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488A -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488A
KR20110070488A KR1020090127328A KR20090127328A KR20110070488A KR 20110070488 A KR20110070488 A KR 20110070488A KR 1020090127328 A KR1020090127328 A KR 1020090127328A KR 20090127328 A KR20090127328 A KR 20090127328A KR 20110070488 A KR20110070488 A KR 2011007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np
remote
power
upnp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애
김은호
최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2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0488A/ko
Publication of KR2011007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은 RAS로부터 제공 받은 UPnP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원격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UPnP 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원격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원격장치로부터 특정 UPnP 장치의 전원 ON 요청 신호가 수신 된 경우, 상기 RAS에 해당 UPnP 장치의 전원 ON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 및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UPnP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특정 UPnP 장치의 전원 ON 요청 신호가 수신 되는 경우, 상기 UPnP 장치에 WOL(Wake On LAN) 기술에 기반한 전원 ON 이더넷 패킷을 송신하는 RAS(Remote Access Server)를 포함한다.
UPnP, RA, WOL, 원격, 전원

Description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UPnP devices}
본 발명은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더 자세하게는, UPnP 장치들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한 원격장치를 통하여 상기 UPnP 장치들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LNA(Digital Liviing Network Alliance)는 2004년 발족한 홈 네트워크 표준 협력 단체로, 유수의 가전제품 제조사가 가입되어 있다. DLNA 표준은 서로 다른 가전 제품이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자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서로 다른 가전 제품이 서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하는 만큼, DLNA 표준은 업계 표준 기술만을 이용하여야 한다.
DLNA 표준을 위하여 도입한 기술이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이다. UpnP 기술은 TCP/IP, HTTP, UDP/IP 등에 바탕을 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각 가전 제품이 서로를 인식하고 스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DLNA 표준에는 UPnP AV 표준이 채택되어, MP3나 동영상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안에 있는 PC에서 거실에 마련된 TV나 오디오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무선리모컨처럼 사용하여 TV를 조작할 수 있다.
UPnP Device Architecture 1.0 표준은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구조를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각 가전 제품들이 중앙 집중의 관리를 받지 않고 대신 피어투피어 (peer to peer)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UPnP 장치는 그 서비스를 액션과 상태변수로 모델링하고, UPnP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는 UPnP 장치를 자동으로 탐색(discovery)한 후 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UPnP Device Architecture 1.0에 따르는 UPnP 디바이스 탐색은 홈 네트워크 내에서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방식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현재 IP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인터넷 범위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UPnP 디바이스 탐색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는 UPnP 디바이스의 제어도 인터넷을 통하는 경우 가능하지 않게 된다. 즉, 홈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경우, 상기 홈 네트워크와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될 수 밖에 없는데, 그것이 불가능하므로, 홈 네트워크와 떨어진 곳에서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UPnP 장치를 제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UPnP 장치 또는 컨트롤 포인트 장치가 물리적으로 홈 네트워크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마치 물리적으로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것처럼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PnP RA(Remote Access) 아키텍처가 제안되었다. UPnP RA 아키텍처는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RAS(Remote Access Server) 장치와 원격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RAC(Remote Access Client) 장치 를 정의하고 있다.
UPnP RA 아키텍처는 댁외에 위치한 원격 통신 단말이 댁내에 위치한 RAS로의 접속을 통해 댁내에 위치한 UPnP 장치들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댁내에 위치한 UPnP 장치들은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이용하여 자신의 존재를 RAS에 알리고 RAS는 이를 AddRemoteDevices()와 같은 RADASync 서비스 액션을 이용해 원격 통신 단말에 전달하게 된다. 원격 통신 단말은 AddRemoteDevices() 서비스 액션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원격 단말이 속한 랜에 다시 SSDP 메시지로 변환하여 멀티캐스트 송신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원격 단말이 속한 랜 상의 UPnP 장치들도 RAS가 속한 랜 상의 UPnP 장치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다만, UPnP R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원격 통신 단말이 상기 UPnP 기기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경우는, 상기 UPnP 장치 들의 전원이 켜져있는 경우에 한한다. 만약, UPnP 장치의 전원이 꺼져있다면, UPnP RA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상기 UPnP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홈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원격장치를 제어하여, 댁내의 UPnP 장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은 RAS로부터 제공 받은 UPnP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원격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UPnP 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원격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원격장치로부터 특정 UPnP 장치의 전원 ON 요청 신호가 수신 된 경우, 상기 RAS에 해당 UPnP 장치의 전원 ON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 및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UPnP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특정 UPnP 장치의 전원 ON 요청 신호가 수신 되는 경우, 상기 UPnP 장치에 WOL(Wake On LAN) 기술에 기반한 전원 ON 이더넷 패킷을 송신하는 RAS(Remote Access Server)를 포함한다.
