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144A -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 Google Patents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144A
KR20110068144A KR1020090124988A KR20090124988A KR20110068144A KR 20110068144 A KR20110068144 A KR 20110068144A KR 1020090124988 A KR1020090124988 A KR 1020090124988A KR 20090124988 A KR20090124988 A KR 20090124988A KR 20110068144 A KR20110068144 A KR 2011006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dha
livestock
turke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진
Original Assignee
이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진 filed Critical 이경진
Priority to KR102009012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8144A/ko
Publication of KR2011006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량의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를 공급한 가축은 육질, 우유 또는 계란 등에 인체에 유용한 DHA가 축적되는 효과가 있다.
칠면초, 사료, 계란, 우유, DHA

Description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Animal feed compring Suaeda japonica}
본 발명은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칠면초(七面草, Suaeda japonica)는 한국 및 일본의 바닷가에서 군생하는 한해살이풀로서 높이는 약 15∼50㎝이다. 가지가 윗부분에서 많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줄모양이나 거꿀달걀꼴로 처음에 녹색이었다가 나중에 자색으로 변하고 길이 5∼35㎜, 나비 2∼4㎜이다. 꽃은 8∼9월에 녹색으로 피며, 2∼10개의 암, 수꽃이 섞여 있고 잎겨드랑이에 많이 달린다. 열매는 포과로, 9∼10월에 익으며 작은 포에 싸이고, 씨방에는 종자가 1개 있으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이러한 칠면초와 관련된 특허문헌으로는 특허문헌 1, 2 및 3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칠면초로부터 색소를 추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서는 양파와 칠면초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칠면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용 액상 조성물을 개 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어떠한 문헌에도 칠면초를 가축용 사료로 사용한 기록은 없다.
특허문헌 1: 한국특허 제10-0671318호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2009-0077478호
특허문헌 3: 한국특허 제10-0724705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칠면초의 새로운 용도를 광범위하게 연구한 결과, 칠면초에 DHA가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를 가축에게 급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축용 사료는 유효량의 칠면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료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소, 돼지, 또는 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료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칠면초가 세절된 형태 또는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료에 있어서, 가축이 소인 경우, 상기 사료의 투여량이 1일 200g이상이고, 가축이 닭인 경우, 상기 사료의 투여량이 1일 공급되는 사료에 대하여 1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를 공급한 가축은 육질, 우유 또는 계란 등에 인체에 유용한 DHA가 축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칠면초(七面草, Suaeda japonica)는 한국 및 일본의 바닷가에서 군생하는 한해살이풀로서 높이는 약 15∼50㎝이다. 가지가 윗부분에서 많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줄모양이나 거꿀달걀꼴로 처음에 녹색이었다가 나중에 자색으로 변하고 길이 5∼35㎜, 나비 2∼4㎜이다. 꽃은 8∼9월에 녹색으로 피며, 2∼10개의 암, 수꽃이 섞여 있고 잎겨드랑이에 많이 달린다. 열매는 포과로, 9∼10월에 익으며 작은 포에 싸이고, 씨방에는 종자가 1개 있으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또한, DHA (Docosahexaenoic acid)는 고도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으로 두뇌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DHA는 수산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참치·방어·고등어·꽁치·정어리 등에 많다. 1989년에 영국의 뇌영양 화학연구소의 마이클 클로포드 교수가 일본 어린이의 지능이 높은 것은 DHA가 풍부한 생선을 많이 먹기 때문이라고 발표한 이래로, 달걀·된장·엿·초콜릿·분유·유산음료 등 DHA가 함유된 식품이나 DHA를 첨가한 영양보조식품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DHA를 이용한 유아의 지능발달, 노인성 치매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관심 역시 늘고 있다. 칠면초에 DHA가 함유되어 있다는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칠면초의 새로운 용도를 연구하였고, 특히 사료로서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소, 닭, 돼지 등과 같은 가축에게 칠면초가 함유된 사료로 공급하여 상기 가축들의 육질 및 영양성분을 검토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와 같이 몸집이 큰 가축인 경우는 칠면초를 하루에 200g 이상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를 가축에게 공급한 경우에, 원하는 양의 DHA가 가축에 축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닭과 같이 몸집이 작은 가축인 경우는 하루 공급 또는 섭취하는 사료에 대하여 1중량% 이상만을 공급하여도 DHA가 계란 등에 축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칠면초는 가축에 적절히 세절된 형태 또는 분말형태로 공급될 수 있고, 단독 또는 다른 사료 성분과 함께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공시동물
칠면초를 이용한 DHA 함유 축산물을 생산하는 시험을 하기 위하여 홀스타인종 유우 10두 (평균 1일 산유량 20∼25㎏, 연령 3∼5세), 한우 5두 (거세 숫소, 생체중 700㎏, 20개월령), 육우 암소 5두 (연령 17개월, 생체중 500㎏), 요크셔종 돼 지 10두 (생체중 90㎏, 연령 5개월), 닭 재래 교잡종 30수 (10개월령, 생체중 2㎏)를 공시동물로 사용하였다.
