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104A -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104A
KR20110067104A KR1020117006611A KR20117006611A KR20110067104A KR 20110067104 A KR20110067104 A KR 20110067104A KR 1020117006611 A KR1020117006611 A KR 1020117006611A KR 20117006611 A KR20117006611 A KR 20117006611A KR 20110067104 A KR20110067104 A KR 20110067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ownlink
uplink
transmission pow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사와하시
모토히로 탄노
노부히코 미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67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복신(FDD)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1 시스템과, 제1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2 시스템을 갖는다. 제1 시스템의 상하링크간의 주파수대역 안에서, 제2 시스템은 상하링크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2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는 제1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보다 좁다.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은,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보다 약하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쌍방향통신을 실현하는 기술로서 주파수 분할 복신(FDD:Frequency Division Duplex)방식이 있다. FDD 방식에서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 따로따로의 주파수가 마련된다. 상하링크 각각에 전용의 대역이 마련되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피드백신호를 조속히 되돌릴 수 있다. 피드백신호는,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제어(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방식에 있어서의 송달확인정보(ACK/NACK)나, 채널상태정보(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등을 포함할지도 모른다.
쌍방향통신을 실현하는 다른 기술로서, 시간 분할 복신(TDD:Time Division Duplex)방식이 있다. TDD 방식은 상하링크에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해도 좋기 때문에, 주파수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TDD 방식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시간적으로 번갈아 수행함으로써, 쌍방향통신을 실현한다. 따라서, 송신해야 하는 신호가 발생했다 해도, 송신해도 되는 시간까지 대기할 필요가 있으며, 시간적으로 불연속인 버스트 형태의 신호가 송신된다. 이 때문에, FDD 방식과 비교하여 순간적으로 큰 송신전력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셀의 커버리지의 관점에서는(특히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FDD 방식이 바람직하다.
한편, FDD 방식에서는 상하링크에서 따로따로의 주파수가 사용되기 때문에, 무선장치의 안에서 그들을 적절히 분리하는 듀플렉서가 필요해진다. FDD 방식에서는, 듀플렉서의 주파수 분리 특성에 배려하여, 상향링크의 대역 및 하향링크의 대역을 어느 정도 떼어 놓을 필요가 있다. 상하링크간의 대역은 센터 갭이라 불린다. 센터 갭에 필요한 대역폭은, 센터 갭(center gap)의 중심 주파수에 의존하고, 그 중심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넓은 센터 갭이 필요해진다. 센터 갭은, FDD 방식의 통신시스템에서는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주파수 이용효율을 도모하는 관점에서는, 센터 갭은 가능한 한 좁은 것이 좋다.
도 1은, IMT-2000 방식(3G 시스템)에 있어서의 2GHz 대역의 주파수 이용상황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시의 예에서는, FDD 방식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퍼레이터가 7개 존재하고, 각 오퍼레이터는 상하링크에서 각각 5MHz의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센터 갭은, 60MHz로 설정되어 있다. 앞으로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더욱 광대역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센터 갭도 더욱 넓어지는 것이 우려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센터 갭의 안에 다른 시스템의 주파수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3G 시스템의 2GHz 대역의 경우, 센터 갭의 주파수를 우주통신 등에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주파수 이용 예에 대해서는, 본원 출원 시점에서 이용 가능했던 종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도 2는 FDD 시스템의 센터 갭의 안에서 다른 시스템의 주파수를 마련한 모습을 나타낸다. 센터 갭을 어떠한 시스템에 사용할 때, FDD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가드밴드가 충분히 넓게 확보될 필요가 있다. 가드밴드를 충분히 넓게 확보하는 결과, 경우에 따라서는 셀터 갭 자체를 넓게 확장할 필요가 생길지도 모른다. 따라서, 여전히 미사용의 주파수대역(센터 갭 또는 가드밴드)이 넓은 채로 남아, 주파수 이용효율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FDD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하링크간의 주파수대역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복신(FDD)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1 시스템과, 상기 제1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2 시스템을 갖는다. 상기 제1 시스템의 상하링크간의 주파수대역 안에서, 상기 제2 시스템은 상하링크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는 상기 제1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보다 좁다. 상기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은,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보다 약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FDD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하링크간의 주파수대역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FDD 방식의 주파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FDD 방식의 다른 주파수 이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주파수 이용상황을 나타낸다.
