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132A - 방송 기지국에 의해 양방향 기지국으로 야기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 집적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기지국에 의해 양방향 기지국으로 야기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 집적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132A
KR20140037132A KR1020137033764A KR20137033764A KR20140037132A KR 20140037132 A KR20140037132 A KR 20140037132A KR 1020137033764 A KR1020137033764 A KR 1020137033764A KR 20137033764 A KR20137033764 A KR 20137033764A KR 20140037132 A KR20140037132 A KR 20140037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element
wireless network
interference
downlin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존 존스
티머시 윌킨슨
Original Assignee
인텔렉츄얼 벤처스 홀딩 81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츄얼 벤처스 홀딩 81 엘엘씨 filed Critical 인텔렉츄얼 벤처스 홀딩 81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3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에서,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상으로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측정으로부터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다운링크 채널과 연관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기지국에 의해 양방향 기지국으로 야기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 집적 회로 및 방법{WIRELESS NETWORK ELEMEN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CAUSED BY A BROADCAST BASE STATION TO A BI-DIRECTIONAL BASE STATION}
본 발명의 분야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분야는 예를 들어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TM)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잠재적 간섭을 줄이기 위해, 잠재적 간섭을 인식하고 그것의 통신(네트워크 파라미터) 특성 또는 자원을 적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요소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 및 1990년대 동안에, 제 2 세대(second generation; 2G)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이동 전화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제 3 세대(3rd generation; 3G)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이동 전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널리 설치되었다. 가장 널리 채택된 제 3 세대 통신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또는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기술에 기초한다.
역사적으로, 이동 전화 및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스펙트럼 할당은 쌍을 이루어 FDD 동작을 위해 의도되었거나, 쌍을 이루지 않고 TDD 동작을 위해 의도되었다. FDD는 주어진 무선 가입자 통신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에서, 송신기 및 수신기가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가입자 유닛은 무선 서빙 통신 유닛, 즉, 하나의 통신 셀을 서빙하는 기지국에 '접속된다'. 업링크(uplink; UL) 및 다운링크(downlink; DL) 주파수/서브 대역은 (쌍을 이룬) 주파수 오프셋에 의해 분리된다. FDD는 음성 통신과 같은 대칭적 트래픽의 경우에 효율적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많은 과거의 스펙트럼 할당은 FDD 동작을 위해 쌍을 이룬 주파수 세트를 포함한다.
TDD 시스템에서,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가 업링크(UL) 전송 및 다운링크(DL) 전송에 모두 이용된다. 즉, 업링크(UL) 전송은 이동 무선 통신 유닛(대개, 무선 가입자 통신 유닛으로 언급됨)으로부터 무선 서빙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 기반구조로의 전송이고, 다운링크(DL) 전송은 통신 기반구조로부터 서빙 기지국을 경유하여 이동 무선 통신 유닛으로의 전송이다. TDD에서, 반송파 주파수는 시간 도메인에서 일련의 시간 슬롯들 및/또는 프레임들로 세분된다. 단일 반송파 주파수가 일부 시간 슬롯 동안에 업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고 다른 시간 슬롯 동안에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된다. FDD 시스템에서, 한 쌍의 분리된 반송파 주파수가 각각의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에 이용되어 이들 간의 간섭을 피하도록 한다. 이런한 원리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예에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TM)이 있다.
3G 통신에서 최근의 발전은 롱 텀 에볼루션(LTE) 셀룰러 통신 표준으로, 때때로 제 4 세대(4th generation; 4G) 시스템으로 언급되며, 이는 3GPPTM 표준을 준수한다. 이러한 4G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소유되는 기존의 스펙트럼 할당 및 이제 허가될 새로운 스펙트럼 할당에 배치될 것이다. 기존의 이동 통신을 위해 이러한 LTE 스펙트럼 할당이 4세대(4G) 시스템을 위해 재경작되는 기존의 2G 및 3G 할당, 또는 새로운 주파수 할당을 이용하는 여부에 관계 없이, 이들은 주로 FDD 동작을 위해 스펙트럼의 쌍을 이룰 것이다.
최근에, 3G 시스템 및 4G 시스템에서의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이 추가적인 서비스들[예를 들어,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TM) 내의 통합 이동 방송(integrated mobile broadcast; IMB) 및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의 일부로서의 향상된 멀티 캐스트 방송 멀티미디어 서비스(enhanced multicast broadcast multimedia service; eMBMS)와 같은 다운링크 전용 방송 기술들]을 위한 타겟이 되었다. 방송 통신은 앞으로 몇 년 동안 인기가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따라서, 쌍을 이룬 스펙트럼과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의 더욱 많은 조합이 LTE와 같은 4G 시스템을 위해 허가될 것이다. 이러한 할당에서,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은 대개 쌍을 이룬 스펙트럼과 불편하게 가까워서,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의 방송 사이트로부터의 다운링크 통신과 쌍을 이룬 스펙트럼의 인접한 업링크 통신 간에 간섭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잠재적 간섭(때때로, '공존'으로 언급됨) 문제의 도식적 예(100)가 송신 전력 또는 감쇠(105) 대 주파수(110)에 관련하여 나타난다. 다운링크(DL)(즉, 기지국이 무선 가입자 통신 유닛으로 송신함) 간섭 송신 스펙트럼(115)이 업링크(UL)(즉, 무선 가입자 통신 유닛이 기지국에 송신함) 수신 대역(120)에 인접한 것으로 도시된다. DL 대역 외의 인접한 채널 전송은 송신 필터에 의해 수용 가능한 저전력 레벨로 필터(115)링될 수 있다. 더욱이, 대역 내의 인접한 채널 전송이 피해자 수신기(125)에 의해 수용 가능한 레벨로 필터링되지 않으면, 간섭 송신기의 대역 내 전력은 수신기에 적은 간섭을 생성하도록 조정(즉, 낮아짐)(130)될 수 있고, 즉, 송신 대역 내 신호 전력은 감소될 수 있어서, 피해자 수신기 필터를 통해 통과되는 원하지 않는 신호가 적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도 1은 잠재적 간섭에 대한 2가지 양태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1 양태(즉, 간섭자의 잠재적인 인접한 채널)은 필터링을 통해 간섭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잠재적 간섭의 제 2 양태는 간섭자의 대역 내 전력을 차단하는 피해자의 수신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잠재적 간섭의 제 2 양태는 오직 피해자의 개선된 필터링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이는 상이한 네트워크 운영자의 장비의 조정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실현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보다 수용 가능하고 융통성 있는 해결책이 요구된다.
