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853A -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853A
KR20110068853A KR1020100123233A KR20100123233A KR20110068853A KR 20110068853 A KR20110068853 A KR 20110068853A KR 1020100123233 A KR1020100123233 A KR 1020100123233A KR 20100123233 A KR20100123233 A KR 20100123233A KR 20110068853 A KR20110068853 A KR 20110068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bband
channel
subband group
componen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권
권기범
박경민
서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PCT/KR2010/0086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74816A2/ko
Priority to US13/515,705 priority patent/US20120281578A1/en
Publication of KR2011006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29Reduction of the amount of signalling, e.g. retention of useful signalling or differential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반송파 집합화를 통해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널정보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을 생성하는 구성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구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Inform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using The S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반송파 집합화를 통해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단말과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늘어나거나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함에 따라, 하향링크(Downlink)의 채널상태를 알 수 있도록, 단말에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기지국으로 알려주어야만 하는 채널정보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알려주어야 하는 채널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반송파 집합화를 통해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송파를 포함하는 서브밴드들에 대한 그룹을 구성하여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그룹 갱신 요청 및 그룹 갱신을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파 집합화를 통해 채널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백워드 컴패터빌러티(Backward Compatibility)를 보장하는 채널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파 집합화를 통해 채널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제어채널을 간소화하여 전송할 채널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채널정보 수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동일한 채널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와, 각 서브밴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 식별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식별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채널정보 송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한 채널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그룹핑된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로 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동일한 채널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와, 각 서브밴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 식별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식별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을 생성하는 서브밴드 그룹화 관리부,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동일한 채널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와, 각 서브밴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 식별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식별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그룹핑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측정하는 서브밴드 채널정보 측정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상기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로 구성하는 서브밴드 그룹 채널정보 측정부,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송파 집합화를 통해 채널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백워드 컴패터빌러티(Backward Compatibility)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파 집합화를 통해 채널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서브밴드 그룹화를 통해 채널정보를 서브밴드 그룹별로 전송함으로써, 제어채널을 간소화하고,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원요구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전송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화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레벨을 가지는 서브밴드들을 그룹화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에 의한 그룹화된 서브밴드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 의한 그룹화된 서브밴드의 채널정보를 송신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 정보의 전송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의 전송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그룹화된 서브밴드 그룹 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그룹화된 서브밴드의 채널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정보 전송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 (Base Station), WCDMA의 Node-B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Uplink는 단말(10)에 의해 기지국(20)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Downlink는 기지국(20)에 의해 단말(10)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Long-Term Evolution-Advanced, 이하 "LTE-A"라 칭함)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의)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 사용으로 인해 증가하는 채널정보를 줄이기 위한 채널정보 전송 방안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채널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고, 단말(10)이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로 채널정보를 측정하고, 서브밴드별로 측정된 채널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별로 채널정보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서브밴드별로 채널정보(이를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라 함)를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서브밴드 그룹별로 채널정보(이를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라 함)를 송신함으로써, 단말(10)이 상향링크(UL: Uplink)를 통해 기지국(20)으로 알려주기 위해 요구되는 상향링크 자원요구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각 단말(10)은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은 서브밴드별로 측정된 채널정보를 기초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로 그룹화된 서브밴드 그룹별로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요소 반송파 내의 다수의 서브밴드들을 그룹화하거나, 