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880A -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880A
KR20110064880A KR1020090121649A KR20090121649A KR20110064880A KR 20110064880 A KR20110064880 A KR 20110064880A KR 1020090121649 A KR1020090121649 A KR 1020090121649A KR 20090121649 A KR20090121649 A KR 20090121649A KR 20110064880 A KR20110064880 A KR 20110064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xterior panel
exterior
blu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428B1 (ko
Inventor
정현기
전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4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외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청유리;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청유리를 투과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필름에 있어서, 상기 외장필름은,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점착되며, 피이티 소재로 형성되는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에 백색의 무기 안료가 포함된 인쇄잉크로 그라비어 인쇄되어, 색반사에 의해 상기 청유리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시키는 반사 인쇄층; 상기 반사 인쇄층에 하방에서 접착되며, 피브이시 소재로 형성되는 제2기재층; 및 상기 제2기재층의 배면에 접착되며, 피이티 소재로 형성되는 보강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외장패널, 청유리, 색반사, 그라비어

Description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 Decoration pannel for }
본 발명은 외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와 세탁기, 조리기기, 공기조화기, 식기세척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들은 강판 또는 플라스틱으로 본체 또는 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또는 도어는 다양한 색감이나 질감 또는 무늬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는 생활수준의 향상 및 소비자의 선호에 따라 점차 고급화 또는 디자인의 차별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서는 기능은 물론 디자인이 구매결정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다양한 무늬와 색감 및 질감 등을 가지는 가전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전기기의 본체 또는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외장부재를 다양한 색깔과 문양이 인쇄된 VCM 강판으로 구성하거나, 보다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표현하는 한편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외장부재를 강화유리 패널로 구성하여 가전기기의 외관의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의 고급화 및 차별화를 가지도록 하는 가전기기 및 외장부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서 가전기기의 본체 또는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장부재로 다양한 색상과 문양이 인쇄된 강화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강화유리는 고유의 질감과 다양한 색상 및 문양 등의 특성으로 사용자들에게 선호되고 있다.
통상 강화유리소재의 외장부재에는 실크스크린 공법에 의해 색상과 문양이 직접 인쇄된다. 하지만 실크스크린의 경우 그 제조공정상의 특징상 작업공정이 불연속적이고 작업속도가 느리며 제품 불량률이 높아서 효율적이지 못하고 생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청유리의 배면에 백색 무기 안료로 인쇄된 반사 인쇄층과, 청유리의 청색과 보색으로 인쇄된 보색 인쇄층이 형성되어 반사율을 향상시켜 청유리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함과 동시에, 피이티 소재의 보강층이 외장필름의 가장 하면에 더 구비되어 외장필름의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가전기기용 외장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외장패널은, 외측으로 노출되는 청유리;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청유리를 투과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필름에 있어서, 상기 외장필름은,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점착되며, 피이티 소재로 형성되는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에 백색의 무기 안료가 포함된 인쇄잉크로 그라비어 인쇄되어, 색반사에 의해 상기 청유리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시키는 반사 인쇄층; 상기 반사 인쇄층에 하방에서 접착되며, 피브이시 소재로 형성되는 제2기재층; 및 상기 제2기재층의 배면에 접착되며, 피이티 소재로 형성되는 보강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백색의 무기안료는 은, 아연, 티타늄 산화물, 바륨 산화물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재층과 제2기재층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접착제에는 반짝이는 질감의 표현을 위해 메탈 플레이크, 펄, 마이카, 실리카 중의 어느 하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 인쇄층의 배면에는 적색으로 그라비어 인쇄되며, 상기 청유리의 청색과 보색효과를 가지도록 하여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보색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재층의 배면에는, 상기 청유리를 투과하여 드러나는 무늬가 그라비어 인쇄된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기재층의 상면에는 상기 백색의 무기안료가 더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패널에 의하면, 청유리의 배면에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색상 및 문양이 형성되는 외장필름이 점착되어 가전기기의 외장패널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청유리에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매 장 마다 인쇄하는 것에 비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보다 빠른 속도로 외장부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필름의 인쇄층이 백색 바탕으로 인쇄되는 경우에는 상기 청유리의 청색이 외부로 나타날 수 있으나, 백색의 무기 안료로 인쇄된 반사 인쇄층에 의해 색반사에 의한 반사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청유리의 청색을 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장필름에 청유리 청색의 보색인 적색으로 형성된 보색 인쇄층 을 더 형성함으로써 반사되는 빛이 보색효과에 의해 상기 청유리의 청색을 상쇄하게 되어 인쇄층의 백색이 보다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한 청유리를 사용하고, 그라비어 인쇄에 의해 색상 및 무늬를 표현할 수 있게 되어 고가의 백유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청유리를 사용하여 백색을 온전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 비용 및 재료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필름의 가장 하측에 피이티 소재의 보강층이 형성됨으로써 외장필름 및 외장부재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외장패널 자체의 굴곡 부분 또는 청유리의 굴곡부분의 잔류응력에 의한 변형 또는 가공시 발생되는 열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외장패널의 외관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내화학성이 약한 피브이씨 소재의 제2기재층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필름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에 빛이 반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장패널(1)은 청유리(10)의 배면에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외장필름(30)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청유리(10)는 상기 외장패널(1)의 가장 외측에 위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후방에 제공되는 외장필름(30)의 무늬 또는 색상이 외부로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청유리(10,green glass)는 상기 청유리(10) 하측의 외장필름(30)의 지지 및 보호 성능이 우수하며, 우수한 광택도를 가지게 되어 외관상 고급스러움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백유리(White glass)에 비하여 저렴하다.