이전에는, 쌍을 이룬 스펙트럼 및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 모두에 배치된 양방향 통신 시스템으로 이와 같은 공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시스템 설계자가 비용 증가 및/또는 성능 영향성 사이를 절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방송 기지국(3G 및 4G 용어로 노드 B로 언급됨) 송신기가 실질적으로 양방향 노드 B 트랜스시버와 함께 배치되는 경우, 또는 방송 노드 B 송신기 및 양방향 노드 B 트랜스시버가 인접한 사이트(예컨대, 각각의 안테나들이 서로를 향하는 빌딩들)에 배치되는 경우 주로 존재한다. SFN(Single Frequency Network;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방송 시스템은 이들이 배치되는 방법에 큰 유연성을 제공하는데, 동일한 방송 컨텐츠가 모든 셀 사이트로부터 동시에 전송되고 네트워크 운영자의 유일한 목표가 전력으로 통신 셀의 커버리지 영역을 채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방송 시스템이 2차 상태를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소위 1차 양방향 통신 시스템으로 어떠한 간섭도 없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 기술들은 차선이다. 따라서, 최근의 셀룰러 네트워크 개발로부터 이용 가능한 증가된 설계 및 기능 유연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잠재적 간섭 문제를 다루기 위한 개선된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앞서 언급된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완화하거나, 경감하거나 또는 제거하도록 시도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라,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 집적 회로, 방법 및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개념들을 구현하기 위해 적응 또는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이하에 기술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고 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에 의해 양방향 기지국으로 야기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 집적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공지된 인접한 채널 간섭 문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적응된 3GPPTM LTE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적응된, eNodeB 기지국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간략화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적응된, eNodeB 기지국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더욱 상세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HD FDD 및 HD TDD 프레이밍/타이밍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간섭자로부터 피해자로의 통신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흐름도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신호 처리 기능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컴퓨팅 시스템의 간단한 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은 UMTSTM(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TM) 시스템 내에서 임의의 쌍을 이룬 스펙트럼 또는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UMTSTM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초점을 맞춘다. 더욱이, 다음의 설명은 예를 들어 SFN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3G 또는 4G 시스템에서 방송 전송을 지원하는데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 잠재적인 인접한 채널 간섭 또는 셀 내 간섭을 겪을 수 있는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본 발명의 개념은 예를 들어 비동기식 시스템에서 또는 프레임 내에서 비협력 스위칭 포인트(UL/DL)를 이용하는 경우 및/또는 주파수 반송파들 간에 협동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 인접한 채널 TDD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잠재적 간섭의 앞서 언급한 제 2 양태(예컨대, 간섭자의 대역 내 전력을 차단하는 피해자 수신기)를 다루거나 경감하기 위해서, 간섭자의 대역 내 전력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임의의 조정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거나, 상이한 시스템들의 적어도 2개의 무선 네트워크 요소들 간의 잠재적 간섭에 기초하여 특성을 조작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결정은 2개의 무선 네트워크 요소들 간의 결합 손실을 측정함으로써(예를 들어, 방송 송신기로부터 양방향 시스템의 수신기로의 경로 손실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간섭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간섭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대응하여, 얼마나 많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지에 관한 결정이 수행될 수 있어, 이러한 간섭을 피하거나 완화시키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잠재적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조정을 결정할 수 있도록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잠재적 간섭이 간섭의 위험에서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인접한 피해자 시스템의 다운링크 채널 상의 전력 측정을 통해 결합 손실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고, 일부 경우에 이와 같은 결정에 상반 정리를 적용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방송 송신기의 양방향 수신기로의 RF 누설을 제한하기 위해서, 송신 전력, 안테나 방위각, 안테나 기울기, 안테나의 편파, 전송 편파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각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중 몇 개의 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정은 간섭하는 방송 송신기와 업링크 수신기를 포함하는 피해자 양방향 기지국 간의 결합 손실을 증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은 통상적으로 방송 시스템 상에서 행해질 수 있는데, 이것이 2차 서비스이며 동일한 컨텐츠가 특정한 서비스 영역 내의 모든 방송 셀 사이트들로부터 송신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정은 인접한 사이트의 커버리지 풋 프린트에 의해 보상될 하나의 사이트의 커버리지 풋 프린트의 감소 또는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200)이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TM) 무선 인터페이스를 준수하며, 이러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작 가능한 네트워크 요소들을 포함한다. 특히, 실시예는 진화된 UTRAN(Evolved-UTRAN; E-UTRAN)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롱 텀 에볼루션(LTE)를 위한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표준에서 현재 논의 중이고, 3GPP TS 36.xxx 시리즈의 표준으로 기술되어 있다.
