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028A - 관로구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관로구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028A
KR20110070028A KR1020090126669A KR20090126669A KR20110070028A KR 20110070028 A KR20110070028 A KR 20110070028A KR 1020090126669 A KR1020090126669 A KR 1020090126669A KR 20090126669 A KR20090126669 A KR 20090126669A KR 20110070028 A KR20110070028 A KR 20110070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ubber plate
slip
pressing
pip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341B1 (ko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이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근 filed Critical 이재근
Priority to KR102009012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3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구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의 대향면에서 주연에 각각 요입면(26)을 갖는 경질합성수지의 원반형 압착판(10)(10'), 상기 압착판(10)(10')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의 박판부(20)와 주연의 원형단면의 비드부분(22)을 갖는 고무판(12)과, 상기 두개의 압착판(10)(10') 사이에서 상기 고무판(12)을 압착하여 상기 압착판(10)(10')의 대향된 요입면(26) 사이에 배치된 상기 고무판(12)의 비드부분(22)이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되게 하도록 하는 볼트(14)와 너트(16)로 이루어진 조임수단으로 구성된다.
Figure P1020090126669
관로구, 방수장치, 압착판, 고무판, 비드부분.

Description

관로구 방수장치 { WATERPROOF DEVICE FOR UNDERGROUND PIPELINE}
본 발명은 관로구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맨홀벽에 연장된 지중매설관의 관로구에 전력 또는 통신용 케이블이 포설되지 않은 상태의 관로를 폐쇄하여 관로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관로용의 관로구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또는 통신용 케이블이 포설되는 지중매설관은 그 관로구가 맨홀벽까지 연장되게 배치되며 지중매설관에 전력 또는 통신용 케이블이 포설되기 전에는 지중매설관의 관로구를 폐쇄하여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관로구 방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관로구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형의 고무판으로 구성되는 방수장치이다. 이는 고무판을 축방향으로 압착함으로서 고무판의 주연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변형팽창되게 하여 관로구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무판과 관로구 내면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종래의 이러한 전형적인 관로구 방수장치는 직경이 관로구의 내경 보다 작은 두개의 플라스틱제 원형 압착판, 이들 압착판 사이에 배치되고 직경이 압착판의 직 경과 같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고무판과, 두개의 압착판 사이에서 고무판을 압착하여 고무판의 주연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변형팽창되게 하는 볼트-너트의 조임수단으로 구성된다. 두개의 압착판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판은 볼트-너트의 조입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고 두 압착판 사이에서 고무판이 압착되어 그 주연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된다. 이를 위하여 압착판과 고무판에는 볼트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관로구에 삽입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측의 압착판에는 그 외면측에 육각형의 볼트헤드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육각형의 볼트헤드삽입부가 볼트공에 형성되어 볼트를 내측의 압착판에 형성된 볼트공에 삽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각 압착판과 고무판의 볼트공을 관통시킨 후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일 때 너트를 당기어 볼트의 헤드부분이 내측 압착판의 볼트공 주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볼트헤드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가 공회전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외측 압착판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일 수 있도록 한다. 관로구 방수장치는 이러한 방수장치가 관로구에 사용되기 전에는 압착판 사이에 고무판이 배치되고 볼트-너트의 조임수단이 느슨히 체결된 상태로 보관 또는 운반된다. 따라서 관로구 방수장치가 사용되기 전에는 고무판이 압착되지 않아 직경의 변화가 없다.