상기 청유리(10)는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밝은 색상의 바탕색이 비춰지게 되면, 상기 청유리(10)에 함유된 철(Fe)성분에 의해 상기 청유리(10) 자체가 연한 청색을 띄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때, 청유리(10)가 가지는 고유의 청색 색상은 청유리(10)의 배면에 백색과 같은 밝은 색 계열의 외장필름(30)이 형성되어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외부로 드러날 수 있으며, 통상 어두운 색 계열의 외장필름(30)이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비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청유리(10)를 대체하여 철성분의 함유량을 줄여 완전히 투명한 색상을 가지는 백유리로 상기 외장패널(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제조 비용 등을 고려할 때에는 상기 청유리(10)에 비해 효율적이지 못하다.
한편, 상기 외장필름(30)은,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청유 리(10)를 통해 외부로 보여질 수 있는 색상과 무늬를 형성하는 것으로, 점착제(31)과 제1기재층(32), 인쇄층(33), 반사 인쇄층(34), 보색 인쇄층(35), 제2기재층(37), 보강층(39) 및 다수의 접착제(36,38)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청유리(10)에 상기 외장필름(30)이 부착되기 전에는 상기 외장필름(30)의 상면에는 보호필름(40)이 부착된다. 상기 보호필름(40)은 상기 외장필름(30)의 부착 전 상기 외장필름(30)의 부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보호필름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40)의 배면에는 상기 외장필름(30)의 최상측을 형성하는 점착제(31)가 제공된다. 상기 점착제(31)는 상기 청유리(10)에 상기 외장필름(30)을 점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감압성 점착제(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대략 20~40㎛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31)는 상기 외장필름(30)이 상기 청유리(10)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보호필름(40)과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외장필름(30)이 청유리(10)에 부착될 때 상기 보호필름(40)이 벗겨지게 되어 상기 점착제(31)가 상기 청유리(10)의 배면과 접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점착제(31)의 하측에는 제1기재층(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기재층(32)은 상기 점착제(31)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점착제(31)에 의해 상기 청유리(10)에 점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재층(32)은 아래에서 설명할 인쇄층(33) 및 반사 인쇄층(34)을 지지하여 베이스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피이티(PET:Polyethylen terephthalate)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10~40㎛로 형성된다. 상기 제1기재층(32)은 롤타입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라비어 인쇄에 의해 상기 인쇄층(33)과 반사 인쇄층(34)이 연속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쇄층(33)은 상기 외장패널(1)를 통해 구현되는 색상 및 무늬 등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3)은 상기 제1기재층(32)에 그라비어(Gravure) 인쇄기법으로 인쇄될 수 있으며, 다수의 색상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색상별로 다수회 연속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33)은 대략 2~10㎛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 인쇄층(34)은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쇄층(33)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층(33)에 그라비어 인쇄된 색상이 왜곡되지 않고 상기 청유리(10)를 투과하여 드러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반사 인쇄층(34)은 상기 인쇄층(33)을 투과하는 빛의 색반사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백색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반사 인쇄층(34)은 색반사에 의해 인쇄층(33)의 반사율을 향상시켜 상기 청유리(10)의 청색을 은폐시킬 수 있도록 백색의 인쇄잉크로 그라비어 인쇄된다. 그라비어 인쇄시 사용되는 인쇄잉크는 대략 5~35%의 백색의 무기안료와 10~20%의 레진(Resin) 그리고, 35~80%의 솔벤트(Solvent) 그리고, 잉크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한 5~10%의 첨가제로 구성된다.