아키텍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요소 및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 요소로 구성되고, 코어 네트워크(204)는 인터넷 또는 기업 네트워크와 같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로 명명된 외부 네트워크(202)에 결합된다. CN(204)은 3개의 주요 컴포넌트를 갖고, 이것은 서빙 GW(206), PDN GW(PGW)(205) 및 제 1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208)에 해당한다. 서빙 GW(206)는 U-평면(사용자 평면) 통신을 제어한다. PDN-GW(205)는 적절한 외부 네트워크(예컨대, PDN)로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제 1 MME(208)는 C-평면(제어 평면) 통신을 제어하고, 여기서 사용자 이동성, 유휴 모드 UE들에 대한 페이징 개시, 베어러 확립, 및 디폴트 베어러에 대한 QoS 지원이 MME(208)에 의해 다루어진다.
RAN의 주요 컴포넌트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CN(204)에 접속되고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UE들(225)에 접속되는 eNodeB(진화된 NodeB)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방대한 수의 이러한 기반구조 요소들을 가질 것이지만, 명확성을 위해, 도 2에서는 단지 제한된 수만이 도시된다. eNodeB들(210, 220)은 다수의 무선 가입자 통신 유닛들/단말들 [또는 UMTSTM 용어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225)]에 대한 무선 자원 관련 기능들을 제어 및 관리한다.
도 2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에서, 제 1 eNodeB(210)는 방송 커버리지 영역 내의 UE들(225)에 데이터를 방송하도록 정렬되고, 제 2 eNodeB(220)는 양방향 커버리지 영역 내의 UE들(226)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도록 정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커버리지 영역 및 양방향 커버리지 영역은 중첩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커버리지 영역들은 더 적은 영역 또는 더 많은 영역을 중첩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커버리지 영역이 다른 커버리지 영역 내에 완전히 속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 1 eNodeB 및 제 2 eNodeB는 실질적으로 함께 배치되므로, 일부 경우에, 같거나 동일한 유효 커버리지 영역/범위를 지원할 수 있다.
표준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일련의 eNodeB들(210, 220)은 통상적으로 네트워크를 위한 하위 계층 처리를 수행,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 송신을 위해 데이터의 블록블을 포맷팅 및 UE들(225, 226)로의 전송 블록들의 물리적인 송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들에 더하여, eNodeB들(210, 220)은 개별 UE들(225)이 이용하기 위해 업링크(UL) 타임 슬롯 및/또는 다운링크(DL) 타임 슬롯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UE들(225, 226)로부터의 자원에 대한 요구에 응답한다. UE들(225, 226) 각각은 신호 처리 로직(229)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스시버 유닛(227)(오직 명확성을 위해 하나의 UE만 상세하게 나타남)을 포함하고 각각의 위치 영역에서의 통신을 지원하는 eNodeB(210)와 통신한다.
예시적인 방송(MBMS/eMBMS)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하나 이상의 일련의 eNodeB들(210, 220)이 방송을 위해 이용되고 그것의 자원 모두가 이러한 동작 모드에 전념하는 경우, 어떠한 '자원 할당'도 없고 어떠한 UL 통신 경로도 없다. 3GPPTM, UMTSTM 및 LTE는 동일한 무선 주파수 반송파 상에 방송 및 양방향을 혼합하는 대역 내 통신을 이용하여 대역 내 방송 및 전용 방송 모두를 허용한다. 여기서, CN(204)은 방송 미디어 서비스 센터(broadcast media service centre; BM-SC)(254)를 포함하고, 일 예에서, BM-SC(254)는 컨텐츠 제공자(256)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서 컨텐츠 제공자(256)에 결합된다. 이 예에서, CN(204)은 또한 S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258)에 결합되고 BM-SC(254)에 결합되는 진화된 멀티캐스트 방송 멀티미디어 서버(multicast broadcast multimedia server; MBMS) 게이트웨이(GW)(250)를 포함한다. 제 2 MME(258)는 MBMS 베어러의 세션 제어를 관리하고 가입자 통신 유닛(UE)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홈 가입자 서비스(home subscriber service; HSS) 데이터베이스(23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MBMS 게이트웨이(250)는 이동성 앵커 포인트(mobility anchor point)의 역할을 하고, MBMS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IP 멀티캐스트 분배를 eNodeB들에 제공한다. MBMS 게이트웨이(25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제공자들(256)로부터 방송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BM-SC)(254)를 통해 MBMS 컨텐츠를 수신한다. 제어 평면(CP) 데이터의 경우, MBMS 합동 엔티티(MBMS co-ordination entity; MCE)(252)는 MME(258)와 eNodeB들(210, 220) 사이의 E-UTRAN에 존재한다. MCE(252)는 계층 2 구성 및 방송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들의 이용을 관리한다. 따라서, MCE(252)는 RAN 도메인 요소이고, 별도의 엔티티(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거나 eNodeB(210, 2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 평면(UP) 데이터의 경우, BM-SC(254)는 M1 인터페이스를 통해 eNodeB들(210, 220)에 직접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 2 예시적인 방송 시나리오가 갖는 문제는 동일한 무선 주파수 반송파 상에 방송 및 양방향을 혼합하는 대역 내 통신 통신을 이용하면,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력 따위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이와 같은 조정이 eNodeB의 기능 중 양방향 부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스템은 다수의 다른 UE들(225, 226) 및 eNodeB들(210, 220)을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앞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eNodeB(210)는 그 커버리지 영역 내의 UE들(225)에 멀티캐스트 방송 멀티미디어 서비스(MBMS) 또는 LET 시스템을 위한 진화된 MBMS(eMBMS)를 지원하는 방송 송신기로서 구성된다. 제 1 (방송) eNodeB(210)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292)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트랜스시버 유닛(294)을 포함한다. 제 1 (방송) 무선 네트워크 요소[eNodeB(210)]의 하나 이상의 무선 트랜스시버 유닛(294)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상으로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정렬된다. 제 1 (방송) 무선 네트워크 요소[eNodeB(210)]는 제 2 (양방향)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정렬된 로직(293)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의 결정은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측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로직(293)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292) 내에 존재하거나 이들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직(293)은 또한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의 결정으로부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eNodeB(210)]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eNodeB(220)]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도록 정렬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 1 (방송) 무선 네트워크 요소[eNodeB(210)]는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도록 정렬된 적응 로직(291)을 포함한다.
