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679A -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679A
KR20070101679A KR1020060033062A KR20060033062A KR20070101679A KR 20070101679 A KR20070101679 A KR 20070101679A KR 1020060033062 A KR1020060033062 A KR 1020060033062A KR 20060033062 A KR20060033062 A KR 20060033062A KR 20070101679 A KR20070101679 A KR 20070101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service provider
digital rights
right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엽
Original Assignee
김성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엽 filed Critical 김성엽
Priority to KR1020060033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1679A/ko
Publication of KR2007010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육용 콘텐츠를 아날로그 형태로 불법 복제하여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하여 사후 관리(핑거프린팅)를 통하여 원제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데 있고, 교육용 모든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교육용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공부할 수 있으며, 상업적 또는 악의적으로 유통시킨 콘텐츠를 온/오프라인으로 입수하여 불법 콘텐츠의 내용물을 핑거프린팅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고유값을 추출하여 기존의 삽입 값과 비교하여 악의로 사용한 사용자를 가려낼 수 있으므로 교육용 콘텐츠 제공자 입장에서는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제를 통해 불법유통을 억제시켜 제작자들의 정상적인 방법의 유통이 활성화되면서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재투자가 선행되고 고급 서비스를 제공할 기회가 커지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질 좋은 콘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양질의 서비스를 받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권리관리(DRM) 시스템, 사후 추적(핑거프린팅)서버, 서비스 제공자 단 말기, 멀티디바이스 관리시스템(MDMS), 암호, 모바일 기기, 가정용 오디오, 영상기기.

Description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The Post Tracking Service Method of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패키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PC로 다운로드시 콘텐츠 요청과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PC로 다운로드시 서비스 제공자의 결재 DB 확인과 단말기 정보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PC로 다운로드시 서비스 제공자의 승인과정부터 콘텐츠 전달 과정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PC로 다운로드시 라이센스 파일에 기록부터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PC에 단말기 연결과정부터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서비스 제공자의 결재 DB 확인과 단말기 정보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서비스 제공자의 승인과정부터 콘텐츠 전달 과정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핑거 프린팅 ID 삽입 후 라이센스와 콘텐츠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라이센스 파일에 기록부터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온라인/오프라인 공유 과정과 불법파일에 대한 온/오프라인 ID 추출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콘텐츠 제공자(CP)서버 200: 디지털권리관리(DRM)시스템
300: 서비스제공자(SP)서버 400: 이용자(사용자) 단말기(PC)
500: 모바일 기기(Device) 600: 핑거 프린팅 서버
700: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MDMS) 800: 인터넷 망
110: 콘텐츠 120: 패키저
310: 안전 어댑터 320: 웹 컨트롤러
410: 매니저 420: 핑거프린팅
510: 디지털권리관리(DRM) 삽입 900: 피어(peer)
본 발명은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교육용 콘텐츠를 아날로그 형태로 불법 복제하여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하여 사후 관리(핑거프린팅)를 통하여 원제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데 있고, 교육용 모든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교육용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공부할 수 있으며, 상업적 또는 악의적으로 유통시킨 콘텐츠를 온/오프라인으로 입수하여 불법 콘텐츠의 내용물을 핑거프린팅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고유값을 추출하여 기존의 삽입 값과 비교하여 악의로 사용한 사용자를 가려낼 수 있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의로 불법 복제하여 사용하는 사용자는 교육용 모바일 서비스를 실행할 때 모바일 기기에서 녹음 또는 녹화를 하고 난 후 PC 및 오디오 등의 가전 제품을 통하여 출력단자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로 불법 복제를 시도하여 상업적 또는 악의적으로 유통을 시켜 지적재산권을 침해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교육용 콘텐츠 제공자 입장에서는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법유통 때문에 제작자들은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재 투자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 고급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는 사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업적 또는 악의적으로 유통시킨 콘텐츠를 온/오프라인으로 입수하여 불법 콘텐츠의 내용물을 핑거프린팅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고유값을 추출하여 기존의 삽입 값과 비교하여 악의로 사용한 사용자를 가려낼 수 있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육용 콘텐츠를 아날로그 형태로 불법 복제하여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하여 사후 관리(핑거프린팅)를 통하여 원제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데 있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교육용 모든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교육용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공 부할 수 있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업적 또는 악의적으로 유통시킨 콘텐츠를 온/오프라인으로 입수하여 불법 콘텐츠의 내용물을 핑거프린팅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고유값을 추출하여 기존의 삽입 값과 비교하여 악의로 사용한 사용자를 가려낼 수 있으므로 교육용 콘텐츠 제공자 입장에서는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제를 통해 불법유통을 억제시켜 제작자들은 정상적인 방법의 유통이 활성화되면서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재투자가 선행되고 고급 서비스를 제공할 기회가 커지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질 좋은 콘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양질의 서비스를 받아 볼 수 있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가 원본 콘텐츠의 암호본을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저장하는 패키징 단계(a)와;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콘텐츠를 이용을 요청하면 멀티디바이스 관리시스템에서 이용자 정보를 조회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승인하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콘텐츠 