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943A - 중앙 타이어 팽창 휠 조립체 및 밸브 - Google Patents

중앙 타이어 팽창 휠 조립체 및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943A
KR20110066943A KR1020117008933A KR20117008933A KR20110066943A KR 20110066943 A KR20110066943 A KR 20110066943A KR 1020117008933 A KR1020117008933 A KR 1020117008933A KR 20117008933 A KR20117008933 A KR 20117008933A KR 20110066943 A KR20110066943 A KR 2011006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ire
manifold
cas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에이. 메들리
더글라스 피. 밀러
도널드 이. 블랙맨
토마스 발게스
Original Assignee
글로벌 엔지니어링 마케팅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 엔지니어링 마케팅 엘엘씨 filed Critical 글로벌 엔지니어링 마케팅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6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F16K15/207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and combined with other valves, e.g.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6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e.g. housings, guards, covers for valve caps, lock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60C23/003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comprising rotational joints between vehicle-mounted pressure sources and the tyres
    • B60C23/00309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comprising rotational joints between vehicle-mounted pressure sources and the ty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components, e.g. valves, sealings, conduits or sensors
    • B60C23/00318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comprising rotational joints between vehicle-mounted pressure sources and the ty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components, e.g. valves, sealings, conduits or sensors on the wheels or the h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60C23/003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comprising rotational joints between vehicle-mounted pressure sources and the tyres
    • B60C23/00354Details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60C23/003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comprising rotational joints between vehicle-mounted pressure sources and the tyres
    • B60C23/00363Details of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3584Inflatable article [e.g., tire filling chuck and/or 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3584Inflatable article [e.g., tire filling chuck and/or stem]
    • Y10T137/36With pressure-responsive pressure-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ck Valve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은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의 가압 유체 공급부에 연결 가능한 본체를 수용하고 있는 타이어와 연통하고 있는 자동차의 타이어에 결착 가능한 케이스, 및 상기 밸브를 통해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를 포함한다. 밸브는 외륜의 외부 표면상에 대해 또는 외륜 내의 함입 위치에 대해 동일한 평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에서 각각의 밸브 및 밸브에 연결된 타이어로의 가압 유체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매니폴드에 연결될 수 있다. 매니폴드 및 유체 공급부의 작동은 매니폴드 및 가압 유체 공급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중앙 타이어 팽창 휠 조립체 및 밸브{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AND VALVE}
관련 출원 참조
본원은 2008년 09월 29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100,81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원에 전체가 명확히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타이어 팽창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 일부를 형성하는 타이어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휠 일부를 형성하는 타이어를 팽창시키고 수축시키기 위해 종종 밸브는 휠의 외륜(rim) 또는 중추부(hub)에 위치되어, 휠 외륜 둘레에 위치한 타이어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키고 수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공기가 밸브를 통해 타이어의 내부로 또는 외부로 흘러,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휠의 승차감 특성 및 전반적인 자동차의 승차감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밸브는 휠의 외부로부터만 접속 가능하여, 밸브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팽창시키고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정지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다양한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CTIS)은 자동차에 있어서 기관실 또는 기타 운전실로부터 원격으로 작동될 수 있는 휠 외륜 상에 밸브를 제공하도록 개발되어 왔다. 필요한 경우, 이러한 시스템은 개인이 타이어의 승차감 특성을 변경하도록 밸브를 이용함으로써 자동차 타이어 내부 또는 외부로의 공기 흐름을 제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의 예로는 호왈드(Howald)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6,474,383호, 왕(Wang)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7,168,468호, 및 공동 출원되어 공-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1/680,303호에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출원 각각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이들 특허 각각에서 휠의 외륜은 내부 통로를 갖도록 형성되어, 통로를 통해 압축 공기 공급부로부터 밸브로 공기가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밸브는 자동차의 객실 또는 기관실 내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하여, 공기가 밸브를 통해 흘러 외륜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타이어 내로 흐르게 한다. 통로가 ('383 특허에서의) 외측 외륜 또는 ('468 특허에서의) 내측 외륜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륜 및 이의 연관 밸브를 통해 압축 공기 유입구에서 외륜 구성성분의 외부 표면상의 개구부로 이어지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내측 및 외측 외륜 구역에 의해 형성된 휠의 맞은편 측부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유출구는 또한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보강부(bead) 사이에 위치되어, 필요한 경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즉 타이어를 팽창시키거나 추축시키기 위해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타이어 내부에서 유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래의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은 이들과 함께 사용되는 밸브를 요구하는 통로 설계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타이어 내에 상기 밸브의 혼입을 위한 다수의 부가적인 구성성분을 요구하는 설계를 구비하게 된다. 이들 부가적인 구성성분은 밸브 및 이와 관련된 CTIS의 비용 및 복잡성을 상당히 증가시켜, 밸브가 규칙적으로 작동할 수 없게 하며, 따라서 밸브의 꾸준한 수리 및/또는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특정의 종래 시스템에서 외륜 통로의 구성에 따르면, 밸브는 외륜 구성성분의 외부 표면상의 통로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 즉 외륜 상의 표면 장착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외륜 외부 상에 밸브를 배치하는 것은 자동차가 작동 중인 경우에 노출 위치에서 밸브와 충돌하는 잔해물 또는 기타 물체에 의해 밸브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휠 커버는 도관 및 조정장치(fitting)와 같은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용 밸브 및 기타 보조 성분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 휠 커버는 금속 또는 복합 재료로 형성되며, 사용시 커버 내부에 록(rock)을 트래핑(trapping)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버는 록이 커버에 의해 보호되도록 되어 있는 휠 상의 CTIS 시스템의 밸브 및 기타 구성성분을 손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록 텀블러(rock tumbler)로 전환된다.