도 5는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송신전력이 다른 기지국이 인접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유저장치가 매크로 셀에 접속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유저장치가 피코 셀에 접속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FDD 방식의 제1 시스템의 센터 갭은, 작은 송신전력으로 이용 장소가 제한된 제2 시스템에 사용된다. 이로 인해 센터 갭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시스템의 송신전력(주로 하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작게 제한함으로써, 제1 시스템에 미치는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센터 갭 안에 마련해야 하는 가드밴드를 좁게 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 제1 및 제2 시스템을 장소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고, 시스템간 간섭을 줄임으로써, 가드밴드를 줄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스템을 옥외 시스템으로 하고, 제2 시스템을 옥내 시스템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단, 제1 및 제2 시스템의 장소에 따른 가려 씀은, 옥내외에 한하지 않고, 적절한 어떠한 나누는 방법이어도 좋다.
제2 시스템은 TDD 방식의 시스템이어도 좋다. TDD 방식은, 센터 갭이 불필요하다는 점에서, 주파수의 이용효율이 좋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TDD 방식의 경우, 신호가 버스트 형태가 됨으로써,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커버리지의 제한이 우려된다. 또, 복수의 오퍼레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오퍼레이터간에 동기를 취하고 그리고 상하링크의 슬롯할당 타이밍을 맞출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며, 오퍼레이터간에 폭넓은 가드밴드를 마련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 점에 관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TDD 방식의 제2 시스템을 옥내 등의 소전력 용도에 한정함으로써, 커버리지의 문제도 오퍼레이터간의 동기의 문제도 상당히 회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동기의 문제에 대해서는, 제2 시스템이 이용되는 장소에 있어서 복수의 오퍼레이터가 공존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옥외에서는 FDD 방식으로 충분한 커버리지를 실현하고, 옥내에서는 TDD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서로 보완하는 시스템도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방식이 다르면 단말의 장치구성도 다르나, FDD 방식과 TDD 방식의 경우, 단말의 장치구성에 공통부분이 많기 때문에, 공용단말을 저(低) 코스트로 실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FDD 방식의 제1 시스템의 센터 갭에서, TDD 방식의 제2 시스템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다른 이점도 가져다준다. 송신전력이 다른 기지국이 인접하고 있던 경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최적인 장소는, 상하링크에서 다르다. 쌍방의 기지국이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던 경우, 최적의 핸드오버를 간이하게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우려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은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은 모두 동일한 송신전력으로 송신한다.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의 송신전력과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의 송신전력은, 달라도 좋다(전형적으로는,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의 송신전력이 약하다.). 따라서, 송신전력이 다른 기지국이 인접하고 있는 상황은 생기나, 그들은 주파수가 다른 시스템에 속한다. 인접하는 쌍방의 기지국이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고 그리고 다른 송신전력인 경우에 우려되고 있었던 간섭의 문제는, 효율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 오버헤드로서 적극적으로는 사용되고 있지 않던 센터 갭을 활용함으로써, 주파수 이용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예 1
〈시스템〉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동통신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복신(FDD)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1 시스템과, 상기 제1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2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시스템의 셀은 매크로 셀을 구성하고, 제2 시스템의 셀은 피코 셀을 구성한다. 피코 셀은, 트래픽이 집중하기 쉬운 특정한 영역이나, 특정한 옥내 등과 같은 장소에 마련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은,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보다 약하다. 제2 시스템은, 제1 시스템과는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소전력의 어떠한 이동통신시스템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시간 분할 복신(TDD)방식의 시스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시스템은 제1 시스템을 보완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면, 제1 시스템에서 유저수가 많아진 경우에, 인근의 제2 시스템에서 일부의 유저를 수용하고, 트래픽의 부하분산을 도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시스템은 모두 옥외 시스템이어도 옥내 시스템이어도 좋으나, 설명의 편의상, 옥외의 제1 시스템과, 옥내의 제2 시스템과, 옥외의 제2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유저장치는 제1 시스템에서도 제2 시스템에서도 통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시스템에서 통신방식이 다르면, 각 시스템 따로따로 장치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저장치는 고가가 된다. 그러나, 제1 시스템이 FDD 방식이고, 제2 시스템이 TDD 방식인 경우, 유저장치의 구성에 공통부분이 많기 때문에, 공용단말을 저 코스트로 실현할 수 있다.