제 2 eNodeB(220)는 그 커버리지 영역 내의 UE들(226)에 양방향 (예컨대,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양방향 트랜스시버로서 동작한다. 제 2 eNodeB(22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296)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트랜스시버 유닛(297)을 포함하고, 또한 UMTSTM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lub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머지 셀 기반 시스템 기반구조와 통신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트랜스시버 유닛(294) 내의 간단한 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들)에 결합된 제 1 eNodeB(210)에(예컨대, 방송 송신기에) 제공될 수 있다. 간단한 수신기는 제 2 eNodeB(220)에 의해 지원되는 인접한 사이트 상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채널들로 튜닝될 수 있고(또는 튜닝 가능하여), 이것으로부터의 간섭은 방송 전송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간단한 수신기는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은 이것의 인접한 사이트로부터의 수신된 전력을 측정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방송 송신기에 의해 이용되는 안테나 어레이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예컨대, 송신 전력, 안테나 방위각, 안테나 기울기, 안테나의 편파, 전송 편파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정 이전 및 이후에,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은 예컨대 경로 손실 측정에서의 변화와 관련하여 영향을 결정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에 의해 수행되는 결정은 방송 시스템 및 양방향 시스템 상의 안테나 포트들 간의 최소 결합 손실을 계산하기 위해 본 기술의 일반적인 최소 또는 공지된 송신 전력(비콘 또는 기타)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2개의 사이트들 간의 '결합 손실'을 결정하기 위해, 양방향 eNodeB 송신기로부터의 전파 손실이 제 1 eNodeB(방송 송신기)에 위치한 간단한 수신기에서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 1 eNodeB(210)의 신호 처리 모듈(292)은 상반 정리를 적용할 수 있어, 동일한 결합 손실(전파 손실)이 반대 방향에 존재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인지적이고 확실한 방송 송신기를 제안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 1 eNodeB(210)의 신호 처리 모듈(292)은 간섭 가능성이 있는지(또는 없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잠재적 간섭 문제의 결정된 지식(예컨대, 방송 송신기 전력, 피해자 장비의 차단 성능 등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특성 또는 파라미터에 관련된 정보)과 함께 결합 손실 측정을 이용할 수 있다. 간섭 가능성이 있거나, 실제로 가능하면, 신호 처리 모듈(292)은 개선 조치가 잠재적 간섭 문제를 해결하거나 완화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나리오에서, 적응 로직(291)[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신호 처리 모듈(29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음]은 안테나 기울기 또는 방향의 조정과 같은 다른 수단들에 의한 결합 손실의 증가 및/또는 방송 송신 전력의 감소를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 1 eNodeB(210)의 측정 및 모니터링은 시스템 배치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일부 경우에, 사이트 간 간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사이트들 또는 안테나들이 배치되었는지(또는 아닌지)의 여부 또는 새로운 주파수 채널들이 활성화되었는지(또는 아닌지)의 여부 등을 결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이와 같은 시스템 배치 또는 지속적인 측정은 방송 시스템 요소 관리자(element manager; EM)에 나타낼 수 있고, 결합 손실 측정이 구성 가능한 문턱값 아래로 가면 하나 이상의 알람들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람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알람 통지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의 자동적 또는 수동적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신호 처리 모듈(292)은 자동적으로 송신 전력을 줄이도록 구성되거나 방송 송신기를 완전히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적응된, 제 1 (방송) eNodeB(210)와 같은 무선 통신 유닛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제 1 eNodeB(210)는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302) 또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안테나들은 제 1 eNodeB(210) 내의 수신 체인 및 송신 체인 간의 분리를 제공하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듀플렉서 또는 안테나 스위치(304)(지원되는 통신의 특징에 따름)에 결합된다. 본 발명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 체인은 수신기 프론트 엔드 회로(310)[수신, RF 필터링(306) 및 중간 대역 또는 기저 대역 주파수 변환(304)을 효과적으로 제공함]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수신기 프론트 엔드 회로(310)는 도 2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간단한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프론트 엔드 회로(310)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들)(292)에 결합된다. 하나 이상의 수신기 체인(들)은 복수의 시간 프레임들에서 데이터 패킷 스트림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수신기 체인(들)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프론트 엔드 회로(306)는 인접한 사이트의 다운링크 주파수로 튜닝되거나 또는 튜닝 가능하다. 수신기가 인접한 미정의 송신기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하거나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들)(292)의 일부로서 이 예에서 예시되는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이 인접한 양방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품질 및/또는 인접한 양방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순수 신호 전력 측정을 결정하도록 정렬된다.
