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406A - Air supply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suppl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406A
KR20110069406A KR1020090126125A KR20090126125A KR20110069406A KR 20110069406 A KR20110069406 A KR 20110069406A KR 1020090126125 A KR1020090126125 A KR 1020090126125A KR 20090126125 A KR20090126125 A KR 20090126125A KR 20110069406 A KR20110069406 A KR 2011006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air supply
supply devic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07053B1 (en
Inventor
정효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to KR102009012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053B1/en
Publication of KR2011006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4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PURPOSE: An air supply apparatus used for transfer of sheet glasses is provided to maintain the flatness for transferred sheet glasses by controlling the generating direction of air to the width of a housing. CONSTITUTION: An air supply apparatus used for transfer of sheet glasses comprises a housing(10), an air fan(20), a filter(30), and a cover(40). The housing has an internal space and open top. The air fan is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housing. The filter is arranged in the top opening of the housing, above the air fan. The cover, in which air jetting holes(41) are formed on the surface, contacts the top of the filter and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Description

에어공급장치{Air supply apparatus}Ai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길이방향에 대해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는 에어구획부와, 에어팬과 필터 사이를 구획하는 에어토출조절부 및 에어팬 자체의 에어발생량을 하우징의 폭 방향에 대해 조절하는 에어발생조절부를 마련하여, 각 구획공간마다 에어가 발생되도록 하되 발생된 에어는 각 구획공간별로 고르게 상향 토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구획공간으로부터의 에어토출을 차단시키는 대신 이웃하는 다른 구획공간으로 에어량을 증가시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하우징의 폭 방향에 대한 에어발생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례로 판유리 이송장치의 경우, 커버 상방에 위치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얇은 평판 플레이트 구조인 판유리의 원하는 부분에 대해 에어공급이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이송중인 판유리에 대한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정확하고 안정적인 판유리 이송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mpartment for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a housing into various spac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 air discharge control unit for partitioning between an air fan and a filter, and the air fan itself. An air generation control unit is provided to adjust the air generation amou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so that air is generated in each compartment, and the generated air is evenly discharged upward for each compartment or blocks air discharge from a specific compartment. Instead, the air volume may be increased and discharged to another neighboring compartment, and the air gener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may be adjus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late glass conveying apparatus, it is located above the cover and is horizontal. To the desired part of the pane, a thin flat plate structure that is transported along the direction To the air supply to and about the air supply apparatus so that this is correct and stable glass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enable is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flatness of the plate glass is being transferred to be maintained constant.

종래에 엘시디 피디피(LCD PDP) 등에 사용되는 박판형 판유리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비 상에서 판유리를 검사부쪽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다른 공 정라인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송장치로서, 작업대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회전축 상에 판유리의 저면을 지지하고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송롤러가 축 결합되는 롤러이송장치가 사용되었었다.It is a transfer device used to transfer plate glass to the inspection part or other process lines on inspection equipment for inspecting defects of thin plate glass,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for LCD PDP. A roller convey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re axially coupled to support and convey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glass on a plurality of rotating shafts arrang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has been used.