종래의 이러한 관로구 방수장치에서는 고무판이 그 전체의 두께가 일정한 단순형태의 원반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판은 그 내외측에서 압착판으로 압착할 때 주연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되게 하려면 조임수단에 큰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로구의 내부압력이 큰 경우 관로구내 에 고정시킨 방수장치가 외측으로 밀리는 위치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두개의 압착판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판의 주연부가 적은 힘의 압착력에 의하여서도 팽창이 이루어져 관로구의 내면에 밀착되는 관로구 방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방수장치가 관로구에 설치되었을 때 관로구내의 압력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변화가 억지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관로구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 바, 본 발명의 관로구 방수장치는 내측의 대향면에서 주연에 각각 요입면을 갖는 경질합성수지의 원반형 압착판, 상기 압착판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의 박판부와 주연의 원형단면의 비드부분을 갖는 고무판과, 상기 두개의 압착판 사이에서 상기 고무판을 압착하여 상기 압착판의 대향된 요입면 사이에 배치된 상기 고무판의 비드부분이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되게 하도록 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조임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압착판과 상기 고무판의 조립체에 미끄럼방지고무판과 부가압착판이 부가구성되고, 상기 미끄럼방지판은 외측면에 반원단면의 비드부분을 가지고, 상기 부가압착판은 내측면에 상기 미끄럼방지고무판의 상기 비드부분을 수용하는 요입면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방지고무판의 외주연에는 등간격 을 두고 수개의 미끄럼방지수단이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표면에 거친 마찰면을 갖는 샌드페이퍼로 구성되는 미끄럼방지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이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표면에 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미끄럼방지편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관로구 방수장치는 경질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두개의 원반형 압착판(10)(10'), 이들 압착판(10)(10') 사이에 배치되고 직경이 압착판(10)(10')의 직경과 같으며 대체로 원반형인 고무판(12)과, 두개의 압착판(10)(10') 사이에서 고무판(12)을 압착하여 고무판(12)의 주연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되게 하도록 볼트(14)와 너트(16)로 이루어진 조임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들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에는 이들이 결합될 때 정렬되어 볼트(14)가 관통하는 수개의 볼트공(1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고무판(12)은 중앙의 박판부(20)와 이러한 박판부(20)보다 두껍고 단면이 원형인 그 주연의 비드부분(22)으로 구성된다.
한편, 압착판(10)(10')은 대체로 원반형이고 중간에 고무판(12)이 결합되는 내측면에 대하여 외측면은 각각 평면부(24)를 이룬다. 이에 반하여 중간에 고무판(12)이 결합되는 압착판(10)(10')의 각 내측면에는 테두리에 고무판(12)의 비드부분(22)이 안치될 수 있는 환상의 요입면(26)이 형성되어 있다. 각 압착판(10)(10') 의 요입면(26)은 상대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이들 압착판(10)(10')이 결합되었을 때 그 부분적인 단면형태는 주연반향 외측으로 개방된 "U"자형을 이룬다.
도 2 및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은 맨홀벽(28)에 배치된 관로구(30)내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측 압착판(10)의 외측면의 평면부(24)에는 각 볼트공(18)의 위치에 볼트(14)의 육각형 헤드부분(14')이 안정되게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육각형의 볼트헤드삽입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맨홀을 구성하는 맨홀벽(28)에 배치되고 아직 전력 또는 통신케이블이 포설되지 않은 공관로의 관로구(30)에 사용하기 전에, 각 압착판(10)(10')의 내면측 주연에 형성된 요입면(26)이 마주 보도록 한 상태에서 두개의 압착판(10)(10') 사이에 고무판(12)을 배치하고 관로구(30)의 내측으로 향하게 될 내측의 압착판(10)으로부터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정렬된 볼트공(18)을 통하여 볼트(14)를 삽입하고 볼트(14)의 단부에 너트(16)를 느슨히 체결한다. 이와 같이 볼트(14)에 너트(16)를 느슨히 체결한 상태에서는 두 압착판(10)(10') 사이의 고무판(12)은 압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볼트(14)에 너트(16)를 느슨히 체결한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는 맨홀벽(28)에 배치된 공관로의 관로구(30)에 삽입된다.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직경은 이들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가 관로구(30)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관로구(30)의 내경 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를 관로구(30)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 작업자는 각 볼트(14)를 조정하여 볼트헤드(14')가 내측의 압착판(10)의 외측면의 평면부(24)에 형성된 볼트헤드삽입부(18')에 삽입되게 하여 볼트(14)가 회전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 너트(16)를 조인다. 각 볼트(14)에 대하여 각 너트(16)를 조임으로서 두 압착판(10)(10')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기 시작하며, 양측 압착판(10)(10')의 대향면에 형성된 요입면(26)에 안치된 고무판(12)의 원형단면의 비드부분(22)이 압착되면서 방사상 방향으로 변형팽창되어 팽창된 비드부분(22)이 관로구(3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무판(12)의 주연에 구성되어 있는 원형단면의 비드부분(22)이 방사상 외측으로 변형팽창함으로서 관로구(30)의 내면에 밀착되어 관로구(30)를 통한 공관로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 두 압착판(10)(10') 사이에서 압착되는 고무판(12)은 종래의 경우와 같이 고무판의 전면 전체가 아니고 고무판(12) 자체는 박판의 형태이면서 그 주연에 원형단면의 비드부분(22)이 압착판(10)(10')에 의하여 압착되는 한편, 이들 압착판(10)(10')의 주연에 형성된 요입면(26)이 비드부분(22)의 변형팽창이 방사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도하여 관로구(30)의 내면과 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관로구(30)를 폐쇄하고 있는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가 공관로 내부의 압력 또는 기타 다른 외부요인에 의하여 관로구(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관로구 방수장치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형태에서,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는 제1실시 형태의 조립체와 동일하다. 제2실시형태는 이러한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에 미끄럼방지고무판(32)과 부가압착판(34)이 부가구성된다.
