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759A -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759A
KR20110066759A KR1020090123530A KR20090123530A KR20110066759A KR 20110066759 A KR20110066759 A KR 20110066759A KR 1020090123530 A KR1020090123530 A KR 1020090123530A KR 20090123530 A KR20090123530 A KR 20090123530A KR 20110066759 A KR20110066759 A KR 20110066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ptic
standby screen
mobile terminal
standby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320B1 (ko
Inventor
김현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3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햅틱 아이콘을 이용하여 사용자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꾸밀 수 있고, 대기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 뿐만 아니라 청각이나 촉각 등을 통하여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컨텐츠 제공서버로 대기화면 편집창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휴대단말은 대기화면 편집창에 휴대단말의 대기영상을 표시한다.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으로 이동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구매를 결정하면, 휴대단말은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수신하고, 대기화면 편집창에 대응되게 수신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한다. 이때 휴대단말은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원하는 대기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단말은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선택된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영상을 수신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햅틱, 대기화면, 배경화면, 촉각, 아이콘

Description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mposing standby screen of mobile terminal using haptic icon}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햅틱 아이콘을 이용하여 사용자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꾸밀 수 있는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통신 기술은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는 새로운 기술 및 기능으로 인하여 짧은 기간에 대단히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은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통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 어디서든 음성 정보, 문자 정보, 영상 정보,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휴대단말의 화면은 점차 넓어지고 고해상도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존의 휴대단말의 대기화면은 사진, 애니메이션, 달력 또는 텍스트 문구 등 단순한 영상이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 다. 이로 인해 휴대단말의 사용 기간이 늘어날수록 단순히 시각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는 대기화면은 사용자에게 지루함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휴대단말은 사용자가 자신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꾸미고자 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데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햅틱 아이콘을 이용하여 사용자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꾸밀 수 있는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기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 뿐만 아니라 청각이나 촉각 등을 통하여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서버와 휴대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대기화면 편집창과, 햅틱 아이콘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 대기화면 편집창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상기 휴대단말의 대기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대기영상으로 이동하여 배치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구매를 결정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대응되게 상기 수신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송수신부, 데이터베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대기화면 편집창과, 햅틱 아이콘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단말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휴대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서 선택한 햅틱 아이콘에 대한 구매결정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부, 입력부 및 단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의 휴대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 대기화면 편집창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상기 휴대단말의 대기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대기영상으로 이동하여 배치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구매를 결정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대응되게 상기 수신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 화면을 구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휴대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컨텐츠 제공서버로 대기화면 편집창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상기 휴대단말의 대기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대기영상으로 이동하여 배치하는 배치 단계,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구매를 결정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대응되게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컨텐츠 제공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휴대단말로부터 대기화면 편집창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휴대단말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휴대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을 포함하는 대기화면 편집창을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대기화면 편집창 전송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서 선택한 햅틱 아이콘에 대한 구매결정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햅틱 아이콘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구매한 햅틱 아이콘을 대 기영상 위에 배치하여 사용자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꾸밀 수 있다. 즉 휴대단말은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영상을 편집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꾸밀 수 있다.
휴대단말의 대기화면이 활성화되면, 휴대단말은 대기화면에 배치된 햅틱 아이콘 중 특정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촉각 뿐만 아니라 시각 또는 청각 등을 통하여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햅틱 아이콘에 정보 제공 기능, 예컨대 날씨, 증권, 교통 정보 기능을 링크하여 해당 햅틱 아이콘의 터치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가 촉각 뿐만 아니라 시각 또는 청각 등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날씨 정보 중 현재 시각의 온도를 진동이나 열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증권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증권의 시세에 따라 진동 세기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교통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의 교통량에 따라 진동 세기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햅틱 아이콘의 색상 변화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햅틱 아이콘에 특정 기능을 링크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해당 햅틱 아이콘의 선택을 통하여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20)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20)을 통하여 사용자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를 매개로 연결된 휴대단말(20)과 컨텐츠 제공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10)는 휴대단말(20)과 컨텐츠 제공서버(3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네트워크(10)는 IP를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김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으로,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IP망 구조인 ALL-IP망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0)는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유무선 또는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서버(30)는 대기화면 편집창, 햅틱 아이콘 및 영상을 저장하며, 네트워크(10)를 통한 휴대단말(20)의 요청에 따라 대기화면 편집창,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을 제공한다.