그 결과, 최소의 부품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휠로 결합될 수 있는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밸브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휠 외부 상의 밸브의 프로파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함입형(recessed) 또는 포매형(imbedded)으로 구성되거나, 외륜의 외부 상에 위치하는 경우 최소화된 프로파일을 갖는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 결합형 휠의 외륜 내에 위치할 수 있는 밸브를 개발하여, 자동차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 밸브가 충돌하여 손상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선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밸브뿐만 아니라, 또한 개선된 구조적 및 작동 형태를 갖는 내부 기류 분배 시스템도 포함하는 CTIS를 개발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타이어 휠 상에 또는 타이어 휠 내부에 직접 안착될 수 있으며, 밸브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밸브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이동성 부품(moving part)을 최소로 포함하는 타이어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는, 외륜의 외부 상에 밸브를 위치시키기 위해 휠 외륜에 결착되거나, 외륜에 대해 함입 위치에 밸브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휠 외륜에 결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본체를 동봉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는 케이스와 본체 사이에서의 공기 유동을 막기 위해 밀봉형 구조를 갖는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케이스는, 공기 공급부가 케이스의 유출구를 통해 본체에서 타이어로의 공기 유동을 유도하도록 자동차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 공급부와 연통하여 본체를 배치시키는 구멍(aperture)을 포함한다. 공기 공급부로부터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는 밀봉 가능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결착되는 밸브 마개(valve poppet)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마개는 본체 내부에 완전히 유지되는 하부 영역 및 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상부 영역을 포함한다. 상부 영역은 본체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밸브 마개를 통과한 후 공기 공급부에서 본체 밖으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밸브 마개는 밸브 마개와 본체 사이에 연동되어 있는 편향 부재(biasing member)에 의해 개방 위치 또는 밀폐 위치로 편향된다. 편향 부재는 타이어로 또는 타이어로부터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도록 본체 내부의 공기압을 미비하게 변경함으로써만 밸브 마개가 본체에 대해 움직이는 것을 도와준다. 이는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밸브 마개가 작동하도록 하여, 밸브의 작동 제어는 가압 공기 공급원과 연결된 제어부를 통해 원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밸브의 밸브 마개 및 편향 부재는 2개의 버전의 밸브 중 하나의 내부에서 제거 가능하며 교체 가능하게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밸브의 특정한 적용, 예를 들어 밸브가 장착될 자동차에 따라, 밸브 마개 및 편향 부재는 밸브를 통한 휠 외륜으로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의 본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에 대한 설계는 밸브의 이러한 구성성분들 중 하나가 손상되는 경우에 밸브가 신속하게 수리되거나 교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밸브는 공기 공급부와 밸브 사이에서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자동차에 위치하는 매니폴드(manifold)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매니폴드는 전방 휠과 후방 휠에 위치하는 이 같은 밸브와 같이 소정의 밸브로의 공기 유동을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매니폴드 상에 배치되어, 필요한 경우 공기 공급부에서 소정의 타이어로의 공기 유동을 유도하도록 자동차의 작동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제어 밸브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수의 기타 양태,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면은 현재 본 발명을 실시하도록 의도된 최상의 실시모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휠 밸브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등각 투상도(isometric view)이고;
도 2는 도 1의 휠 밸브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등각 투상도이고;
도 3은 도 1의 라인 3-3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라인 4-4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휠 외륜에 장착된 도 1의 휠 밸브의 등각 투상도이고;
도 6은 폐쇄 위치에서 있는 도 1의 휠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7은 개방 위치에서 있는 도 1의 휠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8은 휠 외륜에 장착된 도 2의 휠 밸브의 부분 절취된 등각 투상도이고;
도 9는 휠 외륜에 장착된 도 2의 휠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2의 휠 밸브의 경사 단면도이고;
도 11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2의 휠 밸브의 경사 단면도이고;
도 12는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에서 도 1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니폴드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등각 투상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매니폴드의 정면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라인 14-14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16은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에서 도 1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니폴드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등각 투상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매니폴드의 배면 등각 투상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매니폴드의 매니폴드 블록의 등각 투상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매니폴드 블록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매니폴드 블록의 배면 등각 투상도이고;
도 21은 도 1의 밸브를 포함하는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부의 상부 평면도이다.
먼저,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휠 밸브의 제 1 실시예는 도 1,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도면 부호 10으로 나타나 있다. 밸브(10)는 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그 상부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휠(16)의 외륜(14)에 결착되어 있는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외륜(14)은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통로 또는 채널(18)을 포함하며, 이때 케이스(12)는 통로(18) 중 하나의 상부에 창작되거나, 다르게는 통로(18) 중 하나와 연통되게 장착된다. 케이스(12)는 케이스(12)와 외륜(14) 사이에서 기밀 연동을 유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외륜(14)에 대해 동일 평면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스(12)는 내부에 형성된 천공(22)을 포함하는 케이스(12)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20)를 포함한다. 천공(22)은 자신을 통해 케이스(12)를 외륜(14)에 고정시키기 위해 외륜(14)과 연동되는 적절한 패스너(23)를 수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20)는 케이스(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지만, 대안적으로 플랜지(20)는 케이스(12)의 외부와 이형 가능하게 연동되는 고리(도시되지 않음)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리 및 케이스(12) 상의 적합한 나사산 연동 구조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2)는 금속 또는 일반적으로 강성인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중앙 공동(26)을 포함한다. 공동(26)은 개방 하부 말단(28), 및 폐쇄 상부 말단(31)에 인접한 하부 말단(28)으로부터 이격된 유출구(30)를 포함한다. 하부 말단(28)은 적합한 공기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공기 공급부는 자동차의 타이어(1006, 도 15)까지 연장된 적합한 도관(1004, 도 15)을 통해,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축을 따라 또는 차축을 통해 공기를 유도하도록 공기 공급부(1002, 도 15)에 연결되어 있는 중심 제어부(500, 도 21)를 포함하는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1000, 도 15)의 일부를 형성한다. 부가적으로, 하부 말단(28)은 하부 말단(28)으로부터 외측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밀봉 부재(102)가 위치하고 있는 주변부 노치(100)(peripheral notch, 100)를 포함한다. 케이스(12)가 외륜(14)에 장착되는 경우, 밀봉 부재(102)는 외륜(14)과 연동하며, 공기 공급부로부터 흐르는 공기가 케이스(12) 내부로만 통과하도록 케이스(12)와 외륜(14) 사이에 기밀 연동을 제공한다.
하부 말단(28)과 이격되어 있는 유출구(30)는 임의의 목적하는 형상 및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케이스(12) 내부로 또는 케이스(12)에서 타이어로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출구(30)는 일반적으로 하부 말단(28)의 맞은편에 위치하며, 중앙 공동(26)과의 연통을 위해 케이스(12)를 통해 연장된 원형의 천공(32)으로서 형성된다. 천공(32)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 예를 들어 나사산 또는 용접 연동에 의해 천공(32) 내부에 위치하고 결착되는 좁은 말단(36), 및 좁은 말단(36)의 맞은편에 있는 넓은 말단(38)을 포함하는 조정장치(34)를 수용한다. 좁은 말단(36)은 천공(32) 내로 좁은 말단(36)의 삽입을 위한 멈춤 장치(stop)로서 작용하는 외주 플랜지(40)를 포함한다. 오링(o-ring)과 같은 밀봉 부재(44)가 위치하고 있는 오목부(42)는 플랜지(40)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밀봉 부재(44)는 좁은 말단(36)이 유출구(30)를 밀봉하기 위해 천공(32) 내부에 수신되는 경우에 천공(32)의 내부 또는 천공(32)의 테이퍼 표면(tapered surface, 33)과 밀봉 가능하게 연동한다. 유출구(30)와 연동되는 경우, 조정장치(34)는 내부에 형성된 중앙 통로(46)를 통해 밸브(10) 또는 타이어로부터 공기가 유동하게 하며, 타이어는 적합한 방식으로 넓은 말단(38)과 연동되는 튜브(도시되지 않음)를 개재하여 넓은 말단(38)에 연결된다.
도 1,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케이스(12)의 중앙 공동(26)은 내부에 배치된 밸브 본체(48) 및 밸브 부재 또는 마개(50)를 수용하고 있다. 본체(48)는 금속 또는 강성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되며, 공동(26)의 형상과 부합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공동(26)의 형상은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통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외륜(14)과 적절한 연동을 위해 노치(100)에서 밀봉 부재(102)를 보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본체(48)는 테이퍼 내부 표면(57)이 구비된 개방 상부 말단(56)을 갖는 외벽부(54), 및 내측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하부벽(58)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벽(58)은 케이스(12)의 개방 하부 말단(28)과 유체 연통하는 구멍(60)을 내부에서 제한한다. 외벽부(54)는 오링과 같은 밀봉 부재(64)가 배치된 외부 표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주변홈(62)을 포함한다. 본체(48)가 케이스(12)의 중앙 공동(26)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밀봉 부재(64)는 공동(26)의 내부와 연동하며, 케이스(12)와 본체(48)의 기밀 연동을 제공한다.