상기 RAS는, M-Search 메시지를 상기 UPnP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M-Search 이 요청에 대해 상기 UPnP 장치에서 SSDP 메시지에 수납하여 송신한 자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UPnP 장치의 전원이 온(ON) 되는 경우 송신되는 SSDP 메시지를 통해 상기 UPnP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UPnP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이더넷 기반 패킷 정보로부터 MAC주소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장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UPnP 장치는, 상기 원격장치의 사용자와 매칭된 상기 RAS가 관리하는 UPnP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은 RAS로부터 제공 받은 UPnP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원격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UPnP 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원격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원격장치로부터 특정 UPnP 장치의 전원 OFF 요청 신호가 수신 된 경우, 상기 저장 된 해당 UPnP 장치에 대한 정보 중, PowerControlService 접속정보를 조회한 후, 해당 UPnP 장치의 PowerControlService를 이용하여 해당 UPnP 장치에 전원 OFF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 및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UPnP 장치의 정보 및 해당 UPnP 장치의 PowerControlService 접속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는 RAS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해당 UPnP 장치의 PowerControlService를 이용하여 해당 UPnP 장치의 전원을 OFF 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UPnP Service action 리스트를 해당 UPnP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UPnP Service action을 모두 수행하는 신호를 상기 해당 UPnP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원격장치 를 제어하여, 댁내의 UPnP 장치 전원을 켤 수 있어, 댁내 UPnP 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더라도, 전원을 켠 후, UPnP 장치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원격장치를 제어하여, 댁내의 UPnP 장치 전원을 끌 수 있어, 댁내 UPnP 장치의 전원이 켜져 있고, 댁 내에 사람이 없더라도, 원격으로 전원을 끌 수 있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 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 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실시예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댁 내에 홈네트워크(110)로 연결된 RAS(106)와 UPnP 장치(108)가 위치하고, 원격접속 서비스를 위하여 댁 외에 서비스 서버(102)와 DB 서버(104)가 위치한다. 사용자는 원격장치(100)를 통하여 원격접속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UPnP 장치(108)는 홈네워크(110)에 연결된 UPnP 표준 기반 장치를 의미한다. UPnP 장치(108)는 WOL(Wake-On-LAN) 기술을 지원하는 것으로 한정될 수 있다.
UPnP 장치(108)는 UPnP Device 및 UPnP Servic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UPnP Device는 장치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및 상기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 되며, 상기 UPnP Service는 UPnP 표준에 따른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 된다.
상기 UPnP Service는 장치 전원 원격 제어를 위한 UPnP Service(이하 PowerControlSer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werControlService는 UPnP 표준에 기반한 Service로서 기존 UPnP Device에 추가 Service로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Device로도 구성 가능하다.
상기 PowerControlService는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수신 하여, 전원 오프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UPnP 장치(108)에 대한 정보 및 전원 원격 제어에 관한 환경 설정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원격 제어에 관한 환경 설정 값은, 예를 들어, 전원 원격 제어 기능 활성화 여부일 수 있다. 상기 PowerControlService는 UPnP 장치(108)의 전원이 온 되는 경우, SSDP 메시지에 UPnP 장치(108)에 대한 정보를 수납하여 홈 네트워크(1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owerControlService는 전원 원격 제어 서비스를 위한 환경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장치 전원 원격 켜기를 위한 WOL 구동 설정, 장치 전원 원격 끄기 활성화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werControlService는 RAS(106)가 송신한 전원 오프 신호를 수신 하여, UPnP 장치(108)의 전원을 오프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전원을 종료를 오프하는 동작에 대한 트리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PowerControlService는 상기 전원 오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action 및 state variable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 될 수 있는 함수의 결과 값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RAS(106)의 상세 구성도이다.