〈주파수대역〉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주파수 이용상황을 나타낸다. 도시의 예에서는, FDD 방식의 제1 시스템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퍼레이터가 7개 존재하고, 각 오퍼레이터는 상하링크에서 각각 소정의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1 오퍼레이터가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은, 적절한 어떠한 대역폭이어도 좋고, 일 예로서, 5MHz, 10MHz, 20MHz, 100MHz 등이어도 좋다.
TDD 방식의 제2 시스템은, FDD 방식의 제1 시스템의 상하링크간의 대역(센터 갭) 안에서, 상하링크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은, 제1 시스템의 기지국보다도 비교적 약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제2 시스템이 제1 시스템에 미치는 간섭은 적다. 일 예로서,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은 20W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은 10mW로 신호를 송신할지도 모른다. 제2 시스템이 제1 시스템에 끼치는 간섭은 적기 때문에, 제1 및 제2 시스템간의 가드밴드는 비교적 좁아도 좋다.
TDD 방식의 제2 시스템은, 지역적으로 한정되어 사용된다. 지역적인 한정방법으로서는 적절한 어떠한 방법이어도 좋으나, 일 예로서 제2 시스템은 옥내와 같은 폐공간에서 사용될지도 모른다. 이 경우, 전파는 벽으로 차폐(遮蔽)되기 때문에, 제1 시스템에 있어서도 제2 시스템에 있어서도 간섭은 작아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 의해서도, 제1 및 제2 시스템간의 가드밴드는 비교적 좁아도 좋다.
제2 시스템은, TDD 방식뿐 아니라 다른 방식이어도 좋다. 그러나 TDD 방식을 사용하면, 상하링크에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센터 갭을 필요로 하지 않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이 좋다는 이점이 있다. TDD 방식에서는(특히 상향링크에서) 커버리지의 문제가 우려되나, TDD 방식이 지역적으로 한정적으로 한정된다면, 커버리지의 문제는 현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예와 같이, 제2 시스템은 TDD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예 1〉
도 5는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주파수 분할 복신(FDD) 방식에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1 시스템과, 상기 제1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2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3과는 다르게, 이동통신시스템은, 제1 및 제2 시스템의 기지국에 접속된 제어장치를 갖는다.
제1 시스템의 셀은 매크로 셀을 구성하고, 제2 시스템의 셀은 피코 셀을 구성한다. 피코 셀은, 트래픽이 집중하기 쉬운 특정한 지역이나, 특정한 옥내 등과 같은 장소에 마련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은,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보다 약하다. 제2 시스템은, 제1 시스템과는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소전력의 어떠한 이동통신시스템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시간 분할 복신(TDD)방식의 시스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시스템은 제1 시스템을 보완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면, 제1 시스템에서 유저수가 많아진 경우에, 인근의 제2 시스템에서 일부의 유저를 수용하고, 트래픽의 부하분산을 도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시스템은 모두 옥외 시스템이어도 옥내 시스템이어도 좋으나, 설명의 편의상, 옥외의 제1 시스템과, 옥내의 제2 시스템과, 옥외의 제2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유저장치는 제1 시스템에서도 제2 시스템에서도 통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시스템에서 통신방식이 다르면, 각 시스템 따로따로 장치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저장치는 고가가 된다. 그러나, 제1 시스템이 FDD 방식이고, 제2 시스템이 TDD 방식인 경우, 유저장치의 구성에 공통부분이 많기 때문에, 공용단말을 저 코스트로 실현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제1 시스템의 기지국 및 제2 시스템의 기지국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어장치는,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간의 가드밴드를 가변으로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시스템간의 가드밴드는, 제2 시스템을 소전력으로 하는 것, 제2 시스템을 지역적으로 한정하는 것 등에 의해 좁게 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제1 및 제2 시스템간에 필요한 가드밴드의 폭은, 통신환경이나 통신의 실정에 따라 다를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이 10mW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와,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이 50mW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서는 필요한 가드밴드 폭은 다르다. 또한,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은 20W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시스템의 어느 기지국은 10mW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시스템의 다른 기지국은 50mW로 신호를 송신할지도 모른다. 또한, 제2 시스템은 TDD 방식뿐 아니라 FDD 방식을 사용해도 좋으나, FDD 방식을 사용하면, 상하링크간에 센터 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어느 정도의 센터 갭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중심 주파수나 통신의 실정에 따라 다를지도 모른다.