제어기(314)는 제 1 eNodeB(210)의 전체적인 동작 제어를 유지한다. 제어기(314)는 또한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들)(292)[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에 의해 실현됨] 및 수신기 프론트 엔트 회로(310)에 결합된다. 제어기(314)는 또한 디코딩/인코딩 기능들, 동기화 패턴, 코드 시퀀스들 등과 같은, 동작 체제들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요소들(316)에 결합된다. 타이머(318)는 제 1 eNodeB(210) 내의 타이밍 동작(시간 의존적 신호들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314)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송신 체인에 대하여, 이것은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302)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전력 증폭기(324) 및 송신기/변조 회로(322)를 포함한다. 송신 체인은 복수의 사용자들/UE들(도시되지 않음)에 데이터 패킷 스트림들을 송신/방송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송신기/변조 회로(322) 및 전력 증폭기(324)는 동작 가능하게 제어기(314) [및/또는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들)(292)]에 대응한다. 방향성 결합기(344)는 방송 송신 신호의 일부분을 떼어 내어 피드백 회로(330)에 그 일부를 제공하도록 전력 증폭기(324)의 출력에 위치된다. 일 예에서, 피드백 회로는 방송 전송의 송신 전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방송 송신 신호의 일부분을 처리하고, 및/또는 송신기/변조 회로(322) 및/또는 전력 증폭기(324)의 하나 이상의 증폭기들과 같은 송신 체인의 파라미터들을 제어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피드백 회로는 방송 전송의 송신 전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방송 송신 신호의 일부분을 단지 라우팅하여 처리하지 않고, 및/또는 송신기/변조 회로(322) 및/또는 전력 증폭기(324)의 하나 이상의 증폭기들과 같은 송신 체인의 파라미터들을 제어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송신 체인의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들)(292)은 수신 체인의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들)(292)과는 별개의 것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 프로세서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들 모두의 처리를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명백하게, 무선 통신 유닛[예컨대, 제 1 eNodeB(210)]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궁극적 구조물과 함께 이산적 컴포넌트 형태 또는 통합된 컴포넌트 형태로 실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응용 특유적 또는 설계 선택적이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모듈(들)(292)은 제 1 eNodeB(210)와 하나 이상의 제 2 eNodeB들 간의 통신을 갖는 UL 채널 또는 DL 채널에 간섭의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함)을 포함하도록 적응되었다. 일 예에서,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은 피드백 회로(330)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은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에 관해서 안전한 물리적 거리가 제 1 eNodeB 및 제 2 eNodeB들 간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용어 '안전한'은 송신 전력, 수신기 차단 성능, 안테나 방위각, 안테나 기울기, 안테나의 편파, 전송 편파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수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방송 시스템에서, 안테나의 편파 또는 전송 편파는 안테나 다이버시티가 요구되지 않을 때 적응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와 같은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은 하나 이상의 문턱값들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은 네트워크 파라미터들 중 하나, 다수 또는 모두가 각각의 문턱값(들) 위 또는 아래의 적합한 레벨에 있으면 간섭 발생없이 2개의 eNodeB들이 동시에 공존하는 것에 대해 통신은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제 1 eNodeB(210)와 같은 무선 통신 유닛의 일 예의 더욱 상세한 블록도가 나타난다. 제 1 eNodeB(210)는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302) 또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안테나들은 제 1 eNodeB(210) 내의 수신 체인 및 송신 체인 간의 분리를 제공하는 안테나 스위치(304)에 결합된다. 안테나 스위치(304)는 수신/감지 신호 경로(408)를 통해 수신기 RF 필터(306)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신기 RF 필터(306)는 간섭의 위험에서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인접한 사이트의 다운링크 주파수로 튜닝되거나 튜닝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수신기 RF 필터(306)는 인접한 사이트의 송신 신호를 추출하고 임의의 다른 수신된 신호를 대부분 걸러내기 위해서 튜닝되거나 튜닝 가능하다.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은 인접한 양방향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품질을 결정하도록 정렬되고, 이 예에서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제공하도록 정렬된 신호 전력 측정 로직(293)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은 인접한 시스템 다운링크 송신 전력의 지식에 기초하여 제 1 eNodeB(210)와 제 2 eNodeB(220) 간의 결합 손실을 계산한다.
일 예에서,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은 간섭에 대해 인접한 시스템의 공지된 취약성 및 방송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간섭 가능성이 있는지(또는 없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신호 품질 측정과 문턱값을 비교할 수 있다. 신호 품질 결정 로직(293)은 요소 관리자 및/또는 제어 로직(402)에 신호 전력 표시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요소 관리자 및/또는 제어 로직(402)은 결정된 정보를, 말하자면,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에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요소 관리자 및/또는 제어 로직(402)은 예를 들어 특정한 문턱값 레벨에 걸친 수신된 신호 전력(또는 유사한 품질 레벨)과 연관된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해 알람 모듈(도시되지 않음)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요소 관리자 및/또는 제어 로직(402)은 신호 증폭 제어 로직(404)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신호 증폭 제어 로직(404)은 예컨대 전력 증폭기 라인업(324)의 제어를 통해, 송신기의 증폭기 체인에서 또는 디지털 신호 발생 로직(322)에서 방송 송신 신호의 신호 레벨을 설정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송신 RF 필터(406)는 안테나 스위치(304)를 통해 방송 신호를 안테나(302)(또는 안테나 어레이)에 라우팅하기 전에 임의의 원하지 않은 송신 신호를 실질적으로 걸러낸다.
