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899A -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899A
KR20110064899A KR1020090121672A KR20090121672A KR20110064899A KR 20110064899 A KR20110064899 A KR 20110064899A KR 1020090121672 A KR1020090121672 A KR 1020090121672A KR 20090121672 A KR20090121672 A KR 20090121672A KR 20110064899 A KR20110064899 A KR 2011006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driving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4899A/ko
Publication of KR2011006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은, 상기 운전 편의 장치를 구동하는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의 접속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로부터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 제어 모듈의 설정을 제어하고,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 필요시 상기 차량 제어 모듈별로 설정값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설정값들 각각을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값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차종에 관계없이 운전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차종, 운전자, 환경, 편의, 장치, 설정, USB, 저장

Description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 SETTING DRIVING CONVENIENCE APPARATUS BY MODEL OF CAR}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는 교통수단으로 차량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 냉난방 장치, 에어백 등과 같이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자동항법 장치를 설치한 차량도 선보이고 있다.
한편 차량을 다수의 운전자가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의 운전습관 등의 차이로 인하여 운전석의 위치나 미러 등의 위치는 운전자마다 탑승시 조정하여 사용한다.
최근 자동차 산업 및 전자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자동차에도 자동차 성능 및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기계적인 장치(이하 운전 편의 장치라 함)들에 전자적인 장치들을 결합하여 자동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운전 편의 장치로는 좌석 시트 전후 이동 장치, 룸미러,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 장치, 좌석 시트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등이 있다.
상기 운전 편의 설정 장치는 설정 상태가 달라질 수 있는 좌석 시트, 룸미러, 사이드 미러 위치 또는 각도를 운전자별로 할당된 버튼에 대응시켜 저장해 놓고, 임의의 버튼 입력 시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각도를 독출하여 좌석 시트, 룸미러, 사이드 미러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차종별로 구비하고 있는 운전 편의 장치들이 상이하며 차종별로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값도 달라진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자신이 사용하던 차량과 차종이 다른 차량을 렌트하거나 기타 다른 차종의 차량을 운전하게 될 경우 각종 운전 편의 장치들에 대해 자신에게 맞게 운전 환경을 일일이 새로이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차종별 운전 편의 설정 정보에 따라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운전 편의 장치를 구동하는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 상기 휴대 용 저장 장치의 접속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로부터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 제어 모듈의 설정을 제어하고,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 필요시 상기 차량 제어 모듈별로 설정값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설정값들 각각을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의 운전 환경 설정값이 차종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은,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입력부,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 외부의 차량 제어 모듈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오디오 및 비디오 설정을 위한 내부 차량 제어 모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로부터 현재 차종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으로부터 현재 차량의 차종을 전송받고 상기 현재 차량의 차종이 저장부의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존재하면 현재 차종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멀티 헤드 유닛에 전송함으로써, 현재 차종에 맞는 운전 환경 설정 정보만을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는 현재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을 변경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제어부는 수신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 제어 모듈의 변경된 설정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설정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최신의 운전 환경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이 휴대용 저장 장치의 접속시 현재 차량의 차종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로부터 인식한 차종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편의 장치를 구동하는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 중 해당하는 차량 제어 모듈을 설정하는 단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 필요시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의 설정 상태를 검출하여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운전할 차량의 차종이 변경되어도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값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차종에 관계없이 운전 편의 장치의 운전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 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에 설치된 운전 편의 장치들은 차종별로 상이하며 그에 따라 동일 운전 편의 장치더라도 운전자에 알맞은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값이 차종별로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저장된 휴대용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차종에 대해 자동으로 운전 환경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이하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이라 칭함) 시스템은 소정 차종에 대한 특징적인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생성 또는 업데이트하여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 또는 전송한다.
운전 환경 설정은 운전자가 선호하는 차량 시트의 거리, 미러 각도, 선호하는 AV(Audio Video) 또는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방송, 볼륨, 온도 등과 같은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을 포함한다.
휴대용 저장 장치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 장치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장치 등을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 편의 장치 자동 설정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과 휴대용 저장 장치(20)와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들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은 휴대용 저장 장치(20)와 접속시 휴대용 저장 장치(20)로부터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독출하거나 수신하고, 운전자 차량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별로 설정값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설정값들 각각을 해당 차량 제어 모듈로 전송한다.