미끄럼방지고무판(32)은 외측의 압착판(10')과 부가압착판(34)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압착판(10')을 향하는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내측면은 압착판(10')의 외측면인 평면부(24)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부(36)를 가지며 중앙부분은 상기 고무판(12)의 박판부(20) 보다는 약간 더 두꺼운 박판부(38)를 가지고 평면부(36)의 반대측 면에는 상기 고무판(12)의 비드부분(22)의 형상과 유사한 반원단면의 비드부분(40)을 갖는다. 그리고 중앙부분인 박판부(38)에는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에 형성된 볼트공(18)과 정렬되는 볼트공(1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미끄럼방지고무판(32)을 압착판(10')과 함께 압착하는 부가압착판(34)은 압착판(10')과 동일한 구성으로 내측면에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비드부분(40)을 수용하는 요입면(26)을 가지며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에 형성된 볼트공(18)과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볼트공(18)에 정렬되는 볼트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형태는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 미끄럼방지고무판(32) 및 부가압착판(34)이 볼트(14)와 너트(16)에 의하여 체결조립되고 관로구(30)내에서 고무판(12)과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압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실시형태에서, 관로구(30)를 폐쇄하고 있는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가 공관로 내부의 압력 또는 기타 다른 외부요인에 의하여 관 로구(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외주연에는 등간격을 두고 수개의 미끄럼방지편(42)이 배치된다.
제2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미끄럼방지편(42)은 표면에 거친 마찰면을 갖는 샌드페이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미끄럼방지편(42)은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외주연, 특히 이러한 외주연에 인접한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평면부(36)로부터 비드부분(40)까지 연장되는 폭을 갖는다. 이와 같은 미끄럼방지편(42)은 예를 들어 수지접착제로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외주연에 접착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 미끄럼방지고무판(32) 및 부가압착판(34)을 볼트(14)와 너트(16)로 체결조립하고 관로구(30)내에서 고무판(12)과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너트(16)를 조이면, 두 압착판(10)(10') 사이의 간격은 좁아져 양측 압착판(10)(10')의 대향면에 형성된 요입면(26)에 안치된 고무판(12)의 원형단면의 비드부분(22)이 압착되면서 방사상 방향으로 변형팽창되어 팽창된 비드부분(22)이 관로구(3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관로구(30)를 폐쇄함과 동시에, 외측의 압착판(10')과 부가압착판(34)사이의 미끄럼방지고무판(32)도 압착되어 그 비드부분(40)이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변형팽창되고 비드부분(40)이 관로구(30)의 내면에 밀착되어 방수효과를 더욱 높이며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비드부분(40)에 배치된 미끄럼방지편(42)의 표면측 마찰면이 관로구(3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서 관로구(30)를 폐쇄하고 있는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가 공관로 내부의 압력 또는 기타 다른 외부요인에 의하여 관로구(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상기 언급된 제2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관로구(30)를 폐쇄하고 있는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가 공관로 내부의 압력 또는 기타 다른 외부요인에 의하여 관로구(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춘 관로구 방수장치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는 미끄럼방지편(42')을 제외하고는 상기 언급된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러한 제3실시형태에서, 미끄럼방지편(42')은 제2실시형태에서 보인 미끄럼방지편(42)과는 구성재질이 상이하고 부가적인 미끄럼방지요소를 갖는 점에서 상이하나 적극적인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것에서 제2실시형태의 미끄럼방지편(42)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서, 미끄럼방지편(42')는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표면에 수개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 미끄럼방지고무판(32) 및 부가압착판(34)을 볼트(14)와 너트(16)로 체결조립하고 관로구(30)내에서 고무판(12)과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너트(16)를 조일 때, 두 압착판(10)(10') 사이의 간격은 좁아져 양측 압착판(10)(10')의 대향면에 형성된 요입면(26)에 안치된 상태에서 압착되는 고무판(12)의 비드부분(22)이 방사상 방향으로 변형팽창되어 관로구(3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외측의 압착판(10')과 부가압착판(34)사이의 미끄럼방지고무판(32)도 압착되는 비드부분(40)이 관로구(30)의 내면에 밀착되어 방수효과를 보이고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비드부분(40)에 배치된 금속제 미끄럼방지편(42')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44)가 관로구(30)의 내면에 부분적으로 파고들어가 관로구(30)를 폐쇄하고 있 는 압착판(10)(10')과 고무판(12)의 조립체가 공관로 내부의 압력 또는 기타 다른 외부요인에 의하여 관로구(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서 미끄럼방지편(42')은 이에 형성된 돌기(44)가 보다 적극적인 미끄럼방지효과를 보이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개의 압착판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판의 주연부가 적은 힘의 압착력에 의하여서도 팽창이 이루어져 관로구의 내면에 밀착되는 관로구 방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방수장치가 관로구에 설치되었을 때 관로구내의 압력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변화가 억지되는 구성을 갖는 관로구 방수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관로구 방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관로구 방수장치를 공관로의 관로구에 삽입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관로구 방수장치로 관로구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도 2와 도 3의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 1과 유사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도 6과 유사한 사시도.