혹은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다수의 서브밴드들을 그룹화하여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송신하는 과정 및 구성을 포함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채널은, 일 예로서, 3GPP LTE/LTE-A에서의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서브밴드별로 측정된 채널정보는, 일 예로서, 채널 품질 지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이하 "CQI"라 칭함),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s, 이하 "PMI"이라 칭함), 랭크 지시자(RI: Rank Indicator, 이하 "RI"라 칭함),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 이하 "SNR"이라 칭함) 및 프레임 에러율(FER: Frame Error Rate)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구현함에 따라 채널의 다양한 특성, 품질들을 측정하거나 혹은 측정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들(일 예로, 채널의 잡음 정도에 대한 지시 정보, 채널에서 발생하는 에러 정보, 채널 상태정보, 또는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 정보 등과 이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지시자))은 본 명세서의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로부터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기초로 서브밴드를 그룹화하여 서브밴드 그룹을 생성하며,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단말(10)로 송신하고, 단말(10)로부터 상기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부터 수신한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토대로 수행하는 "서브밴드 그룹화"는, 다른 요소 반송파에서의 서브밴드를 연결하여 서브밴드 그룹화하는 반송파 간(Inter-Carrier) 서브밴드 그룹화이거나, 동일 요소 반송파에서의 서브밴드를 연결하여 서브밴드 그룹화하는 반송파 내부 간(Intra-Carrier) 서브밴드 그룹화이거나, 반송파 간(Inter-Carrier) 서브밴드 그룹화 및 반송파 내부 간(Intra-Carrier) 서브밴드 그룹화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서브밴드 그룹화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의 서브밴드를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으로 묶는데, 이들 다수의 서브밴드들은 i) 하나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될 수도 있고(Intra-Carrier), ii)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될 수 있고(Inter-Carrier), iii) 이들 두 방식(Intra-Carrier, Inter-Carrier)를 결합한 복합적인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ii), iii)의 경우, 다수의 요소 반송파(Multiple-Carrier)의 채널정보를 송신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서브밴드 그룹화를 통해 얻어진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는, 일 예로서,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와, 각 서브밴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 식별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식별정보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와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기초로 서브밴드 그룹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파라미터가 허용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20)에 송신할 수 있다. 파라미터의 일 실시예는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와 해당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의 차이를 기준으로 산정될 수 있다.
단말(10)이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서브밴드 그룹화 전체 타당성 여부 정보, 허용 값을 초과하는 서브밴드 그룹 리스트 정보 및 서브밴드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서브밴드 그룹별 허용 값 초과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20)은, 이러한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단말(1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한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서브밴드 그룹화를 부분적으로 수행할지 또는 전체적으로 수행할지를 결정하고, 부분적 또는 전체적 서브밴드 그룹화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채널정보 전송을 위해서, 단말(10)은,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측정하는 서브밴드별 채널정보 측정부와, 이렇게 측정된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토대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토대로,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계산하여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 계산부와, 측정된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와 계산된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토대로, 서브밴드 그룹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라미터가 허용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추출된 파라미터가 허용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20)으로 송신하는 서브밴드 그룹 갱신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채널정보 전송을 위해서, 기지국(20)은, 단말(10)로부터 수신한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토대로 서브밴드를 분류하고, 분류된 결과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화하여 서브밴드 그룹을 생성하며, 이러한 서브밴드 그룹화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단말(10)로 송신하는 서브밴드 그룹화 관리부와, 단말(10)로부터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과 기지국(20)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다중 반송파 집합화에 대한 기술을 정의하고 있는 LTE-A에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LTE-A에 적용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정보 전송 방법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LTE에서는 하나의 요소 반송파 또는 요소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UL)와 하향링크(DL)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채널의 구성은,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을 기준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자원 블록은 시간과 주파수의 이차원으로 구성된다. 자원의 사용자별, 서비스별 할당에 관한 제어정보는 서빙 기지국(serving eNB)의 물리계층보다 상위계층에서 결정되어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운용된다.
한편, LTE-A에서는 LTE에서 단일 요소 반송파에 의한 규격이 기본(단위)을 이루고, 20MHz보다 작은 대역을 가진 몇 개의 대역의 결합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는 반면에, 20MHz이상의 대역을 가지는 요소 요소 반송파 대역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LTE-A에서 다중 반송파 집합화(Carrier Aggregation)에 대한 논의는 기본적으로 LTE의 기본규격을 근거로 백워드 컴패터빌러티(Backward Compatibility)를 최대한 고려해 이루어지고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는 5개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반송파 집합화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항 중 중요사항은 요소 반송파의 수가 늘어남에 따른 제어채널의 확장을 어떻게 구성하고 데이터 채널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이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서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 또는 요소 반송파 쌍은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 또는 주 셀(Primary Cell) 또는 서빙 셀(Serving Cell) 또는 특별 셀(Special Cell)이라 지칭되고 있고, 단말(10)에 초기에 접속하여 보안 및 인증정보가 전달받고 이후의 다중 반송파 집합화에 대해 제어되는 요소 반송파가 존재한다.