그리고 휴대단말(20)은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하며, 접속한 컨텐츠 제공서버(30)로 대기화면 편집창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휴대단말(20)은 대기화면 편집창에 휴대단말(20)의 대기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 다. 휴대단말(20)은 대기화면 편집창에서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으로 이동하여 배치한다.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구매를 결정하면, 휴대단말(20)은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수신한다. 그리고 휴대단말(20)은 대기화면 편집창에 대응되게 수신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한다. 이때 휴대단말(20)은 네트워크(1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단말로서, 예컨대 이동통신단말,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단말(20)은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100)의 컨텐츠 제공서버(30)는 송수신부(31), 데이터베이스부(33) 및 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31)는 네트워크(10)를 통하여 휴대단말(20)과 통신을 수행한다. 송수신부(31)는 휴대단말(20)로부터 대기화면 편집창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제어부(35)로 전달한다. 송수신부(31)는 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대기화면 편집창을 휴대단말(20)로 전송한다. 송수신부(31)는 휴대단말(20)로부터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선택한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에 대한 구매결정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5)로 전달한다. 그리고 송수신부(31)는 제어부(35)의 제어에 따라 휴대단말(20)로 구매결정한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을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부(33)는 대기화면 편집창 및 햅틱 아이콘을 저장하며, 영상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화면 편집창은 대기화면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소프트웨어 창으로써, 작업창과, 작업창의 주변에 배치되는 햅틱 아이콘 및 영상을 포함한다. 작업창은 휴대단말(20)의 대기영상 또는 영상에서 선택한 영상이 표시되며, 대기화면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햅틱 아이콘과 영상은 각각 햅틱 아이콘 및 영상에 매칭되며,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햅틱 아이콘은 아이콘 형태를 가지며, 선택되면 햅틱 요소를 출력하는 아이콘이다. 여기서 햅틱 요소는 사용자가 촉각으로 느낄 수 있는 정보, 예컨대 진동 정보, 전기자극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햅틱 요소는 진동 정보 또는 전기자극 정보 이외에 영상 정보, 향기 정보, 음원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아이콘은 정보 제공 기능, 예컨대 날씨, 증권, 교통 정보 기능이 링크될 수 있다. 또는 햅틱 아이콘은 휴대단말(20)의 특정 기능, 예컨대 전화번호부, 뮤직박스, 일정관리, 이동방송 등에 링크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은 휴대단말(20)에서 대기화면의 대기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한다.
제어부(35)는 컨텐츠 제공서버(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35)는 송수신부(31)를 통하여 접속한 휴대단말(20)로부터 대기화면 편집창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휴대단말(20)의 정보를 파악하여 휴대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을 포함하는 대기화면 편집창을 데이터베이스부(33)에서 추출하여 휴대단말(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35)는 대기화면 편집창에서 선택한 햅틱 아이콘에 대한 구매결정 정보를 휴대단말(20)로부터 수신하면, 선택한 햅틱 아 이콘을 데이터베이스부(33)에서 추출하여 휴대단말(2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5)는 대기화면 편집창에서 선택한 햅틱 아이콘과 영상에 대한 구매결정 정보를 휴대단말(20)로부터 수신하면, 선택한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부(33)에서 추출하여 휴대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20)의 정보는 휴대단말(20)의 이동 식별 번호(MIN; Mobile Indentity Number), 이동 디렉토리 번호(MDN; Mobile Directory Number), 장치 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100)의 휴대단말(20)은 통신부(21), 입력부(23), 저장부(25), 출력부(27) 및 단말제어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출력부(27)는 표시부(22), 음원처리부(24), 진동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는 네트워크(10)를 매개로 컨텐츠 제공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1)는 단말제어부(29)의 제어에 따라 대기화면 편집창을 컨텐츠 제공서버(30)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을 단말제어부(29)로 전달한다. 통신부(21)는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선택한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에 대한 구매결정 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30)로 전송하고, 구매결정한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을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단말제어부(29)로 전달한다.
입력부(23)는 휴대단말(2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단말제어부(29)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입력부(23)를 통해 대기화면 편집창의 전송을 요청하고,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햅 틱 아이콘 또는 영상을 선택하여 대기화면을 편집하고, 편집한 대기화면에 포함된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에 대한 구매결정 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23)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25)는 휴대단말(2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25)는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구매한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을 저장하며, 특히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영상을 저장한다. 저장부(25)는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을 임시 저장한다.