그러나, 이러한 이송롤러를 이용한 판유리 이송장치는 기본적으로 판유리와 이송롤러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후에 판유리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접촉마찰에 의한 떨림이나 진동 등 미세한 흔들림 현상은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고 이러한 흔들림에 의해 판유리 검사시 불량률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되어 검사정밀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since the plate glass conveying apparatus using such a conveying roller basically conveys the plate glass after the plate glass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onveying rol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icroscopic phenomena such as vibration and vibration caused by contact friction are not completely excluded. Due to the shaking, the defect rate could not be accurately measured during the inspection of the plate glass, and the inspection accuracy was lowe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례로 작업대의 중앙부에 판유리를 에어 부상시키기 위한 에어부상부가 마련되고, 작업대의 폭 방향 양측에는 판유리의 양측 단부를 떠받쳐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가 마련되어 판유리를 일정높이 에어 부상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이송장치가 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an air upper part for air floating the plate glass in the center of the work table is provided, an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ork table are provided with feed roller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late glass to move the air to a certain height.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transfer device to transfer in the desired direction in the stat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판유리 이송장치는 작업대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에어부상부의 에어토출 세기에 의해 판유리를 부상시키는 방식으로서 특히 토출되는 에어는 판유리의 중앙에만 거의 집중되기 때문에, 판유리의 중앙부는 볼록하게 뜨고 롤러이송부측인 판유리의 양측부는 가라앉는 이른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기본적으로 판유리의 이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심지어 판유리의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으며, 또한, 에어 토출이 상방을 향해 일률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판유리의 미세한 처짐 등 원하는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에어공급 등의 에어제어는 전혀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However, the plate glass conveying apparatus of the prior art is a method of floating the plate glass by the air discharge intensit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portion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work table, in particular, since the discharged air is almost concentrated only in the center of the plate glass, the center portion of the plate glass is convex. Both sides of the plate glass, which floats on the side and the roller conveying part, sinks, so called soaking phenomenon occurs, so that the plate glass may not be transferred properly or even plate glass may be damaged. As a result, the air control such as intensive air supply to a desired part such as a fine deflection of the plate glass is not possible at all.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길이방향에 대해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는 에어구획부와, 에어팬과 필터 사이를 구획하는 에어토출조절부 및 에어팬 자체의 에어발생량을 하우징의 폭 방향에 대해 조절하는 에어발생조절부를 마련하여, 각 구획공간마다 에어가 발생되도록 하되 발생된 에어는 각 구획공간별로 고르게 상향 토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구획공간으로부터의 에어토출을 차단시키는 대신 이웃하는 다른 구획공간으로 에어량을 증가시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하우징의 폭 방향에 대한 에어발생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례로 판유리 이송장치의 경우, 커버 상방에 위치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얇은 평판 플레이트 구조인 판유리의 원하는 부분에 대해 에어공급이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이송중인 판유리에 대한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정확하고 안정적인 판유리 이송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the air compartment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nto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air fan and the filter and the air of the air fan itself By providing an air genera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gener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the air is generated in each compartment, but the generated air is discharged evenly up to each compartment or to block the air discharge from a specific compartment Instea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to the neighboring compartment and discharge the air, and also to adjust the air gener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late glass conveying apparatus, located above the cover horizontal The desired part of the pane, a thin flat plate structure transported along the For air supply is provided for making it possible to freely adjust and to maintain constant the flatness of the plate glass is being transferred to the air supply device such that this can be accurate and stable glass conveyance according to it is an object.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공급장치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방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에어팬; 상기 에어팬의 상방인 하우징의 개방된 상방에 배치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우징의 상방을 덮어씌우고 표면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that is empty and the upper open; An air fan install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filter disposed above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above the air fan; And a cover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and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팬은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마련되며, 이들 각각의 에어팬을 구획시키기 위해 에어팬들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복수의 에어구획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ir fans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inside the housing between the air fans to partition each of the air fans It is preferable that an air compartment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구획부가 설치되는 하우징의 일측 벽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구획부는 하우징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과, 이 구획판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관통공의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의 외측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구를 통해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on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air compartment is installed, and the air compartment includes a partition plate for partitioning a corresponding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one end of the partition plate. Is connected to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made of a fixed plate fixed to the housing through a separate fastener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구획부가 제거된 상태의 하우징의 관통공을 밀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밀폐판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seal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for closing the through-hole of the housing in the air compartment is rem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구획부는, 상기 하우징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구획판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하우징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구획판을 축 회전시켜 구획되어 있는 하우징의 양측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mpartment, partition plate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rotating shaft disposed at an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and having both ends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a knob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ommunicates with both side space portions of the housing partitioned by rotating the partition plate by a rotation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팬과 필터 사이의 하우징 내부공간에 에어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가 필터로 토출 및 토출 