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499A -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499A
KR20110070499A KR1020090127340A KR20090127340A KR20110070499A KR 20110070499 A KR20110070499 A KR 20110070499A KR 1020090127340 A KR1020090127340 A KR 1020090127340A KR 20090127340 A KR20090127340 A KR 20090127340A KR 20110070499 A KR20110070499 A KR 20110070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fingerprint
sharing
encrypted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560B1 (ko
Inventor
이정수
윤기송
정연정
이정우
석진욱
김범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5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RM 등으로 암호화된 디지털콘텐츠를 DRM에 관계없이 재생 기기 사이에서 공유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1 기기에 포함된 디지털콘텐츠 공유장치를 이용하여, 제1 기기의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에서도 재생시킬 수 있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으로서, 제1 기기에 포함된 디지털콘텐츠 공유모듈은,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해독하는 암호해독부와,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핑거프린팅부와,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 등을 제공한다.
암호화, DRM, 디지털, 콘텐츠, 기기, 공유, 핑거프린팅

Description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igital contents between devices}
본 발명은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RM 등으로 암호화된 디지털콘텐츠를 DRM에 관계없이 재생 기기 사이에서 공유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문화콘텐츠산업 기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9-1205-001-10987-09-001, 과제명: DCI 규격을 준수하는 디지털시네마 배급관리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
디지털콘텐츠의 불법복제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서,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암호화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기술은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많이 쓰이는 기술 중 하나이다. 사용권한을 가진 사용자 혹은 장치만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그 외의 사용자 혹은 기기에서는 재생을 막음으로써 콘텐츠의 불법 배포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DRM이 적용된 콘텐츠를 정당하게 구입하여 사용하는 자는 자신의 다른 기기에서도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러나 DRM의 폐쇄성으로 인하여 콘텐츠를 구입할 당시의 기기 외에서는 재생이 불가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재생하고자 하는 기기가 다른 DRM이 설치되어 있다면 콘텐츠의 재생은 더욱 어려워진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DRM간 상호호환 기술이나 연동 기술이 많이 소개되고 있고, 음악 콘텐츠에서는 DRM free와 같이 DRM없이 음악 콘텐츠를 서비스 하는 방법까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DRM없이 음악 콘텐츠 등을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저작권보호라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로부터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RM의 폐쇄성으로 인한 사용자 불편을 해소하고, DRM이 적용된 디지털콘텐츠를 다양한 기기간에 공유할 수 있으며, 디지털콘텐츠의 불법 배포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1 기기에 포함된 디지털콘텐츠 공유장치를 이용하여, 제1 기기의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에서도 재생시킬 수 있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으로서, 제1 기기에 포함된 디지털콘텐츠 공유모듈은,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해독하는 암호해독부와,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고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핑거프린팅부와,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제2 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서로 다른 재생 기기에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화하는 장치로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를 해독하는 암호해독 모듈 및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 기기의 코덱이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고,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변환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핑거프린팅 모듈을 포함하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1 기기에 포함된 암호화된 디지털콘텐츠를 제2 기기에서도 재생시킬 수 있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으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암호를 해독하는 단계와,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콘텐츠를 제2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지털 콘텐츠를 자신이 소유한 여러 기기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자 입장에서는 불법적인 디지털 콘텐츠의 배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IPTV 등이 활성화되어 디지털 콘텐츠가 범람한다고 하더라도, 저작권자는 DRM으로 보호된 디지털 콘텐츠를 안심하고 제작 및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리함과 콘텐츠 제공자(또는 저작권자)의 보호가 함께 이루어지므로, 콘텐츠 시장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이하, '공유 시스템'이라 함)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시스템은 디지털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제1 기기와 제2 기기를 포함한다. 제1 기기에는 디지털콘텐츠 공유모듈(100)이 포함되어 있어, 제1 기기가 수신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에서도 재생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처리된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로 전송한다.