반송파 집합화에 있어서, 제어채널 설계와 관련되어 여러 가지 고려되고 있는 사항 중에 상향링크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전송과, CQI, PMI 및 RI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채널정보 전송을 고려하고자 한다. 상기 CQI/PMI/RI정보는 상향 제어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다양한 채널상태정보의 일 실시예에서 CQI의 경우를 들어보면, CQI정보는 주기적인 CQI 리포팅 및 비주기적인 CQI 리포팅으로 나누어진다. 비주기적인 CQI 리포팅은, 기지국(20)에 의해 상향링크자원을 할당받은 PUSCH에 의해 전송되는데 전체대역에 대한 궤환, 기지국(20)이 구성한 서브밴드(subband)에 대한 궤환, 단말(10)이 설정한 서브밴드 궤환과 같은 구분으로 CQI정보를 리포팅한다. 서브밴드의 크기는 LTE 시스템이 구성된 시스템 대역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주기적인 CQI 리포팅은 PUCCH에 의해 이루어지면 이 경우에 있어서 PUSCH의 세가지 궤환방식 중 기지국(20)이 구성한 서브밴드에 대한 궤환 리포팅은 지원되지 않는다.
PUCCH에 의한 CQI 정보의 전송의 예를 들면, 2/2a/2b형식을 가지고 4~13비트의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데 리포팅되는 밴드의 형태, MIMO방식의 사용유무, 랭크의 차수, 시스템의 CP길이등에 따라 적절한 형식에 맞춰 CQI를 리포팅한다.
상기 채널정보 또는 채널 상태정보의 일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구현함에 따라 채널의 다양한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채널의 특성, 품질들을 측정하거나 혹은 측정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들은 모두 본 명세서의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정보 전송 방법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DL: Downlink)에 대하여 M개의 하향링크 요소 요소 반송파(DL CC: Downlink Component Carrier, 이하 "DL CC"라 칭함)를 갖고, 상향링크(UL: Uplink)에 대하여 N개의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UL CC: Uplink Component Carrier, 이하 "UL CC"라 칭함)를 갖는 것을 가정한다. 언급한 요소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복수 개의 요소 반송파를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DL CC는, PDSCH와 같은 데이터채널을 포함한다. 한편, 각 DL CC는, PDCCH와 같은 제어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모든 DL CC 중, 모든 DL CC에 제어채널이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의 DL CC에만 PDCCH와 같은 제어채널이 포함될 수도 있다.
각 UL CC는 PUSCH와 같은 데이터채널을 포함한다. 한편, 각 UL CC는, PUCCH와 같은 제어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모든 UL CC 중, 모든 UL CC에 제어채널이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의 UL CC에만 PUCCH와 같은 제어채널이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전체 DL CC 중 일부는 PDCCH와 같은 제어 채널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체 UL CC 중 일부는 PUCCH와 같은 제어 채널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정보 전송 방법에서는, 상향으로 리포팅되는 단위인 서브밴드(SB: Sub-Band)를 요소 반송파 내부 간(Intra-Carrier) 및 요소 반송파 간(Inter-Carrier)간 연결하여 "서브밴드 그룹(Sub-Band Group)"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화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DL CC #1에서의 서브밴드 1-1(SB 1-1)과, DL CC #2에서의 서브밴드 2-1(SB 2-1) 및 서브밴드 2-2(SB 2-2)와, DL #M에서의 서브밴드 M-1(SB M-1)를 동일한 서브밴드 그룹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DL CC #2에서의 서브밴드 2-3(SB 2-3)은 다른 DL CC와 서브밴드 그룹화되지 않는 서브밴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의하는 서브밴드 그룹은 LTE/LTE-A에서 정의되는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CQI/PMI/RI정보와 같은 채널정보의 단위가 되는 서브밴드의 정의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형태가 된다.
상기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구현함에 따라 채널의 다양한 특성, 품질들을 측정하거나 혹은 측정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들은 모두 본 명세서의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서브밴드 그룹은 하나의 특정 채널정보의 값으로 대표되거나 리포팅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한다.
요소 반송파 내에서 서브밴드 그룹을 이루지 않는 서브밴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것은 그룹의 서브밴드 개수가 1개인 특별한 서브밴드 그룹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반송파 집합화의 각 요소 요소 반송파의 서브밴드의 개수는 모두 각각의 반송파 집합에 대해 동일할 수도 있지만 다르게 구성될 수 있고 이것은 각 요소 반송파가 가지는 채널의 특성의 단말(10)별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서브밴드 그룹화는 각 요소 반송파별로 균일하게 수집하게 구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서브밴드 그룹의 하나의 요소 반송파 전체가 서브밴드로 정의될 수 있다.