실험방법
인천광역시 신공항 주변에 갯벌 매립지에서 칠면초를 채취하여 건조 분쇄한 후 수분 약 20% 이하의 칠면초 분말을 돼지 10두, 닭 30두에 투여하였으며, 유우, 한우, 및 육우에는 컷터기를 이용하여 세절한 후 중량을 측정하여 투여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칠면초는 성분검사를 위하여 3곳의 갯벌 흙 300g씩을 칠면초의 뿌리 부근까지의 갯벌을 채취하여 인천광역시 농업기술센터 토양분석실에 의뢰하여 갯벌의 염분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갯벌의 염분함량과 칠면초 내에서의 조지방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갯벌이 매립된 후, 자연적인 현상(강우)으로 갯벌의 염분농도가 낮아지면서 칠면초의 분포는 없어지며 갯벌의 염도가 높을수록 칠면초 내의 조지방 성분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 예 2
한우 소고기에서의 DHA 측정시험
한우 거세우 5두를 1일 칠면초 100g 1두, 150g 2두, 200g 1두, 300g 1두를 3개월간 급여한 후, 도축하여 등심 100g을 샘플 채취하여 DHA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1일 투여량 150g 이하에서는 미검출되었고, 200g 투여우에서는 100g당 14.25㎎, 300g 투여우에서는 등심 100g 당 28.02㎎의 DHA가 함유되었다.
육우 5두에서도 한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200g 이하 투여우 군 3 두에서는 DHA 함유량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200g 이상 투여우군에서 200g 투여우 1등심 100g당 14.81㎎, 300g 투여우에서 35.63㎎의 DHA 함유량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3
평균 산유량이 1일 25㎏인 동일한 유우 10두를 선발하여 1일 칠면초 함유량 100g 2두, 150g 2두, 200g 2두, 250g 2두, 300g 2두를 1개월간 투여한 후, 우유 100㎖씩을 샘플 채취하여 시험결과 1일 250g 이하 우군에서는 DHA 함유량이 미검출되었고, 300g 투여우군 2두에서는 우유 100㎖중 6.46㎎, 7.85㎎의 DHA를 함유하고 있었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4
계란에서의 DHA 함유량 측정실험
닭고기 및 계란내에서의 DHA 함유량 측정을 위하여 산란중인 재래 토종닭 30수를 선발하여 산란계용 배합사료에 1%의 농도로 칠면초 분말을 혼합하여 자유 급식한 후, 3일에 계란 1개씩을 채취하여 DHA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실험성적을 나타냈다. 3일에 채취된 계란 100g내에서는DHA 함유량이 미검출되었고 6일에 채취된 계란 내에서 42.67㎎, 9일에 채취된 63.92㎎, 12일 채취된 계란 226.23㎎, 15일에 채취된 계란 228.15㎎의 DHA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5
닭고기에서의 DHA 함유량 측정실험
닭고기내에서의 DHA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15일간 사육된 산란계 5수를 선발하여 도계한 후, 가슴살 50g씩, 닭다리살 50g씩을 샘플 채취하여 DHA 측정 시험 결과 미량의 DHA가 검출되었다.