차단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에어토출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air generated from the air fan to discharge and block the discharge to the filter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air fan and the filt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조절부는, 상기 에어팬과 필터 사이인 하우징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구획판; 상기 각 보조구획판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하우징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각각의 보조구획판을 축 회전시켜 구획되어 있는 하우징의 에어팬과 필터 사이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auxiliary compartments that ar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o partition the corresponding inner space of the housing between the air fan and the filter; A rotating shaft disposed at an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 of each of the auxiliary partition plates and having both ends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a knob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ommunicates the space between the filter and the air fan of the housing which is rotated by rotating the respective auxiliary compartment plates by the rotating operation. desir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팬과 필터 사이의 하우징 내부공간에 에어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가 필터로 토출 및 토출 차단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에어토출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air generated from the air fan to discharge and block the discharge to the filter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air fan and the filt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조절부는, 상기 에어팬과 필터 사이인 하우징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구획판; 상기 각 보조구획판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하우징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각각의 보조구획판을 축 회전시켜 구획되어 있는 하우징의 에어팬과 필터 사이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auxiliary compartments that ar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o partition the corresponding inner space of the housing between the air fan and the filter; A rotating shaft disposed at an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 of each of the auxiliary partition plates and having both ends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And a knob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ommunicates the space between the filter and the air fan of the housing which is rotated by rotating the respective auxiliary compartment plates by the rotating operation. desir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팬을 덮어씌워 에어팬 자체의 에어 발생량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발생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generation control unit for covering the air fan to adjust the air generation amount of the air fan itsel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발생조절부는, 상기 에어팬의 외부를 덮어씌우고 상방이 개방된 개방공을 갖는 보조하우징; 상기 보조하우징의 개방공을 차단하여 이 보조하우징 내부와 외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개폐판; 상기 개폐판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보조하우징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보조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판을 축 회전시켜 차단되어 있는 보조하우징 내부의 에어팬과 외부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generation control unit, the auxiliary housing having an open hole which covers the outside of the air fan and the upper opening;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for blocking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housing to partition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of the auxiliary housing; A rotating shaft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having both ends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a knob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fan inside the auxiliary housing, which is blocked b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by a rotation operation, and an external space par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개방공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고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조작되어 하우징의 폭 방향에 대한 에어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s are arranged continuous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are individually rotated to adjust the air generation amou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 양측 모 서리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직각을 이루는 직각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both sides of the housing has a right angle structure making a right angle through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 양측 모서리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소정각도 경사진 직경사면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both sides of the housing has a diameter slope structure inclined a predetermined angle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 양측 모서리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곡률 라운드진 곡면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bottom edges of the housing has a constant curvature rounded curved structure through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길이방향에 대해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는 에어구획부와, 에어팬과 필터 사이를 구획하는 에어토출조절부 및 에어팬 자체의 에어발생량을 하우징의 폭 방향에 대해 조절하는 에어발생조절부를 마련하여, 각 구획공간마다 에어가 발생되도록 하되 발생된 에어는 각 구획공간별로 고르게 상향 토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구획공간으로부터의 에어토출을 차단시키는 대신 이웃하는 다른 구획공간으로 에어량을 증가시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하우징의 폭 방향에 대한 에어발생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례로 판유리 이송장치의 경우, 커버 상방에 위치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얇은 평판 플레이트 구조인 판유리의 원하는 부분에 대해 에어공급이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이송중인 판유리에 대한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정확하고 안정적인 판유리 이송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mpartment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nto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air fan and the filter and the air of the air fan itself By providing an air genera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gener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the air is generated in each compartment, but the generated air is discharged evenly up to each compartment or to block the air discharge from a specific compartment Instea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to the neighboring compartment and discharge the air, and also to adjust the air gener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late glass conveying apparatus, located above the cover horizontal Air to the desired part of the pane, a thin flat plate structure transported along the Class is adjustably freely obtain the effects such as so and whereby the accurate and stable glass feed enables to maintain constant along the flatness of the plate glass is being transferr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1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에어공급장치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방이 개방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에어팬(20)과, 이 에어팬(20)의 상방인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방에 배치되는 필터(30) 및 이 필터(3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우징의 상방을 덮어씌우고 표면에 에어토출공(41)이 형성된 커버(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12, the ai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10 is empty and the upper open, the air fan 20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filter 30 disposed above the open air of the housing 10 that is above the air fan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3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air discharge hole 41 is formed on the surface. The cover 40 is formed.