휴대용 저장 장치(20)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기기(예컨대,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핸드폰, 이하 '블루투스 기기'라 함),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메모리 등의 장치로,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설정 변경 이벤트의 발생 시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으로 전송한다.
설정 변경 이벤트는 휴대용 저장 장치(20)가 블루투스 기기인 경우 일반적인 블루투스 식별자(Identification : ID)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과의 페어링(pairring) 수행 후, 등록된 블루투스 ID와 수신된 블루투스 ID의 비교 인증에 의한 접속 자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설정 변경 이벤트는 접속 후 휴대용 저장 장치(20)의 입력부(21)를 통해 입력되는 키 입력값일 수도 있고,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으로부터 수신되는 운전 환경 설정 정보 요청이 될 수도 있다.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기기간의 페어링 방법 및 접속 방법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일반적인 동작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용 저장 장치(20)가 USB 메모리인 경우, 설정 변경 이벤트는 USB 메모리의 접속 검출 또는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으로부터 수신되는 독출 명령이 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이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독출하기 위해 운 전 환경 설정 정보는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이 인식하고 있는 위치(디렉토리)에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이 알고 있는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로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차량 제어 모듈은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 내에 설치된 라디오 설정부, DMB 설정부, 스피커 볼륨 설정부, 온도 설정부와 같은 내부의 차량 제어 모듈(30)과, 시트 구동부(40)와 미러 구동부(50)와 같은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20) 외부의 차량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차량 제어 모듈은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으로부터 설정값을 수신하고, 설정값에 따라 운전 편의 장치, 즉 시트, 룸미러, 사이드 미러, 라디오 프리셋, DMB, 볼륨(Equalizer: EQ) 등의 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시트의 경우, 설정값은 시트의 위치값이 될 수 있고, 사이드 미러의 경우 설정값은 사이드 미러의 전후좌우 위치값이 될 수 있으며, 라디오 프리셋의 설정값은 라디오 프리셋 버튼들에 대한 주파수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모듈은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으로부터 설정값 요청이 발생하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설정값을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에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은 차량 제어 모듈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입력부에 의해 설정값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리셋의 경우 프리셋 버튼을 포함하는 카오디오 시스템의 버튼들에 의해 프리셋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휴대용 저장 장치(2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1), 입력부(12), 차량 제 어 모듈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13), 저장부(14), 통신부(1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20)로부터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각종 차량 제어 모듈에 설정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차량 제어 모듈(30, 40, 50)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차량 제어부(15)로 구성된다.
통신부(11)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USB 통신모듈 등의 통신모듈로서, 휴대용 저장 장치(2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입력부(12)는 설정 변경 이벤트를 발생하는 입력키 및 복수의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 저장키, 운전 환경 설정 변경키를 구비하고, 눌려진 키에 대한 신호를 차량 제어부(15)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3)는 CAN(Control Area Network) 등의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 및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는 휴대용 저장 장치(20)로부터 독출하거나 수신된 복수의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 및 차량 제어 모듈들 각각의 설정값을 임시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차량 제어 모듈은 라디오 튜너의 라디오 설정부, DMB 모듈의 DMB 설정부, 볼륨 설정부, 온도 설정부 등을 포함하는 AVN 모듈(30)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 제어 모듈은 차량 시트를 구동하기 위한 차량 시트 구동부(40), 룸 미러 또는 사이드 미러를 구동하기 위한 미러 구동부(50)를 포함한다.
차량 제어부(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차량 제어부(15)는 휴대용 저장 장치(20)의 접속 여부를 통신부(11)를 통해 인지하고, 휴대용 저장 장치(20)의 접속에 의한 설정 변경 이벤트 또는 접속 후의 설정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20)로부터 현재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독출하거나 수신한다. 또한 차량 제어부(15)는 휴대용 저장 장치(20)와 접속시, 통신부(1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여, 현재 차량의 차종에 맞는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휴대용 저장 장치(2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휴대용 저장 장치(20)로부터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 모듈(30, 40, 50)을 설정한다.