제어장치는, 이와 같은 통신의 실정에 따라, 제1 및 제2 시스템간의 가드밴드를 가변으로 제어한다. 각 기지국은, 자장치의 송신전력, 측정한 간섭량, 자셀에서 수용하고 있는 유저수 등의 정보를 제어장치에 보고한다. 보고빈도는 정기적이어도 좋으며, 부정기적이어도 좋으며, 정기적으로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더 수행해도 좋다.
〈변형 예 2〉
도 6은 제1 시스템의 매크로 셀과 제2 시스템의 피코 셀이 근접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매크로 셀의 기지국은 BS1이라 언급되고, 피코 셀의 기지국은 BS2가 언급된다. BS1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DL)의 신호는, 거리와 함께 감쇠하나, 강한 전력으로 송신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멀리까지 이른다. 도면 중, BS1로부터 나오고 있는 실선은, DL 신호의 수신전력(유저장치에서 수신되었을 때의 전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피코 셀의 기지국 BS2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DL)의 신호도, 거리와 함께 감쇠하나, 이 경우는 약한 전력으로 송신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가까이까지밖에 이르지 않는다. 도면 중, BS2로부터 나와 있는 실선은, DL 신호의 수신전력(유저장치에서 수신되었을 때의 전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만약에, BS1 및 BS2의 송신전력이 같았을 경우, 기지국 BS1로부터의 DL 수신신호 전력과 기지국 BS2로부터의 DL 수신신호 전력은, 이론상, 중간지점 B에서 동일해진다. 그러나 현재의 예에서는, 제2 시스템의 기지국 BS2의 송신전력은, 제1 시스템의 기지국 BS1의 송신전력보다 약하기 때문에, 지점 A(중간지점 B보다도 BS2에 가까운 지점)에서 양자의 DL 수신신호 전력이 동일해진다. 이는, 기지국 BS1로부터 지점 A까지는 기지국 BS1로부터의 DL 수신신호 품질이 양호하며, 그 구간에서는 기지국 BS1이 하향링크 통신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지점 A로부터 기지국 BS2까지는, 기지국 BS2로부터의 DL 수신신호 품질이 양호해지며, 그 구간에서는 기지국 BS2가 하향링크 통신에 적합한 기지국이 된다.
한편, 유저장치는, 패스로스가 작은 기지국에 상향링크를 접속한 쪽이, 이득이 크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UE)로부터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이 일정한 경우는, 패스로스가 작은 기지국에 접속한 쪽이, 기지국에서의 수신전력이 커지기 때문에, 수신품질이 좋다. 또, 예를 들면 유저장치(UE)가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패스로스에 따라 가변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패스로스가 작은 기지국(또는, 리모트 무선장치)에 접속한 쪽이, 유저장치가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낮게 할 수 있으며, 유저장치의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유저장치가 AB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향링크의 수신전력의 대소관계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 BS의 하향링크의 수신전력이 커진다.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 BS1에 관한 패스로스의 역수와 기지국 BS2에 관한 패스로스의 역수는, 중간지점 B에서 동일해진다. 따라서, 기지국 BS1로부터 지점 B까지는, 기지국 BS1로의 상향링크 신호품질이 양호해지며, 그 구간에서는 기지국 BS1이 상향링크 통신에 적합하다. 또, 기지국 BS2로부터 지점 B까지는 기지국 BS2로의 상향링크 신호품질이 양호해지며, 그 구간에서는 기지국 BS2가 상향링크 통신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기지국의 송신전력이 달라 있는 경우, 하향링크 통신과 상향링크 통신에서 최적의 기지국이 다른 구간(도 6의 사선부)이 생긴다. 유저가 사선부의 구간 내에 있는 경우, 상하링크 모두 BS1에 또는 BS2에 접속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 경우,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의 주파수가 임시로 동일하다고 하면,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우려된다.