서브밴드를 그룹화시키는 서브밴드 그룹화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각 요소 반송파별 또는 요소 반송파 내부별 상향으로 리포트되는 서브밴드 단위로 서브밴드를 구분한다. 서브밴드들은 채널의 상태가 준안정적인 상황(Semi-Static)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서브밴드와 채널의 상태가 시간에 대해 비교적 급하게 변하는 서브밴드로 구분한다. 또한, 각 구분에서 채널의 SNR이 상대적으로 높은 채널과 낮은 채널을 구분한다. 안정적이면서 비슷한 SNR 레벨을 갖는 서브밴드별로 그룹화하고 불 안정적이면서 비슷한 SNR레벨을 갖는 서브밴드별로 그룹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레벨을 가지는 서브밴드들을 그룹화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L CC #1 및 DL CC #2로 표시되는 두 개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로, DL CC #1는 서브밴드 0 내지 9로 표시되는 10개의 서브밴드를 포함하고, DL CC #2는 서브밴드 0 내지 4로 표시되는 5개의 서브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로부터 피드백 또는 리포트된 DL CC #1 및 DL CC #2의 각 서브밴드별 채널정보, 예를 들어 SNR 레벨을 수신한 후 도 4와 같이 SNR 레벨이 동일한 서브밴드들을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CC #1의 서브밴드 9와 DL CC #2의 서브밴드 0은 SNR 레벨이 "1"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서브밴드 그룹으로 서로 다른 요소 반송파의 서브밴드들을 그룹화한다.
다른 예를 들어, CC #1의 서브밴드 3과 6은 SNR 레벨이 "3"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서브밴드 그룹으로 동일 요소 반송파의 서브밴드들을 그룹화한다. 도 4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CC #1의 서브밴드 3과 6 및 DL CC #2의 서브밴드 3은 SNR 레벨이 "3"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요소 반송파의 서브밴드와 서로 다른 요소 반송파의 서브밴드들을 혼합하여 하나의 서브밴드 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CC #1의 서브밴드 8과 같이 특정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서브밴드가 존재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정보 전송을 위한 기지국(20)와 단말(10)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각각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에 의한 그룹화된 서브밴드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초기 동작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에서 측정된 요소 반송파별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단말(10)로부터 수신한다(S500).
이후, 기지국(20)은 수신한 요소 반송파별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토대로 요소 반송파 별 서브밴드를 분류한다(S502).
이러한 분류 결과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화를 결정한다(S5404). 결정된 서브밴드 그룹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i) 하나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될 수도 있고(Intra-Carrier), ii)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될 수 있고(Inter-Carrier), iii) 이들 두 방식(Intra-Carrier, Inter-Carrier)를 결합한 복합적인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서브밴드 그룹화는, 상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부하를 줄이면서 하향링크 용량의 저하가 적을 것으로 판단되는 서브밴드 그룹을 각 단말(10)에 대하여 결정한다. 이것은 단말(10)의 전체 밴드에 대해서 이루어질 필요가 없으며 특정밴드에 대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밴드 그룹이 이루어진 관계를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이를 "제어정보 A"라 함)의 형태로 하향링크로 단말(10)에게 전달한다. 전술한 제어정보 A라고도 하는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는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서브밴드를 각 요소 반송파별로 묶어 그룹화한 정보로 구성된다. 또는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묶어 그룹화한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결정된 서브밴드 그룹화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단말(10)로 송신한다(S506). 이와 같이,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단말(10)로 송신한 이후,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에 따른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단말(10)로부터 수신한다(S508). 이때 서브밴드 그룹을 구성하지 않는 서브밴드들은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단말(10)로부터 수신한다.
만약, 단말(10)로부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서브밴드 그룹 갱신 여부를 결정하여, S502 단계 이후부터, 부분적 또는 전체적 서브밴드 그룹 갱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로부터 기지국(20)은 어느 서브밴드 그룹에서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등)의 차이가 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로 서브채널 그룹화를 부분적으로 또는 초기화 상태와 같이 전체적으로 갱신할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는 갱신되고 제어정보 A의 형태인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단말(10)에 알려진다.