또한, 차량 제어부(15)는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시 필요시, 즉 휴대용 저장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차량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현재 차량의 차종에 맞는 운전 환경 설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운전 환경 설정 정보 저장키(미도시)가 눌러지면, 수신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 제어 모듈(30, 40, 50)들로부터 설정값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설정값들에 의해 운전자 차량 설정 정보를 생성한 후 통신부(11)를 통해 생성한 차량 설정 정보를 휴대용 저장 장치(20)로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용 저장 장치(20)는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차량 제어부(15)는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시 필요시, 즉 운전자가 현재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을 변경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한 운 전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 제어 모듈(30, 40, 50)의 설정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설정값을 통신부(1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20)에 전송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용 저장 장치(20)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1), 입력부(22),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차종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저장부(24), 통신부(21)를 통해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에 전송하는 제어부(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22)는 휴대용 저장 장치(20)가 USB 메모리인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통신부(21)는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의 통신부(11)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접속 시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저장부(24)는 휴대용 저장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4)는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저장부(24)에는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차종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다.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각 차종(A,B,..,N)에 대해 식별 ID(Ox1, Ox2,..,OxN)가 부여된다. 차종 A에 설치된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값으로서, 예컨대, 미러 각도를 '30도'로 설정하고, 차량 시트 위치를 '40cm'로 설정하고, 볼륨을 '20'으로 설정하고, 실내 온도를 '20℃'로 설정하 고, 선호하는 라디오 채널을 '95.9MHz'로 설정하고, 선호하는 DMB 방송 채널을 'KBS'로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그리고, 차종 B에 설치된 편의 장치의 설정값으로서, 예컨대 미러 각도를 '23도'로 설정하고, 차량 시트 위치를 '50cm'로 설정하고, 볼륨을 '15'로 설정하고, 실내 온도를 '19℃'로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제어부(25)는 통신부(21)를 통해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으로부터 운전 환경 설정 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저장부(24)에서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통신부(21)를 통해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5)는 멀티 헤드 유닛(10)에서 새로이 생성되거나 업데이트되어 전송되는 현재 차종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4)에 저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5)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차종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면 해당 차종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부(24)의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에서의 운전 편의 장치 자동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저장 장치(20)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휴대용 저장 장치(20)를 멀티 헤드 유닛(10)에 연결하면(S1), 멀티 헤드 유닛(10)의 차량 제어부(15)가 현재 차량의 차종을 통신부(1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20)에 전송한다(S2). 이때, 휴대용 저장 장치(20)의 제어부(25)는 수신한 현재 차량의 차종이 저장부(24)의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여, 판단결과 존재 하면 현재 차종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멀티 헤드 유닛(10)에 전송한다.
차량 제어부(15)는 현재 차종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여(S3), 판단결과 휴대용 저장 장치(20)로부터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설정값을 현재 차량에 적용한다(S4). 여기서,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후에 차량 제어부(15)는 입력부(12)의 운전 환경 설정 변경키(미도시)가 눌러지거나, 시트 구동부(40) 및 미러 구동부(50)의 상태를 포함한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이 변경되는지 또는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ECU(미도시)와 CAN 통신하여 다른 운전 환경이 변경되는지 판단하여(S5), 변경되면 현재 변경 설정된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통신부(1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20)로 전송하여 업데이트하게 한다(S6).
한편, 차량 제어부(15)는 S3단계의 판단결과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20)내의 각종 설정부를 체크하여 운전 환경 설정 상태를 수집함과 함께 시트 구동부(40) 및 미러 구동부(50)의 상태 또는 인터페이스부(13)에 의해 통신 가능한 다른 구동 장치의 운전 환경 상태를 포함한 현재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 상태를 수집하고(S7), 통신부(1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20)에 전송하여 저장하게 한다(S8).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에서의 운전 편의 장치 자동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저장 장치(20)는 USB 메모리이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휴대용 저장 장치(20)를 멀티 헤드 유닛(10)에 연결 하고(P1), 차량 제어부(15)가 통신부(1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20)로부터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다운로드한다(P2). 차량 제어부(15)는 현재 차종에 적합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다운로드한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P3). 판단결과 존재하면, 차량 제어부(15)는 다운로드한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서 현재 차종에 적합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차량의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30, 40, 50)에 적용한다(P4).
이후에 차량 제어부(15)는 입력부(12)의 운전 환경 설정 변경키(미도시)가 눌러지거나, 시트 구동부(40) 및 미러 구동부(50)의 상태를 포함한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이 변경되는지 또는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해 ECU(미도시)와 CAN 통신하여 다른 운전 환경이 변경되는지 판단한다(P5). 판단결과 변경되면 차량 제어부(15)는 현재 변경 설정된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시킨 후, 업데이트된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통신부(1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20)로 전송한다(P6).
