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076A - 랩온어칩 - Google Patents

랩온어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076A
KR20110068076A KR1020090124910A KR20090124910A KR20110068076A KR 20110068076 A KR20110068076 A KR 20110068076A KR 1020090124910 A KR1020090124910 A KR 1020090124910A KR 20090124910 A KR20090124910 A KR 20090124910A KR 20110068076 A KR20110068076 A KR 20110068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receptor
chip
lab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582B1 (ko
Inventor
이경희
손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5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7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icrofluidic devices, e.g. used for lab-on-a-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stream of discrete samples flowing along a tube system, e.g. flow injection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01L2200/027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for microfluid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온어칩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구성된 미세 채널을 이용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이 포함된 시료를 투입한 후 미세 채널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생화학 물질과 반응하는 수용체와 시료를 반응시켜 생화학 물질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랩온어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이 포함된 시료가 투입되는 시료 투입부, 상기 시료 투입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생화학 물질과 반응하는 수용체가 코팅된 마이크로 비즈가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시료 투입부에 투입된 시료가 유입된 후 상기 수용체와 반응하여 상기 생화학 물질이 검출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수용체와 반응한 후 상기 검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시료가 유입되는 시료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마이크로비즈에 수용체를 코팅하여 배치한 후 유입되는 시료와 수용체가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시료와 수용체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켜 시료에 포함된 생화학 물질에 대한 검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바이오 칩, 랩온어칩, 시료, 수용체