본체(48) 내부에는 밸브 마개(50)가 배치되며, 상기 밸브 마개(50)는 금속 또는 일반적으로 강성인 플라스틱과 같은 적합한 재료로 형성되며, 중앙 구역(70)에 의해 접합되는 하부 구역(66) 및 상부 구역(68)을 구비한다. 하부 구역(66)은, 하부 구역(66)과 본체(48) 사이에서 공기 또는 유체 유동을 방지하면서도 하부 구역(66)이 본체(48)의 내부(49)에서 움직이거나 활주할 수 있도록 본체(48)의 내부(49)에 대해 형상 및 단면이 상보적이도록 형성된다. 하부 구역(66)과 본체(48)의 밀봉 연동은, 하부 구역(66)이 본체(48)의 내부(49)에 대해 움직이거나 본체(48)의 내부(49)에서 활주하도록 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타 적합한 수단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구역(66)은 공기 유동이 하부 구역(66)을 완전히 통과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이 중공이거나 관 모양을 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하부 구역(66)의 외부 표면(67)은 그 상부에 다수의 홈(72)이 형성될 수 있다. 홈(72)은 하부 구역(66)과 본체(48) 사이의 유체 밀봉 연동의 손상없이 본체(48)와 접촉하고 있는 하부 구역(66)의 표면적을 감소시킨다. 본체(48)와 접촉하고 있는 하부 구역(66)의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응축으로 인해 밸브(10) 내부 또는 주변에서 얼음이 형성되는 경우에 하부 구역(66)과 본체(48) 사이의 접촉량의 감소는 더욱 용이하게 얼음을 부서지게 하며, 결과적으로 하부 구역(66)이 본체(48)에 대해 활주하도록 하여, 저온 조건하에서도 밸브(10)가 적절히 작동하도록 한다.
중앙 구역(70)은 하부 구역(66)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 구역(66)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중앙 구역(70)은 본체(48)로부터 중앙 구역(70)을 효과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하부 구역(66)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 유동 구멍(7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유동 구멍(76)은 중앙 구역(70)을 하부 구역(66)과 연결함으로써 하부 구역(66) 내부에 형성된 정지 플랜지(77) 상부에 형성된다. 구멍(76)은 중앙 구역(70)의 주변부에 둘레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이 본체(48) 내의 유출구(30)와 구멍(60) 사이의 구멍(76)을 통과하도록 한다.
구멍(76)을 통한 공기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부 구역(68)은 하부 구역(66)의 맞은편에 있는 중앙 구역(70)과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 구역(66) 및 본체(48)의 내부(49)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 구역(68)은 본체(48)의 개방 상부 말단(56)과 선택적으로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구역(68)은 원통형 상면(78) 및 상면(78)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원뿔형 부분(80)을 포함한다. 원뿔형 부분(80)은, 본체(48) 내부에 밸브 마개(50)를 배열하기 위해 본체(48)의 상부 말단(56)의 테이퍼 내부 표면(57)을 연동시킴으로써 밸브 마개(50)용 가이드로서 작용하도록 성형된다. 또한 원뿔형 부분(80)은 오링과 같은 밀봉 부재(83)가 내부에 배치된 주변홈(82)에 의해 상면(78)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홈(82) 및 밀봉 부재(83)는 상면(78)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밸브 마개(50)가 도 6에서 가장 잘 도시된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밀봉 부재(83)는 테이퍼 표면(57)과 연동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표면(57)과 밀봉 부재(83)의 연동은 케이스(12)의 유출구(30)와 개방 하부 말단(28) 사이에 있는 구멍(76) 및 하부 구역(66)을 통한 임의의 공기 유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밀봉 부재(83)가 본체(48)에 대한 마개(50)의 축 방향 이동에 의해 표면(57)포부터 멀어지는 경우, 유출구(30)와 구멍(60)/개방 하부 말단(28) 사이에서 구멍(76) 및 중공 하부 구역(66)을 개재하여 공기 유동이 밸브 마개(50)를 통해 허용된다.
본체(48) 내에서 밸브 마개(50)의 이동을 부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편향 부재(84)가 본체(48) 내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86)인 편향 부재(84)는 구멍(60) 둘레에서 본체(48)의 하부벽(58)과 연동하는 제 1 말단(88), 및 밸브 마개(50)의 하부 구역(66) 내로 연장되어, 중앙 구역(70)에 의해 형성된 정지 플랜지(77)와 연동하는 제 2 말단(90)을 구비한다. 따라서 편향 부재(84)는 하부벽(58)으로부터 멀어지게 밸브 마개(50)를 압착하여 본체(48) 상의 테이퍼 표면(57)으로부터 원뿔형 부분(80) 및 밀봉 부재(83)를 탈리시키는 밸브 마개(50)의 중앙 구역(70)에 편향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편향 부재(84)는 밸브 마개(50)를 압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놓이게 한다.
밸브(1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고 편향 부재(84)의 편향을 반대로 하기 위해 편향 부재(84)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밸브(10)가 연결되어 있는 타이어(1006) 내 공기의 적상 작동 압력 범위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낮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향 부재(84)가 본체(48) 상의 표면(57)으로부터 멀어지게 밸브 마개(50)를 압착하면서 타이어로부터의 공기압의 힘이 본체(48)와 연동하도록 마개(50)를 압착하기 위해 편향 부재(84)와는 반대로 유출구(30)를 통해 마개(50)에 작용한다. 따라서 자동차 및 타이어(1006)의 정상 작동 도중에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의 힘이 편향 부재(84)에 의한 힘보다 크므로 공기압은 편향 부재(84)를 압도하고, 도 6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서 마개(50)를 유지한다.
밸브(10)를 작동하기 위해, 적합한 제어부(500, 도 20)를 통한 자동차의 작동장치는 공기 공급부(1002)로부터의 공기가 본체(48)의 하부벽(58)에 있는 구멍(60)을 통해 밸브(10) 내로 유도되도록 한다. 이 같은 공기 공급부(1002)로부터의 공기 유동에 의한 압력 및 편향 부재(84)의 편향력이 타이어(1006)로부터의 공기압을 초과하는 경우, 마개(50)는 케이스(12)의 상부 말단(31)을 향해 이동하고, 본체(48)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여 타이어와 공기 공급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가능케 한다. 추가로 공기 공급부 및 편향 부재(84)로부터의 공기 유동의 조합된 힘으로 인해 마개(50)가 본체(48)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기 때문에 마개(50)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 유동은 타이어 내의 공기압의 힘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밸브(10)를 작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 유동의 압력과 타이어 공기압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존하여 타이어 내로 또는 타이어 외부로의 공기 유동을 가능케 함으로써 밸브(10)는 타이어를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개(50)를 이동시키고 밸브(10)를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압은 1psi 내지 145psi 범위이다. 추가로 밸브를 작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급부(1002)로부터의 공기의 압력이 타이어(1006) 내의 공기압보다 큰 경우, 공기 유동은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해 밸브(10)를 통해 타이어 내부로 진행할 것이다. 반대로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급부(1002)로부터의 공기의 압력이 타이어(1006) 내의 공기압보다 낮은 경우, 공기 유동은 타이어(1006)를 수축시키기 위해 밸브(10)를 통해 타이어 외부로 진행할 것이다.
