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024A - 진동센서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센서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024A
KR20110065024A KR1020090121849A KR20090121849A KR20110065024A KR 20110065024 A KR20110065024 A KR 20110065024A KR 1020090121849 A KR1020090121849 A KR 1020090121849A KR 20090121849 A KR20090121849 A KR 20090121849A KR 20110065024 A KR20110065024 A KR 20110065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sensor
test apparatus
piezoelectric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029B1 (ko
Inventor
이흥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9012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0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물리적 변화를 일으켜 진동을 발생하는 압전소자의 진동 운동을 진동센서에 접속하여 진동센서에 진동을 가하는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진동센서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인가되는 전위에 의해 일어나는 물리적 변위에 따라 진동 운동하는 압전 진동소자(100)를 포함하는 진동부와; 진동소자(100)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진동센서(200)에 전달되도록 진동센서(200)를 진동부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진동센서 시험장치는 진동 발생을 위해 기존의 방식인 유도코일에 전류를 흘려 자장을 영구자석과 쇄교하도록 하여 전자석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마그네틱 진동 발생 방법보다 구동 전력이 현저히 작은 전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진동센서, 압전진동소자, 탄성부재, 전원부

Description

진동센서 시험장치{test apparatus of vibration sensor}
본 발명은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진동센서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물리적 변화를 일으켜 진동을 발생하는 압전소자의 진동 운동을 진동센서에 접속하여 진동센서에 진동을 가하는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진동센서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전 진동자는 압전체의 압전현상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진동자이다. 수정이나 로셀염 등의 결정에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발생하는데 이를 압전 직접효과라고 하며, 이와 반대로 전압을 인가하면 결정체가 변형을 일으키는 현상을 압전 역효과라 한다. 이러한 압전 직접효과 및 압전 역효과 모두를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라 한다.
이러한 압전 효과를 나타내는 소자를 압전 소자라 하며, 현재에는 압전 세라믹(PZT)이 발견되어 가속도계 등 진동센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ZT는 납(Pb), 아연(Zn), 티타늄(Ti)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화합물이다.
이러한 압전 진동자는 종래의 마그네틱 전자석에 의한 진동에 비해서 소형으로서 작은 구동 전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압전 진동자는 초 음파 세척기, 초음파 가습기, 압전 모터, 음파 발생기 등의 진동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전 진동자는 전자기기들이 초 소형화되고 있는 현재의 추세에 부응하여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분야이다.
종래의 진동센서 시험용 진동 구동용으로는 마그네틱 영구자석에 전자석 기전력에 의한 진동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진동센서에 일정한 진동을 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석 진동자는 전자석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크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많이 들어가며,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압전진동소자를 보호하면서 저전력 및 경량으로서 진동센서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한 진동센서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센서에 최대의 효율로 진동 구동력을 가하기 위하여 고정부를 중량으로 하고 진동부를 경량으로 한 진동센서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진동센서에 진동을 가하여 시험하는 진동센서 시험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전위에 의해 일어나는 물리적 변위에 따라 진동 운동하는 압전 진동소자를 포함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소자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진동센서에 전달되도록 상기 진동센서를 상기 진동부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상측에 마련되는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진동소자의 상측에 마련되어 진동소자의 진동이 전달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와 진동소자 사이에 탄성부재와 보조블 럭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진동전달부재와 보조블럭이 절연된 체결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진동센서의 저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전달부재의 상면에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상기 고정블럭에 전원부가 마련되고, 상기 전원부의 양극이 상기 보조블럭에 연결되고 음극이 상기 진동전달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진동소자를 이용한 진동센서 시험장치는 진동 발생을 위해 기존의 방식인 유도코일에 전류를 흘려 자장을 영구자석과 쇄교하도록 하여 전자석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마그네틱 진동 발생 방법보다 구동 전력이 현저히 작은 전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압전 진동소자는 크기도 매우 작아 소형의 진동 시험장치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진동소자를 이용한 진동센서 시험장치는 진동 소자에 공급되는 전원 단자가 압전 소자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고정부 +극과 -극에 연결하는 단자를 가지므로 납땜이나 용접 등의 제작 절차가 간단해 진다. 또한, 압전 소자 극간 절연 와셔를 사용하여 고정하므로 소자의 물리적 파손이 없이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고정부의 질량을 늘리고 진동부의 질량을 감소하도록 하는 재질을 사 용함으로써, 진동센서에 최대의 효율로 진동 구동력을 가할 수 있다.