전달 승인과 라인센스를 전달하면 관리자가 핑거 프린팅 ID를 삽입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b)와; 사용자가 디바이스로 불법 녹음한 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공유되는 콘텐츠를 핑거 프린팅 서버에서 ID를 추출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ID와 비교하여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단계(c);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가 원본 콘텐츠의 암호본을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저장하는 패키징 단계(a)와; 이용자 단말기에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콘텐츠를 이용을 요청하면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에서 이용자와 단말기 정보를 조회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승인하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콘텐츠 전달 승인과 라인센스를 전달하면 이용자가 매니저를 통해 디바이스를 확인한 후 핑거 프린팅 ID를 삽입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한 후 이용자가 디바이스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b-1)와; 사용자가 디바이스로 불법 녹음한 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공유되는 콘텐츠를 핑거 프린팅 서버에서 ID를 추출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ID와 비교하여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단계(c);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패키징하는 단계는 콘텐츠 제공자가 원본 콘텐츠를 패키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패키저가 암호본을 생성하여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되어 자동 등록되고,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암호본이 저장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는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콘텐츠 이용을 요청하고 이용자 정보를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안전 어댑터로 이용자의 요 청을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상품 구매 유무를 결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으로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구매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으로부터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 받아 확인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웹 컨트롤러에 콘텐츠 전송을 승인하게 하고 이용자 단말기로 라이센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웹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에 라인센스 파일을 기록하고 핑거 프린팅 ID를 삽입한 후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b-1)에서,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는 이용자가 매니저를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콘텐츠 이용을 요청하면 이용자와 단말기 정보를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안전 어댑터로 이용자의 요청을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상품 구매 유무를 결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으로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구매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으로부터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웹 컨트롤러에 콘텐츠 전송을 승인하게 하고 이용자 단말기로 라이센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웹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에서 매니저를 통해 디바이스를 확인한 후 핑거 프린팅 ID를 삽입하여 라이센스와 콘텐츠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이용자가 디바이스에 라인센스 정보를 이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아 라이센스 파일을 기록하고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로 불법 녹음한 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공유하는 단계와; 저작자가 오프라인으로 콘텐츠의 ID 추출을 신청하거나 인터넷 망을 통해 감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ID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핑거 프린팅 서버에서 콘텐츠의 ID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안전 어댑터에서 전송받은 ID와 비교하여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자(CP)서버(100), 디지털권리관리(DRM)시스템(200), 서비스제공자(SP)서버(300), 이용자 단말기(PC)(400), 모바일 기기(Device)(500), 핑거 프린팅 서버(600),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MDMS)(700), 인 터넷 망(800), 콘텐츠(110), 패키저(120), 안전 어댑터(310), 웹 컨트롤러(320), 매니저(410), 핑거프린팅(420), 디지털권리관리(DRM) 삽입(510), 피어(peer)(900) 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콘텐츠 제공자 서버(100)는 원본 콘텐츠(110)를 패키저(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200)은 상기 패키저(120)로부터 콘텐츠(110)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받아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이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이용자 정보 또는 단말기정보를 전송받는 기능과, 이용자의 요청을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안전 어댑터(310)로 전송하고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로부터 구매 승인을 받고,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700)으로부터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웹 컨트롤러(320)에 콘텐츠 전송을 승인하게 하고, 이용자 단말기(100)로 라이센스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서비스제공자서버(300)는 콘텐츠(110)의 암호본을 저장하는 기능과, 이용자 단말기(400)와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200)로부터 콘텐츠 이용 요청을 받고,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200)으로 승인하며 이용자 단말기(400)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이용자 단말기(400)는 상기 서비스제공자서버(300)로 콘텐츠 이용 요청 을 하는 기능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웹 컨트롤러(320)로부터 콘텐츠를 전송 받는 기능과, 이용자에 의해 라인센스 파일을 기록하고 핑거 프린팅(420) ID를 삽입하며, 콘텐츠를 실행하는 기능과, 중계기능을 갖는 매니저(410)를 통해 디바이스(500)와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모바일 기기(디바이스)(500)는 이용자 단말기(400)에 매니저(410)를 통해 확인시켜 주어 핑거 프린팅(420) ID를 삽입 받는 기능과, 상기 이용자 단말기(400)로부터 라이센스와 콘텐츠를 전송받는 기능과, 디바이스 이용자가 디바이스(500)에 라인센스 정보를 이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 받아 라이센스 파일을 기록하고 콘텐츠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모바일 기기(500)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단말기의 녹음 또는 녹화할 수 있는 모든 기기로서, MP3 Player, CD Player, PMP, PSP, PDA,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을 말한다.