도 2, 도 4 및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밸브(10')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밸브(10)의 경우 외륜(14)에 대해 동일 평면상에 장착되는 것 대신에 밸브(10')가 통로(18) 내부에 장착되어, 밸브(10')는 밸브(10)애 비해 밸브(10')의 노출 부분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물체가 밸브(10')와 충돌하여 밸브(10')를 손상시키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륜(14)의 내부에 함입된다. 통로(18)는 내측 외륜(201)을 구비하고 있는 외륜(14) 내에 형성되며, 외륜(14)을 통해 통로(18)까지의 드릴링(drilling)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내측 외륜(201)에 형성된 공기 채널(200)과 연결된다. 또한 채널(200)은 필요한 경우에 외측 외륜(206)에 형성되거나, 외측 외륜(206)과 내측 외륜(20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채널(200)은 내측 외륜(201)의 외주 벽(204)에 형성되어 있는 홈(202)에서 종결되며, 이때 상기 홈(202)은 채널(200)로부터 내측 외륜(201)의 외부 벽(204)의 중심을 향해 내측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 외륜(206)이 내측 외륜(201)에 고정되는 경우, 도 9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외륜(206)은 공기 채널(200)의 상부, 및 타이어가 위치하는 외주 벽(204)의 외부와 통로(18) 사이의 공기 유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일부 홈(20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타이어의 내부에 대해 공기를 도입하고 제거하기 위한 경로가 생성된다. 내측 외륜(201) 및 외측 외륜(206) 중 하나에 위치하거나 내측 외륜(201)과 외측 외륜(206) 사이에 위치한 외주 홈(209)에 배치된 밀봉 부재(208)로 인해 내측 외륜(201)과 외측 외륜(206) 사이의 타이어로부터 공기가 통과하는 것이 차단된다.
대안적으로, 홈(202)의 형상 및 방향은, 채널(200)의 맞은편에 있는 홈(202)의 말단이 외측 외륜(206)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홈(202)은 완전히 생략될 수 있으며, 외측 외륜(206)이 내측 외륜(201)과 결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채널(200)은 통로(18)에서 외측 외륜(206) 하부에 있는 외주 벽(204) 상의 한 지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외륜(206)는, 외측 외륜(206)에 홈(202)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휠이 조립되는 경우에 채널(200)과 타이어 사이의 연통을 가능케 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내측 외륜(201) 및 외측 외륜(206)은 일체형 외륜(도시되지 않음)으로서 형성될 수 있어, 구획을 서로 결착시킬 필요성이 없게 된다.
밸브(10')에서 케이스(12')는 이전 실시예의 케이스(12)와 유사하게 형성되지만, 외륜(14)의 외부 표면의 상부에 위치한 밸브(10')의 감소된 영역을 보상하기 위해 그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케이스(12')는 외륜(14)에 케이스(12')를 결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천공(22')이 구비된 플랜지(20'), 및 그 내부에 형성된 중앙 공동(26')을 포함한다. 그러나 케이스(12)와는 달리, 케이스(12')는 개방 하부 말단(30')만을 구비하며, 케이스(12') 내의 임의의 기타 개구부 또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다. 노치(24')는 개방 하부 말단(30') 둘레에 형성되며, 그 내부에 밀봉 부재(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봉 부재(28')는 케이스(12')가 노치(24')에 결착되어 케이스(12')와 외륜(14) 사이에 기밀 연동을 제공하는 경우에 외륜(14)과 밀봉 가능하게 연동하게 된다.
공동(26')은 마개(50')와 본체(48') 사이에서 연동되는 편향 부재(84')뿐만 아니라, 본체(48')의 일부 및 본체(48')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밸브 마개(50')를 수용한다. 밸브 마개(50') 및 편향 부재(84')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마개(50) 및 편향 부재(84)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구성성분들이 상호 교환 가능하므로, 마개(50') 및 편향 부재(84')의 구조 및 작동은 보다 상세하게는 검토하지 않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체(48')는 금속 또는 단단한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되며, 공동(26')의 형상과는 일반적으로는 부합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동(26')의 형상은 원통 형상이 바람직하지만, 임의의 적합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48')는 테이퍼 내부 표면(57')이 구비된 개방 상부 말단(56')을 구비하는 외벽부(54'), 및 구멍(60')을 내부에서 제한하는 내측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하부벽(58')을 포함한다. 그러나 외벽부(54')는 통로(18)에서 직경이 감소된 하부 영역(300)과만 직경에서 부합하며(도 9), 외벽부(54')의 나머지 부분은 통로(18)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이들 사이에 공간(302)을 형성한다. 공간(302)은 채널(200)과 연통되어 공기가 채널(200)과 공간(302) 사이를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외벽부(54')는 오링과 같은 밀봉 부재(64')가 배치된 하부벽(58')에 인접한 이의 외부 표면상에 형성된 주변홈(62')을 포함한다. 도 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8')가 통로(18)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밀봉 부재(64')는 통로(18)에서 직경이 감소된 영역(300)의 내부와 연동하며, 외륜(14) 내의 통로(18)와 본체(48')의 하부 말단의 기밀 연동을 제공한다.
상부 말단(56')에서는 외벽부(54')가 도 10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8')의 외주 둘레에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외측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텝(66')을 포함한다. 텝(66')은 이들 사이에 있는 다수의 공간(68')을 제한하며, 케이스(12') 내에 본체(48')를 적절히 배치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밸브(10')가 외륜(14)에 장착되는 경우, 본체(48')는 케이스(12') 내에 삽입되고, 텝(66')은 공동(26')의 내벽에 의해 연동되며, 케이스(12')의 공동(26') 내에 배치된 환상의 숄더(70')에 의해서도 연동된다. 이러한 연동은 텝(66')을 적절히 배치하고, 그 결과 공동(26') 내에 본체(48')를 적절히 배치하고, 통로(18)와 밀봉 연동하도록 밀봉 부재(64')를 적절히 배치한 후, 외륜(14)에 대해 동일한 평면에 케이스(12')를 적절히 배치하도록 작용을 한다.
케이스(12')가 외륜(14)에 고정되는 경우, 공기 공급부로부터의 공기 유동은 CTIS(1000)에 있어서 적합한 공기 공급부(1002)로부터 본체(48')의 하부벽(58')에 있는 구멍(60')을 통해 밸브(10') 내로 향하게 된다. 통로(18)와 본체(48') 사이에서 밀봉 부재(64')의 연동은 임의의 공기가 이들 구성성분들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막으며, 통로(18) 내의 본체(48')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302) 내로 또는 공간(302)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공기가 채널(200)과 공간(302) 사이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1006)로부터의 공기압은 공간(302)을 통해 채널(200)을 따라 마개(50')에 가해지고, 이어 본체(48') 상의 탭(66')들 사이에 제한된 채널 또는 공간(68')을 개재하여 마개(50')에 가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은 밸브(10)대한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밸브(10')를 폐쇄하도록 작동한다. 부가적으로 가압 공기 유동이 구멍(60')을 통해 공기 공급부(1002)로부터 본체(48') 내로 도입되는 경우, 마개(50')은 도 9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8')로부터 멀어지도록 압착되어, 공기가 공간(302) 내로 또는 공간(302) 밖으로 흐르도록 하며, 결과적으로는 마개(50')의 중앙 구역(70')에 있는 구멍(76')을 개재하여 타이어(1006)로 공기가 흐르게 하여, 타이어의 팽창 또는 수축을 초래한다.