진동센서에 진동을 가하여 시험하는 본 발명 실시예의 진동센서 시험장치를 나타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인가되는 전위에 의해 일어나는 물리적 변위에 따라 진동 운동하는 압전 진동소자(100)를 포함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소자(100)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진동센서(200)에 전달되도록 상기 진동센서(200)를 상기 진동부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진동부는 고정블럭(103)과, 상기 고정블럭(103)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부재(102)와, 상기 고정부재(102) 상측에 마련되는 상기 진동소자(100)와, 상기 진동소자(100)의 상측에 마련되어 진동소자(100)의 진동이 전달되는 진동전달부재(10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2)와 진동소자(100) 사이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부재(106)와 보조블럭(10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진동전달부재(101)와 보조블럭(105)이 절연된 체결볼트(109)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상기 체결볼트(109)는 보조블럭(105)과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절연와셔(110)를 사용하여 절연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06)는 상기 고정부재(102)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진동센서(200)의 저면에 수나사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전달부재(101)의 상면에 상기 수나사부(201)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 부(104)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103)에는 전원부(300)가 마련되고, 상기 전원부(300)의 양극(108)이 상기 보조블럭(105)에 연결되고 음극(107)이 상기 진동전달부재(101)에 연결된다.
또한, 소형의 시험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전원부(300)와 컨트롤러(301) 및 사용자에 맞게 키패드(302)를 통해 전위값을 입력시키는 LCD 표시부(303)를 일체화하였다.
또한, 진동센서(200)에 가장 효율적으로 진동을 가하기 위하여 진동전달부재(101) 및 보조블럭(105)은 질량이 적은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고정부재(102)와 고정블럭(103)은 질량이 많은 스틸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시험장치는 압전 진동소자(100)에 전원부(300)로부터의 전기 펄스가 인가되면 진동이 발생되고, 발생된 진동은 진동전달부재(101)를 통하여 진동센서(200)에 전달되어서 신호선 커넥터(202)를 통하여 진동센서를 시험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진동소자(100)를 이용한 진동센서 시험장치는 진동 발생을 위해 기존의 방식인 유도코일에 전류를 흘려 자장을 영구자석과 쇄교하도록 하여 전자석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마그네틱 진동 발생 방법보다 구동 전력이 현저히 작은 전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압전 진동소자는 크기도 매우 작아 소형의 진동 시험장치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진동소자를 이용한 진동센서 시험장치는 진동 소자에 공급되는 전원 단자가 압전 진동소자(10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고정부 +극과 -극에 연결하는 단자를 가지므로 납땜이나 용접 등의 제작 절차가 간단해 진다.
또한, 압전 소자 극간 절연 와셔를 사용하여 고정하므로 소자의 물리적 파손이 없이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시험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도이다.

Claims (5)

  1. 진동센서에 진동을 가하여 시험하는 진동센서 시험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전위에 의해 일어나는 물리적 변위에 따라 진동 운동하는 압전 진동소자(100)를 포함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소자(100)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진동센서(200)에 전달되도록 상기 진동센서(200)를 상기 진동부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고정블럭(103)과, 상기 고정블럭(103)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부재(102)와, 상기 고정부재(102) 상측에 마련되는 상기 진동소자(100)와, 상기 진동소자(100)의 상측에 마련되어 진동소자(100)의 진동이 전달되는 진동전달부재(101)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 시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2)와 진동소자(100) 사이에 탄성부재(106)와 보조블럭(10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진동전달부재(101)와 보조블럭(105)이 절연된 체결볼트(109)에 의해 상호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 시험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진동센서(200)의 저면에 수나사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전달부재(101)의 상면에 상기 수나사부(201)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0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 시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103)에 전원부(300)가 마련되고, 상기 전원부(300)의 양극(108)이 상기 보조블럭(105)에 연결되고 음극(107)이 상기 진동전달부재(10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 시험장치.
KR1020090121849A 2009-12-09 2009-12-09 진동센서 시험장치 KR101106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49A KR101106029B1 (ko) 2009-12-09 2009-12-09 진동센서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49A KR101106029B1 (ko) 2009-12-09 2009-12-09 진동센서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024A true KR20110065024A (ko) 2011-06-15
KR101106029B1 KR101106029B1 (ko) 2012-01-17