상기 핑거 프린팅 서버(600)는 저작자가 오프라인으로 콘텐츠의 ID 추출을 신청하거나 인터넷 망(800)을 통해 감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ID를 감시하여 콘텐츠의 ID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700)는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200)로부터 단말기 정보 조회를 받고 확인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인터넷 망(800)은 핑거프린팅 서버(600)와 피어(800)를 무선으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패키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 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PC로 다운로드시 콘텐츠 요청과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PC로 다운로드시 서비스 제공자의 결재 DB 확인과 단말기 정보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PC로 다운로드시 서비스 제공자의 승인과정부터 콘텐츠 전달 과정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PC로 다운로드시 라이센스 파일에 기록부터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온라인/오프라인 공유 과정과 불법파일에 대한 온/오프라인 ID 추출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6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를 살펴보면,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패키징 과정은 콘텐츠 제공자(100)가 원본 콘텐츠를 패키저(120)로 전송하면(단계1) 상기 패키저가 암호본을 생성하여(단계2)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되어 자동 등록되고(단계3),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암호본이 저장된다(단계4).
도 3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이용자 단말기(400)로 다운로드 하는 과정은 먼저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로 콘텐츠 이용을 요청하고(단계1) 이용자 정보를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단계2). 다음으로 상기 디지털권 리관리시스템(200)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안전 어댑터(310)로 이용자의 요청을 전송하면(단계3)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에서 상품 구매 유무를 결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단계4)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700)으로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조회한다(단계5). 이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에서 구매 승인하면(단계6)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200)에서 상기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700)으로부터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한(단계7)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웹 컨트롤러(320)에 콘텐츠 전송을 승인하게 하고(단계8) 이용자 단말기(100)로 라이센스를 전송하며(단계9),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100)에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웹 컨트롤러(320)로부터 전송 받는다(단계10). 다음으로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100)에 라인센스 파일을 기록하고(단계11) 핑거 프린팅(420) ID를 삽입한(단계12) 후 콘텐츠를 실행한다(단계13).