상기 하우징(1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바람직하게는, 판유리 이송장치 등의 작업대의 길이방향 전체에 대응되는 길이) 상방이 개방된 장방형 사각박스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housing 10 has a rectangular rectangular box shape which is extended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table such as a plate glass feeder).

상기 에어팬(20)의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토출시키는 이른바 롤러팬 구조로 되어 있다.The so-called roller fan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of the air fan 20 to discharge air.

상기 필터(30)는 에어팬(20) 상방인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방에 배치되는 사각블럭 형상으로, 토출되는 에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에어 토출 세기를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lter 30 has a square block shape disposed above the air fan 20, the housing 10 being open upward, and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discharged air or may moderate the air discharge intensity to some extent. To do so.

상기 커버(40)는 필터(3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우징의 상방을 덮어씌우고 표면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에어토출공(41)이 마련되어 있다.The cover 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30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41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on the surfac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에어공급장치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타입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y type as follows.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실시예는 상기 에어팬(20)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등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마련되며, 이들 각각의 에어 팬(20)을 구획시키기 위해 에어팬(20)들 사이의 하우징(10) 내부에 복수의 에어구획부(50)가 마련되어 있다.1 to 3, in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air fans 20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each of the air fans 20 is provided. In order to partition), a plurality of air compartments 50 are provided in the housing 10 between the air fans 20.

여기서, 상기 에어구획부(5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의 일측 벽면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구획부(50)는 하우징(10)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사각판재 형상의 구획판(51)과, 이 구획판(51)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관통공(11)의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10)의 외측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구(52)를 통해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고정판(53)으로 이루어진 영문자 티이자(T) 구조로 되어 있다.Here, a through hole 11 is formed in on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which the air compartment 50 is installed, and the air compartment 50 is a rectangular plate that partitions the corresponding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Separate fasteners 5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artition plate 51 and the partition plate 51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1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0. It is made of the English letter teija (T) structure consisting of a fixed plate 53 is fixed 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에어공급장치는 각 구획공간별로 발생되는 동일한 에어 토출량이 고정 설치되어 있는 에어구획부(50)를 경계로 하여 곧바로 상향 토출되어 상방에 배치된 커버(40)의 에어토출공(4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판유리 등을 에어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discharged immediately upwards on the basis of the air compartment 50 having the same air discharge amount fixedly installed in each partition space, and disposed above the cover 40. It i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41 of the) to allow the air to float the plate glass.

한편,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에어구획부(50)를 제거하여 이웃하는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때 에어구획부(50)가 제거된 상태의 하우징(10)의 관통공(11)은 별도의 밀폐판(55)으로 밀폐시킬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ir compartment 50 may be removed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a neighboring space part.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11 of the housing 10 in which the air compartment 50 is removed is provided. May be sealed by a separate sealing plate (55).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에어구획부(60)만 변형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4 and 5, the second embodiment shows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air compartment 60 in the first embodiment is modified.

상기 에어구획부(60)는, 상기 하우징(10)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사각판재 형상의 구획판(61)과, 이 구획판(61)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하우징(10)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길다란 봉 형상의 회전축(62) 및 상기 하우 징(10)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62)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구획판(61)을 축 회전시켜 구획되어 있는 하우징(10)의 양측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손잡이 기능의 노브(6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air compartment 60 is a partition plate 61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and is disposed at an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partition plate 61, and both ends thereof are disposed in a housing ( 1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ng rod-shaped rotary shaft 62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10 and the rotating shaft 6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partition plate 61 is rotated by the rotation operation. The knob 63 of the knob function which communicates the both space parts of the housing 10 partitioned so that it may be made into the structure is comprised.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에어공급장치는 각 구획공간별로 발생되는 동일한 에어 토출량이 에어구획부(60)를 경계로 하여 곧바로 상향 토출되어 상방에 배치된 커버(40)의 에어토출공(4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판유리 등을 에어 부상시킬 수도 있고, 또는, 필요한 부분으로 에어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노브(63)의 회전 조작을 통해 이웃하는 구획공간끼리 서로 연통시켜 에어를 공유할 수 있음은 물론 구획판(61)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공유되는 에어량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ame air discharge amount generated in each compartment is discharged immediately upward with the air compartment 60 as a boundary, and the air discharge of the cover 40 disposed upward.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ll 41 to float the plate glass or the like, or the neighboring compartments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knob 63 to adjust the air supply amount to the required portion. Of cours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partition plate 61 will be able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hared.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의 하우징(10) 내부공간에 에어팬(20)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가 필터(30)로 토출 및 토출 차단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에어토출조절부(70)가 더 추가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6 to 8, in the third embodiment, the air generated from the air fan 20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between the air fan 20 and the filter 30 is filter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70 for adjusting the discharge and the discharge is blocked to 30 shows a further added structure.