Description

랩온어칩{Lab on a chip}
본 발명은 랩온어칩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구성된 미세 채널을 이용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이 포함된 시료를 투입한 후 미세 채널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생화학 물질과 반응하는 수용체와 시료를 반응시켜 생화학 물질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랩온어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오칩이란 단백질, 항체, 미생물, 또는 신경 세포 등과 같은 생체 유기물과 반도체 등의 무기물을 조합하여 칩 형태로 제조한 혼성 소자를 의미한다.
바이오칩의 종류에는 바이오 센서, 단백질 칩, 셀 칩, 뉴론 칩, 및 랩온어칩 등이 있으며, 이 중 랩온어칩(Lab on a chip)의 경우 소정의 기판 상에 플라스틱, 유리, 또는 실리콘 등의 소재를 사용해 미세 채널을 만들고, 모세관 전기 이동법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석하는 초소형 분석 장치로써, 미세 채널을 통해 극미량의 시료만으로도 기존에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모되던 생물학적 검사를 짧은 시간과 저비용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근 차세대 진단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랩온어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랩온어칩(1)은 인렛(Inlet)(2), 미세 채널부(3a,3b), 반응 챔버(4), 및 아웃렛(Outlet)(5)을 포함하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랩온어칩(1)를 이용한 생화학 물질 검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렛(2)을 통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을 포함하는 시료가 투입되면 투입된 시료는 미세 채널부(3a)를 통하여 반응 챔버(4)로 유입된다.
그리고, 반응 챔버(4)로 유입된 시료는 반응 챔버(4) 내부에 기설치되어 있으며, 시료와 반응하여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생화학 물질을 검출하는 다수의 수용체들과 반응하여 시료에 포함된 생화학 물질에 대한 검출이 이루어진 후 다수의 수용체들과 반응한 시료는 반응챔버(4)로부터 배출된 후 미세 채널부(3b)를 통하여 아웃렛(5)으로 유입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랩온어칩(1)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2)을 통하여 투입된 후 미세 채널부(3a)를 통과하여 반응 챔버(4)로 유입되는 시료(S)가 반응 챔버(4) 전체 영역에 걸쳐 흐르지 않고 반응 챔버(4)의 일부 영역에서만 흐름이 발생하게 되어 반응 챔버(4) 내부에 기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수용체들 중 시료(S)의 흐름이 발생하는 일부 영역에 배치된 수용체만이 시료(S)와 반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응 챔버(4)의 일부 영역에만 국한하여 시료(S)의 흐름이 발생하는 이유는 인렛(2)을 통하여 투입되는 시료의 흐름이 층류(Laminar flow)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층류(Laminar flow)란 유체의 규칙적인 흐름으로써 유체가 평행한 다수의 층을 이루어 흐르며 각각의 층 사이가 흐트러지지 않고 일정하게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에 사용되는 랩온어칩(1)의 경우 반응챔버(4) 내부에 기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수용체들 중 일부 영역에 위치한 수용체만이 시료(S)와 반응하게 되므로 시료(S)에 포함되어 있는 생화학 물질에 대한 검출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시료의 유입 과정에서의 층류를 방지하여 시료와 수용체의 반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랩온어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와 수용체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켜 시료와 수용체의 반응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랩온어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랩온어칩은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이 포함된 시료가 투입되는 시료 투입부, 상기 시료 투입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생화학 물질과 반응하는 수용체가 코팅된 마이크로 비즈가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시료 투입부에 투입된 시료가 유입된 후 상기 수용체와 반응하여 상기 생화학 물질이 검출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수용체와 반응한 후 상기 검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시료가 유입되는 시료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일측이 상기 시료 투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시료의 상기 검출부 측으로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제1 마이크로 채널부,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일측이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시료 유입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와 반응한 시료의 상 기 시료 유입부 측으로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제2 마이크로 채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로 채널부 타측의 하부면으로부터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시료 투입부로부터 상기 검출부로 유입되는 상기 시료의 층류(Laminar flow)를 방지하는 제1 층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체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가 상기 검출부 측으로 투입되는 수용체 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각각 이격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검출부를 연결하는 제3 마이크로 채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마이크로 채널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 마이크로 채널부를 통과하는 상기 시료의 층류(Laminar flow)를 방지하는 제2 층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비즈는 구형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비즈는 30um 내지 200u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마이크로비즈에 수용체를 코팅하여 배치한 후 유입되는 시료와 수용체가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시료와 수용체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켜 시료에 포함된 생화학 물질에 대한 검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 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부로 유입되는 시료의 층류를 방지하여 시료가 난류 형태로 검출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하여 검출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마이크로 비즈에 코팅되어 있는 수용체와 시료의 반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들을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랩온어칩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랩온어칩(10)은 기판(20), 시료 투입부(30), 검출부(40a,40b,40c), 수용체 투입부(42a,42b,42c), 시료 유입부(50), 제1 마이크로 채널부(60), 제2 마이크로 채널부(70), 및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a,80b)를 포함한다.
시료 투입부(30)는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며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이 포함된 시료가 투입된다.
검출부(40a,40b,40c)는 시료 투입부(30)로부터 이격되어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고 생화학 물질과 반응하는 수용체(R)가 코팅된 마이크로 비즈(M)가 복수 개 배치되며 시료 투입부(30)에 투입된 시료가 유입되어 마이크로 비즈(M)에 코팅된 수용체(R)와 시료가 반응하여 시료에 포함된 생화학 물질이 검출된다.
이때, 검출부(40a,40b,40c)는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의 개수에 따라 한개가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검출부(40a,40b,40c)가 각각 이격되어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출부(40a,40b,40c)에 배치되는 수용체(R)가 코팅된 마이크로 비즈(M)는 시료와 수용체(R)의 반응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구형체일 수 있으며, 검출부(40a,40b,40c)의 면적에 따라 30um 내지 200u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검출부(40a,40b,40c)의 깊이는 수용체(R)가 코팅된 마이크로 비즈(M) 직경의 20퍼센트 이내가 되도록 형성하여 검출부(40a,40b,40c)에 배치되는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가 단일 층의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가 검출부(40a,40b,40c)에 단일 층의 형태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검출부(40a,40b,40c)로 유입되는 시료가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 중 일부의 마이크로 비즈(M)에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체 투입부(42a,42b,42c)는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일측이 검출부(40a,40b,40c)와 연결되어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가 검출부(40a,40b,40c) 측으로 투입될 수 있으며,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가 검출부(40a,40b,40c) 측으로 투입된 후 수용체 투입부(42a,42b,42c)를 마개(미도시) 등으로 밀폐하여 검출부(40a,40b,40c) 측으로 투입된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가 수용체 투입부(42a,42b,42c)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료 유입부(50)는 검출부(40)로부터 이격되어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며 검출부(40c)에서 마이크로 비즈에 코팅된 수용체와 반응한 후 검출부(40c)로부터 배출되는 시료가 유입된다.