밸브(10 또는 10')의 작동 제어를 추가로 한정하기 위해,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1000)은 도 12 내지 도 20에서 도시된 매니폴드(4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매니폴드(400)에 대한 제 1 실시예에서, 매니폴드(400)는 밸브(10)와 공기 공급부 또는 콤프레서(1002) 사이의 자동차(도시되지 않음) 상에 위치되며(도 15), 매니폴드(400)에 있는 장착 천공(401)을 통해 삽입된 적합한 패스너(440)를 이용하여 자동차에 결착될 수 있으며, 목적하는 위치에서 자동차에 결착될 수 있다. 매니폴드(400)는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진 블록(403)으로부터 형성되며, 공기 유입 포트(402), 다수의 공기 유출 포트(404) 및 압력 제거 포트(406)를 포함한다. 유입 포트(402)는 적합한 도관(1004)을 이용하여 공기 공급부(1002)에 연결되어, 공기 공급부(1002)로부터 흐르는 공기가 유입 포트(402)를 개재하여 매니폴드(400)로 향하도록 한다.
일단 매니폴드(400) 내에 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선택된 량의 공기를 매니폴드(400)의 나머지 부분으로 방출하기 위해, 또는 임의의 공기가 매니폴드(400)를 통과하는 것을 막기 위해 공기는 자동차의 작동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3-방향 솔레노이드 팽창 밸브(408) 내로 향하게 된다.
밸브(408)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공기는 밸브(408)를 통해 흐르고, 이어 압력-보상된 유동 제어 장치(409)를 통해 흐르게 되며, 이때 상기 압력-보상된 유동 제어 장치(409)는 시스템(1000)을 위한 수축 모드 동안에 블록(403)에 형성되어 플러그(411)에 의해 폐쇄된 공급 튜브(410) 내로 적시에 타이어(1006)를 배기하도록 유체 유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공급 튜브(410) 내의 공기는 유출 포트(404) 각각을 향해 이동하여 포트(404) 각각과 타이어(1006) 사이에 연결된 밸브(10, 10')를 통해 타이어(1006)에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공급 튜브(410)는 또한 각각의 유출 포트(404) 내로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그 자신과 연결된 솔레노이드 배출 밸브(412)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압력 변환장치(414)는 공급 튜브(410)에 연결되어 매니폴드(400)에서의 공기 유동의 압력을 모니터링한 후, 이러한 정보를 자동차 작동장치에 제공한다. 또한 튜브(410)는 장치(409)에 인접하게 내부에 배치되고 원추체(cone, 418)에 의해 형성된 체크 밸브(416)를 포함하되, 상기 원추체(418)는 원추체(418)와 플러그(411) 사이에 배치되어 튜브(410)의 공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편향 부재 420에 의해 튜브(410)에서 직경이 감소한 구역과 연동하게 편향되어 있다.
매니폴드(400)를 이용하여, 밸브(408, 412), 유체 제어 장치(409), 압력 변환장치(414) 및 유체 공급부(1002)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택적으로는 밸브(10, 10')에 연결되는 제어부(500)를 이용함으로써 근접 제어 방식으로 자동차 상의 다중 타이어의 가압 또는 감압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5). 또한 4륜 구동 자동차, 및/또는 자동차 견인 트레일러(vehicle pulling trailer)와 같은 자동차 상의 다양한 타이어(1006) 사이의 압력차가 필요한 자동차에 있어서, 부가적인 매니폴드가 자동차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공기 공급부 및 각각의 타이어(1006)에 연결되어 자동차 상의 다른 타이어와는 독립적으로 이들 타이어 각각의 내부 공기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시스템(1000)에서의 사용을 위한 매니폴드(400')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매니폴드(400')는 장착 천공(401')이 구비된 블록(403')의 매니폴드(400)와 유사하게 형성되며, 또한 유체 공급부(1002)에 연결 가능한 조정장치(402A')가 구비된 유입 포트(402'), 및 타이어(1006) 각각에 연결 가능한 조정장치(404A')가 구비된 다수의 유출 포트(404')를 포함한다. 또한 블록(403')은 인쇄 회로 기판(450')을 수용하는 블록(403')에서 천공(424') 내부와 연동되는 패스너(422')를 개재하여 전기 박스(electrical box, 430')에 연결된다. 이러한 매니폴드(400')는 폐쇄형 고리 시스템으로서, 동적 압력 체크수단에 대비되는 정적 압력 체크수단을 구비한 매니폴드(400)와 유사하다. 매니폴드(400')는 매니폴드(400') 당 3 내지 5개의 솔레노이드 밸브(408' 및 4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조절 주기에 의해 활성화되어, 정적 압력 체크 동안에 매니폴드(400')에 연결된 모든 타이어(1006) 사이에 ±0.25psi의 정밀도를 제공하도록 가압 폐쇄형 고리 시스템을 생성한다.
2-방향/2-위치 NC인 포트(408A') 내의 팽창 밸브(408'), 2-방향/2-위치 NO인 포트(412A') 내의 다수의 팽창 밸브(412') 및 2-방향/2-위치 NO인 포트(416A') 내의 배기 또는 배출 밸브(416')은 매니폴드(400')에 연결되어 있다. 팽창 밸브(408')는 블록(403') 내의 통로(410')을 통해 유체 공급부(1002)로부터 흐르는 기체 또는 유체를 유입구(402')에서 유출구(404')로 통과시켜 타이어(1006)를 팽창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시스템(1000)은 팽창 밸브(408')를 차단하여, 폐쇄형 고리 가압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팽창 주기를 중단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러한 짧은 중단 동안에 시스템(1000)은 타이어(1006) 내의 압력을 균등하게 하여, 프로그래밍된 압력 요건에 의해 시스템의 압력을 확인하기 위해 정적 압력 기록을 표시할 수 있다.
수축 밸브(412')는 타이어(1006)를 수축시키기 위해 제 1 실시예의 압력 보상 유동 제어부(410)를 대체한다. 각각의 매니폴드(400')가 제어해야 하는 타이어(1006)의 크기 및 수는 매니폴드(400')에 연결된 밸브(412')의 수를 결정할 것이다. 작동시, 밸브(412')는 휠 밸브(10, 10') 및 솔레노이드 밸브(412')를 통해 타이어(1006)로부터 수축하는 공기의 유동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단번에 1회 개방된다. 보다 높은 압력에서는 수축 유동 부피로 인해 휠 밸브(10, 10')가 너무 이른 시기에 갑작스런 차단없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하나의 밸브(412')만이 단번에 개방된다. 그러나 일단 이 같은 신호가 휠 밸브(10, 10')에 도달하지 않은 채 수축 유동 부피에서의 증가가 허용되어 압력 조절이 완료되기 전 너무 이른 시기에 차단으로 인해 휠 밸브(10, 10')의 차단을 개시할 수 있는 수준까지 유동 부피가 감소하게 되면 다른 수축성 솔레노이드 밸브(412')가 연결되거나 개방되도록 전력이 제공된다.