도 7은, 상하링크 모두 BS1에 접속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 하향링크 통신은 양호하게 수행될지도 모른다. 한편, 상향링크 통신에 관해, 비교적 긴 거리를 거쳐 신호가 기지국 BS1에 닿도록 하려면, 유저장치는 강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하면, BS1, BS2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거리적으로 가까운 기지국 BS2에 큰 간섭전력이 이르는 것이 우려된다.
도 8은, 도 7의 경우와는 반대로, 상하링크 모두 BS2에 접속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향링크 통신은 양호하게 수행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BS1, BS2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BS1로부터의 하향 신호의 수신전력은, BS2로부터의 것보다 크기 때문에, 유저장치는 BS1로부터 비교적 큰 간섭을 받는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제1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와 제2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 우려되는 간섭은 상당히 경감된다. 또한, 제2 시스템은 소전력이며 그리고 지역적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관점에서도 간섭은 경감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사선부의 구간에 유저가 존재하고 있던 경우, 매크로 셀에 접속해도 좋으며, 피코 셀에 접속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각 셀의 트래픽량을 고료하여 적절한 셀에 유저장치가 접속되어도 좋다. 환언하면, 제1 시스템 중에서는 각 기지국은 모두 동일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상기한 간섭의 우려는 배제된다. 제2 시스템은, 원래는 오버헤드였던 대역(센터 갭)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의 이용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FDD 방식을 사용하는 적절한 어떠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HSDPA/HSUPA 방식의 W-CDMA 시스템, LTE 방식의 시스템, IMT-Advanced 시스템, WiMAX, Wi-Fi 방식의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이들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또는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 또는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서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8년 9월 3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22646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일본국 특허출원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FDD 주파수 분할 복신
TDD 시간 분할 복신
BS 기지국
UE 유저장치

Claims (5)

  1. 주파수 분할 복신(FDD)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1 시스템;
    상기 제1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2 시스템;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의 상하링크간의 주파수대역 안에서, 상기 제2 시스템은 상하링크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는 상기 제1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보다 좁고,
    상기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은,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보다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이, 시간 분할 복신(TDD)방식의 시스템인 이동통신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이 옥외 통신시스템이며, 상기 제2 시스템이 옥내 통신시스템인 이동통신시스템.