상기 실시 예 2 및 3으로부터, 소고기 및 우유에서의 DHA 함유량은 인체건강 향상 또는 브랜드로서의 객관적인 실험성적을 인정할 수 없으나, 반추동물에서도 칠면초를 투여한 후, 일정 기간이지나면 DHA가 축적될 수 있다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더욱이, 향후 칠면초의 투여량을 증가하고, 투여기간을 장기화할 경우, 기대할만한 DHA의 축적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실시 예 4로부터, 계란 내에서의 DHA함유량은 세계보건기구 어린이 일일 권장량 250㎎에도 달하는 매우 만족할 결과를 얻었다. 아울러, 실시 예 5로부터, 산란계육에서의 DHA 함유량이 미량 검출된 것은 계란으로의 DHA 이행이 상당하다는 결론을 얻고 향후 육계의 시험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도 1은 갯벌의 염분함량과 칠면초 내에서의 조지방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라 한우에 칠면초의 1일 투여량에 따른 등심의 DHA 함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라 유우에 칠면초의 1일 투여량에 따른 우유의 DHA 함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 따라 닭에 칠면초 분말의 1일 투여량에 따른 계란의 DHA 함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유효량의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축이 소, 돼지, 또는 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료가 칠면초가 세절된 형태 또는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축이 소인 경우, 상기 사료의 투여량이 1일 200g이상이고, 가축이 닭인 경우 상기 사료의 투여량이 1일 공급되는 사료에 대하여 1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KR1020090124988A 2009-12-15 2009-12-15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KR20110068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988A KR20110068144A (ko) 2009-12-15 2009-12-15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988A KR20110068144A (ko) 2009-12-15 2009-12-15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144A true KR20110068144A (ko) 2011-06-22

Family

ID=4440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988A KR20110068144A (ko) 2009-12-15 2009-12-15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81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88B1 (ko) * 2012-09-12 2014-06-17 문향분 밀웜과 동애등에를 포함하는 관상어 사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88B1 (ko) * 2012-09-12 2014-06-17 문향분 밀웜과 동애등에를 포함하는 관상어 사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112B1 (ko) 한약재박과 식이유황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Keshavarz et al.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tioxidant stabil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nettle (Urtica dioica. L) powder or essential oil
Karadağoğlu et al.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and breast meat of quails fed diets containing black cumin (Nigella sativa L.) and/or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seeds as unsaturated fatty acid sources
Oluwafemi et al.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and garlic (Allium sativum) oil (GGO) mixtures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aution of broiler chickens
Cordova-Torres et al. Meat and milk quality of sheep and goat fed with cactus pear.
CN106879749A (zh) 包含dha和epa的有机乳液
Alkuraieef et al. Proximate chemical composition and lipid profile of Indian mackerel fish
JP2004141145A (ja) 飼料用添加物
Moses et al. Composition of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plant harvested from the volta lake in ghana and its potential value as a feed ingredient in rabbit rations
Seden et al. EFFECT OF ORIGANUM VULGARE AS A FEED ADDITIVE ON GROWTH PERFORMANCE, FEED UTILIZATION AND WHOLE BODY COMPOSI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INGERLINGES CHALLENGED WITH PATHOGENIC Aeromonas hydrophila.
KR20110068144A (ko) 칠면초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KR101341991B1 (ko)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De la Vega et al.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and adipose tissues of organic and conventional Blanca Andaluza suckling kids
Mardewi et al. Supplementation of Moringa (Moringa oliefera) powder into ration in increasing the quality of broiler’s meat
Rembiałkowska et al. Organic food quality and impact on human health
Pavlovski et al.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meat between naked neck and two commercial broiler chicken breeds
Islam et al. Efficacy as a growth promoter of Tulsi leaves extract in broiler production with carcass characteristics and hematological profile
JP5662178B2 (ja) 抗酸化組成物
Libatique Growth Performance, Blood Dynam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ilers Fed with Madre de Agua (Trichanthera gigantea) Leaf Meal
El Tazi et al. Response of broiler chicks to diets supplemented with garlic essential oil as natural growth promoter
Nickolova et al. Influence of Tribulus terrestris extract supplementation on laying productivity and eggs quality in Japanese quails
Robert et al. Improvement of growth performance and meat sensory attributes through use of dried goat rumen contents in broiler diets
Bharambe et al. Effect Trigonella foenumgraecum and Tinospora cordifolia feed additives on carcass traits of broilers in Konkan Climatic Conditions of India
Ubiogoro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sensory parameters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fed with a sublethal dose of neem leaf extract, and its antibacterial ef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