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250A -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250A
KR20110066250A KR1020090122811A KR20090122811A KR20110066250A KR 20110066250 A KR20110066250 A KR 20110066250A KR 1020090122811 A KR1020090122811 A KR 1020090122811A KR 20090122811 A KR20090122811 A KR 20090122811A KR 20110066250 A KR20110066250 A KR 2011006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cold water
plate
purified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평순
이해성
박정우
김대근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주)교원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교원엘앤씨 filed Critical (주)교원엘앤씨
Priority to KR102009012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6250A/ko
Publication of KR2011006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서, 상기 냉정수통은 정수를 보관하는 정수통, 상기 정수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를 보관하는 냉수통, 및 상기 정수통 및 냉수통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판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정수통과 고정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통과 고정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을 포함한다.
정수기, 냉정수통, 분리판

Description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WATER RECEIVING CONTAIN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수와 정수의 온도차를 유지할 수 있는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등으로 흔히 사용되는 정수기에서는, 필요한 때에 정수를 뽑아 마실 수 있도록 정수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정수통에 미리 보관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필터를 통과한 정수는 상온 정도의 온도를 가지므로 냉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냉각구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에서는 상온의 정수를 보관하는 정수통과 냉각된 냉수를 보관하는 냉수통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정수의 냉각을 위해 상기 냉수통의 주변에 냉각코일이 형성되어 정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러나, 냉수와 정수가 일체형 정수-냉수통 구조에 저장되는 경우, 저장 시간이 오래 경과되면 냉수의 냉기가 정수쪽으로 전달되게 되어, 정수의 온도가 하강하고 냉수의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냉수 및 정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주기 적으로 냉각을 시키는 등의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수와 정수의 온도차를 유지할 수 있는 냉정수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냉정수통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정수통은 정수통, 냉수통 및 분리판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통은 정수를 보관한다. 상기 냉수통은 상기 정수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를 보관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정수통 및 냉수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통과 고정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통과 고정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은 상기 상부판과 평행하게 형성된 하부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를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이 상기 정수통과 고정되는 부분에 제1 O링(O-ring)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정수통을 밀착시키고, 상기 하부판의 측부와 상기 냉수통이 고정되는 부분에 제2 O링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판과 상기 냉수통을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하부 및 측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하부 및 측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로들을 포함하여, 상기 정수통의 정수가 상기 냉수통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폐공간은 상기 하부판의 측부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공간에는 열전달 계수가 낮은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 냉정수통 및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냉정수통은 본체에 삽입되며 정수를 보관하는 정수통, 상기 정수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를 보관하는 냉수통, 및 상기 정수통 및 냉수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통과 고정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통과 고정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분리판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냉정수통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와 결합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로들을 포함하여, 상기 정수통의 정수가 상기 냉수통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폐공간에는 열전달 계수가 낮은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통과 냉수통 사이에 분리판이 형성되고, 분리판의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냉수통의 냉기가 정수통의 정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열전달을 차단하여, 정수 및 냉수의 온도차를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판의 내부에 형성된 밀폐공간으로 인해, 분리판이 전체적으로 이중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냉기의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판에 소정의 통로가 형성되고 냉수통의 상부에 정수통이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정수통의 정수가 별도의 정수관을 통하지 않고 상기 통로를 통해 냉수통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냉정수통을 포함한 정수기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 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냉정수통(100), 본체(200) 및 커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냉정수통(100)은 상기 본체(200)에 삽입되며, 상기 냉정수통(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냉정수통(100)이 삽입 및 고정되는 공간(210)을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등이 삽입 및 고정되는 공간(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물을 따를 수 있도록 유출부(2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본체(200)는 도시하지는 않았 으나, 정수기의 제작을 위한 필수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냉정수통(100)이 삽입 및 고정되는 공간(210)이 형성된 것을 제외한 다른 구조 및 형상들은 도 1에 도시된 구조 및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냉정수통(100)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200)와 결합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냉정수통(100) 등의 구성요소들을 밀폐시킨다.