RAS(106)는 댁 내에 위치한 UPnP 장치(108)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서비스 서버(102)에 상기 UPnP 장치(108)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서비스 서버(102)로부터 전송되는 장치 전원켜기 요청을 수신하고 전원켜기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켜기 프로세스는 RAS(106)가 UPnP 장치(108)에 WOL(Wake On LAN) 기술에 따른 전원 켜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UPnP 장치(108)의 정보는 이하, UPnP 장치(108)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MAC 주소, IP 주소, 원격 전원 제어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전원 상태를 가리키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RAS(106)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RAS(106)의 장치정보수집부(162)는 UPnP 장치(108)의 정보를 수집한다. 장치정보수집부(162)는 UPnP 장치(108)에 대한 정보 요청을 위하여 M-Search 메시지를 UPnP 장치(108)에 송신하며, 상기 M-Search 이 요청에 대해 로컬장치에서 SSDP 메시지를 통해 보내오는 UPnP 장치(108)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또한, 장치정보수집부(162)는 로컬장치의 전원이 온(ON) 되는 경우 송신되는 SSDP 메시지를 통해 UPnP 장치(108)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장치정보수집부(162)는 UPnP 장치(108)로부터 전송되는 이더넷 기반 패킷 정보로부터 MAC주소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장치정보수집부(162)는 수집된 상기 UPnP 장치(108)의 정보를 UPnP 장치(108)의 UUID를 키(key)로 하여 관리할 수 있다.
장치정보전송부(160)는 장치정보수집부(162)에서 수집한 UPnP 장치(108)의 정보를 서비스 서버(102)에 송신한다. 이때, RAS(106)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서비스 서버(102)에 전송할 수 있다. 장치정보전송부(160)는 지속적인 정보 전송을 위한 원격접속서버와의 세션 관리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RAS(106)의 전원제어부(164)는 서비스 서버(102)로부터 전원 켜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는 UPnP 장치(108)의 식별 정보가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PnP 장치(108)의 식별 정보는 UPnP 장치(108)의 UUID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전원 켜기 신호가 수신 되는 경우, 전원제어부(164)는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수납된 UPnP 장치(108)의 식별 정보에 매칭된 UPnP 장치(108)의 주소 정보를 장치정보수집부(162)에 조회한다. UPnP 장치(108)의 주소 정보는, 예를 들어, L2 주소 및 L3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전원제어부(164)는 UPnP 장치(108) 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이더넷 기반의 패킷을 생성하여 UPnP 장치(108)에 송신한다. 상기 이더넷 기반의 패킷은 WOL(Wake-On-LAN) 기술에 따른 전원 ON 요청 신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원제어부(164)는 서비스 서버(102)로부터 UPnP 장치(108)의 식별 정보가 수납된 전원 켜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UPnP 장치(108)에 WOL 기술에 따른 전원 ON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UPnP 장치(108)의 전원을 켜도록 할 수 있다.
RAS(106)는 홈게이트웨이(홈허브) 같은 네트워크 장비 혹은 PC와 같은 정보가전장비로 구현 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RAS(106)의 각 구성 모듈이 여러 단말에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2)는 RAS(106)가 송신한 UPnP 장치(108)의 정보를 수집하여 DB 서버(104)에 저장하며, 원격장치(100)로부터 특정 UPnP 장치(108)의 전원켜기 요청이 수신 된 경우, 상기 특정 UPnP 장치(108)를 관리하는 RAS(106)를 조회한 후, 해당 RAS(106)에 전원 켜기 신호를 송신하고, 원격장치(100)로부터 특정 UPnP 장치(108)의 전원끄기 요청이 수신 된 경우, 해당 UPnP 장치(108)의 PowerControlService 정보를 DB 서버(104)에서 조회하여 상기 PowerControlService의 action을 호출함으로써, 해당 UPnP 장치(108)로 전원 끄기 요청을 송신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102)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홈정보수집부(120)는 RAS(106)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UPnP 장치에 대한 정보 및 RAS(106)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104)에 저장 한다. 상기 UPnP 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UPnP 장치를 관리하는 RAS(106) 별로 그룹화 되어 저장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UPnP 장치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가 이미 저장된 RAS(106)가 관리하는 것인 경우, 상기 UPnP 장치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홈정보수집부(310)는 앞서 수집된 상기 UPnP 장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UPnP 장치(108)에 해당 UPnP 장치(108)가 상기 PowerControlService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UPnP 장치(108)가 상기 PowerControlService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PowerControlService의 action을 통하여 해당 UPnP 장치(108)의 PowerControlService를 위한 환경 설정 (예: WOL 구동 설정, 장치 전원 원격 끄기 활성화 설정 등) 상태 정보를 조회하며,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켜기 및 전원끄기 제공 유무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DB 서버(104)에 저장한다. DB 서버(104)에는 상기 PowerControlService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UPnP장치목록생성부(122)는 원격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에 대해 DB 서버(104)를 조회하여 해당 사용자가 전원 제어 가능한 UPnP 장치(108)의 목록을 생성하여 원격장치(100)에 제공한다. 원격장치(100)의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RAS(106)에 매칭될 수 있고, 그 결과 원격장치(100)의 사용자는 매칭된 RAS(106)가 관리하는 UPnP 장치(108)들의 전원 제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전원 ON/OFF 여부를 UPnP 장치(108) 별로 표시하며, UPnP 장치(108) 별로 원격 전원켜기 및 전원끄기 기능 지원유무에 따라 전원켜기 및 전원끄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제어요청처리부(124)는 원격장치(100)의 전원켜기 및 전원끄기 요청을 수신하고 각각의 요청에 대해 RAS(106)에 해당 요청을 전달한다. 원격장치(100)로 부터 특정 UPnP 장치(108)의 전원켜기 요청이 수신되면 전원제어요청처리부(124)는 해당 UPnP 장치(108)를 제어하는 선택된 UPnP 장치(108) 의 전원켜기 요청을 RAS(106)에 송신한다. 반면에, 원격장치(100)로부터 전원끄기 요청이 수신되면 전원제어요청처리부(124)는 DB 서버(104) 조회를 통하여 해당 UPnP 장치(108)가 제공하는 상기 PowerControlService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PowerControlService의 객체에 접속한 후, 해당 UPnP 장치(108)의 전원을 OFF 하기 위하여 수행되어야 할 UPnP Service action 리스트를 제공 받는다. 전원제어요청처리부(124)는 상기 UPnP Service action을 모두 수행함으로써, UPnP 장치(108)에 전원 끄기 요청을 송신한다.