일 예에서, 집적 회로는 제 1 (방송) 무선 네트워크 요소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는 제 1 (방송)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상으로 제 2 (말하자면, 인접한, 양방향)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다운링크 신호를 [즉, 감지 신호 경로(408)를 통해] 수신하도록 정렬된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는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정렬되거나, 신호 품질 결정 로직 또는 전력 측정 로직과 같은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는 신호 품질 결정으로부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고,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도록 정렬되거나,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경로 손실 추정 접근 방법을 이용하는 FDD 피해자 UL 상의 잠재적 간섭의 도식적 표현(500) 및 경로 손실 추정을 위해 TDD 피해자 UL 상의 잠재적 간섭의 도시적 표현(550)이 나타난다. 도시적 표현은 전송이지만 UL 수신 동작의 경우 감쇠(전력에 대조적임)로서 여겨질 수 있을 때, 전력(505) 대 주파수(545)를 도시한다. FDD 피해자의 도시적 표현은 피해자 UL NodeB 수신기(540) 상에 (잠재적) 간섭(520)을 일으키는 송신 간섭 신호(515)를 나타낸다. TDD 피해자의 도식적 표현은 피해자 UL 및 DL NodeB 트랜스시버(560) 상에 (잠재적) 간섭(555)을 일으키는 송신 간섭 신호(570)를 나타낸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흐름도(600)는 예를 들어 제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 및 예를 들어 제 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흐름도(600)는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예컨대, 방송 eNodeB)에서 시작하고,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인접한 (양방향) eNodeB의 파일롯 또는 비콘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인접한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전송의 수신된 신호 강도(또는 유사한 신호 품질 표시)의 측정을 수행한다. 일부 예들에서, 비트 오류율, 블록 오류율, 프레임 오류율, 반송파 대 간섭 신호, 반송파 대 간섭 플러스 잡음 신호 등과 같은 인접한 (양방향) eNodeB로부터의 전송의 다른 측정들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매우 복잡한 수신기가 비콘 신호의 원래의 송신 전력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시스템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관련 파라미터들 또는 값들의 수동 입력이 결합 또는 경로 손실 계산을 돕기위해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신호 처리 모듈은 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양방향) eNodeB에 대한 신호 전력의 결합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서, 신호 처리 모듈은 입력으로서, 6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시스템의 송신 전력의 표시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신호 처리 모듈을 6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전송에 의해 인접한 시스템에 야기되는 간섭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서, 신호 처리 모듈은, 입력으로서, 6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신의 송신 전력의 표시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6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산된 간섭 레벨이 문턱값 레벨 위에 있는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신호 처리 모듈은, 입력으로서, 6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시스템의 간섭의 허용 가능한 레벨의 표시를 수신한다.
620에서의 결정이 계산된 간섭 레벨이 문턱값 레벨 위에 있으면,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6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신의 송신 전력 레벨을 자동적으로 줄이거나 요소 관리자(EM) 알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나서, 흐름도는 605의 신호 강도 측정으로 루프 백 한다. 620에서의 결정이 계산된 간섭 레벨이 문턱값 레벨 위에 없으면, 흐름도는 605의 신호 강도 측정으로 루프 백 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 제어된 간섭 감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700)이 나타난다. 이러한 유형의 컴퓨팅 시스템은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 또는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같은 무선 통신 유닛들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또는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법을 또한 인지할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700)은 예를 들어, 데스크탑, 랩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PDA, 셀룰라 폰, 팜탑 등), 메인프레임, 서버, 클라이언트, 또는 주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환경에 대해 적절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특수 목적용 또는 범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700)은 프로세서(704)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4)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다른 제어 로직과 같은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프로세싱 엔진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로세서(704)는 버스(702) 또는 다른 통신 매체에 접속된다.
컴퓨팅 시스템(700)은 또한 프로세서(704)에 의해 실행될 정보와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다른 동적 메모리와 같은, 주 메모리(708)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메모리(708)는 또한 프로세서(704)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의 실행 동안에 임시 변수 또는 다른 매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시스템(700)은 프로세서(704)를 위한 정적 정보와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해, 버스(702)에 결합된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또는 다른 정적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700)은 또한 예컨대, 매체 드라이브(712)와 탈착 가능형 저장 인터페이스(720)를 포함할 수 있는, 정보 저장 시스템(710)을 포함할 수 있다. 매체 드라이브(71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드라이브(DVD) 판독 또는 기록 드라이브(R 또는 RW), 또는 다른 탈착 가능형 또는 고정형 매체 드라이브와 같은, 고정형 또는 탈착 가능형 저장 매체를 지원하는 드라이브 또는 다른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718)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학 디스크, CD 또는 DVD, 또는 매체 드라이브(712)에 의해 판독되고 기록되는 다른 고정형 또는 탈착 가능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장 매체(718)는 특정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정보 저장 시스템(710)은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명령어 또는 데이터가 컴퓨팅 시스템(700) 내로 로딩되도록 해주는 다른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프로그램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인터페이스, 탈착 가능형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 또는 다른 탈착 가능형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슬롯과 같은 탈착 가능형 저장 유닛(722) 및 인터페이스(720), 및 소프트웨어와 데이터가 탈착 가능형 저장 유닛(718)으로부터 컴퓨팅 시스템(700)에 전송되도록 해주는 다른 탈착 가능형 저장 유닛(722) 및 인터페이스(720)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700)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72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724)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팅 시스템(700)과 외부 디바이스들 간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724)의 예들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컨대, 이더넷 또는 다른 NIC 카드), 통신 포트[예컨대,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BS) 포트], PCMCIA 슬롯 및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724)를 통해 전송되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724)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전자적 신호, 전자기적 신호, 및 광학적 신호의 형태 또는 다른 신호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신호들은 채널(728)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724)에 제공된다. 이 채널(728)은 신호를 운반할 수 있으며, 무선 매체, 유선 또는 케이블, 광섬유, 또는 다른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채널의 일부 예들은 전화선, 셀룰라 전화 링크, RF 링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컬 또는 광대역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채널들을 포함한다.