도 12를 살펴보면,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온라인/오프라인 공유하고 불법파일에 대한 온/오프라인 ID 추출 조회하여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과정은 먼저 사용자가 디바이스(500)로 불법 녹음한(단계1) 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공유한(단계2,3) 후 저작자가 오프라인으로 콘텐츠의 ID 추출을 신청하거나(단계4) 인터넷 망(800)을 통해 감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ID를 감시한다(단계5). 이어서 상기 핑거 프린팅 서버(600)에서 콘텐츠의 ID를 추출하여(단계6)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안전 어댑터(310)에서 전송 받은 ID와 비교하여 불법 콘텐츠를 적발한다(단계7).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패키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PC에 단말기 연결과정부터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서비스 제공자의 결재 DB 확인과 단말기 정보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서비스 제공자의 승인과정부터 콘텐츠 전달 과정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핑거 프린팅 ID 삽입 후 라이센스와 콘텐츠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로 다운로드시 라이센스 파일에 기록부터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온라인/오프라인 공유 과정과 불법파일에 대한 온/오프라인 ID 추출 조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와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패키징 과정과, 도 12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온라인/오프라인 공유하고 불법파일에 대한 온/오프라인 ID 추출 조회하여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과정은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 에서 콘텐츠를 이용자 단말기(400)로 다운로드 하는 과정에서 상술되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살펴보면,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디바이스(500)로 다운로드 하는 과정은 먼저 이용자가 매니저(410)를 통해 이용자 단말기(4000와 디바이스(500)를 연결하고(단계1),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로 콘텐츠 이용을 요청하면(단계2) 이용자와 단말기 정보를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단계3). 이후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200)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안전 어댑터(310)로 이용자의 요청을 전송하면(단계4)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에서 상품 구매 유무를 결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단계5)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700)으로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조회한다(단계6).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에서 구매 승인하면(단계7),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200)에서 상기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700)으로부터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 받아 확인한(단계8)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웹 컨트롤러(320)에 콘텐츠 전송을 승인하게 하고(단계9) 이용자 단말기(400)로 라이센스를 전송한다(단계10). 이후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400)에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300) 내의 웹 컨트롤러(320)로부터 전송 받는다(단계11). 다음으로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400)에서 매니저(410)를 통해 디바이스(500)를 확인한 후 핑거 프린팅(420) ID를 삽입하여(단계12) 라이센스와 콘텐츠를 디바이스(500)로 전송한다(단계13). 이후 상기 디바이스 이용자가 디바이스(500)에 라인센스 정보를 이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 받아(단계14) 라이센스 파일을 기록하고(단계15) 콘텐츠를 실행한다(단계16).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교육용 서비스를 하고 있는 온/오프라인 콘텐츠는 동영상, 음원, 음성, 이미지, 플래시, 만화, 문서 등의 모든 교육용 콘텐츠를 말하며, 디지털 및 아날로그 단말기의 녹음 또는 녹화할 수 있는 모든 기기는 MP3 Player, CD Player, PMP, PSP, PDA,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모바일 기기와 PC, 오디오, 홈시어터, DVD Player, 노트북 등 가정용오디오 와 영상기기를 말한다. 또한 상기의 서비스는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재생 기기에서 청취 또는 시청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그러므로 상업적 또는 악의적으로 유통시킨 콘텐츠를 온/오프라인으로 입수하여 불법 콘텐츠의 내용물을 핑거프린팅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고유값을 추출하여 기존의 삽입 값과 비교하여 악의로 사용한 사용자를 가려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교육용 콘텐츠를 아날로그 형태로 불법 복제하여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하여 사후 관리(핑거프린팅)를 통하여 원제작자의 권리 보 호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교육용 모든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교육용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공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업적 또는 악의적으로 유통시킨 콘텐츠를 온/오프라인으로 입수하여 불법 콘텐츠의 내용물을 핑거프린팅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고유값을 추출하여 기존의 삽입 값과 비교하여 악의로 사용한 사용자를 가려낼 수 있으므로 교육용 콘텐츠 제공자 입장에서는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제를 통해 불법유통을 억제시켜 제작자들은 정상적인 방법의 유통이 활성화되면서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재 투자가 선행되고 고급 서비스를 제공할 기회가 커지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질 좋은 콘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양질의 서비스를 받아 볼 수 있다.