제1 마이크로 채널부(60)는 기판(20)의 일면에 일측이 시료 투입부(30)와 연결되고 타측이 검출부(40a)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시료 투입부(30)에 투입되는 시료의 검출부(40a) 측으로의 흐름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마이크로 채널부(60)는 타측의 하부면으로부터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시료 투입부(30)로부터 검출부(40a)로 유입되는 시료의 층류(Laminar flow)를 방지하는 제1 층류 방지부(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층류 방지부(62)는 수용체 투입부(42a)를 통하여 투입되어 검출부(40a)에 배치되는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가 검출부(40a)로부터 제1 마이크로 채널부(60)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층류 방지부(62)를 이용하여 시료의 층류를 방지하는 상세한 과정은 이하 도 5 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마이크로 채널부(70)는 기판(20)의 일면에 일측이 검출부(40c)와 연결되고 타측이 시료 유입부(5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검출부(40c)에서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와 반응한 후 검출부(40c)로부터 배출되어 시료 유입부(50)로 유입되는 시료의 시료 유입부(50) 측으로의 흐름이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마이크로 채널부(70) 역시 일측의 하부면으로부터 복수 개의 층류 방지부를 돌출 형성하여 수용체 투입부(42c)를 통하여 투입되어 검출부(40c)에 배치되는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가 검출부(40c)로부터 제2 마이크로 채널부(70)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a,80b)는 각각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검출부(40a,40b,40c)를 연결하여 검출부(40a)로 유입된 시료가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a)를 통하여 검출부(40b)로 유입되고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b)를 통하여 검출부(40c)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a,80b)는 하부면으로부터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a,80b)를 통과하는 시료의 층류(Laminar flow)를 방지하는 제2 층류 방지부(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층류 방지부(82)는 검출부(40a)에 배치된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가 검출부(40b) 측으로 이탈하거나 검출부(40b)에 배치된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가 검출부(40c)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층류 방지부(82)를 이용하여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a,80b)를 통과하는 시료의 층류(Laminar flow)를 방지하는 상세한 과정은 이하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에서의 시료의 흐름에 대한 참고도이다.
이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시료 투입부(30)에 투입된 시료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료 투입부(30)에 투입된 시료(S)는 제1 마이크로 채널부(60)를 따라 반응부(40a) 측으로 유입되며, 제1 마이크로 채널부(60)의 직선 영역에서 시료(S)는 층류의 형태로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이크로 채널부(60)를 따라 반응부(40a) 측으로 층류의 형태로 흐름이 이루어지는 시료(S)는 반응부(40a)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마이크로 채널부(60) 타측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층류 방지부(62)와 충돌이 이루어지며 제1 층류 방지부(62)와의 충돌에 의해 시료(S)의 흐름이 층류의 형태에서 난류의 형태로 변화하게 되어 검출부(40a)로 유입된 시료(S)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40a)에 단일 층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와 검출부(40a)의 전체 영역에서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이 포함된 시료(S)와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에 코팅된 수용체(R)의 반응 효율이 향상되어 시료에 포함된 생화학 물질에 대한 검출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검출부(40a)를 통과한 시료(S)는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a)를 따라 검출부(40b)로 유입되는데 검출부(40b)로의 유입 과정에서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a)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층류 방지부(82)와 충돌이 이루어지므로 검출부(40a)를 통과한 시료(S)의 흐름이 난류 형태에서 다시 층류 형태로 변화되는 경우에도 시료(S)의 흐름을 층류 형태에서 다시 난류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검출부(40b)에 배치된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와 검출부(40b)의 전체 영역에서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부(40b)를 통과한 시료(S)는 제3 마이크로 채널부(80b)를 통과한 후 검출부(40c)로 유입되어 검출부(40c)에 배치된 수용체(R)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와 검출부(40c)의 전체 영역에서 반응한 후 배출되어 제2 마이크로 채널부(70)를 따라 시료 유입부(50)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랩온어칩(10)은 검출부(40a,40b,40c)에 수용체(R)가 코팅된 구형체의 복수 마이크로 비즈(M)를 단일 층의 형태로 복수 개 배치한 후 검출부(40a,40b,40c)로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이 포함된 시료(S)를 유입시켜 시료(S)와 수용체(R)를 반응시킨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시료(S)와 수용체(R)의 반응 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시료(S)에 포함된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의 검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시료 투입부(30)에 투입된 시료(S)의 검출부(40) 측으로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제1 마이크로 채널(60)의 타측에 복수 개의 제1 층류 방지부(62)를 형성 하고,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의 개수에 따라 기판(20)의 일면에 복수 개가 형성 가능한 검출부(40a,40b,40c) 각각을 연결하는 제3 마이크로 채널(80a,80b)에 또한 복수 개의 제2 층류 방지부(82)를 형성하여 제1 마이크로 채널(60) 또는 제3 마이크로 채널(80a,80b)을 따라 흐르는 시료(S)가 층류 형태로 흐름이 이루어지는 경우 난류 형태로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시료(S)의 흐름을 변경시킴으로써 검출부(40a,40b,40c)로 유입되는 시료(S)가 검출부(40a,40b,40c)의 전체 영역에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M)에 코팅된 수용체(R)와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료(S)와 수용체(R)간의 반응 효율을 향상시키며 그에 따라 생화학 물질의 검출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료와 수용체의 반응성을 높이고 반응 시간을 단축시켜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생화학 물질의 검출 효율을 향상시킨 랩온어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감도 현장검출을 위한 진단 및 환경 모니터링용 랩온어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랩온어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랩온어칩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및
도 5는 도 3의 A 부분에서의 시료의 흐름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랩온어칩 (20) : 기판
(30) : 시료 투입부 (40a,40b,40c) : 반응부
(42a,42b,42c) : 수용체 투입부 (50) : 시료 유입부
(60) : 제1 마이크로 채널부 (62) : 제1 층류 방지부
(70) : 제2 마이크로 채널부 (80a,80b) : 제3 마이크로 채널부
(82) : 제2 층류 방지부