출력부(27)는 표시부(22), 음원처리부(24) 및 진동부(26)를 포함하며, 대기화면을 표시하고, 대기화면에 표시된 햅틱 아이콘의 선택에 따른 햅틱 요소를 출력한다.
표시부(22)는 휴대단말(2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저장부(25)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22)는 단말제어부(29)의 제어에 따라 대기화면 편집창,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2)는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 중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2)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음원처리부(24)는 단말제어부(29)의 제어에 따라 음원을 스피커로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원을 디지털화하여 단말제어부(29)로 전송한다. 특히 음원처리부(24)는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 중 음원정보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선택 신 호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단말제어부(29)로 전송할 수 있다.
진동부(26)는 단말제어부(29)의 제어에 따라 진동 정보를 출력하며, 진동 정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터를 포함한다. 특히 진동부(26)는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 중 진동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 외 출력부(27)는 전기자극을 출력하는 전기자극 발생부, 향기를 출력하는 향기 출력부, 열을 발생시키는 열발생부를 더 포함한 수 있다. 전기자극 발생부는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 중 전기자극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향기 출력부는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 중 향기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열발생부는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 중 온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제어부(29)는 휴대단말(2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특히 단말제어부(29)는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한 대기화면의 구성을 제어한다. 즉 단말제어부(29)는 통신부(21)를 통하여 접속한 컨텐츠 제공서버(30)로 대기화면 편집창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단말제어부(29)는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에 휴대단말(20)의 대기영상을 표시한다. 단말제어부(29)는 입력부(23)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대기영상으로 이동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구매를 결정하면, 단말제어부(29)는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수신하고, 수신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으로 구성한다.
단말제어부(29)는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을 표시부(22)에 표시한다. 대기화면 편집창은 작업창 주변에 햅틱 아이콘과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햅틱 아이콘 중에서 휴대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항목은 활성 상태로 표시하고, 사용 불가한 항목은 비활성 상태로 표시한다. 또는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휴대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과 영상을 추출하여 대기화면 편집창과 함께 휴대단말(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대기화면 편집창에서 대기화면을 편집할 때, 사용자는 햅틱 아이콘과 영상 중 원하는 항목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으로 작업창의 대기영상으로 이동시켜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22)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햅틱 아이콘을 손가락으로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작업창에 표시된 대기영상의 특정 지점으로 이동시키면, 단말제어부(29)는 특정 지점에 햅틱 아이콘을 표시한다.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손가락으로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작업창으로 이동시키면, 단말제어부(29)는 선택한 영상을 대기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한편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또는 대기영상 위에 배치된 햅틱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감각기관을 통하여 느낄 수 있도록 단말제어부(29)는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출력부(27)를 통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29)는 대기화면을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29)는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선택한 햅틱 아이콘과,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대기영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29)는 수신한 위치 정보에 따라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한다. 이때 대 기영상은 저장부(25)에 기저장된 대기영상일 수 있다.
또는 단말제어부(29)는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영상을 내려받아 대기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햅틱 아이콘과 대기영상은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구매한 햅틱 아이콘과 영상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100)에 따르면,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구매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 위에 배치하여 사용자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꾸밀 수 있다. 즉 휴대단말(20)은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영상을 편집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꾸밀 수 있다.
휴대단말(20)의 대기화면이 활성화되면, 단말제어부(29)는 대기화면에 배치된 햅틱 아이콘 중 특정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출력부(27)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촉각 뿐만 아니라 시각 또는 청각 등을 통하여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대기화면에 표시된 햅틱 아이콘이 선택되면, 단말제어부(29)는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출력부(27)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햅틱 아이콘에 정보 제공 기능, 예컨대 날씨, 증권, 교통 정보 기능을 링크하여 해당 햅틱 아이콘의 터치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가 촉각 뿐만 아니라 시각 또는 청각 등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날씨 정보 중 현재 시각의 온도를 진동이나 열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증권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증권의 시세에 따라 진동 세기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 다. 그리고 교통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의 교통량에 따라 진동 세기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햅틱 아이콘의 색상 변화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해당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햅틱 아이콘에 특정 기능을 링크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해당 햅틱 아이콘의 선택을 통하여 해당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100)을 이용한 대기화면 구성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20)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휴대단말(20)은 표시부(22)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였다.
