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743A - 경량철골 - Google Patents

경량철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743A
KR20110067743A KR1020090124453A KR20090124453A KR20110067743A KR 20110067743 A KR20110067743 A KR 20110067743A KR 1020090124453 A KR1020090124453 A KR 1020090124453A KR 20090124453 A KR20090124453 A KR 20090124453A KR 20110067743 A KR20110067743 A KR 20110067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ember
vertical member
steel frame
back plate
light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112B1 (ko
Inventor
윤석봉
Original Assignee
(주) 일광메탈포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광메탈포밍 filed Critical (주) 일광메탈포밍
Priority to KR102009012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1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경량철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철골은 수평부재(B)를 보강리브(2a)를 갖는 스터드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보강리브(2a)에 절개부(2b)가 형성하여, 수직부재(A)의 단부를 수평부재(B)의 개구부(3)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를 모두 강도가 높은 스터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경량철골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량철골, 트랙, 스터드, 보강리브, 절개부

Description

경량철골{light weight beam}
본 발명은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경량철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규모의 건물을 건축할 때는 경량철골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축한 후, 프레임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패널을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경량철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부재(B)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재(A)로 나뉘어지며, 상기 수평부재(B)의 배면판(1)의 폭(L1)이 수직부재(A)의 배면판(1)의 폭(L2)에 비해 크게 제작되어, 수평부재(B)의 개구부(3)에 수직부재(A)의 단부를 끼워 결합한 후 볼트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수평부재(B)와 수직부재(A)를 상호 고정하여 건물의 프레임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량철골은 배면판(1)과 배면판(1)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측판(2)이 구비되어, 일측에 개구부(3)가 형성되어 디귿자의 단면형태를 갖는 통상 트랙이라 불리는 형태와, 배면판(1)과 배면판(1)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측판(2)과 상기 측판(2)의 단부에서 상호 인접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2a)가 구비되어 일측에 개구부(3)가 형성된 C형의 단면을 갖는 통상 스터드라 불리우는 형태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수직부재(A)는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스터드를 이용하며, 상기 수평부재(B)의 경우 개구부(3)에 수직부재(A)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트랙을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수평부재(B)에 사용되는 트랙의 경우 상기 수직부재(A)에 사용되는 스터드에 비해 강도가 낮으므로, 이러한 수평부재(B)와 수직부재(A)로 구성된 프레임의 강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부재(B)를 강도가 높은 스터드를 이용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수평부재(B)에 스터드를 이용할 경우, 수직부재(A)의 단부가 상기 보강리브(2a)에 결려 수직부재(A)를 수평부재(B)의 개구부(3)에 삽입할 수 없다. 반대로, 상기 수평부재(B)의 배면판(1)의 폭(L1)을 넓게 형성하여 수직부재(A)를 수평부재(B)의 개구부(3)로 끼울 수 있도록 할 경우, 수직부재(A)가 수평부재(B)의 개구부(3)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아, 프레임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경량철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면판(1)과 배면판(1)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측판(2)과 상기 측판(2)의 단부에서 상호 인접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2a)가 구비되어 일측에 개구부(3)가 형성된 C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리브(2a)에는 다른 경량철골의 단부가 삽입되는 절개부(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경량철골에는 상기 측판(2)의 을 상호 인접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진 협경부(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철골은 수평부재(B)를 보강리브(2a)를 갖는 스터드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보강리브(2a)에 절개부(2b)가 형성하여, 수직부재(A)의 단부를 수평부재(B)의 개구부(3)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를 모두 강도가 높은 스터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경량철골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량철골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부재(B)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부재(A)로 나뉘어지며, 상기 수직부재(A)의 단부를 수평부재(B)의 개구부(3)에 끼워 상호 결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는 배면판(1)과 배면판(1)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측판(2)과 상기 측판(2)의 단부에서 상호 인접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2a)가 구비되어 일측에 개구부(3)가 형성된 C형의 단면을 갖는 스터드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재(B)의 보강리브(2a)에는 상기 수직부재(A)의 단부가 삽입되는 절개부(2b)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2a)는 측판(2)의 단부를 90° 인접방향으로 절곡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측판(2)의 하단부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절개부(2b)는 상기 수평부재(B)의 보강리브(2a) 중간부를 별도의 커팅프레스로 절단하여 상기 수직부재(A)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후방향 길이(L3)는 상기 수직부재(A)의 측판(2)의 폭방향 길이(L4)에 비해 조금 넓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는 배면판(1)의 폭(L1,L2)이 상호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A)의 단부에는 상기 측판(2)의 선단부를 상호 인접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진 협경부(5)가 형성된다. 상기 협경부(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프레스(10)를 이용하여 상기 측판(2)의 외측면을 상호 인접방향으로 가압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협경부(5)는 상기 수직부재(A)의 단부를 측판(2) 두께만큼 내측으로 오목하게 변형되도록 형성하고, 상하방향 길이(L5)는 상기 수평부재(B)의 측판(2)의 길이(L6)보다 조금 길게 형성되어, 수직부재(A)의 협경부(5)를 수평부재(B)에 형성된 절개부(2b)로 삽입하면 협경부(5)의 외측면이 수평부재(B)의 측판(2)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a)의 배면판(1) 단부에는 상기 협경부(5)를 형성할 때 배면판(1)에 발생되는 변형을 흡수하는 주름부(6)가 형성된다. 상기 주름부(6)는 상기 가압프레스(10)로 측판(2)을 가압하여 협경부(5)를 형성할 때, 별도의 성형프레스(20)로 배면판(1)의 단부 중앙을 가압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측판(2)을 가압하여 협경부(5)를 형성할 때 발생되는 배면판(1)의 변형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가압프레스(10)로 측판(2)을 인접방향으로 가압하여 협경부(5)를 형성할 경우, 측판(2)과 연결된 배면판(1)의 양측 역시 중앙부로 가압되어 배면판(1)의 중앙부가 불규칙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가압프레스(10)로 협경부(5)를 형성할 때 성형프레스(20)로 배면판(1)의 단부 중앙부를 가압하여 특정형상으로 변형시키므로써 배면판(1)의 중앙부에 발생되는 변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직부재(A)의 협경부(5)를 수평부재(B)의 보강리브(2a)에 형성된 절개부(2b)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볼트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를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량철골은 트랙을 이용하여 수평부재(B)를 구성한 종래의 경량철골과 달리, 상기 수평부재(B)를 보강리브(2a)를 갖는 스터드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보강리브(2a)에 절개부(2b)가 형성하여, 수직부재(A)의 단부를 수평부재(B)의 개구부(3)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를 모두 강도가 높은 스터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로 이루어진 프레임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직부재(A)의 단부에 측판(2)을 인접방향으로 가압하여 협경부(5)를 형성하고, 협경부(5)를 수평부재(B)의 개구부(3)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부재(B)의 배면판(1)의 폭(L1)이 수직부재(A)의 배면판(1)의 폭(L2)에 비해 크게 제작되는 종래의 경량철골과 달리, 수평부재(B)나 수직부재(A)와 같이 배치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의 경량철골을 생산할 필요가 없이 동일한 폭의 경량철골을 생산한 후 수직부재(A)로 사용되는 경량철골의 단부에 협경부(5) 및 주름부(6)를 형성하면 되므로,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협경부(5)에 의해, 배면판(1)의 폭(L1,L2)이 동일하게 제작된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의 측면이 일정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로 구성된 프레임에 패널(4)을 결합할 때, 패널(4)의 면이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의 측면 전체에 밀착되므로, 패널(4)과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의 측면이 이격되어 패널(4)이 떨리게 되거나 패널(4)이 수직부재(A)와 수평부재(B)에 부딛혀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평부재(B)의 보강리브(2a)에 절개부(2b)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재(A)의 단부에는 협경부(5)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재(B)와 수직부재(A)에 모두 상기 절개부(2b)와 협경부(5)를 형성하여, 수평부재(B)와 수직부재(A)를 서로 자유롭게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개부(2b)는 전술한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리브(2a)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것 이외에, 보강리브(2a)의 단부 또는 단부에 인접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경량철골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철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철골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철골의 협경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철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철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Claims (2)