배기 또는 배출 밸브로서 사용하기 위한 매니폴드(400')에 결착된 부가적인 솔레노이드 밸브(416')는 압력 신호를 유체를 매개하여 편향측 타이어 압력으로부터 휠 밸브(10, 10')를 차단하기에 충분히 큰 휠 밸브(10, 10')로 송신한다. 프로그래밍된 압력이 일단 충족되면 시스템(1000)은 폐쇄 고리 시스템을 대기압에 완전히 개방하고 휠 밸브의 편향측 상의 잔류 압력, 즉 타이어 압력으로 인해 갑자기 차단되도록 실질적인 압력 강하 신호를 각각의 휠 밸브(10, 10')에 송신하는 밸브(408') 모두로부터 전력을 차단할 것이다.
매니폴드 블록(403') 내의 통풍 시스템(410')에 직적 접속(porting)되고 박스(430') 내의 기판(450')에 직적 배선되어 있는 파이프 플러그(462') 대신에, 전기 박스(430')는 한 쌍의 연결장치(460')에 직접 배선된 회로 기판(450') 및 기판(450')에 접속된 압력 변환장치(414')를 동봉하고 있다. 연결장치(460') 중 하나는 각각의 밸브(408', 412', 416')를 기판(450')에 연결시켜서 밸브(408', 412', 416')를 제어하여 여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기타 연결장치(460')는 시스템(1000)을 작동하기 위해 제어부(500) 및 자동차용 계측 제어기 통신망(Controller-Area Network, CAN) 버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CAN 버스는 자동차 응용분야에 사용하도록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CAN 버스가 자동차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는 이러한 연결장치(460')로부터 제어부(500)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CTIS 전기 시스템(1000)이 자동차의 CAN 버스 구성에 결합되면, 제어부(500)는 시스템(1000)의 작동, 예를 들어 자동차 속력에 대한 관심있는 자동차 영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기 구성성분 각각은 자신의 CAN 버스 연결점 및 연결 주소를 갖는다. 따라서 자신의 매니폴드(400')를 지시하여 밸브(408', 412' 416')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자신의 제어부(500)로부터 명령어가 도달하면 이들 구성성분은 자동차의 CAN 버스 구성을 통해 특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CTIS 매니폴드(400')가 CTIS 제어부(500)로부터 모든 지시를 수행하고 조절 주기를 완료하는 경우, 신호는 제어부(500)로부터 선별되어 제어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550) 상에서 표시된다. 이어 다음 조절 선별이 인터페이스 패널(550)을 개재하여 작동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때까지, 또는 다음 자동 재검토 주기가 시스템(1000) 내에 저장되고 시스템(10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용되는 기설정된 재검토 주기의 결과로서 기판(430')에 의해 개시되어 자동차 상의 타이어(1006)의 상태를 검토할 때까지 이러한 조절 주기가 종료된다.
도 21을 참고하면, 시스템(1000)의 공기 공급부(1002) 및 자동차(도시되지 않음)뿐만 아니라 매니폴드(400), 특히 밸브(408 및 412) 및/또는 변환장치(41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자동차의 작동장치가 매니폴드(400) 및 밸브(10 및/또는 10')를 결합하고 있는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1000)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500)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제어부(500)는 적합한 중앙 처리 장치(501) 및 중앙 처리 장치(501)에 연결되어 시스템(1000)을 위한 다수의 기설정된 작동 변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은 시스템(1000)에 관한 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기 저장 매체(503)를 포함한다. 제어부(500)는, 제어부(500)용 제어 패널(550) 상에 배치되어 장치(501)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다양한 스위치(502)가 가압 공기 공급부 또는 콤프레서(1002)를 작동시키고 또한 압력 변환장치(414)로부터의 압력 기록을 등록할 뿐만 아니라, 밸브(408 및 412)를 연결시켜 밸브(408 및 41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회로를 이용하여 매니폴드(400), 공기 공급부(1002) 및 자동차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목적하는 위치, 예를 들어 자동차 내에서 용이하게 접속 가능한 장소에 제어 패널(550)을 배치할 수 있는 능력에 조력하기 위해 제어 패널(550)은 3인치 미만의 높이 및 5인치 미만의 너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인치의 높이, 약 3인치의 너비 및 약 0.75인치의 두께와 같이 작은 크기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감소된 크기를 갖는 제어 패널(550)은 임의의 공지된 다수의 부착 기구 또는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내에 다양한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필요하거나 목적하는 경우 자동차의 기타 부품뿐만 아니라 매니폴드(400) 및 밸브(10 및 10')의 작동 변수를 표시하기 위해 제어부(500)에 또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어 패널(550) 상의 LED(50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작동되고 있는 조건에 기초한 변수들과 같이, 자동차 타이어에 대한 다양한 작동 변수를 결정하고/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능력을 작동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와 함께 공지된 방식으로 이용되는 중앙 처리 장치(501)는 적합한 전기 저장 매체(503)에 저장된 다수의 기설정된 조건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전기 저장 매체(503)는 제어 패널(550) 상의 특정 스위치(502)가 작동장치에 의해 선택되어 자동차에 대한 목적하는 조건들을 표시하는 경우에 시스템(1000)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500) 및 중앙 처리 장치(501)에 의해 접속되고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지형(terrain)에서 사용되거나 다양한 부하를 갖는 타이어(1006)에 대한 적절한 타이어 감압상태는 제어부(500)에 저장되어, 선택된 스위치(502)의 활성화 시에 제어부(500)에 의해 접속되어, 특히 자동차에 대한 작동 조건이 변경되고/되거나 자동차가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 이들 선택된 조건 중에서 타이어의 압력을 자동차의 작동을 위해 최적화된 수준으로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패널(550)은 ON/OFF 또는 전력 스위치(520A)를 포함하여 4개의 제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패널(550)은 저장 매체(503)에 저장된 4개의 기설정된 압력 세트포인트(pressure setpoint)가 구비된 지형 선택 스위치(502B)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상응하는 작동은 1) 고속도로 및 포장도로; 2) 비포장 도로 또는 국토횡단; 3) 진흙, 모래 또는 눈; 및 4) 비상상황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부하 스위치(502C)는 또한 패널(550)에 존재하며, 매체(503)에 저장된 3개의 기설정된 세트포인트, 예를 들어 1) 비어있음; 2) 절반 부화; 및 3) 완전 부화를 포함한다. 이들 스위치(502B 및 502C)는 스위치(502B 및 502C)에 대한 대안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작동장치에 시스템(1000)을 위한 12개의 작동 구성 전체를 제공하여, 시스템(100)을 자동차가 작동하는 광범위한 환경 조건에 적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패널(550)은 시스템(1000)용 제어부(500)는, 타이어(1006)의 구멍이 의심되는 경우에, 더욱 빈번하게 재검토 주기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는 런플랫(run-flat) 스위치(502D)를 포함한다.