도 2는 도 1의 냉정수통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정수통(100)은 정수통(10), 분리판(20) 및 냉수통(30)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통(10)은 필터(미도시)를 통해 필터링된 후 유입되는 정수를 보관한다. 상기 정수란 온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온의 온도를 갖는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을 의미한다. 상기 정수통(10)에는 필터와 연결되어 정수가 유입되기 위한 별도의 통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정수통(10)은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사각 기둥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수통(10)은 외부와의 단열을 유지하기 위해 단열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수통(30)은 상기 정수통(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를 보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냉수통(30)은 상기 정수통(10) 및 후술할 분리판(20)과 각각 별개로 형성된 후 조립되어, 냉정수통(100)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정수통(10)과는 일체로 형성된 후, 후술할 분리판(20)과 조립되어, 냉정수통(1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수통(30), 상기 정수통(10) 및 후술할 분리판(20)이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냉정수통(1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정수통(10)에 보관된 정수는 후술할 통로들(23)을 통해 상기 정수통(10)보다 하부에 배치된 상기 냉수통(30)으로 이동하며, 상기 냉수통(30)으로 이동된 정수는 상기 냉수통(30)의 주변에 형성된 냉각코일 등(미도시)에 의해 냉수로 냉각된다. 그리하여, 상기 냉수통(30)에는 냉수가 저장되게 된다. 이 경우, 냉수가 소모되면, 소모된 만큼의 정수가 상기 통로들(23)을 통해 상기 냉수통(30)으로 이동하여 동일하게 냉수로 저장되어, 냉수통(30)의 냉수량이 유지된다.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정수통(10) 및 상기 냉수통(30)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판(21), 하부판(27) 및 밀폐공간(29)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27)은 측부(25) 및하부(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분리판(20)의 상부판(21) 및 하부판(27)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후 조립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분리판(20)을 상부판(21) 및 하부판(27)으로 구분하고, 다시 상기 하부판(27)을 측부(25) 및 하부(26)로 구분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정수통(10) 및 상기 냉수통(30)과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20), 정수통(10) 및 냉수통(30)이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분리판(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판(21)의 직경이 하부판(27)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정수통(10)의 내부 직경이 냉수통(30)의 내부 직경보다 크기 때문이며, 이와 달리 정수통(10)의 내부 직경이 냉수통(30)의 내부 직경과 같거나 작다면, 상부판(21)의 직경도 하부판(27)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판(20)의 상부판(21)은 상기 정수통(10)의 하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판(21)의 외경은 상기 정수통(10)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정수통(10)의 고정부는 정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가능한 최대한으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정수통(10)은 밀착을 위한 별도의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정수통(10)의 고정부에 제1 O링(O-ring)(40)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정수통(10)을 서로 밀착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판(21) 및 상기 정수통(10)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제1 O링(4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상부판 홈(24) 및 정수통 홈(11)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판(20)의 하부판(27)은 상기 냉수통(30)의 상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판(27)의 외경은 상기 냉수통(30)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하부판(27)과 상기 냉수통(30)의 고정부 역시 정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가능한 최대한으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하부판(27)과 상기 냉수통(30)은 밀착을 위한 별도의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판(2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판(27)과 상기 냉수통(30) 의 고정부에 제2 O링(O-ring)(50)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판(27)과 상기 냉수통(30)을 서로 밀착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판(27) 및 상기 냉수통(30)의 상부에는 각각 상기 제2 O링(5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하부판 홈(28) 및 냉수통 홈(31)이 형성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27)은 구조상 측부(25) 및 하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26)는 상기 상부판(2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측부(25)는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하부(26)를 연결하도록 상기 상부판(21) 및 상기 하부(26)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측부(25)가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하부(26) 사이에 형성되므로, 즉,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하부(26)가 상기 측부(25)의 길이만큼의 간격을 갖게 되므로,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하부(26)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분리판(20)은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하부(26)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밀폐하여, 밀폐공간(29)으로 형성한다.
상기 밀폐공간(29)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부와 밀폐시키거나, 내부에 공기 또는 열전달 계수가 낮은 물질을 채워 외부와 밀폐시킨다. 그리하여, 상기 밀폐공간(29)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판(21)과 하부에 배치된 하부(26) 사이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분리판(20)은 상부판(21) 및 하부판(27)의 이중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21)과 하부판(27)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29)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정수통(10)에 저장되는 정수와 상기 냉수통(30)에 저장 되는 냉수 사이의 열전달의 차단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정수 및 냉수 각각의 온도를 오랜 시간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판(20)은 상기 상부판(21)과 상기 하부판(27)을 관통하는 복수의 통로들(2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로들(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21)의 사이드 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통로들(22) 각각은 상기 하부판(27)의 측부(25)와 하부(26)를 관통하면서 관통로(23)와 같이 형성된다. 즉, 상기 통로들(22)은 상기 밀폐공간(29)을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밀폐공간(29)은 외부와의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에서는 필터 등을 통과한 정수가 상기 정수통(10)으로 유입되고, 상기 정수통(10)에 저장된 정수가 필요에 따라 상기 통로들(22)을 통과하여 상기 냉수통(30)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20)에 상기 통로들(2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정수통(10)으로부터 상기 냉수통(30)으로 정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정수관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정수의 이동 속도 및 이동량 등은 상기 통로들(22)의 내경 및 개수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통(10)으로부터 상기 냉수통(30)으로의 정수의 전달은 상기 냉수통(30)에 정수가 가득 찬 경우 자연스럽게 중단되며, 상기 냉수통(30)의 냉수가 소모되는 만큼 자연스럽게 상기 정수통(10)으로부터 정수가 전달된다. 이와 달리, 상기 통로들(22)의 개/폐를 조절하는 별도의 제어 수단(미도시)을 상기 분리판(20)에 형성하여 상기 정수의 전달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통과 냉수통 사이에 분리판이 형성되고, 분리판의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냉수통의 냉기가 정수통의 정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열전달을 차단하여, 정수 및 냉수의 온도차를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판의 내부에 형성된 밀폐공간으로 인해, 분리판이 전체적으로 이중판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냉기의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판에 소정의 통로가 형성되고 냉수통의 상부에 정수통이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정수통의 정수가 별도의 정수관을 통하지 않고 상기 통로를 통해 냉수통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냉정수통을 포함한 정수기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는,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냉정수 겸용 정수기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정수통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냉정수통 200 : 정수기 본체
300 : 상부커버 10 : 정수통
20 : 분리판 30 : 냉수통
40, 50 : O링(O-ring)