DB 서버(104)는 서비스 사용자 별로 사용자 정보, 서비스 프로파일, UPnP 장치(108)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장치 전원 원격 제어를 위하여 해당 로컬장치의 전원끄기 및 전원켜기 제공 유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2) 및 DB 서버(104)는 물리적으로 같은 하드웨어상에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세부 기능별로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원격장치(100)는 PC, 이동 전화 등 네트워크 접속 가능한 모든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격장치(100)에 설치된 원격접속을 위한 전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혹은 범용 브라우저 등을 통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장치(100)를 통해 제공 되며, 서비스 서버(102)로부터 수신 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원격 전원 제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현재 미구동 상태의 로컬단말을 선택하여 전원켜기 요청을 할 수 있으며, 현 재 구동중인 로컬장치를 선택하여 전원켜기 요청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은 (a)장치 전원 원격 제어 UPnP Service 구동 단계; (b) 장치 전원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설정 정보 수집 단계; (c) 홈네트워크 상에 SSDP를 통한 UPnP Service 정보 공지 단계; (d) 장치 전원 원격 제어 서비스 사용을 위한 설정 정보 제공 단계; (e) 원격접속서버로부터의 요청에 대해 전원끄기 프로세스 구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PnP 장치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접속 가능한 UPnP 장치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a) 서비스에이전트가 로컬장치에게 UPnP Device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610); (b) 로컬장치가 서비스에이전트에게 UPnP Device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620); (c) 서비스에이전트가 수집한 UPnP Device 정보 및 로컬장치의 MAC주소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S630); (d) 서비스에이전트가 원격접속서버로 로컬장치의 UPnP Device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640); (e) 원격접속서버가 서비스에이전트 정보 및 서비스에이전트로부터 수신한 로컬장치의 UPnP Device 정보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650); (f)원격접속서버가 UPnP Device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로컬장치로부터 장치 전원 원격 제어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집하여 전원켜기 및 전원끄기 기능 지원 유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660); (g)원격장치의 요청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사용자가 접속 가능한 댁내 로컬장치 정보를 조회하여, 로컬장치 목록과 전원켜기 및 전원끄 기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S68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전원을 켜기를 원하는 장치를 선택 시 서비스에이전트에 전원켜기 요청을 전달하여 해당 로컬장치의 전원을 켜는 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컬장치의 전원을 켜는 방법은, (a) 원격장치에 제공된 로컬장치 목록에서 현재 미구동 중인 로컬장치 중 선택한 로컬 장치에 대해 원격접속서버로 해당 장치 전원켜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S710); (b) 원격접속서버에서 선택한 로컬장치 제어를 위한 서비스에이전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는 단계(S720); (c) 원격접속서버에서 서비스에이전트로 선택된 로컬장치 전원켜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S730); (d) 서비스에이전트에서 전원켜기 요청을 받은 로컬장치의 MAC주소를 조회하여, 이 정보를 이용하여 로컬장치로 전원켜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S740); (e) 전원켜기 요청을 전달받은 로컬장치가 구동되는 단계(S75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전원을 끄기를 원하는 장치를 선택 시 해당 로컬장치에 전원끄기 요청을 전달하여 해당 로컬장치의 전원을 끄는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a) 원격장치에 제공된 로컬장치 목록에서 현재 구동 중인 로컬장치 중 선택한 장치에 대해 원격접속서버로 해당 장치 전원끄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S810); (b) 원격접속서버에서 선택된 로컬장치의 장치 전원 원격 제어 UPnP Service를 이용하여 전원끄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S820); (c) 로컬장치에서 전원끄기 요청을 수신하여 구동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전원을 끄는 단계(S830);를 포함한다.