Family

ID=4439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849A KR101106029B1 (ko) 2009-12-09 2009-12-09 진동센서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0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810B1 (ko) * 2011-06-28 2013-03-20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진동측정기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59671A (zh) * 2013-12-13 2014-03-26 合肥江航飞机装备有限公司 某型飞机机内油箱随机振动试验夹具
KR101422828B1 (ko) * 2013-04-01 2014-07-24 송영천 진동 센서에 의한 발광식 오작동 탐지 장치
RU2605503C1 (ru) * 2015-08-10 2016-12-20 Олег Савельевич Кочетов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й упругих элементов виброизоляторов с пьезовибратором
KR102222889B1 (ko) * 2019-12-23 2021-03-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의 진동 환경 시험 방법
CN112602686A (zh) * 2020-12-30 2021-04-06 张瑞稳 一种电网自清理灭蚊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518A (ja) * 1989-07-11 1991-02-26 Ntn Corp 圧電素子を用いて振動測定感度を較正する方法
JP2009204538A (ja) * 2008-02-28 2009-09-10 Ngk Spark Plug Co Ltd 振動検知センサの特性測定装置及び特性測定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810B1 (ko) * 2011-06-28 2013-03-20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진동측정기 고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2828B1 (ko) * 2013-04-01 2014-07-24 송영천 진동 센서에 의한 발광식 오작동 탐지 장치
CN103659671A (zh) * 2013-12-13 2014-03-26 合肥江航飞机装备有限公司 某型飞机机内油箱随机振动试验夹具
CN103659671B (zh) * 2013-12-13 2016-01-20 合肥江航飞机装备有限公司 某型飞机机内油箱随机振动试验夹具
RU2605503C1 (ru) * 2015-08-10 2016-12-20 Олег Савельевич Кочетов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й упругих элементов виброизоляторов с пьезовибратором
KR102222889B1 (ko) * 2019-12-23 2021-03-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의 진동 환경 시험 방법
CN112602686A (zh) * 2020-12-30 2021-04-06 张瑞稳 一种电网自清理灭蚊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029B1 (ko)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029B1 (ko) 진동센서 시험장치
US8330334B2 (en) Apparatus employ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capable of generating voltage to drive power conditioning circu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ang et al. Vibration energy harvesting using a piezoelectric circular diaphragm array
KR20130017066A (ko) 트랜스듀서 모듈
US9135906B2 (en) Ultrasonic generator
WO2010148312A3 (en) Increased frequency power generation using low-frequency ambient vibrations
KR101047654B1 (ko)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CN102735900A (zh) 无源式交流电流感测器
JP2011152004A (ja) 発電ユニットおよび発電装置
JP2016086599A (ja) 発電装置
Ren et al.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based on shear mode 0.71 Pb (Mg 1/3 Nb 2/3) O 3-0.29 PbTiO 3 single crystals
CN102510239A (zh) 复合式振动发电机
CN109348386A (zh) 驱动装置和电子组件
Olszewski et al. A low frequency MEMS energy harvester scavenging energy from magnetic field surrounding an AC current-carrying wire
JP3214266U (ja) マイクロリニア振動子
JP2012005192A (ja) 発電部品と、これを用いた発電装置及び通信モジュール
WO2011162085A1 (ja) 電力伝送素子及び電力伝送装置
CN209419843U (zh) 驱动装置和电子组件
JP2011211059A (ja) 超音波発生器、超音波発生器の駆動方法及び超音波センサ
KR20130016004A (ko) 트랜스듀서 모듈
CN106208613B (zh) 线性振动电机
CN110138273A (zh) 一种l梁式磁力非线性压电俘能装置及方法
CN209285183U (zh) 一种豆浆机
CN215918086U (zh) 压电超声换能器
CN207337636U (zh) 一种无线遥控收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