상기 채널정보 또는 채널 상태정보의 일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구현함에 따라 채널의 다양한 상태 정보, 예를 들어, 특성, 품질들을 측정하거나 혹은 측정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들은 모두 본 명세서의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서브밴드 그룹은 하나의 특정 채널정보의 값으로 대표되거나 리포팅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한다. 기지국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는 도 5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 의한 그룹화된 서브밴드의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밴드 그룹화를 진행하기 전 초기 상태에서, 단말(10)은 요소 반송파별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를 측정한다(S600). 이후, 단말(10)은 측정된 요소 반송파별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기지국(20)로 송신한다(S602). 초기 상태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규칙이나 단말(10)의 이전 접속기록, 다른 기지국부터 수신된 정보, 다른 단말(10)로부터 수집된 정보, 단말(10)의 초기 램핑(Ramping) 과정의 정보 등을 이용해서 서브밴드 그룹화를 시작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서브밴드 결정블록에서부터 기지국(20)의 단말(10)로의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이후, 단말(10)은 기지국(20)로부터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S604), 만약 수신되면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계산하고(S606), 계산된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기지국(20)로 송신한다(S608). 수신된 서브밴드 그룹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i) 하나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될 수도 있고(Intra-Carrier), ii)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될 수 있고(Inter-Carrier), iii) 이들 두 방식(Intra-Carrier, Inter-Carrier)를 결합한 복합적인 방식일 수 있다.
단말(10)은 이러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초기 요소 반송파별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정보)를 송신하는 대신, 새롭게 구성된 서브밴드 그룹에 기초하여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구현함에 따라 채널의 다양한 상태 정보, 예를 들어 특성, 품질들을 측정하거나 혹은 측정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들은 모두 본 명세서의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서브밴드 그룹은 하나의 특정 채널정보의 값으로 대표되거나 리포팅 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한다.
단말(10)은, S606 단계에서 계산된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와, S600 단계에서 측정된 요소 반송파별 서브밴드별 채널정보를 비교하여, 서브밴드 그룹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를 추출한다(S610). 여기서, 추출된 파라미터는, 600 단계에서 측정된 요소 반송파별 서브밴드별 채널정보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정보)를 송신하지만, 형성된 서브밴드 그룹에 대해서, 요소 반송파 별 서브밴드별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정보)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정보)와 비교하여 두 정보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 갱신 여부를 판단하여 기지국(20)으로 알려줄 수 있다.
단말(10)은, 추출된 파라미터와 허용 값(Tolerance)을 비교하여(S612), 파라미터가 허용 값을 초과하면, 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이 현재 채널 상태와는 맞지 않다고 판단하여,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한다(S614).
예를 들어, 두 정보의 차이가 정해진 임계값(즉, 허용 값)을 초과하는 경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이를 제어정보 B라고도 함)를 통해 기지국(20)에게 알린다. 이러한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CQI/PMI/RI뿐만 아니라 서브밴드 그룹과 연계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검출 가능한 ACK/NAK정보에 의해 계산되는 FER(Frame Error Rate) 값으로도 결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채널의 다양한 상태 정보, 예를 들어, 특성, 품질들을 측정하거나 혹은 측정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들은 모두 본 명세서의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서브밴드 그룹은 하나의 특정 채널정보의 값으로 대표되거나 리포팅 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단순히 서브밴드 그룹의 유효성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어느 서브밴드 그룹의 어느 서브밴드가 얼마만큼의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등)가 나는지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라미터가 허용 값 이하로 판단되면, 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이 현재 채널 상태와는 맞다고 판단되어 S606 단계 이후 단계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기지국으로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송신한다. 단말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는 도 6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제어정보 A의 형태인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와, 전술한 제어정보 B의 형태인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일 예로서, 도 7과 도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 정보의 전송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정보 A의 형태인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는,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가 서브밴드 그룹이 새롭게 생성된 경우와 서브밴드 그룹이 해제되는 경우에 따라서, 그 구성이 도 7의 (a) 및 도 7의 (b)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서브밴드 그룹이 새롭게 생성되는 경우의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는, 서브밴드 그룹의 생성을 나타내는 생성코드를 나타내는 부분과, 새롭게 구성되는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를 알려주는 부분과, 각 서브밴드 그룹 및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식별정보(번호)를 알려주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서브밴드 그룹이 해제되는 경우의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는, 서브밴드 그룹의 해제를 나타낸 해제코드를 나타낸 부분과, 해제하는 서브밴드 그룹 및 이러한 해제하는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에 대한 식별정보(번호)를 알려주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의 전송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정보 B의 형태인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전체 