제1 기기와 제2 기기는 PDA, TV, 노트북 또는 PC 등과 같이,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매체로서 그 종류가 다양하다. 제1 기기와 제2 기기는 같은 종 류의 기기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기기일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기법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재생 기기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환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제1 기기가 노트북(20)이고, 제2 기기가 PDA(20)인 경우로 설명한다.
노트북(20)에 포함된 디지털콘텐츠 공유모듈(이하, '공유모듈'이라 함)(100)는 수신부(110), 암호해독부(120), 핑거프린팅부(130), 전송부(140) 등을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콘텐츠 배포 서버(10)로부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 암호해독 키 및 라이센스(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한)를 수신한다. 디지털 콘텐츠는 예컨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기술에 따라 암호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콘텐츠는 오디오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등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모두 포함한다.
암호해독부(120)는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의 암호를 해독한다. 암호해독부(120)는 콘텐츠 배포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암호해독 키(예컨대, 라이센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암호해독부(120)는 디지털 콘텐츠에 적용된 DRM를 해제한다. 암호가 풀린 상태의 디지털 콘텐츠는 재생될 수 있는 상태로서, 디지털 콘텐츠는 제1 기기를 통해 오디오 또는 비디오 형태로 재생될 수 있다.
핑거프린팅부(130)는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여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고,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한다.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는 암호해독부(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자가 DMR이 적용된 디지털 콘텐츠 또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라이센스를 다운받을 때, 수신자는 제1 기기의 정보 등을 입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입력된 정보가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는 제1 기기의 사용자(즉, 디지털 콘텐츠의 수신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는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한 수신자(즉, 제1 기기의 사용자)의 정보 또는 제1 기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1 기기에 대한 정보는 제1 기기 자체의 정보이다. 예컨대, 제1 기기가 PDA인 경우에는 시리얼 넘버가 될 수 있고, 제1 기기가 노트북(20)인 경우 노트북 사용자의 IP주소 등이 될 수 있다. 수신자의 정보로는 수신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수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핑거프린팅부(130)가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할 때, 핑거프린팅부(130)는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의 재생 환경에 맞추어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핑거프린팅부(130)는 제2 기기인 PDA의 코덱이나 해상도에 맞추어 디지털콘텐츠를 변화시키고, 변화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할 수 있다.
핑거프린팅부(130)의 동작은, 디지털 콘텐츠가 제1 기기인 노트북(20)을 통해 오디오 또는 비디오 형태로 재생되는 동안에도 수행될 수 있다. 혹은, 노트북(20)에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 선택하여 저장하는 경우와 같이 단순한 명령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는 다른 DRM이 설치된 어떤 PDA 기기에서 도 재생이 가능한 형태이다. 또한, 수신자 혹은 제1기기에 대한 정보 등이 핑거프린트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웹하드나 인터넷상에 불법으로 유포시키는 경우, 사용자 추적이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유통을 예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전송부(140)는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인 PDA(30)로 전송한다. PDA(30)로의 전송은 노트북(20)에서 디지털 콘텐츠가 재생됨과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이와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기기에 포함된 공유모듈(100)을 이용하여,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기기에 포함되어 있던 공유모듈(100)이 별도의 장치로서, 외부에 분리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2는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서로 다른 재생 기기에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하, '공유장치'라고 함)(200)가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장치(200)는 복수의 재생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 기기에 맞추어 처리하고, 처리된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자가 소유한 복수의 재생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기기간 디지털 콘텐츠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재생 기기로는 예컨대, PDA(210), TV(220), 노트북(230) 등이 있다. 이하에서, 공유장치(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 3을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공유장치(200)는 암호해독 모듈(310), 핑거프린팅 모듈(320), 저 장모듈(330), 전송모듈(340) 등을 포함한다.
암호해독 모듈(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311), 해독부(312)와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부(313) 등을 포함한다.
수신부(311)는 콘텐츠 배포 서버(10)로부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와 암호해독 키(예컨대, 라이센스)를 수신하여, 이들을 해독부(312)로 보낸다. 수신부(311)는 라이센스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해독부(312)는 암호해독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암호를 해독한다. 해독부(312)로 입력되는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는 예컨대, DRM 기술에 의하여 암호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독부(312)는 DRM을 해제시킨다.