도 9은 도 8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10': 압착판, 12: 고무판, 14: 볼트, 16: 너트, 22: 비드부분, 26: 요입면, 32: 미끄럼방지고무판, 34: 부가압착판, 40: 비드부분, 42, 42': 미끄럼방지편, 44: 돌기.

Claims (4)

  1. 내측의 대향면에서 주연에 각각 요입면(26)을 갖는 경질합성수지의 원반형 압착판(10)(10'), 상기 압착판(10)(10')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의 박판부(20)와 주연의 원형단면의 비드부분(22)을 갖는 고무판(12)과, 상기 두개의 압착판(10)(10') 사이에서 상기 고무판(12)을 압착하여 상기 압착판(10)(10')의 대향된 요입면(26) 사이에 배치된 상기 고무판(12)의 비드부분(22)이 방사상 방향으로 팽창되게 하도록 하는 볼트(14)와 너트(16)로 이루어진 조임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10)(10')과 상기 고무판(12)의 조립체에 미끄럼방지고무판(32)과 부가압착판(34)이 부가구성되고, 상기 미끄럼방지판(32)은 외측면에 반원단면의 비드부분(40)을 가지고, 상기 부가압착판(34)은 내측면에 상기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상기 비드부분(40)을 수용하는 요입면(26)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방지고무판(32)의 외주연에는 등간격을 두고 수개의 미끄럼방지수단(42, 42')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이 표면에 거친 마찰면을 갖는 샌드페이퍼로 구성되는 미끄럼방지편(42)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이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표면에 수개의 돌기(44)가 형성된 미끄럼방지편(42')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장치.
KR1020090126669A 2009-12-18 2009-12-18 관로구 방수장치 KR101085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669A KR101085341B1 (ko) 2009-12-18 2009-12-18 관로구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669A KR101085341B1 (ko) 2009-12-18 2009-12-18 관로구 방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028A true KR20110070028A (ko) 2011-06-24
KR101085341B1 KR101085341B1 (ko) 2011-11-23

Family

ID=4440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669A KR101085341B1 (ko) 2009-12-18 2009-12-18 관로구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3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8648Y2 (ko) 1974-03-14 1979-09-13
JPS6329333U (ko) * 1986-08-11 1988-02-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341B1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257B1 (ko) 토크 유지 장치
US6830268B2 (en) Pipe repair clamp
US11162621B2 (en) Gland assembly
US8096591B2 (en) Split joint restraint device with dual pipe size capability
US6533332B2 (en) Coupling for connecting a tubular fitting to a pipe
US7490866B2 (en) Anchoring device for pipe coupling
US9528641B2 (en) Mechanical joint restraint with pipe grip ring assembly
KR101944866B1 (ko) 분할 스토퍼 링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장치
US20080224464A1 (en) Pipe coupling
JP4094609B2 (ja) 管継手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US20150316184A1 (en) Assembly with separately tightenable annular clamps
US7527299B1 (en) Container discharge and fill port fitting
KR101085341B1 (ko) 관로구 방수장치
US11287076B2 (en) Encapsulation sleeve gasket assembly with detachable inner layer
CA2458788C (en) Improved pipe repair clamp
KR101104085B1 (ko) 파이프 연결구
CA2732048C (en) Split joint restraint device with dual pipe size capability
JP6140257B1 (ja) 漏れ防止具
JP3506669B2 (ja) 継 手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0806932B1 (ko) 송배전케이블 이설장치
US9739401B1 (en) Pipe gripping elements and pipe joint restraints incorporating same
US5092636A (en) Sealing ring disposed in recessed flange member
KR101308401B1 (ko) 파이프와 고강도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하수관 연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