상기 에어토출조절부(70)는, 상기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인 하우징(10)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사각판재 형상을 갖는 보조구획판(71)과, 이 각 보조구획판(71)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하우징(10)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길다란 봉 형상의 회전축(72) 및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72)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각각의 보조구획판(71)을 축 회전시켜 구획되어 있는 하우 징(10)의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손잡이 기능의 노브(7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70, a plurality of quadrangle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o partition the corresponding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between the air fan 20 and the filter 30. An auxiliary partition plate 71 having a plate shape, an elongated rod-shaped rotary shaft 72 disposed at an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 of each of the auxiliary partition plates 71 and having both ends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10; An air fan 20 of the housing 1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7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partitioned by rotating the respective auxiliary partition plates 71 by a rotating operation; The knob 73 of a knob function which communicates the space part between the filters 30 is comprised.

여기서, 상기 보조구획판(71)의 폭 방향 길이는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수평하게 놓이도록 회전시켰을 때 이웃하는 다른 보조구획판(71)의 판면과 서로 상하로 겹쳐지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sub-compartment plate 71 is up and down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neighboring sub-compartment plate 71 when rotated so as to lie horizontally to seal between the air fan 20 and the filter 30. It is preferable to have a length to overlap with.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에어공급장치는 각 구획공간별로 발생되는 동일한 에어 토출량이 에어구획부(60)를 경계로 하여 곧바로 상향 토출되어 상방에 배치된 커버(40)의 에어토출공(4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판유리 등을 에어 부상시킬 수도 있고, 또는, 필요한 부분으로 에어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해당 보조구획판(71)들의 노브(73)를 회전 조작하여 이웃하는 다른 구획공간으로 에어의 방향을 전환시킨 후 서로 연통시켜 에어량을 공유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보조구획판(71)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에어가 기울어진 보조구획판(61)의 경사면을 따라 흐를 수 있게 하여 에어 흐름에 방향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ame air discharge amount generated in each compartment is discharged immediately upward with the air compartment 60 as a boundary, and the air discharge of the cover 40 disposed upward.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ll 41 to air float the plate glass or the like, or to rotate the knob 73 of the sub-compartment plates 71 to adjust the air supply amount to the required portion, and another neighboring section. Afte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air to the spac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share the air amount and at the same tim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ub-compartment plate 71 so that the air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sub-compartment plate 61 You can also direct the flow.

도 9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의 에어구획부(60)의 구성은 삭제되고 에어토출조절부(70)만 구비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에어팬(20)을 덮어씌워 에어팬(20) 자체의 에어 발생량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발생조절부(80)가 더 구비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9 to 12, the fourth embodiment covers the air fan 20 again 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mpartment 60 of the third embodiment is deleted and only the air discharge adjusting unit 70 is provided. It shows the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generation control unit 80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generated by the air fan 20 itself.

여기서, 상기 에어발생조절부(80)는, 상기 에어팬(20)의 외부를 덮어씌우고 상방이 개방된 개방공(81a)을 갖는 사각박스 형상의 보조하우징(81)과, 이 보조하우징(81)의 개방공(81a)을 차단하여 이 보조하우징(81) 내부와 외부공간을 구획하 기 위한 사각판재 형상의 개폐판(82)과, 이 개폐판(82)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보조하우징(81)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길다란 봉 형상의 회전축(83) 및 상기 보조하우징(81)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83)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판(82)을 축 회전시켜 차단되어 있는 보조하우징(81) 내부의 에어팬(20)과 외부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손잡이 기능의 노브(8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Here, the air generation control unit 80, the secondary housing 81 of the rectangular box shape having an open hole (81a) covering the outside of the air fan 20 and opened upward, and the auxiliary housing 81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2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 dividing the inner and outer spaces of the auxiliary housing 81 by blocking the opening hole 81a of the auxiliary housing 81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2,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2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ng rod-shaped rotary shaft 83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auxiliary housing 81 and the rotary shaft 8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8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knob 84 of the handle function to communicate the air fan 20 inside the auxiliary housing 81 and the external space is blocked by rotating the shaft.