서브밴드 그룹화의 타당성 여부를 알려주는 도 8의 (a)와 형식과, 서브밴드 그룹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가 허용 값을 초과하여 문제가 되는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 리스트를 알려주는 도 8의 (b)형식과, 문제가 되는 서브밴드 그룹 리스트와 함께, 파라미터가 허용 값을 초과하는 초과분을 전달하는 (c)형식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정보 A의 형태인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와, 제어정보 B의 형태인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기존의 LTE 규격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제어정보로서 이의 전달을 위해서는 새로운 제어채널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어채널은 서브채널그룹의 갱신이 느리게 이루어지는 응용에서는 상위계층의 시그널링으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빠른 갱신을 위한 응용에서는 실제 물리계층에서 정의되는 새로운 채널의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리포트되는 CQI/PMI/RI정보 등을 포함하는 채널정보를 서브밴드 그룹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20)와 단말(10)의 연결 동작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서브밴드 그룹화를 진행하기 전 초기 상태에서, 단말(10)은 기지국(20)으로 각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를 전송한다(S602).
기지국(20)은 단말(10)로부터 각 요소 반송파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정보)를 서브밴드별로 수신하고 서브밴드별 채널특성을 분류하여 서브밴드 그룹화한다(S500, S502, S504). 기지국(20)은 서브밴드 그룹이 이루어진 관계를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이를 "제어정보 A"라 함)의 형태로 하향링크로 단말(10)에게 전달하고 단말(10)은 서브밴드 그룹이 이루어진 관계를 포함하는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수신한다(S506, S604).
단말(10)은 이러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초기 요소 반송파별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정보)를 송신하는 대신, 새롭게 구성된 서브밴드 그룹에 기초하여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송신한다(S608).
서브밴드 그룹별로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정보)를 송신하지만, 형성된 서브밴드 그룹에 대해서, 요소 반송파 별 서브밴드별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정보)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정보)와 비교하여 두 정보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 갱신 여부를 판단하여 기지국(20)로 알려줄 수 있다(S610, 612, 614). 예를 들어, S612 단계에서 두 정보의 차이가 정해진 임계값(즉, 허용 값)을 초과하는 경우, S614 단계에서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이를 제어정보 B라고도 함)를 통해 기지국(20)에게 송신한다.
이러한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로부터 기지국(20)은 어느 서브밴드 그룹에서 채널정보(일 실시예: CQI/PMI/RI 등)의 차이가 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로 서브채널 그룹화를 부분적으로 또는 초기화상태와 같이 전체적으로 갱신할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는 갱신되고 제어정보 A의 형태인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단말(10)에 알려진다(S510).
본 명세서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리포트되는 채널정보를 서브밴드 그룹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20)와 단말(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그룹화된 서브밴드 그룹 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경우, 서브밴드 그룹화를 관리하는 모듈(서브밴드 그룹화 관리부, 910)와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920)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밴드 그룹화 관리부(9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밴드들로 구성된 서브밴드 그룹을 생성하며, 송수신부(9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채널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서브 밴드는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브밴드 그룹은 동일한 채널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와, 각 서브밴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 식별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식별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이 별도의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송수신부(920)가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브밴드 그룹화 관리부(910)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을 갱신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송수신부(920)가 상기 갱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그룹화된 서브밴드의 채널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그룹핑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04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측정하는 서브밴드 채널정보 측정부(1010),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상기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로 구성하는 서브밴드 그룹 채널정보 측정부(1020),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10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측정하는 서브밴드 그룹 채널정보 측정부(1020)는, 상기 서브밴드 채널정보 측정부(1010)와 동일한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밴드 채널정보 측정부(1010)의 기능을 제공하는 서브밴드 그룹 채널정보 측정부(102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측정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밴드 채널정보 측정부(1010)가 측정한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서브밴드 그룹 채널정보 측정부(1020)가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갱신 파라미터 추출부(10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신 파라미터 추출부(1030)는 상기 서브밴드 채널정보 측정부(1010)에서 측정한 채널정보와 상기 서브밴드 그룹 채널정보 측정부(1020)에서 측정한 상기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기초로 서브밴드 그룹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를 추출하게 되며, 상기 송신부(1050)는 상기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값을 초과할 경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 10에서 서브밴드 그룹이 이루어진 관계를 포함하는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앞서 살펴본 "제어정보 A", 도 7의 실시예)는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서브밴드를 각 요소 반송파별로 묶어 그룹화한 정보로 구성된다. 