도 4, 도 5, 도 6과 관련된 상기 실시예 들을 해석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도 1에 도시된 DB 서버(104), 상기 원격접속서버는 서비스 서버(102), 상기 서비스에이전트는 RAS(106), 상기 로컬장치는 UPnP 장치(108)와 대응하는 장치인 것으로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AS(106)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02)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의 UPnP 장치 정보 수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ON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OFF 방법의 순서도이다.

Claims (8)

  1. UPnP 장치;
    RAS로부터 제공 받은 상기 UPnP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원격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상기 UPnP 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원격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원격장치로부터 특정 UPnP 장치의 전원 ON 요청 신호가 수신 된 경우, 상기 RAS에 해당 UPnP 장치의 전원 ON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 및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UPnP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특정 UPnP 장치의 전원 ON 요청 신호가 수신 되는 경우, 상기 UPnP 장치에 WOL(Wake On LAN) 기술에 기반한 전원 ON 이더넷 패킷을 송신하는 RAS(Remote Access Server)를 포함하는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AS는,
    M-Search 메시지를 상기 UPnP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M-Search 이 요청에 대해 상기 UPnP 장치에서 SSDP 메시지에 수납하여 송신한 자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AS는,
    상기 UPnP 장치의 전원이 온(ON) 되는 경우 송신되는 SSDP 메시지를 통해 상기 UPnP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는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AS는,
    상기 UPnP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이더넷 기반 패킷 정보로부터 MAC주소를 수집하는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장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UPnP 장치는,
    상기 원격장치의 사용자와 매칭된 상기 RAS가 관리하는 UPnP 장치들로 구성되는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6. RAS로부터 제공 받은 UPnP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원격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장치의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UPnP 장치에 대한 목록을 상기 원격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원격장치로부터 특정 UPnP 장치의 전원 OFF 요청 신호가 수신 된 경우, 상기 저장 된 해당 UPnP 장치에 대한 정보 중, PowerControlService 접속정보를 조회한 후, 해당 UPnP 장치의 PowerControlService를 이용하여 해당 UPnP 장치에 전원 OFF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 및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UPnP 장치의 정보 및 해당 UPnP 장치의 PowerControlService 접속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는 RAS(Remote Access Server)를 포함하는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해당 UPnP 장치의 PowerControlService를 이용하여 해당 UPnP 장치의 전원을 OFF 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UPnP Service action 리스트를 해당 UPnP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UPnP Service action을 모두 수행하는 신호를 상기 해당 UPnP 장치에 송신하는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PnP 장치는,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수신 하여, 전원 오프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UPnP 장치(108)에 대한 정보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RAS에 제공하는 UPnP 표준 기반의 PowerControlService를 구비하는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090127328A 2009-12-18 2009-12-18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KR20110070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28A KR20110070488A (ko) 2009-12-18 2009-12-18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28A KR20110070488A (ko) 2009-12-18 2009-12-18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88A true KR20110070488A (ko) 2011-06-24

Family

ID=4440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328A KR20110070488A (ko) 2009-12-18 2009-12-18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04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425B1 (ko)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EP2847962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tocol adaptation
US8443071B2 (en) Data server system and method
JP4334534B2 (ja) ブリッジ装置及びブリッジシステム
US7912972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connect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via internet, and system and device for the method
US7797417B2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IP-based network system
JP2004288187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機器情報の管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20035645A (ko) 서버를 기초로한 다수 표준의 홈 네트워크 브리징
KR20090078719A (ko) 원격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UPnP 장치 및 그 방법
WO2015109701A1 (zh) 家用电器设备的控制、控制处理方法及装置、控制系统
JP4612296B2 (ja) 状態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当該プログラムによりプログラムされたコンピュータ
KR101048613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KR20050078541A (ko)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Lo et al. A remote control and media-shar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JP2009290758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KR20090076292A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20060001550A (ko) 인터넷을 이용한 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20110070488A (ko) UPnP 장치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KR100929773B1 (ko) 피제어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서버
EP21608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s of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based on a connection status of a control point
KR100637559B1 (ko) 홈 모니터링 알림 서비스방법
KR101782884B1 (ko)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60035177A (ko)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정보 갱신 장치 및방법
TW201038017A (en) UPnP bridging apparatus
KR20060035176A (ko) 이종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