또한, 수신부(311)는 콘텐츠 배포 서버(10)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한 수신자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자의 정보는 예컨대, 수신자가 콘텐츠 배포 서버(10)로부터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는 행위시에 수집된 것일 수 있다. 수신자의 정보는 수신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결제수단과 연계된 수신자의 개인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수신자의 정보는 디지털 콘텐츠의 유출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정보로서, 추후 디지털 콘텐츠가 불법유통되는 경우에 그 유통경로를 추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부(313)는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인 수신자에 대한 정보및/또는 수신자가 사용하는 재생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그 구체적 일예는 앞서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부분의 내용으로 갈음한다.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와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는 핑거프린팅 모듈(320)로 전송된다.
핑거프린팅 모듈(320)은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부(321)와 핑거프린팅부(322)를 포함한다.
변환부(321)는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변화시켜 핑거프린팅부(322)로 보낸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200)에서 처리된 디지털콘텐츠를 PDA(210)로 전송하려고 한다면, 변환부(321)는 PDA(210)의 코덱이나 해상도에 맞추어 디지털 콘텐츠를 변화시킨다. 또 다른 일예로서,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공유장치(200)에서 처리된 디지털 콘텐츠를 TV(220)로 전송하려고 한다면, 변환부(321)는 TV(220)의 해상도에 맞추어 디지털 콘텐츠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재생 기기에 맞추어 디지털 콘텐츠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핑거프린팅 모듈(320)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을 통하여 재생 기기를 선택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재생 기기를 선택하면, 변화부(321)는 선택된 재생 기기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핑거프린팅부(322)는 암호해독 모듈(310)로부터 수신한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한다.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는 임의로 불법유통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저장모듈(330)은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한다. 저장모듈(330)에 저장된 디지털콘텐츠는 사용자가 원하는 때마다 재생 기기로 보내어져, 재생될 수 있다.
전송모듈(340)은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 기기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 대상이되는 재생 기기들은 같은 종류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일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기법이나 재생 환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이하, '공유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예로서 도 1의 공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로 설명한다.
제1 기기는 콘텐츠 배포 서버로부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와 라이센스를 수신한다(S410). 라이센스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한으로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제1 기기에서 재생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기기는 암호화된 디지털콘텐츠를 수신하면서 암호를 풀 수 있는 키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암호를 풀 수 있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해제한다(S420).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는 DRM 기술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DRM를 해제시킨다.
제1 기기는 암호가 해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한다(S430).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한 수신자에 대한 정보 또는 제1 기기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핑거프린트를 삽입한다. 예컨대,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재생 환경에 맞추어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를 변화시키고(S432), 변화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할 수 있다(S434). S432단계에서는 예컨대, 제2 기기의 코덱이나 해상도에 맞게 디지털 콘텐츠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기기는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한다(S440).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는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의 저장은 디지털 콘텐츠가 재생됨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가 재생되지 않는 경우에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기기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는 제2 기기로 전송되어(S450), 제2 기기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기기는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시키면서, 암호를 해독하고(S420),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며(S430), 제2 기기로 전송(S450)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간 디지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서로 다른 재생 기기에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화하는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간 디지털 콘텐츠 공유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텐츠 배포 서버
100: 디지털콘텐츠 공유모듈
110: 수신부
120: 암호해독부
130: 핑거프린팅부
140: 전송부
200: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310: 암호해독 모듈
311: 수신부
312: 해독부
313: 유출정보 추적용 정보부
320: 핑거프린팅 모듈
321: 변화부
322: 프린팅부
330: 저장모듈
340: 전송모듈

Claims (20)

  1.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1 기기에 포함된 디지털콘텐츠 공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기의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에서도 재생시킬 수 있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기기에 포함된 디지털콘텐츠 공유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해독하는 암호해독부;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상기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고,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핑거프린팅부; 및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제2 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는,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기술에 의하여 암호화된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는,
    상기 제1 기기의 정보 또는 상기 제1 기기의 사용자 정보인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팅부는,
    상기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제2 기기에 맞추어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며,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기법이 서로 다른 재생 기기인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는,
    코덱 또는 해상도가 서로 다른 재생 기기인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
  7.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서로 다른 재생 기기에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화하는 장치로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암호를 해독하는 암호해독 모듈; 및