그리고, 상기 개폐판(82)은 개방공(81a)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고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조작되어 하우징(10)의 폭 방향에 대한 에어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s 82 ar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81a and are individually rotated to adjust the air generation amou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인 에어공급장치는 각각의 에어토출조절부(70)를 직립 개방시켜 에어팬(20)에서 발생되는 에어가 곧바로 상향 토출되어 상방에 배치된 커버(40)의 에어토출공(4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판유리 등을 에어 부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에어팬(20)에 대한 개폐판(82)을 폐쇄시켜 에어발생이 차단되도록 하여 이 부분에 대한 에어 토출이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필요한 부분으로 에어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해당 보조구획판(71)들의 노브(73)를 회전 조작하여 이웃하는 다른 구획공간으로 에어의 방향을 전환시킨 후 서로 연통시켜 에어량을 공유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보조구획판(71)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에어가 기울어진 보조구획판(61)의 경사면을 따라 흐를 수 있게 하여 길이방향을 따르는 에어 흐름에 방향성을 갖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함께 개폐판(82)의 개방 기울기도 조절하여 폭 방향으로의 에어 토출 방향성도 함께 조절하 여 복합적인 에어 토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ach air discharge control unit 70 is opened in an upright position, and the air generated in the air fan 20 is immediately discharged upwardly and the cover 40 disposed upward.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41 of the air to float the plate glass, etc., as well as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2 for the air fan 20 to block the generation of air to air for this part The discharge may be blocked, or, in order to adjust the air supply amount as necessary, rotate the knob 73 of the auxiliary compartment plates 71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to another neighboring compartment and the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ir volu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llowing the air to flow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auxiliary compartment plate 61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auxiliary compartment plate 71 at the same time. It may be possible to have a directionality as well as to adjust the opening inclin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2 may also be adjusted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 enable a complex air discharg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갖는 에어공급장치를 판유리 이송장치 또는 크린 터널 유닛 등에 설치하여 판유리 등의 양측부가 하방으로 쳐지는 등의 평탄성 불균형을 바로 잡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air supply device hav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plate glass conveying device or a clean tunnel unit to correct flatness imbalance such that both sides of the plate glass are struck downward, thereby accurately and stably feeding. .

도 13은 본 발명의 에어공급장치가 판유리 이송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에어공급장치가 크린 터널 유닛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13 shows a state where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late glass conveying device, and FIG. 14 shows a state where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lean tunnel unit.

한편,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에어공급장치 중 하우징(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양측 모서리를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소정각도 경사진 직경사면(12) 구조로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양측 모서리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곡률 라운드진 곡면(13) 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우징(10)의 하단을 곡면(13) 구조로 하면, 에어팬(20)에서 발생된 에어가 직경사면 구조에 의해 풍향이 변경되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대신, 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상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5 and Figure 1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housing 10 of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inclined surface 12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ver the entire lengthwise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 ), Or may be such that both bottom edges of the housing 10 have a constant curvature rounded curved surface 13 structure through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 has a curved surface 13 structure, air generated in the air fan 20 is discharged upward naturally along the curved surface instead of fric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wind direction by the diameter slope structure. You can do i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of th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chang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에어구획부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이다.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 air compartment of a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구획판이 제거된 후 밀폐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plate is installed after the partition plate of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에어구획부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 air compartment of a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에어토출조절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of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에어토출조절부가 일부는 닫히고 일부는 에어토출의 방향전환을 위해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of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in part to close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에어발생조절부를 나타낸 요부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main parts of an air generation control unit of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에어토출조절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of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에어토출조절부가 일부는 닫히고 일부는 에어토출의 방향전환을 위해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of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in part to close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가 판유리 이송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Figure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plate glass conveying apparatus.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가 크린 터널 유닛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lean tunnel unit.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에어공급장치 중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15 and 16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using of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 : 하우징 11 : 관통공10 housing 11 through hole

12 : 직경사면 13 : 곡면12: diameter slope 13: curved surface

20 : 에어팬 30 : 필터20: air fan 30: filter

40 : 커버 41 : 에어토출공40: cover 41: air discharge hole

50 : 에어구획부 51 : 구획판50: air compartment 51: partition plate

52 : 체결구 53 : 고정판52: fastener 53: fixed plate

55 : 밀폐판 60 : 에어구획부55: sealing plate 60: air compartment

61 : 구획판 62 : 회전축61 partition plate 62 rotation axis

63 : 노브 70 : 에어토출조절부63: knob 70: air discharge control unit

71 : 보조구획판 72 : 회전축71: auxiliary compartment plate 72: rotation axis

73 : 노브 80 : 에어발생조절부73: knob 80: air generation control unit

81 : 보조하우징 81a : 개방공81: auxiliary housing 81a: open hole

82 : 개폐판 83 : 회전축82: opening and closing plate 83: rotation axis

84 : 노브84 knob

Claims (15)