  1. 배면판(1)과 배면판(1)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한쌍의 측판(2)과 상기 측판(2)의 단부에서 상호 인접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2a)가 구비되어 일측에 개구부(3)가 형성된 C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강리브(2a)에는 다른 경량철골의 단부가 삽입되는 절개부(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철골에는 상기 측판(2)을 상호 인접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진 협경부(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
KR1020090124453A 2009-12-15 2009-12-15 경량철골 KR10114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453A KR101142112B1 (ko) 2009-12-15 2009-12-15 경량철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453A KR101142112B1 (ko) 2009-12-15 2009-12-15 경량철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743A true KR20110067743A (ko) 2011-06-22
KR101142112B1 KR101142112B1 (ko) 2012-05-09

Family

ID=4440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453A KR101142112B1 (ko) 2009-12-15 2009-12-15 경량철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1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2898A (zh) * 2012-11-13 2013-02-06 哈尔滨工业大学 轻钢组装墙板内置钢板支撑
CN103835366A (zh) * 2014-02-20 2014-06-04 高守岗 一种新型轻钢龙骨
KR102476145B1 (ko) * 2022-04-12 2022-12-09 (주)스틸라이트 C형강을 이용한 계단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365Y1 (ko) 2006-02-10 2006-06-12 주식회사 현대토피스 파티션 패널의 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2898A (zh) * 2012-11-13 2013-02-06 哈尔滨工业大学 轻钢组装墙板内置钢板支撑
CN103835366A (zh) * 2014-02-20 2014-06-04 高守岗 一种新型轻钢龙骨
KR102476145B1 (ko) * 2022-04-12 2022-12-09 (주)스틸라이트 C형강을 이용한 계단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112B1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2331B2 (ja) 車体構造
US7461481B2 (en) Shock-absorbing tie brace
KR101534443B1 (ko)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KR100333294B1 (ko) 센터 스페이스 프레임이 적용된 버스용 프레임
KR101142112B1 (ko) 경량철골
JP6065267B2 (ja) フラッシュパネル
EP3725649A1 (en) Doorsill beam assembly, side rear body assembly, body assembly, and automobile
JP2019127099A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JP6549758B2 (ja) 車体構造
JP2018030542A (ja) 車両構成部材
KR20200135139A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210071345A (ko) 풍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방음판
US20210339693A1 (en) Automobile structural member
KR20210012779A (ko)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KR102375708B1 (ko) 강화된 구조를 갖는 에이치 빔
KR20110072019A (ko) 경량철골
KR20070058415A (ko) 거푸집용 단면 판넬
CN210597878U (zh) 一种矩形部分填充钢-混凝土组合柱
CN210164092U (zh) 横向钢筋焊接与纵向连接筋交叉预埋式墙梁连接节点
CN105946988A (zh) 一种新型四开门消防车驾驶室顶盖总成
JP2006341677A (ja) 車体の後部構造
KR101096048B1 (ko) 경량철골 및 경량철골 제조방법
CN219241308U (zh) 一种悬挂钢梁式模板结构
RU83278U1 (ru) Соединение полых профилей дверной, оконной или фасадной рамы (варианты)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KR100866845B1 (ko)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