먼저 S41단계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20)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서버(30)에 접속하면, S43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휴대단말(20)의 정보를 파악한다. 즉 컨텐츠 제공서버(30)는 접속한 휴대단말(20)로부터 이동 식별 번호(MIN), 이동 디렉토리 번호(MDN), 장치 일련번호(ESN) 중에 하나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S45단계에서 휴대단말(20)이 컨텐츠 제공서버(30)로 대기화면 편집창의 전송을 요청하면, S47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파악한 휴대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햅틱 아이콘을 데이터베이스부(33)에서 추출한다. 즉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휴대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을 데이터베이스부(33)에서 추출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햅틱 아이콘과 더불어 휴대단말(20)에서 사 용 가능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부(33)에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제공서버(30)가 S45단계 이전에 S43단계를 수행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S45단계 이후에 S43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20)로부터 대기화면 편집창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휴대단말 정보를 파악한 후 S47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S49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서버(30)는 추출한 햅틱 아이콘을 포함하는 대기화면 편집창을 휴대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서버(30)는 영상을 함께 휴대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1단계에서 휴대단말(20)은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을 표시부(22)에 표시하고, 대기화면 편집창의 작업창에 현재 대기화면의 대기영상을 표시한다. 즉 대기화면 편집창은 작업창 주변에 햅틱 아이콘과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햅틱 아이콘 중에서 휴대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항목은 활성 상태로 표시하고, 사용 불가한 항목은 비활성 상태로 표시한다. 또는 컨텐츠 제공서버(30)는 휴대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과 영상을 추출하여 대기화면 편집창과 함께 휴대단말(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휴대단말(20)은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 햅틱 아이콘 및 영상을 저장부(25)에 임시 저장한다.
다음으로 S53단계에서 휴대단말(20)은 대기화면 편집창의 햅틱 아이콘을 터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53단계의 판단 결과 터치한 경우, S55단계에서 휴대단말(20)은 출력부(27)를 통하여 터치한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출력한다. 이때 터치한 햅틱 아이콘 에 대한 햅틱 요소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휴대단말(20)은 출력부(27)를 통하여 햅틱 요소를 출력한다. 반면에 터치한 햅틱 아이콘에 대한 햅틱 요소를 저장하고 있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20)은 컨텐츠 제공서버(30)로 터치한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휴대단말(20)은 수신한 햅틱 요소를 출력부(27)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때 휴대단말(20)은 수신한 햅틱 요소를 출력한 이후에 저장부에서 삭제한다. 이어서 휴대단말(20)은 S57단계를 수행한다.
S53단계의 판단 결과 터치하지 않은 경우, S57단계에서 휴대단말(20)은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하여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 위로 이동시키는 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S57단계의 판단 결과 대기영상 위로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20)은 S51단계를 수행한다.
S57단계의 판단 결과 대기영상 위로 이동시킨 경우, S59단계에서 휴대단말(20)은 드래그 앤 드롭된 지점에 햅틱 아이콘을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대기화면 작업창에 표시된 햅틱 아이콘의 터치를 통하여 해당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경험한 후 선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S53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S53단계가 햅틱 아이콘의 선택 전에 수행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S59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S61단계에서 휴대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 구매결정 정보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61단계의 판단 결과 구매결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휴대단말(20)은 S53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즉 휴대단말(20)은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S53단계 내지 S59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 위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 위에 배치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대기화면 작업창을 통하여 대기영상으로 사용할 영상을 선택하여 대기영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작업창으로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이 이동하는 경우, 휴대단말(20)은 해당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을 작업창에 표시한다. 반대로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작업창 밖으로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을 이동시키면, 휴대단말(20)은 해당 햅틱 아이콘 또는 영상을 작업창에서 삭제한다.
S61단계의 판단 결과 구매결정 정보가 입력된 경우, S63단계에서 휴대단말(20)은 구매결정 정보를 컨텐츠 제공서버(3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S65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서버(30)는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데이터베이스부(33)에서 추출한다. 이어서 S67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서버(30)는 추출한 햅틱 아이콘을 휴대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서버(30)는 추출한 햅틱 아이콘의 대기영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함께 휴대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S69단계에서 휴대단말(20)은 대기영상 위에 수신한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화면을 구성한다. 휴대단말(20)은 대기화면을 표시부(22)에 출력한다. 즉 휴대단말(20)은 수신한 위치 정보에 따라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한다. 이때 대기영상은 저장부(25)에 기저장된 대기영상일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20)은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영상을 내려받아 대기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햅틱 아이콘과 대기영상은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구매한 햅틱 아이콘과 영상이다.