한편, 차량 제어부(15)는 P3단계의 판단결과 운전 환경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20)내의 각종 설정부를 체크하여 시트 구동부(40) 및 미러 구동부(50)의 상태를 포함한 운전 환경 설정 상태를 수집함과 함께 시트 구동부(40) 및 미러 구동부(50)의 상태 또는 인터페이스부(13)에 의해 통신 가능한 다른 구동 장치의 운전 환경 상태를 포함한 현재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 상태를 수집하고(P7)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통신부(1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20)에 전송하여 저장하게 한다(P8).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자가 다른 차종의 차량을 운전시 운전 환경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운전자의 운전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차종에 관계없이 운전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저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 11, 21 : 통신부
12, 22 : 입력부 13 : 인터페이스부
14, 24 : 저장부 15 : 차량 제어부
16, 26 : 표시부 20 : 휴대용 저장 장치
25 : 제어부 30 : AVN 모듈
40 : 시트 구동부 50 : 미러 구동부

Claims (6)

  1.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운전 편의 장치를 구동하는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설정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의 접속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로부터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 제어 모듈의 설정을 제어하고,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 필요시 상기 차량 제어 모듈별로 설정값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설정값들 각각을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의 운전 환경 설정값이 차종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은,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입력부,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 외부의 차량 제어 모듈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오디오 및 비디오 설정을 위한 내부 차량 제어 모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로부터 현재 차종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현재 차량의 차종이 저장부의 차종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존재하면 현재 차종의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멀티 헤드 유닛에 전송하는 것인,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는 현재 차량의 운전 환경 설정을 변경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제어부는 수신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 제어 모듈의 변경된 설정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설정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6.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헤드 유닛이 휴대용 저장 장치의 접속시 현재 차량의 차종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로부터 인식한 차종에 대해 미리 설정된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 편의 장치를 구동하는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 중 해당하는 차량 제어 모듈을 설정하는 단계;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 필요시 복수의 차량 제어 모듈의 설정 상태를 검출하여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운전 환경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방법.
KR1020090121672A 2009-12-09 2009-12-09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4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72A KR20110064899A (ko) 2009-12-09 2009-12-09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72A KR20110064899A (ko) 2009-12-09 2009-12-09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99A true KR20110064899A (ko) 2011-06-15

Family

ID=4439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672A KR20110064899A (ko) 2009-12-09 2009-12-09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48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98B1 (ko) * 2012-04-17 2014-01-27 (주)테너지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JP2015089808A (ja) * 2013-11-06 2015-05-11 ハーマ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に基づく車両システムの適合
CN111114451A (zh) * 2019-12-03 2020-05-08 文思海辉智科科技有限公司 车机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54138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캔 통신을 통해 운송수단과 연동되어 작동상태 및 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외장형 클러스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98B1 (ko) * 2012-04-17 2014-01-27 (주)테너지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JP2015089808A (ja) * 2013-11-06 2015-05-11 ハーマ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に基づく車両システムの適合
CN111114451A (zh) * 2019-12-03 2020-05-08 文思海辉智科科技有限公司 车机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54138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캔 통신을 통해 운송수단과 연동되어 작동상태 및 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외장형 클러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3010B2 (en) Individualized vehicle settings
US8698344B2 (en) Navigation apparatus
US102617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to exchange occupant information
US88252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factory and aftermarket vehicle components
KR101792046B1 (ko) 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4412252B2 (ja) 運転支援装置
US11084353B2 (en) Cabin purge for vehicle ventilating and cooling system
JP463032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00198428A1 (en) Multi-purpose fob system
EP2693720B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in-vehicle apparatus
EP3132435B1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WO2014136377A1 (ja) 通信補助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50081175A1 (en) Vehicle user preference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10064899A (ko)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N110723085A (zh) 车辆功能设备的个性化调整方法及系统
US20160347207A1 (en) Vehicle control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vehicular device
KR20100024715A (ko) 개인별 차량 자동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304280A1 (en) Vehicle control and display system
CN11490038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KR101657657B1 (ko)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KR20140005613A (ko) 운전자 설정 정보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CN112455385A (zh) 车辆的电力控制器、包括车辆的电力控制器的系统以及车辆的电力控制方法
KR102443046B1 (ko) 캔 통신을 통해 운송수단과 연동되어 작동상태 및 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외장형 클러스터
KR100552792B1 (ko) 차량의 운전자 세팅정보 복구 방법 및 운전자 인증 방법
US20230174080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