Claims (10)

  1. 정수를 보관하는 정수통;
    상기 정수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를 보관하는 냉수통; 및
    상기 정수통 및 냉수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통과 고정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통과 고정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냉정수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상기 상부판과 평행하게 형성된 하부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를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이 상기 정수통과 고정되는 부분에 제1 O링(O-ring)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판과 상기 정수통을 밀착시키고, 상기 하부판의 측부와 상기 냉수통이 고정되는 부분에 제2 O링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판과 상기 냉수통을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통.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의 하부 및 측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통.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하부 및 측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로들을 포함하여, 상기 정수통의 정수가 상기 냉수통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은 상기 하부판의 측부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에는 열전달 계수가 낮은 물질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통.
  8. 본체;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냉정수통; 및
    상기 냉정수통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냉정수통은,
    정수를 보관하는 정수통;
    상기 정수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를 보관하는 냉수통; 및
    상기 정수통 및 냉수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정수통과 고정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수통과 고정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통로들을 포함하여, 상기 정수통의 정수가 상기 냉수통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에는 열전달 계수가 낮은 물질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90122811A 2009-12-11 2009-12-11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10066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811A KR20110066250A (ko) 2009-12-11 2009-12-11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811A KR20110066250A (ko) 2009-12-11 2009-12-11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250A true KR20110066250A (ko) 2011-06-17

Family

ID=4439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811A KR20110066250A (ko) 2009-12-11 2009-12-11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62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0692B2 (en) Water dispenser and method of purifying water
KR102053784B1 (ko) 정수기용 냉수 탱크
CN102822610A (zh) 冷水箱
JP6014882B2 (ja) クリーンウォーター排出装置
CN106660775B (zh) 饮用水供给装置
KR101849080B1 (ko)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
KR20110066250A (ko) 냉정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20076943A (ko)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KR101878004B1 (ko) 음료수 서버
JP2015013691A (ja) 冷温水供給装置
JP2014169805A (ja) 冷温水供給装置
KR101269093B1 (ko) 냉온수기의 물 분리대
CN106536402A (zh) 饮用水供给装置
CN107249712B (zh) 模块化过滤器胶囊装置
KR200442899Y1 (ko) 다단의 온도격판을 가지는 정수기용 냉각저수조
JP6430731B2 (ja) 飲料水供給装置
KR101153149B1 (ko) 냉온정수기
KR100993892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KR101210912B1 (ko) 물분배기
KR101134049B1 (ko) 저장수조를 생략한 정수기
JP2016013857A5 (ko)
KR101155660B1 (ko) 직수형 순간냉각식 급수장치
KR20120073906A (ko) 정수기
KR20140065919A (ko) 공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음용수 저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