  4. 주파수 분할 복신(FDD)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1 시스템;
    상기 제1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2 시스템;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의 상하링크간의 주파수대역 안에서, 상기 제2 시스템은 상하링크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는 상기 제1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보다 좁고,
    상기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은,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보다 약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지국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기지국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시스템 및 상기 제2 시스템간의 가드밴드를 가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5. 주파수 분할 복신(FDD)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1 시스템;
    상기 제1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저장치와 통신하는 제2 시스템;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지국 및 상기 제2 시스템의 기지국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제어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의 상하링크간의 주파수대역 안에서, 상기 제2 시스템은 상하링크의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는 상기 제1 시스템의 지리적 범위보다 좁고,
    상기 제2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은, 상기 제1 시스템의 기지국의 하향 송신전력보다 약하고,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시스템의 통신상황을 감시하고, 상기 제1 시스템 및 상기 제2 시스템간의 가드밴드를 가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7006611A 2008-09-03 2009-09-01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71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6465A JP5178408B2 (ja) 2008-09-03 2008-09-03 移動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JP-P-2008-226465 2008-09-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104A true KR20110067104A (ko) 2011-06-21

Family

ID=4179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611A KR20110067104A (ko) 2008-09-03 2009-09-01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11500A1 (ko)
EP (1) EP2323459A1 (ko)
JP (1) JP5178408B2 (ko)
KR (1) KR20110067104A (ko)
CN (1) CN102204395A (ko)
WO (1) WO2010026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8757B (zh) * 2009-12-31 2013-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中继装置及其与基站和终端通信的方法
CN103503528A (zh) 2011-02-11 2014-01-08 诺基亚西门子通信公司 利用针对预定传输方向预留的子帧在多个载波上的tdd数据传输
CN103209420A (zh) * 2012-01-12 2013-07-17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通信处理方法及第一基站
JP6022775B2 (ja) * 2012-01-30 2016-11-09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5770139B2 (ja) 2012-06-06 2015-08-2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サービングゲートウェイ、ネットワークおよび論理経路確立方法
CN103945419B (zh) * 2013-01-17 2018-01-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认知无线电系统中的干扰规避方法和设备
US10574417B2 (en) * 2013-03-04 2020-0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TC device association schemes
JP6672126B2 (ja) * 2016-11-14 2020-03-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1176A (en) * 1996-07-24 2000-08-08 Nokia Mobile Phones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indoor CDMA telecommunications system
SE514624C2 (sv) * 1998-12-22 2001-03-26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rrangemang för att upprätta en länk mellan två fasta noder i ett mobilradiosystem genom användning av adaptiva antenner och en reflekterande kropp
WO2004057894A1 (en) * 2002-12-19 2004-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control method for operating communications environments
KR20060065304A (ko) * 2004-12-10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하이브리드 이중화 방식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
EP1860814A1 (de) * 2006-05-26 2007-11-28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Verfahren zur Interferenzreduzierung
TW200812311A (en) * 2006-06-06 2008-03-01 Sr Telecom Inc Utilizing guard band between FDD and TDD wireless systems
JP4648270B2 (ja) * 2006-08-22 2011-03-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ユーザ装置及び方法
JP4645606B2 (ja) 2007-03-08 2011-03-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8908595B2 (en) * 2009-03-12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mitigation in access point base stations
US9673952B2 (en) * 2009-04-10 2017-06-06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ser equipments on different system bandwidt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78408B2 (ja) 2013-04-10
JP2010062875A (ja) 2010-03-18
EP2323459A1 (en) 2011-05-18
US20110211500A1 (en) 2011-09-01
CN102204395A (zh) 2011-09-28
WO2010026961A1 (ja)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172B2 (en) Control data signaling framework for LTE-LAA communication systems employing carrier aggregation on unlicensed bands
KR20110067104A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US9191098B2 (en) Capability reporting for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JP4982409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JP5016114B2 (ja) セルラ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ブフレーム利用の改善
US10285146B2 (en)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US20160234839A1 (en) Flexible Subframes
CN102137499B (zh) 一种进行干扰协调的方法、系统和设备
CN110536468A (zh) 无线通信系统、通信单元,以及用于调度的方法
EP2375853A1 (en) A base station, relay station, mobile terminal for relaying and the method thereof
EP2996435B1 (en) User device and radio base station
KR201200114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37132A (ko) 방송 기지국에 의해 양방향 기지국으로 야기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 집적 회로 및 방법
KR201401348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제어를 위한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50784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half- and full duplex transmission in a relay
CN102077630B (zh) 通信系统、通信装置和通信方法
EP3113560B1 (en) Apparatus for configuring position of frequency resource
US101045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eliminating inter-system neighbor cell interference
EP2664213A1 (en) Capability reporting for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US93575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of multiple operating entity systems
CN109196830A (zh) 混合的授权/非授权载波聚合中的互调失真减轻
Chang et al. Interference analysis of TD-LTE and TD-SCDMA system coexistence
US2023035427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includ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bundling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devices
Yu Spectrum efficiency for future wireless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