또는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묶어 그룹화한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의 일 실시예는 도 7의 (a)와 같이 서브밴드 그룹의 생성의 경우, 서브밴드 그룹의 생성을 나타내는 생성코드,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와, 각 서브밴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 식별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식별정보(번호)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 (b)와 같이 서브밴드의 그룹이 해제되는 경우, 서브밴드 그룹의 해제를 나타내는 해제코드, 해제하는 서브밴드 그룹 및 이러한 해제하는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에 대한 식별정보(번호)를 알려주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10에서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앞서 살펴본 "제어정보 B", 도 8의 실시예)는 CQI/PMI/RI뿐만 아니라 서브밴드 그룹과 연계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검출 가능한 ACK/NAK정보에 의해 계산되는 FER(Frame Error Rate) 값으로도 결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채널의 다양한 상태 정보, 예를 들어, 특성, 품질들을 측정하거나 혹은 측정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들은 모두 본 명세서의 채널정보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서브밴드 그룹은 하나의 특정 채널정보의 값으로 대표되거나 리포팅 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한다. 상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앞서 도 8의 (a)와 같이 서브밴드 그룹화의 타당성 여부를 알려주거나, 도 8의 (b)와 같이 서브밴드 그룹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가 허용 값을 초과하여 문제가 되는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 리스트를 알려주거나, 혹은 도 8의 (c)와 같이 문제가 되는 서브밴드 그룹 리스트와 함께, 파라미터가 허용 값을 초과하는 초과분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 10의 서브밴드 그룹은 i) 하나의 요소 반송파의 서브 밴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Intra-Carrier), ii)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서브밴드를 포함할 수 있고(Inter-Carrier), iii) 이들 두 방식(Intra-Carrier, Inter-Carrier)를 결합한 복합적인 방식일 수 있다.
도 9, 10의 제어채널의 일 실시예는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채널정보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채널의 품질 지시 정보(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랭크 지시자(RI), 채널의 잡음 정도에 대한 지시 정보, 채널에서 발생하는 에러 정보, 채널 상태정보, 또는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동일한 채널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와, 각 서브밴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 식별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식별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수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제 1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와 제 2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들의 하향 링크 채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수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 또는 제 2 요소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수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수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채널의 품질 지시 정보(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랭크 지시자(RI), 채널의 잡음 정도에 대한 지시 정보, 채널에서 발생하는 에러 정보, 채널 상태정보, 또는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채널정보 수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을 갱신한 서브밴드 그룹 리스트를 포함하는 서브밴드 그룹 갱신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이 새롭게 생성되거나 해제됨을 지시하는 생성/해제코드를 나타내는 부분과, 상기 새롭게 구성되거나 해제되는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를 알려주는 부분과, 상기 새롭게 구성되거나 해제되는 각 서브밴드 그룹 및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식별정보(번호)를 알려주는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수신 방법.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의한 채널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그룹핑된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로 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동일한 채널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와, 각 서브밴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 식별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식별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송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제 1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와 제 2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들의 하향 링크 채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송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 또는 제 2 요소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송신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송신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채널의 품질 지시 정보(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랭크 지시자(RI), 채널의 잡음 정도에 대한 지시 정보, 채널에서 발생하는 에러 정보, 채널 상태정보, 또는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채널정보 송신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 중에서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서브밴드별 채널정보와 상기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기초로 서브밴드 그룹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값을 초과하는 경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이 새롭게 생성되거나 해제됨을 지시하는 생성/해제코드를 나타내는 부분과, 상기 새롭게 구성되거나 해제되는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를 알려주는 부분과, 상기 새롭게 구성되거나 해제되는 각 서브밴드 그룹 및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식별정보(번호)를 알려주는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정보 전송 방법.