이 명세서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등은 예를 들어, 메모리(708), 저장 디바이스(718), 또는 저장 유닛(722)과 같은 매체를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세서(704)가 특정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704)에 의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로 언급되는 이와 같은 명령어들(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 또는 다른 그룹의 형태로 그룹화될 수 있음)이 실행될 때에, 컴퓨팅 시스템(700)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코드는 프로세서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직접적으로 야기시킬 수 있거나, 이렇게 행하도록 컴파일될 수 있거나, 및/또는 이렇게 행하도록 다른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요소들(예컨대, 표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브러리)과 결합될 수 있다.
요소들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탈착 가능형 저장 드라이브(722), 매체 드라이브(712)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724)를 이용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팅 시스템(700) 내에 로딩될 수 있다. 제어 로직(이 예에서, 소프트웨어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은, 프로세서(704)에 의해 실행될 때에, 프로세서(704)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일 예에서,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 및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에서 실행될 때,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상으로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고, 측정으로부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고,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명확성을 위해, 위의 설명은 상이한 기능 유닛들과 프로세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상이한 기능 유닛들 또는 프로세서들 간에 임의의 적절한 기능 분산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별개의 프로세서들 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난 기능은 동일한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기능 유닛들에 대한 참조는 엄격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 또는 조직을 나타내는 것이라기 보다는, 위에서 설명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에 대한 참조인 것으로서만 바라봐야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택일적 사항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들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상에서 구동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소들 및 컴포넌트들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물리적으로, 기능적으로 및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기능은 단일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복수의 유닛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기능 유닛들의 일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적 블록들 및/또는 로직 요소들이 통신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합하기 위해 집적 회로에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에 적합한 집적 회로의 일예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는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상으로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고, 측정으로부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고,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더욱이, 로직 블록들 간의 경계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로직 블록 또는 회로 요소들을 병합하거나 다양한 로직 블록들 또는 회로 요소들 상에 대안적인 기능 구성을 부과할 수 있다는 것이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사실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다수의 다른 구조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더욱 의도된다. 예를 들어, 명확성을 위해, 제 1 네트워크 요소의 신호 처리 모듈(292)은 신호 처리 모듈로서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다른 구현에서, 이것은 별도의 처리 모듈 또는 로직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시키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보다는,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추가적으로, 비록 특정한 실시예들과 관련된 특징이 설명된 것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이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는 알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용어 '포함한다'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더욱이, 복수의 수단들, 요소들 또는 방법 단계들이 개별적으로 나열되었지만, 이것들은 예를 들어 단일 유닛 또는 단일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이한 청구항들에 개별적인 특징들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들은 이롭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이한 청구항들에서의 이러한 포함은 특징들의 결합이 실현 가능하지 않거나 및/또는 이롭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청구항 카테고리에서의 특징의 포함은 이러한 카테고리에 대한 한정을 내포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 특징은 다른 청구항 카테고리에 적절한 방식으로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청구항들에서의 특징들의 순서는 특징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임의의 특정한 순서를 암시하지 않으며, 특히 방법 청구항 내의 개별적인 단계들의 순서는 단계들이 이러한 순서로 수행되어야하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이 대신에, 단계들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단수 언급은 복수를 배제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a', 'an', '제 1', '제 2' 등의 언급은 복수성을 제외시키지 않는다.