스위치(502A-502D) 이외에도, 제어 패널(55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또한 하기의 특정 LED 표시장치(504A-504E)를 포함한다. 표시장치(504A)는 시스템(1000)이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작동장치에 알리기 위한 알람 LED이다. 이러한 표시장치(504A)는 고형 발광 표시장치(504A) 또는 점멸 표시장치(504A)로서 시스템(1000)의 고장을 예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고형 발광 표시장치(504A)는 매니폴드(400, 400')에 들어가기 전의 자동차의 낮은 공기 공급을 표시하며, 점멸 표시장치(504A)는 시스템(1000) 내의 누수를 표시한다. 표시장치(504B)는, 작동장치가 특정 지형 압력 세트포인트에 대해 과속하는 경우에 과속 작동 조건을 표시하며, 이때 표시장치(504B)는 30초 동안 점멸할 것이다. 작동장치가 이러한 시간 내에 자동차를 권장 속력까지 감소시키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시스템(1000)에 대한 구성을 자동차 작동을 위한 예방적 안전 기능으로서 보다 높은 다음 단계의 지형 세트포인트로 조정할 것이다. 또한 표시장치(504C-504E)는 전면 타이어(504C), 배면 타이어(504D) 또는 트레일러 타이어(504E)가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조건을 예시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의 설명 이외에, 본 발명의 밸브(10) 및 매니폴드(400)는 부가된 기능성을 밸브(10) 및 매니폴드(400)에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밸브(10) 및 매니폴드(400)의 다양한 구조적 구성성분은 상기 구성성분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금속 또는 단단한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유체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대안들이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며, 특히 본 발명으로서 간주되는 청구 주제를 지적하고 명확히 청구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Claims (18)

  1.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차 상에 이용되는 휠 밸브에 있어서,
    a) 자동차의 외륜(rim)에 결착 가능하며, 공동(cavity)을 내부에서 제한하는 개방 말단(opening end) 및 폐쇄 말단(closed end)을 구비하는 케이스;
    b) 상기 공동 내의 케이스와 결합되며, 그 내부의 하부 말단(lower end) 및 상부 말단(upper end) 각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aperture)을 포함하되, 하부 구멍은 가압 공기 유입구와 밀봉 결합하는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 본체;
    c)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 구멍과 상기 밸브 부재를 통한 케이스의 공동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케 하도록 내부에 다수의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는 밸브 부재; 및
    d) 상기 본체와 상기 밸브 부재 사이에 배치된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휠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스 내의 공동과 결합되고 이들 사이의 채널을 제한하는, 서로 이격되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탭(tab)으로 형성된 넓은 상단부, 및 상기 본체와 공동 사이의 공간을 한정하는 좁은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 말단과 인접하며 밀봉부가 배치되고, 외륜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주변홈(peripheral groov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a)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중공의 하부 구역;
    b) 상기 하부 구역에 연결되며, 내부에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좁은 중앙 구역; 및
    c) 상기 하부 구역의 반대편 중앙 구역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상부 영역을 포함하는 넓은 상부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영역은 상기 본체와 결합할 수 있는 밀봉 부재를 내부에 구비한 원뿔형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밸브 부재의 상부 영역의 원뿔형 구역 및 밀봉 부재와 결합 가능한, 내부로 테이퍼링(tapering)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영역은 상기 본체와 접촉하고 있는 하부 영역의 면적을 줄이기 위해 하부 영역의 외부 표면상에 배치된 다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 및 케이스를 상기 외륜과 결합시키는 패스너(fastener)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결착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이 상기 밸브 부재를 압착하여 상기 편향 부재의 편향에 대해 폐쇄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해 타이어의 내부와 직접적으로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브.
  12. 자동차 상에서 이용하기 위한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에 있어서,
    a) 자동차의 외륜에 결착 가능하며, 공동을 내부에서 제한하는 개방 말단 및 폐쇄 말단을 구비하되, 상기 공동은 자동차 타이어의 내부와 유체 연통되도록 구성된 케이스, 상기 공동 내부의 케이스와 결합되며, 그 내부의 하부 말단 및 상부 말단 각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밸브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내의 하부 구멍과 상기 밸브 부재를 통한 케이스 내의 공동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케 하도록 다수의 개구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밸브 부재, 및 상기 본체와 밸브 부재 사이에 위치한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휠 밸브; 및
    b) 상기 자동차에 결착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의 본체의 하부 구멍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용 가압 공기 공급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하우징(housing) 내의 내부 통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체 유입구 및 다수의 유체 유출구를 포함하는 일체형 하우징 및 상기 유체 유입구 및 유체 유출구 사이에서 하우징 내의 내부 통로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자동차 상에서 이용하기 위한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a) 상기 유체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유체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제 1 제어 밸브; 및
    b) 상기 다수의 유체 유출구와 압력 제거용 유체 유출구 사이에 위치한 제 2 제어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상에서 이용하기 위한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내의 유체 압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체 유출구 사이에 상기 하우징 내의 내부 통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압력 변환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상에서 이용하기 위한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a) 상기 매니폴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상기 가압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 유체 공급부; 및
    b) 상기 매니폴드의 하나 이상의 밸브 및 상기 가압 유체 공급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및 가압 공기 공급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상에서 이용하기 위한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
  16. 자동차 상의 타이어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은 자동차의 외륜에 결착 가능하며, 공동을 내부에서 제한하는 개방 말단 및 폐쇄 말단을 구비하되, 상기 공동은 자동차 타이어의 내부와 유체 연통되는 케이스, 상기 공동 내부의 케이스와 연동되며, 그 내부의 하부 말단 및 상부 말단 각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밸브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내의 하부 구멍과 상기 밸브 부재를 통한 케이스 내의 공동 사이에 유체 연통을 가능케 하도록 다수의 개구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밸브 부재, 및 상기 본체와 밸브 부재 사이에 위치한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휠 밸브; 상기 자동차에 결착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하우징 내의 내부 통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체 유입구 및 다수의 유체 유출구를 포함하는 일체형 하우징, 및 상기 유체 유입구 및 유체 유출구 사이에서 하우징 내의 내부 통로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 유체를 상기 매니폴드에 공급하기 위한 가압 유체 공급부; 및 상기 매니폴드의 하나 이상의 밸브 및 상기 가압 유체 공급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및 가압 공기 공급부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 타이어 팽창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어부를 작동하여 상기 매니폴드를 통해 상기 유체 공급부로부터, 상기 편향 부재와 함께 상기 본체에 대하여 밸브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밸브를 개방하기에 충분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로 가압 유체의 유동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상에서의 타이어의 팽창 또는 수축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의 유동은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해 타이어 내부의 유체 압력보다 큰 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상에서의 타이어의 팽창 또는 수축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의 유동은 타이어를 수축시키기 위해 타이어 내부의 유체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상에서의 타이어의 팽창 또는 수축 방법.