내부가 비어있고 상방이 개방된 하우징(10);A housing 10 which is empty inside and which is open upward;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에어팬(20);An air fan 20 install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상기 에어팬(20)의 상방인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방에 배치되는 필터(30); 및A filter 30 disposed above the housing 10 which is above the air fan 20; And 상기 필터(3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우징의 상방을 덮어씌우고 표면에 에어토출공(41)이 형성된 커버(40);A cover 40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filter 30 to cover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air discharge hole 41 formed on a surface thereof;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공급장치.Air supply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에어팬(20)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마련되며, 이들 각각의 에어팬(20)을 구획시키기 위해 에어팬(20)들 사이의 하우징(10) 내부에 복수의 에어구획부(50,6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The air fan 20 is provided in pluralit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between the air fan 20 to partition each of the air fan 20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ir compartment (50, 60) is provided in th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에어구획부(5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의 일측 벽면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The through hole 11 is formed on on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which the air compartment 50 is installed, 상기 에어구획부(50)는 하우징(10)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51) 과, 이 구획판(51)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관통공(11)의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10)의 외측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구(52)를 통해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고정판(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The air compartment 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artition plate 51 for partitioning the corresponding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11 to expose the housing.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fixing plate 53 fixed to the housing 10 through a separate fastener 52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10).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에어구획부(50)가 제거된 상태의 하우징(10)의 관통공(11)을 밀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밀폐판(55)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sealing plate (55) for sealing the through hole (11) of the housing 10 in the air compartment 50 is removed.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에어구획부(60)는,The air compartment 60, 상기 하우징(10)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61);A partition plate 61 for partitioning a corresponding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상기 구획판(61)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하우징(10)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회전축(62); 및 A rotation shaft 62 disposed at an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61 and having both ends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10; And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62)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구획판(61)을 축 회전시켜 구획되어 있는 하우징(10)의 양측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노브(63);Knob 63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6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two sides of the housing 10 which is partitioned by rotating the partition plate 61 by the rotation oper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two space parts ;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의 하우징(10) 내부공간에 에어팬(20)으로 부터 발생되는 에어가 필터(30)로 토출 및 토출 차단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에어토출조절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Air discharge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air generated from the air fan 20 in the interior space between the air fan 20 and the filter 30 to discharge and block the discharge to the filter 30 Air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에어토출조절부(70)는,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70, 상기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인 하우징(10)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구획판(71);A plurality of auxiliary compartment plates 71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o partition a corresponding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between the air fan 20 and the filter 30; 상기 각 보조구획판(71)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하우징(10)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회전축(72); 및 A rotation shaft 72 disposed at an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 of each of the auxiliary partition plates 71 and having both ends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10; And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72)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각각의 보조구획판(71)을 축 회전시켜 구획되어 있는 하우징(10)의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노브(73);The air fan 20 of the housing 1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7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partitioned by rotating the respective auxiliary partition plate 71 by a rotation operation. A knob 73 for communicating a space between the filters 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의 하우징(10) 내부공간에 에어팬(20)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가 필터(30)로 토출 및 토출 차단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에어토출조절부(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Air discharge control unit 70 for adjusting the air generated from the air fan 20 in the housing 10 between the air fan 20 and the filter 30 to discharge and block the discharge to the filter 30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에어토출조절부(70)는,The air discharge control unit 70, 상기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인 하우징(10)의 해당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구획판(71);A plurality of auxiliary compartment plates 71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o partition a corresponding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between the air fan 20 and the filter 30; 상기 각 보조구획판(71)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하우징(10)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회전축(72); 및 A rotation shaft 72 disposed at an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 of each of the auxiliary partition plates 71 and having both ends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housing 10; And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72)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각각의 보조구획판(71)을 축 회전시켜 구획되어 있는 하우징(10)의 에어팬(20)과 필터(30) 사이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노브(73);The air fan 20 of the housing 1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7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partitioned by rotating the respective auxiliary partition plate 71 by a rotation operation. A knob 73 for communicating a space between the filters 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에어팬(20)을 덮어씌워 에어팬(20) 자체의 에어 발생량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발생조절부(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The air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generating control unit 80 is further provided to cover the air fan 20 to adjust the air generation amount of the air fan 20 itself.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에어발생조절부(80)는,The air generation control unit 80, 상기 에어팬(20)의 외부를 덮어씌우고 상방이 개방된 개방공(81a)을 갖는 보조하우징(81);An auxiliary housing (81) covering the outside of the air fan (20) and having an open hole (81a) opened upwardly; 상기 보조하우징(81)의 개방공(81a)을 차단하여 이 보조하우징(81) 내부와 외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개폐판(82);An opening and closing plate 82 for blocking an opening 81a of the auxiliary housing 81 to partition an interior and an external space of the auxiliary housing 81; 상기 개폐판(82)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보조하우징(81)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회전축(83); 및 A rotating shaft (83)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2) and having both ends penetrating both side walls of the auxiliary housing (81); And 상기 보조하우징(81)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83)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판(82)을 축 회전시켜 차단되어 있는 보조하우징(81) 내부의 에어팬(20)과 외부의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노브(84);An air fan 20 inside the auxiliary housing 81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8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81 and blocked b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2 by a rotation operation; A knob 84 for communicating an external space por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개폐판(82)은 개방공(81a)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고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조작되어 하우징(10)의 폭 방향에 대한 에어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82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81a) and each is rotated individually to provide a plurality of ai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adjust the amount of air genera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양측 모서리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직각을 이루는 직각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 is an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ght angle structure to form a right angle through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양측 모서리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소정각도 경사진 직경사면(12)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 is an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slope 12 structure inclined a predetermined angle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양측 모서리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 곡률 라운드진 곡면(13)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 is an ai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has a constant curvature rounded curved surface (13) through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090126125A 2009-12-17 2009-12-17 Air supply apparatus KR101107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25A KR101107053B1 (en) 2009-12-17 2009-12-17 Ai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25A KR101107053B1 (en) 2009-12-17 2009-12-17 Air suppl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406A true KR20110069406A (en) 2011-06-23
KR101107053B1 KR101107053B1 (en) 2012-01-30