Claims (17)

  1.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에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상으로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측정으로부터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다운링크 채널과 연관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가 이용할 계획을 하고 있는 제 1 채널과 상이한 제 2 채널 상의 잠재적 간섭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 상의 잠재적 간섭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채널 상의 전송 동작이 상기 제 2 채널 상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결정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채널에 대한 경로 손실 값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다운링크 채널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다운링크 파일롯 또는 비콘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의 결합 손실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전송으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에 제공되는 간섭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전송으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에 제공되는 간섭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상기 다운링크 채널 상에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상기 신호 품질 레벨 측정에 대한 상호성(reciprocity)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이 간섭 문턱값을 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으로부터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공지된 송신 전력;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공지되거나 측정된 송신 전력;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허용 가능한 간섭 문턱값
    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상기 다운링크 채널과 연관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는 단계는,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송신 전력을 자동적으로 줄이거나;
    안테나 방위각, 안테나 기울기, 안테나의 편파, 전송 편파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안테나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
    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상이한 기술을 이용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방송 다운링크 네트워크 요소이고,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양방향 네트워크 요소인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
  14.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저장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에서 실행될 때,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상으로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호 품질로부터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고;
    상기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5.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상으로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호 품질로부터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고;
    상기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도록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는 방송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
  17.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를 위한 집적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상으로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호 품질로부터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와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 요소 간의 잠재적 간섭을 결정하고;
    상기 잠재적 간섭의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 요소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적응하도록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KR1020137033764A 2011-05-25 2012-05-01 방송 기지국에 의해 양방향 기지국으로 야기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 집적 회로 및 방법 KR20140037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08743.4A GB2491145B (en) 2011-05-25 2011-05-25 Wireless network elemen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GB1108743.4 2011-05-25
PCT/EP2012/057953 WO2012159853A1 (en) 2011-05-25 2012-05-01 Wireless network elemen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caused by a broadcast base station to a bi-directional bas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132A true KR20140037132A (ko) 2014-03-26

Family

ID=4427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764A KR20140037132A (ko) 2011-05-25 2012-05-01 방송 기지국에 의해 양방향 기지국으로 야기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 집적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177483A1 (ko)
EP (1) EP2716120A1 (ko)
JP (1) JP2014515575A (ko)
KR (1) KR20140037132A (ko)
CN (1) CN103609185A (ko)
GB (1) GB2491145B (ko)
WO (1) WO2012159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3478B2 (en) * 2012-01-27 2015-02-10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coherent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per CSI-RS feedback
PT2854475T (pt) * 2012-06-29 2019-02-04 Huawei Tech Co Ltd Sistema de gateway, dispositivo e método de comunicação
JP6007743B2 (ja) * 2012-11-16 2016-10-12 富士通株式会社 マルチホップ通信端末、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及びマルチホップ通信方法
US9820295B2 (en) 2013-01-10 2017-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ver-the air signaling for coordination of time-division duplexing
CN103943449B (zh) * 2013-06-28 2016-08-1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射频串扰的测量方法、设备和系统
EP3130154B1 (en) * 2014-04-11 2019-03-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time division duplex operation
US10033107B2 (en) 2015-07-14 2018-07-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antenna to a device
US10341142B2 (en) 2015-07-14 2019-07-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non-interfering electromagnetic waves on an uninsulated conductor
US10320586B2 (en) 2015-07-14 2019-06-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non-interfering electromagnetic waves on an insulated transmission medium
US10129057B2 (en) 2015-07-14 2018-11-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inducing electromagnetic waves on a cable
US9722318B2 (en) 2015-07-14 2017-08-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antenna to a device
US10742243B2 (en) 2015-07-14 2020-08-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antenna to a device
US9490855B1 (en) 2015-09-01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direc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filter management
US10355727B2 (en) * 2017-06-30 2019-07-16 T-Mobile Usa, Inc. Increasing wireless spectral efficiency by leveraging interfering signals
US10477490B2 (en) * 2017-08-31 2019-11-12 Motorola Solutions, Inc. Mitigating inter-device interference using cloud-based policy
US10355745B2 (en) * 2017-11-09 2019-07-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uided wave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5121B4 (de) * 2002-09-27 2005-10-20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Mobilfunksystems, Mobilfunksystem und Anpassungseinrichtung für ein Mobilfunksystem
KR100753369B1 (ko) * 2006-08-30 2007-08-3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
WO2008099563A1 (ja) * 2007-02-16 2008-08-21 Nec Corporation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共通パイロット信号送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15629B2 (en) * 2009-02-24 2012-11-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symmetric uplink/downlink connec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908595B2 (en) * 2009-03-12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mitigation in access point base stations
CN101841903A (zh) * 2009-03-20 2010-09-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减小基站间干扰的装置和方法
US8670432B2 (en) * 2009-06-22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nding reference signals from multiple cells
JP4907700B2 (ja) * 2009-07-10 2012-04-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局、送信局及び周波数帯共用方法
US20110090885A1 (en) * 2009-10-15 2011-04-21 Saeid Safavi Methods and apparatus for centralized and coordinated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lan network
US8923190B2 (en) * 2009-11-02 2014-12-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resources for coordinated network deployment
US8868091B2 (en) * 2010-01-1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via over the air load indicator and relative narrowband transmit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09185A (zh) 2014-02-26
GB201108743D0 (en) 2011-07-06
GB2491145A (en) 2012-11-28
US20140177483A1 (en) 2014-06-26
EP2716120A1 (en) 2014-04-09
GB2491145B (en) 2014-02-26
WO2012159853A1 (en) 2012-11-29
JP2014515575A (ja)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7132A (ko) 방송 기지국에 의해 양방향 기지국으로 야기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요소, 집적 회로 및 방법
US11985694B2 (en) Schedul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57015B2 (en) Sidelink signal measurement and resource selection in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s
US8830985B2 (en) Enabling coexistence between FDD and TDD wireless networks
US8908571B2 (en) Enabling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networks
EP32646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collocated transceivers
KR101217966B1 (ko) 조정되지 않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 통신 네트워크들 간의 동기화
US20190053087A1 (en) Methods for Adapting UE Measurement Period to Conditions
US101045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eliminating inter-system neighbor cell interference
WO2023186487A1 (en)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s, and network infrastructure equipment
CA2773485A1 (en) Methods of radio communication involving multiple radio channels, and radio signal repeater and mobile station apparatuses implemen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