  13.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을 생성하는 서브밴드 그룹화 관리부; 및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동일한 채널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생성된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와, 각 서브밴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 식별정보와,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위한 서브밴드 식별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제 1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와 제 2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들의 하향 링크 채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 또는 제 2 요소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채널의 품질 지시 정보(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랭크 지시자(RI), 채널의 잡음 정도에 대한 지시 정보, 채널에서 발생하는 에러 정보, 채널 상태정보, 또는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브밴드 그룹화 관리부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을 갱신한 서브밴드 그룹 리스트를 포함하는 서브밴드 그룹 갱신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이 새롭게 생성되거나 해제됨을 지시하는 생성/해제코드를 나타내는 부분과, 상기 새롭게 구성되거나 해제되는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를 알려주는 부분과, 상기 새롭게 구성되거나 해제되는 각 서브밴드 그룹 및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식별정보(번호)를 알려주는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에 대한 그룹핑된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측정하는 서브밴드 채널정보 측정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채널정보를, 상기 서브밴드 그룹화 정보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로 구성하는 서브밴드 그룹 채널정보 측정부;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대응하는 각 서브밴드의 그룹별 채널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그룹은 제 1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와 제 2 요소 반송파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들의 하향 링크 채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반송파 또는 제 2 요소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채널의 품질 지시 정보(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랭크 지시자(RI), 채널의 잡음 정도에 대한 지시 정보, 채널에서 발생하는 에러 정보, 채널 상태정보, 또는 채널의 품질을 측정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밴드 채널정보 측정부에서 측정한 채널정보와 상기 서브밴드 그룹 채널정보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서브밴드 그룹별 채널정보를 기초로 서브밴드 그룹 갱신을 위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갱신 파라미터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송신부는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며,
    상기 서브밴드 그룹 갱신 요청 정보는, 상기 서브밴드 그룹이 새롭게 생성되거나 해제됨을 지시하는 생성/해제코드를 나타내는 부분과, 상기 새롭게 구성되거나 해제되는 서브밴드 그룹의 전체 개수를 알려주는 부분과, 상기 새롭게 구성되거나 해제되는 각 서브밴드 그룹 및 각 서브밴드 그룹에 포함된 서브밴드를 식별하기 식별정보(번호)를 알려주는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00123233A 2009-12-15 2010-12-06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 KR20110068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8685 WO2011074816A2 (ko) 2009-12-15 2010-12-07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
US13/515,705 US20120281578A1 (en) 2009-12-15 2010-12-07 Method for transceiving channel information, and terminal and base station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441 2009-12-15
KR20090124441 2009-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853A true KR20110068853A (ko) 2011-06-22

Family

ID=4440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233A KR20110068853A (ko) 2009-12-15 2010-12-06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81578A1 (ko)
KR (1) KR201100688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140A (ko) * 2013-03-07 201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관련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333B1 (ko) * 2013-01-31 2019-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개선된 네트워크 코딩 방법 및 장치
CN105264802B (zh) 2013-09-04 2020-01-3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测量方法、终端设备及基站
CN107852295B (zh) * 2015-04-10 2021-04-3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上行链路控制信道传输的方法和装置
CN113194514A (zh) * 2015-10-13 2021-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子带切换的方法、设备及系统
CN108282807B (zh) * 2017-01-06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质量信息的测量、选择和上报方法及装置
WO2019004881A1 (en) * 2017-06-27 2019-0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EEDBACK SIGNALING FORMAT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461B1 (ko) * 2003-07-3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50028354A (ko) * 2003-09-17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동적 채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0929094B1 (ko) * 2003-09-20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동적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1611290B1 (ko) * 2008-12-29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전송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cqi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140A (ko) * 2013-03-07 201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관련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1578A1 (en)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7016B2 (en) Method of determining modulation order and transport block size in downlink data channel, and apparatus thereof
JP7132329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6125596B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1497004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0254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QI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46853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938505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80115387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1066358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1149398B (zh) 终端、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EP3614598A1 (en)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2753239A (zh) 用户终端
KR20110068853A (ko)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
US10952233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210144738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base station
CN111492685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2023089241A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KR101878125B1 (ko)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의 변조 오더 및 전송 블록 크기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368523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424972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7320841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EP3780720A1 (en) User terminal and wireless base station
KR2011006885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구성 방법과 구성된 자원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074816A2 (ko) 채널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기지국
JP2019149759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