Claims (9)

  1.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이 포함된 시료가 투입되는 시료 투입부;
    상기 시료 투입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생화학 물질과 반응하는 수용체가 코팅된 마이크로 비즈가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시료 투입부에 투입된 시료가 유입된 후 상기 수용체와 반응하여 상기 생화학 물질이 검출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수용체와 반응한 후 상기 검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시료가 유입되는 시료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온어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일측이 상기 시료 투입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시료의 상기 검출부 측으로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제1 마이크로 채널부,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일측이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시료 유입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와 반응한 시료의 상기 시료 유입부 측으로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제2 마이크로 채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온어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채널부 타측의 하부면으로부터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시료 투입부로부터 상기 검출부로 유입되는 상기 시료의 층류(Laminar flow)를 방지하는 제1 층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온어칩.
  4.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검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체가 코팅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비즈가 상기 검출부 측으로 투입되는 수용체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온어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하고자 하는 생화학 물질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각각 이격되어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온어칩.
  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검출부를 연결하는 제3 마이크로 채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온어칩.
  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마이크로 채널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 마이크로 채널부를 통과하는 상기 시료의 층류(Laminar flow)를 방지하는 제2 층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온어칩.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비즈는 구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온어칩.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비즈는 30um 내지 200u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온어칩.
KR1020090124910A 2009-12-15 2009-12-15 랩온어칩 KR10119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910A KR101197582B1 (ko) 2009-12-15 2009-12-15 랩온어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910A KR101197582B1 (ko) 2009-12-15 2009-12-15 랩온어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076A true KR20110068076A (ko) 2011-06-22
KR101197582B1 KR101197582B1 (ko) 2012-11-06

Family

ID=4440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910A KR101197582B1 (ko) 2009-12-15 2009-12-15 랩온어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7239A (zh) * 2021-09-30 2022-01-04 浙江扬清芯片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纺织品超声提取及检测的微流控芯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193A (ja) 2003-02-13 2004-09-02 Pentax Corp ラボオンアチッ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7239A (zh) * 2021-09-30 2022-01-04 浙江扬清芯片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纺织品超声提取及检测的微流控芯片
CN113877239B (zh) * 2021-09-30 2023-07-25 浙江扬清芯片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纺织品超声提取及检测的微流控芯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582B1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3423B2 (ja) マイクロチップ
US20200408752A1 (en) Fluidic system for performing assays
US8197774B2 (en) Microchip
JP2007163459A (ja) 分析用マイクロチップ
US89678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fluids
US9080993B2 (en) Microdevice, microchip apparatus and analysis method utilizing the same
US20210263022A1 (en) Cartridge and analyzer for fluid analysis
CN102762971B (zh) 纳米流体生物传感器及其对于快速测量溶液中的生物分子相互作用的应用及方法
KR101197582B1 (ko) 랩온어칩
JP5754190B2 (ja) マイクロチップ、サンプル液供給装置、サンプル液供給方法及び分析装置
JP4406587B2 (ja) 検査用プレート
US20090291025A1 (en) Microchi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821410B1 (ko) 마이크로 유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과 버블 제어 방법
US20200371059A1 (en) Integrated reference electrode and fluid dispenser
CN110987916B (zh) 一种微流控芯片及其检测方法
JP2009085818A (ja) 液体試薬内蔵型マイクロチップ
JP2008203158A (ja) 流路反応方法および流路反応装置
JP2009171933A (ja) 生体試料反応用チップおよび生体試料反応方法
JP2009192291A (ja) 生体物質検出用チップおよび生体物質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