    상기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를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변환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는 핑거프린팅 모듈
    을 포함하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는,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기술에 의하여 암호화된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해독 모듈은,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디지털 콘텐츠의 암호를 해독하는 해독부;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생성하는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부
    를 포함하는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는,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한 수신자의 정보 또는 상기 수신자가 사용하는 재생 기기에 관한 정보인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팅 모듈은,
    상기 재생 기기의 코덱 또는 해상도에 맞추어 상기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를 변화시키는 변화부; 및
    상기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변환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는 핑거프린팅부를 포함하는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13.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1 기기에 포함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에서도 재생시킬 수 있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으로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의 암호를 해독하는 단계;
    상기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제2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는,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기술에 의하여 암호화된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트 삽입단계는,
    상기 제2 기기의 재생 환경에 맞추어 상기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 프린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기의 코덱 또는 해상도에 맞추어 상기 암호가 해독된 디지털 콘텐츠를 변화하는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트는,
    상기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것인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경로 추적용 정보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 또는 상기 제1 기기의 사용자 정보인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와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 기법이 서로 다른 재생 기기인 것인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방법.
KR1020090127340A 2009-12-18 2009-12-18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 KR10130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40A KR101302560B1 (ko) 2009-12-18 2009-12-18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40A KR101302560B1 (ko) 2009-12-18 2009-12-18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99A true KR20110070499A (ko) 2011-06-24
KR101302560B1 KR101302560B1 (ko) 2013-09-16

Family

ID=4440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340A KR101302560B1 (ko) 2009-12-18 2009-12-18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5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443A1 (en) * 2017-11-24 2019-05-31 4Dream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onic fingerprint of electronic file
KR102215629B1 (ko) 2020-09-02 2021-02-15 심예준 스마트 제보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099A (ko) * 2004-08-06 2006-0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콘텐츠의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3963B1 (ko) * 2005-10-31 2007-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핑거프린팅 관리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 코드 전달 방법
KR20070101679A (ko) * 2006-04-12 2007-10-17 김성엽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KR20080024957A (ko) * 2006-09-14 200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디알엠 컨텐츠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443A1 (en) * 2017-11-24 2019-05-31 4Dream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onic fingerprint of electronic file
KR102215629B1 (ko) 2020-09-02 2021-02-15 심예준 스마트 제보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560B1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14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e content with revocable access
US200802921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and transmitting cont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ypting encrypted contents
KR100942992B1 (ko) Drm에서의 사업자 권리를 보장하는 호환성 제공 방법 및장치
US8422684B2 (en) Security classes in a media key block
TWI394419B (zh) 使用邏輯分割以管理加密內容之系統及方法
KR20080039372A (ko)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601615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nd convenient handling of cryptographic binding state information
US200802535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Encrypted Programs
KR20080003714A (ko) 저작권보호 기억매체, 정보기록장치 및 정보기록방법과정보재생장치 및 정보재생방법
US85036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ontent consumer&#39;s privacy
US8321660B2 (en) Method and devices for reproducing encrypted content and approving reproduction
US8837722B2 (en) Secure content distribution with distributed hardware
JP2002305512A (ja) データ受信装置
JP2009521048A (ja) 選択可能なユーザ権利を持つ保護された放送コンテンツの記録
KR101302560B1 (ko)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
TWI281825B (en) Righ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US20080037780A1 (en) Conte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1565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importing content
CN106060604A (zh) 基于bhd文件实现数字权限管理播放的方法及系统
JP2008011219A (ja) 電子透かし埋込システ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86901B1 (ko) 데이터 변조를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Lau et al. PlaySafe: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Media Content Consumption
JP5592584B1 (ja) 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Singh et al.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Their Implication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entres
Furht et al.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Multi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