Family

ID=4440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25A KR101107053B1 (en) 2009-12-17 2009-12-17 Air suppl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0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3476A (en) * 2011-09-29 2012-02-29 黎鑫 Air suspension conveyer
CN112239084A (en) * 2020-10-12 2021-01-19 南京多脉智能设备有限公司 Suspension reversing type high-precision glass panel conveying manipul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538B1 (en) * 2001-11-14 2003-09-19 주식회사 현대특수강 Jig Apparatus for Steel Pipe and Fittings
KR200339636Y1 (en) 2003-10-20 2004-01-24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Transfer equipment rising air that be made flat panel materials
KR100523040B1 (en) * 2003-11-11 2005-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Substrate conveyor
KR100740495B1 (en) * 2005-11-25 2007-07-19 주식회사 태성기연 Air floating apparatus
KR100816392B1 (en) * 2006-04-06 2008-03-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3476A (en) * 2011-09-29 2012-02-29 黎鑫 Air suspension conveyer
CN102363476B (en) * 2011-09-29 2016-01-27 柳州市中晶科技有限公司 Air suspension conveyer
CN112239084A (en) * 2020-10-12 2021-01-19 南京多脉智能设备有限公司 Suspension reversing type high-precision glass panel conveying manip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053B1 (en)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715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of glass panel
KR101152708B1 (en) Transporting apparatus
KR101107053B1 (en) Air supply apparatus
CN110143683A (en) A kind of sewage recycling filter device
KR100713815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of glass panel
JP5615164B2 (en) Air supply device
JP5720061B2 (en) Pressurized floating scum separation treatment device
CN211870749U (en) Glass panel conveying device
KR10072154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of glass panel
KR100432053B1 (en) Drying Apparatus
KR10133082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of glass panel
KR100737420B1 (en) Device for eliminating bubble and sludge of alkali solution
KR101146605B1 (en) Air supplying apparatus
CN105390427A (en) Transportation device and substrate processing device
CN102583054A (en) Air feeder
KR100721939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of glass panel
KR20100105447A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KR102190506B1 (en) Device for measuring water quality blast furnace
KR201301158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KR10064780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of glass panel
WO2016060503A1 (en) Wafer cleaning device
CN105473511B (en) Ultraviolet lamp
JP6962683B2 (en) Board processing equipment
KR101254697B1 (en) Bath for wet treating glass substrate
KR101146611B1 (en) Air suppl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