이들 중 상기 무기안료는 백색 안료중 반사율이 높은 은(Ag)과 아연(Zn), 티 타늄 산화물(TiO2), 바륨 산화물(BaO) 등이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무기안료들은 반사율의 극대화를 위해 나노 입자 크기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며, 상기 인쇄층(33)의 하면에 그라비어 인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백색의 무기안료 중 상기 티타늄 산화물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상기 청유리(10)와 상기 인쇄층(33)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빛의 반사율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상기 청유리(10)의 청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반사 인쇄층(34)에 착색 또한 매우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 인쇄층(34)은 대략 10~40㎛의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층(33)을 통과한 빛의 대부분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반사율의 향상으로 인해 상기 인쇄층(33)을 통해 반사되는 빛의 강도를 향상시켜 상기 인쇄층(33)의 색상이 선명하게 함으로써 상기 청유리(10)의 청색을 은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반사 인쇄층(34)의 하면에는 보색 인쇄층(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색 인쇄층(35)은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은폐하기 위한 것으로, 청색의 보색인 적색의 잉크로 대략 5~10㎛ 두께로 그라비어 인쇄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보색 인쇄층(35)은 상기 인쇄층(33)과 반사 인쇄층(34)을 통과 한 일부의 빛이 상기 보색 인쇄층(35)에 의해 반사될 때, 상기 청유리(10)를 지나는 적색의 빛이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과 보색이 되어 보색효과 즉, 빛의 혼합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백색의 빛이 됨으로써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색 인쇄층(35)의 하면에는 접착제(36)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36)는 상기 인쇄층(33)과 반사 인쇄층(34) 및 보색 인쇄층(35)이 형성된 제1기재층(32)과 아래에서 설명할 제2기재층(37)을 서로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략 20~50㎛의 두께로 도포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36)에는 금속질감을 나타내거나 외장패널(1)에 반짝이는 느낌을 주기 위해서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과 같은 메탈 플레이크(Metal flake)와 같은 첨가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이때, 포함되는 첨가물질의 입자 크기는 50㎛이하로 상기 접착제(36)의 도포되는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하며, 메탈 플레이크 외에도 펄, 마이카, 실리카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금속질감이나 반짝이는 느낌의 표현을 위해 첨가되는 첨가물질은 접착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첨가물질은 상기 인쇄층(33) 또는 반사 인쇄층(34)의 인쇄시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36)의 하측에는 제2기재층(3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재층(37)은 피브이시(PVC)소재로 형성되어 상방에 형성된 다수의 층들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기재층(37)은 대략 80~180㎛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기재층(37)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보색 인쇄층(3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재층(37)은 백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기재층(37)에는 상기 백색의 무기안료가 도포되어 상기 반사 인쇄층(34)과 같은 반사 층이 더 형성되거나 성형시 백색의 무기안료가 포함되어 인쇄층(33)과 반사 인쇄층(34)을 투과한 빛을 다시 반사시켜 색반사에 의한 반사율을 한층 더 향상시킴으로서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을 추가적으로 은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색 인쇄층(35)은 상기 반사 인쇄층(34)의 하면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기재층(37)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접착제(36)에 의해 상기 인쇄층(33)과 반사 인쇄층(34)이 형성된 제1기재층(32)과 제2기재층(37)이 서로 접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재층(37)의 하면에는 보강층(39)이 접착된다. 상기 보강층(39)은 피이티(PET:Polyethylen terephthalate)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2기재층(37)을 물리, 화학적으로 보호하는 한편 상기 외장필름(30)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20~70㎛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층(39)은 상기 제2기재층(37)의 하면에 접착제(38)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접착제(38)는 상기 제1기재층(32)과 제2기재층(37)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36)와 동일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39)은 상기 외장필름(30)의 가장 하면을 형성하게 되며, 내화학성이 낮은 피브이씨 소재의 상기 제2기재층(37)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청유리(10)의 형상이 라운드지거나, 절곡되는 경우 잔류응력에 의한 상기 외장필름(30)의 변형 또는 열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외장패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략 3.2mm 두께의 상기 청유리(10)를 상기 외장패널(1)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가공하여 외장패널(1)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청유리(10)를 성형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성형된 청유리(10)에 상기 외장필름(30)을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장필름(30)은 상기 청유리(1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재단되며, 상기 외장필름(30)의 점착제(31)에는 상기 보호필름(40)이 부착된 최초의 상태에서는 상기 보호필름(40)을 벗겨 내고 상기 청유리(10)에 부착하게 된다.