Claims (6)

  1.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가 원본 콘텐츠의 암호본을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저장하는 패키징 단계(a)와;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콘텐츠를 이용을 요청하면 멀티디바이스 관리시스템에서 이용자 정보를 조회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승인하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콘텐츠 전달 승인과 라인센스를 전달하면 관리자가 핑거 프린팅 ID를 삽입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b)와;
    사용자가 디바이스로 불법 녹음한 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공유되는 콘텐츠를 핑거 프린팅 서버에서 ID를 추출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ID와 비교하여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단계(c);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2.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자가 원본 콘텐츠의 암호본을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저장하는 패키징 단계(a)와;
    이용자 단말기에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콘텐츠를 이용을 요청하면 멀티디바이스 관리시스템에서 이 용자와 단말기 정보를 조회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승인하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콘텐츠 전달 승인과 라인센스를 전달하면 이용자가 매니저를 통해 디바이스를 확인한 후 핑거 프린팅 ID를 삽입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한 후 이용자가 디바이스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b-1)와;
    사용자가 디바이스로 불법 녹음한 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공유되는 콘텐츠를 핑거 프린팅 서버에서 ID를 추출하여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ID와 비교하여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단계(c);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패키징하는 단계는 콘텐츠 제공자가 원본 콘텐츠를 패키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패키저가 암호본을 생성하여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되어 자동 등록되고,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암호본이 저장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는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콘텐츠 이용을 요청하고 이용자 정보를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안전 어댑터로 이용자의 요청을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상품 구매 유무를 결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으로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구매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으로부터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 받아 확인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웹 컨트롤러에 콘텐츠 전송을 승인하게 하고 이용자 단말기로 라이센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웹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에 라인센스 파일을 기록하고 핑거 프린팅 ID를 삽입한 후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1)에서, 상기 이용자 디바이스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는 이용자가 매니저를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콘텐츠 이용을 요청하면 이용자와 단말기 정보를 디지털권리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권리 관리시스템 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안전 어댑터로 이용자의 요청을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상품 구매 유무를 결재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고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으로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서 구매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권리관리시스템 에서 상기 멀티디바이스관리시스템으로 부터 이용자 단말기 정보를 전송 받아 확인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웹 컨트롤러에 콘텐츠 전송을 승인하게 하고 이용자 단말기로 라이센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에 콘텐츠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웹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기에 서 매니저를 통해 디바이스를 확인한 후 핑거 프린팅 ID를 삽입하여 라이센스와 콘텐츠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이용자가 디바이스에 라인센스 정보를 이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아 라이센스 파일을 기록하고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로 불법 녹음한 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공유하는 단계와; 저작자가 오프라인으로 콘텐츠의 ID 추출을 신청하거나 인터넷 망을 통해 감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ID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핑거 프린팅 서버에서 콘텐츠의 ID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서버 내의 안전 어댑터에서 전송 받은 ID와 비교하여 불법 콘텐츠를 적발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KR1020060033062A 2006-04-12 2006-04-12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KR20070101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062A KR20070101679A (ko) 2006-04-12 2006-04-12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062A KR20070101679A (ko) 2006-04-12 2006-04-12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679A true KR20070101679A (ko) 2007-10-17

Family

ID=3881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062A KR20070101679A (ko) 2006-04-12 2006-04-12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16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60B1 (ko) * 2009-12-18 2013-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60B1 (ko) * 2009-12-18 2013-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기간 디지털콘텐츠 공유 장치, 시스템 및 공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5899B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digital watermarking and identifier extraction to provide promotional opportunities
US7823180B2 (en) Content distribution method, content obtain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EP16254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media sharing in a network
EP1665717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distribution of media content
US20020157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nd convenient management of digital electronic content
US7653940B2 (en) Tracing and identifying piracy in wireless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US8266715B2 (en) Method for executing digital right management and tracking using characteristic of virus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US20050268343A1 (en) Appl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its method
US20080205647A1 (en) Information Subscrib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utonomous Network Access
US20200019677A1 (en) Monitor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Including Copyrighted Items
WO2002088991A1 (en) Method of protecting and managing digital contents and system for using thereof
US8739294B2 (en) Reporting information about users who obtain copyrighted media using a network in an unauthorized manner
KR100806107B1 (ko) Drm에서의 비보호 콘텐츠의 보호 방법
KR101259549B1 (ko) 사용자 단말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US20120042385A1 (en) Protecting copyrighted media with monitoring logic
KR100834978B1 (ko)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101679A (ko) 디지털 권리 관리 사후 추적 서비스 방법
CN110348177B (zh) 媒体文件的版权保护方法及其系统
KR20090112845A (ko) 컨텐츠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5377387B2 (ja) 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システム、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システムの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方法、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サーバ装置、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サーバプログラム、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装置および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プログラム
KR20090112843A (ko) 저작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05316903A (ja) ファイルデータ削除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データ削除システム
KR100727085B1 (ko) 디알엠 기반의 오프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59146B1 (ko) 하이브리드 핑거프린트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콘텐츠 저작권 보호 시스템
JP5680154B2 (ja) 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装置、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ファイルパッケージ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