KR1020117008933A 2008-09-29 2009-09-29 중앙 타이어 팽창 휠 조립체 및 밸브 KR201100669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81208P 2008-09-29 2008-09-29
US61/100,812 2008-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943A true KR20110066943A (ko) 2011-06-17

Family

ID=4142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933A KR20110066943A (ko) 2008-09-29 2009-09-29 중앙 타이어 팽창 휠 조립체 및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07868B2 (ko)
KR (1) KR20110066943A (ko)
WO (1) WO20100370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6731B2 (en) 2006-12-22 2011-08-30 Hutchinson S.A.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gration of a central tire inflation valve into a wheel
KR20110066943A (ko) 2008-09-29 2011-06-17 글로벌 엔지니어링 마케팅 엘엘씨 중앙 타이어 팽창 휠 조립체 및 밸브
US8844596B2 (en) 2008-09-29 2014-09-30 Global Engineering Marketing Llc 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valve and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20130276902A1 (en) * 2009-09-29 2013-10-24 Martin A. Medley 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and Valve
US8931534B2 (en) * 2010-03-10 2015-01-13 Accuride Corporation Vehicle wheel assemblies and valves for use with a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8726958B2 (en) * 2011-05-31 2014-05-20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Inertia-controlled tire isolation valv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ire inflation pressures
WO2013089694A1 (en) 2011-12-14 2013-06-20 Numatics, Incorporated Adjustable pressure controlled valve
BR112014032863A2 (pt) 2012-07-13 2017-06-27 Dana Heavy Vehicle Sys Group conjunto de válvulas, conjunto de rodas e método de encher ou esvaziar uma roda
US9387731B2 (en) * 2012-09-19 2016-07-12 Stemco Lp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pressure regulator
GB201313622D0 (en) 2013-07-30 2013-09-11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wheel assembly
CN103470826A (zh) * 2013-09-30 2013-12-25 江南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可维护低温回气口
RU2636242C1 (ru) * 2013-12-06 2017-11-21 Дана Хеви Виикл Системз Груп, Ллк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авления в шине
WO2015103018A1 (en) 2014-01-03 2015-07-09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Assembly for a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EP3097333B1 (en) 2014-01-21 2019-05-01 Asco, L.P. Pressure controlled and pressure control valve for an inflatable object
CN103759068A (zh) * 2014-01-24 2014-04-30 丹阳市飞轮气体阀门有限公司 一种低温绝热气瓶安全阀节气座
US9630461B2 (en) * 2014-06-27 2017-04-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essure system for a tire assembly of a vehicle
WO2016003866A1 (en) 2014-06-30 2016-01-07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Valve assembly for a tire pressure management system
US9561694B2 (en) * 2014-07-15 2017-02-07 Airgo Ip, Llc Failure tolerant tire inflation system
US9581517B2 (en) * 2014-07-21 2017-02-28 Alex Yung Kan Wong Real time tire pressure gauge
US10442260B2 (en) * 2015-05-20 2019-10-15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Assembly for a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GB2539640B (en) * 2015-06-10 2018-11-28 Jaguar Land Rover Ltd Control valve assembly
US10836220B2 (en) * 2015-08-06 2020-11-17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Control and supply valve assembly for a tire pressure management system
DE112016003594T5 (de) * 2015-08-06 2018-05-30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Kanalventilbaugruppe für ein Reifendruckmanagementsystem
US10214059B2 (en) 2015-10-16 2019-02-26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Tire pressu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decreasing tire pressure
WO2017132472A1 (en) 2016-01-29 2017-08-03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Valve assembly for a tire inflation system
ES2926640T3 (es) * 2016-09-06 2022-10-27 Aktv8 LLC Sistema y procedimientos de gestión de neumáticos
US10493808B1 (en) * 2017-07-26 2019-12-03 Scott McCauley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11203237B2 (en) 2018-03-19 2021-12-21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Assembly for a tire inflation system
JP7384598B2 (ja) 2019-09-04 2023-11-2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圧送信装置
EP3851298A1 (en) * 2020-01-20 2021-07-21 Dana Motion Systems Italia S.R.L. Valve assembly and tire inf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8417A (en) * 1958-01-03 1960-03-15 Advanced Design And Dev Compan Check valve
US3910223A (en) * 1973-03-12 1975-10-07 Eaton Corp Inflation and pressure change indication device
US4015819A (en) * 1974-09-05 1977-04-05 Greer Hydraulics, Inc. Gas charging value for accumulator
US4744399A (en) * 1986-07-31 1988-05-17 Paccar Inc.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4765385A (en) * 1987-02-27 1988-08-23 Numatics, Incorporated Tire inflation-deflation system
US5181977A (en) * 1988-09-09 1993-01-26 Circle Seal Controls, Inc. Tire inflation valve having overpressure and flow control
DE3844267C2 (de) 1988-12-30 1997-01-23 Bosch Gmbh Robert Reifendruck-Steuerventil
US5261471A (en) 1992-03-30 1993-11-16 Eaton Corporation Pressure relief valve
US5240036A (en) 1992-06-22 1993-08-3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Check valve with poppet dashpot/frictional damping mechanism
US5544688A (en) * 1994-12-23 1996-08-13 Eaton Corporation Two stage kneeling valve
US6144295A (en) 1998-12-11 2000-11-07 Case Corporation Automatic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6374852B1 (en) * 2000-08-09 2002-04-23 Brightvalve, Llc Leak arresting valve
US6474383B1 (en) * 2001-05-31 2002-11-05 Hutchinson, S.A. Automotive wheel with improved inflation system
US7357151B2 (en) * 2003-09-15 2008-04-1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Fluid control devices
US7168468B2 (en) * 2004-04-27 2007-01-30 Hutchinson, S.A. Vehicle wheel assembly with a hollow stud and internal passageways connected to a CTIS
US7363938B1 (en) * 2005-03-22 2008-04-29 Global Agricultural Technology And Engineering, Llc Constant flow valve assembly
DE102005025917A1 (de) 2005-06-06 2006-12-07 Marco Systemanalyse Und Entwicklung Gmbh Ventilpatrone und Ventilanordnung
US7686051B2 (en) * 2006-03-01 2010-03-30 Medley Martin A 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and valve
US8006731B2 (en) * 2006-12-22 2011-08-30 Hutchinson S.A.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gration of a central tire inflation valve into a wheel
KR20110066943A (ko) 2008-09-29 2011-06-17 글로벌 엔지니어링 마케팅 엘엘씨 중앙 타이어 팽창 휠 조립체 및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07868B2 (en) 2012-11-13
WO2010037073A3 (en) 2011-07-21
US20100147387A1 (en) 2010-06-17
WO2010037073A2 (en)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6943A (ko) 중앙 타이어 팽창 휠 조립체 및 밸브
US8844596B2 (en) 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valve and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4678017A (en) Wheel end valve for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20130276902A1 (en) 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and Valve
US4640331A (en)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20130282232A1 (en) 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Valve and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7686051B2 (en) 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and valve
CN102781747B (zh) 车辆用压缩空气供给装置
US4754792A (en) Tire valve assembly for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KR100237844B1 (ko) 2단계 닐링 밸브
US4619303A (en) Vehicle air system including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CA1240244A (en)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EP0297837A2 (en)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EP0368365A1 (en)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JPH02106414A (ja) 自動タイヤ膨張/収縮システム
MX2012014029A (es) Sistema para inflar neumaticos con circuito discreto de desinflado.
EP0332472B1 (en) Tire deflation system
EP0164916B1 (en)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US4820166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electively deflating tires, and causing power steering and power brake failures for training drivers
JP5425763B2 (ja) 取付け型組立体用パージ弁
AU2006249296B8 (en) Pressure-controlled three-way valve device, transport vehicle having tire inflation pressure control and method for remote pressure-controlling the valve device
US20230026449A1 (en) Wheel unit of a vehicle and a valve assembly for a wheel unit
AU2016274644A1 (en) Control valve assembly
AU2984901A (en) Pressure-controlled three-way valve device, transport vehicle having tire inflation pressure control and method for remote pressure-controlling the valve device
MXPA99001193A (en) Line pressur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