사용자의 선택 신호 또는 네트워크(10)의 통신 환경에 따라 휴대단말(20)과 컨텐츠 제공서버(30) 간의 접속이 중단되면, 휴대단말(20)은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대기화면 편집창에 표시한 햅틱 아이콘과 영상을 삭제하거나, 비활성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대기화면 편집창을 닫게 되면, 휴대단말(20)은 임시 저장된 대기화면 편집창과, 대기화면 편집창에 표시한 햅틱 아이콘과 영상을 저장부(25)에서 삭제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을 이용한 대기화면 구성 방법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11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20)이 접속한 컨텐츠 제공서버(30)로 대기화면 편집창(70)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70)을 표시부(22)에 표시한다. 휴대단말(20)은 대기화면 편집창(70)의 작업창(71)에 휴대단말(20)의 대기영상(81)을 표시한다. 이때 대기화면 편집창(70)은 중심 부분에 작업창(71)이 위치하고, 작업창(71) 주변에 햅틱 아이콘(73)과 영상(75)이 표시될 수 있다. 햅틱 아이콘(73) 중 휴대단말(20)에서 사용 가능한 항목(72)은 활성 상태로 표시하고, 사용 불가한 항목(74)은 비활성 상태로 표시한다.
한편 작업창(71) 아래쪽에 취소 버튼(77)과, 확인 버튼(79)이 표시될 수 있다. 취소 버튼(77)을 터치하면, 휴대단말(20)은 대기화면 편집창(70)을 종료하고 기저장된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확인 버튼(79)을 터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결정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96)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원하는 햅틱 아이콘(72)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작업창(71)의 대기영상(81)으로 이동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20)은 드래그 앤 드롭된 지점에 햅틱 아이콘(72a)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원하는 영상(75)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작업창(71)으로 이동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20)은 드래그 앤 드롭된 영상(75)을 대기영상(83)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한편 작업창(71)에 원래 표시된 대기영상(81)은 드래그 앤 드롭된 영상(75)이 있는 지점에 영상(81a)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작업창(71) 밖으로 햅틱 아이콘(72a) 또는 대기영상(83)을 이동시키면, 휴대단말(20)은 해당 햅틱 아이콘(72a) 또는 대기영상(83)을 작업창(71)에서 삭제한다.
이와 같은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대기화면 편집창(70)에서 대기화면을 편집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편집된 대기화면(90)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확인 버튼(79)을 터치하면, 휴대단말(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결정 여부를 확인하는 구매 팝업창(96)을 표시한다. 구매 팝업창(86)에는 예 버튼(86a)과 아니오 버튼(86b)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구매 팝업창(86)에서 아니오 버튼(86b)을 터치하면, 휴대단말(20)은 도 9의 화면 상태로 돌아간다. 또는 휴대단말(20)은 대기화면 편집창(70)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는 종료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구매 팝업창(86)에서 예 버튼(86a)을 터치하면, 휴대단말(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 편집창(70)에서 편집된 대기화면(90)을 표시부(22)에 표시한다. 즉 휴대단말(20)은 컨텐츠 제공서버(30)로부터 선택한 햅틱 아이콘(72a)이 배치된 대기영상(83)을 내려받아 대기화면(90)을 구성하고, 구성한 대기화면(90)을 표시부(22)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은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대기화면 편집창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영상을 편집하여 대기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자만의 개성있는 대기화면을 꾸밀 수 있고, 사용자가 대기화면에 배치된 햅틱 아이콘의 선택을 통하여 시각 뿐만 아니라 청각이나 촉각 등을 통하여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여 휴대단말의 사용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네트워크 20 : 휴대단말
21 : 통신부 23 : 입력부
25 : 저장부 27 : 출력부
29 : 단말제어부 30 : 컨텐츠 제공서버
31 : 송수신부 33 : 데이터베이스부
35 : 제어부 70 : 대기화면 편집창
72 : 햅틱 아이콘 81,83 : 대기영상
90 : 대기화면 100 :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Claims (18)

  1. 대기화면 편집창과, 햅틱 아이콘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서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 대기화면 편집창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상기 휴대단말의 대기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대기영상으로 이동하여 배치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구매를 결정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대응되게 상기 수신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휴대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2.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대기화면 편집창과, 햅틱 아이콘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단말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휴대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서 선택한 햅틱 아 이콘에 대한 구매결정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서버.
