (ja) 2014-03-12
RU2515575C2 (ru) 201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1009A (ko) 구멍을 갖춘 블레이드를 구비한 디퓨져
KR102196815B1 (ko) 베인을 갖는 반경류 또는 혼류 압축기 디퓨저
JP4148872B2 (ja) ケーシング、コンプレッサ、タービンおよびそのようなケーシングを含む燃焼タービンエンジン
CA2372623C (en) Axial flow turbine having stepped portion formed in axial-flow turbine passage
KR101265814B1 (ko) 원심압축기에 대한 유동 안정화 시스템
US9790799B2 (en) Gas turbine airfoil
WO2008035465A1 (fr) Compresseur centrifuge
US10221854B2 (en) Impeller and rotary machine provided with same
US9618008B2 (en) Gas turbine diffuser blowing method and corresponding diffuser
CN103122776B (zh) 用于轴流式机器的扩散器
US20090162189A1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Variable Throat Area Vanes
KR102511426B1 (ko) 레이디얼 압축기용의 디퓨저
CN104508247A (zh) 带有优选的孔对准的旋转涡轮构件
JP2018173020A (ja) 遠心圧縮機
US10012240B2 (en) Compressor rotor with anti-vortex fins
US3365124A (en) Compressor structure
US2806645A (en) Radial diffusion compressors
US5167486A (en) Turbo-machine stage having reduced secondary losses
JP2009511824A (ja) ロータリーマシンのためのロータおよびロータリーマシン
US10077778B2 (en) Multistage centrifugal compressor
US2958456A (en) Multi-stage aerofoil-bladed compressors
JP6763804B2 (ja) 遠心圧縮機
EP2530244A3 (en) A turbine blade or vane segment and a method of cooling a gap between these segments
US10508661B2 (en) Gas turbine compressor
GB2253443A (en) Gas turbine nozzle guide vane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