  3.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접속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 대기화면 편집창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상기 휴대단말의 대기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대기영상으로 이동하여 배치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구매를 결정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대응되게 상기 수신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의 휴대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기화면에서 햅틱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의 휴대단말.
  5. 휴대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컨텐츠 제공서버로 대기화면 편집창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상기 휴대단말의 대기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대기영상으로 이동하여 배치하는 배치 단계;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구매를 결정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수신하고,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대응되게 상기 수신한 햅틱 아이콘을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과,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의 상기 대기영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대기영상에 배치하여 상기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대기영상을 내려받아 상기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은 상기 대기영상이 표시되며 상기 대기영상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작업창과, 상기 작업창의 주변에 배치되는 햅틱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은 상기 휴대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은 상기 휴대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은 활성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휴대단말에서 사용이 불가한 햅틱 아이콘은 비활성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햅틱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으로 상기 작업창의 대기영상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은 상기 작업창의 주변에 배치되는 영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영상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으로 상기 작업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선택한 영상을 대기영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단계는,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 마련된 햅틱 아이콘 또는 상기 대기영상 위에 배치 된 햅틱 아이콘이 터치되면, 사용자가 감각기관을 통하여 느낄 수 있도록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는 진동 또는 전기자극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아이콘의 햅틱 요소는 영상정보, 향기정보, 음원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17. 컨텐츠 제공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휴대단말로부터 대기화면 편집창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휴대단말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휴대단말에서 사용 가능한 햅틱 아이콘을 포함하는 대기화면 편집창을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대기화면 편집창 전송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서 선택한 햅틱 아이콘에 대한 구매결정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을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햅틱 아이콘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아이콘 전송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가 상기 대기화면 편집창에서 선택한 햅틱 아이콘과 영상에 대한 구매결정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선택한 햅틱 아이콘이 배치된 영상을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KR1020090123530A 2009-12-11 2009-12-11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40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530A KR101403320B1 (ko) 2009-12-11 2009-12-11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530A KR101403320B1 (ko) 2009-12-11 2009-12-11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759A true KR20110066759A (ko) 2011-06-17
KR101403320B1 KR101403320B1 (ko) 2014-06-27

Family

ID=4439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530A KR101403320B1 (ko) 2009-12-11 2009-12-11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524A (ko) * 2012-09-19 201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54A (ko) * 1999-10-28 2001-05-15 박남규 무선 이동 단말을 위한 사용자 화면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524A (ko) * 2012-09-19 201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320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5140B (zh) 利用智能移动设备控制互联网电视k歌点唱的方法及系统
EP232063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net access history information using the same
CN107329743A (zh) 应用页面的展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7532700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の表示方法及び装置 本願は、出願番号がcn201510496713.6であり、出願日が2015年08月13日である中国特許出願に基づき提出され、該中国特許出願の優先権を主張し、該中国特許出願の全ての内容はここで参考として本願に援用される。
CN109743464A (zh) 桌面背景显示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549508A (zh) 一种应用图标显示方法和移动终端
CN103914254B (zh) 用于动态显示盒管理的方法和设备
WO2007068295A1 (en) Method for configuring the functionality of a mobile multimedia or communication device
CN104380767A (zh) 移动终端和提供该移动终端方法的直接服务
KR2002001898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변경 시스템 및 방법
CN108762845A (zh) 支持笔记记录应用特征的漫游的方法和系统
CN109284144A (zh) 一种快应用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6056001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隐私数据保护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508699A (zh)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07908765A (zh) 一种游戏资源处理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CN109831578A (zh) 一种应用分享方法及终端
CN103294442A (zh) 一种播放提示音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9683768A (zh) 一种应用的操作方法及移动终端
EP2760175A1 (en) Scene-sound set operating method and portable device
CN110769366A (zh) 一种资源共享方法及终端、服务器
CN109167872A (zh) 一种应用程序开启方法及移动终端
JP2003067334A (ja) 携帯端末、サーバシステム、情報取得方法、及び情報配信方法
CN108763243A (zh) 应用程序推荐方法、装置、移动终端及服务器
KR101547242B1 (ko)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KR20110066759A (ko) 햅틱 아이콘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