상기 외장필름(30)의 성형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피이티(PET) 소재로 상기 제1기재층(3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기재층(32)은 10~40㎛ 두께로 형성되며, 연속적인 인쇄가 가능하도록 롤 타입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경도의 향상 및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기재층(32)의 표면에 유브이(UV)코팅처리와 같은 코팅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된 제1기재층(32)은 인쇄기에 장착되며, 상기 제1기재층(32)의 하면에 그라비어 인쇄공법에 의해 외장패널(1)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 및 색상을 대략 1~10㎛의 두께로 인쇄하여 인쇄층(33)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쇄층(33)은 그라비어 인쇄의 특성상 롤타입의 제1기재층(32)에 연속적으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바탕색과 무늬색이 달라 다양한 색상을 포함하는 경우 다수회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3)의 하면에는 상기 청유리(10)의 청색을 은폐하기 위해 상기 반사 인쇄층(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인쇄층(34)은 상기 인쇄층(33)과 마 찬가지로 그라비어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인쇄되며, 상기 백색의 무기안료를 사용하여 대략 10~4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인쇄층(34)의 하면에는 상기 보색 인쇄층(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색 인쇄층(35)은 상기 반사 인쇄층(34)의 하면에 그라비어 인쇄 방식으로 연속 인쇄되어 형성되며, 대략 5~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색 인쇄층(35)은 상기 반사 인쇄층(34)의 하면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기재층(37)의 상면에 인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기재층(37)은 피브이시 소재로 형성되며, 대략 80~18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재층(37)은 백색의 무기안료가 도포되거나, 성형시 혼합되어 백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재층(32)과 제2기재층(37)에 각각 인쇄층(33)과 반사 인쇄층(34) 및 보색 인쇄층(35)을 인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제1기재층(32)과 제2기재층(37)을 접착제(36)로 서로 접착시키게 된다. 상기 접착제(36)는 상기 대략 20~50㎛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36)에는 메탈 질감의 표현을 위한 메탈 플레이크, 펄, 마이카, 실리카 중의 어느 하나가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기재층(37)의 하측에는 피이티 소재의 상기 보강층(39)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접착제(38)에 의해 상기 제2기재층(37)의 하면에 접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기재층(32)과 제2기재층(37) 및 보강층(39) 사이에는 접착제(38)가 도포되어 이들 각각의 층이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필름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의 하나의 필름 상태에서 상기 제1기재층(32)의 상면에 점착 제(31)가 도포된 후 상기 보호필름(40)이 점착되어 상기 외장필름(30)의 성형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제1기재층(32)에 도포되는 점착제(31)는 대략 20~40㎛ 두께로 도포되며, 상기 청유리(10)에 상기 외장필름(30)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필름(40)을 제거한 후 상기 점착제(31)가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외장필름(30)을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외장패널(1)의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외장패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장패널(1)의 외측에서 상기 외장패널(1)측으로 입사되는 빛은 상기 청유리(10)를 통해 상기 외장필름(30)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1기재층(32)을 투과한 빛은 상기 반사 인쇄층(34)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 인쇄층(34)에 포함된 백색의 무기안료에 의해 입사되는 빛은 상기 반사 인쇄층(34)을 투과하지 못하고 대부분 반사된다.
즉, 상기 제1기재층(32)의 백색이 가지는 색반사에 의한 높은 반사율과, 백색의 무기안료가 가지는 높은 반사율에 의해 상기 외장패널(1)로 입사되는 대부분의 빛은 다시 외부로 반사되며, 이때 상기 인쇄층(33)의 백색이 더욱 밝아지게 되어 상기 청유리(10)의 청색이 은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장필름(30)으로 조사되는 빛 중 일부는 상기 인쇄층(33)과 반 사 인쇄층(34)을 투과하게 된다. 상기 반사 인쇄층(34)을 투과한 빛의 일부는 상기 보색 인쇄층(35)에 입사된다.
상기 보색 인쇄층(35)의 적색은 일부 상기 반사 인쇄층(34)을 투과하는 빛을 재차 반사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색 인쇄층(35)은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의 보색인 적색이므로 반사되어 상기 청유리(10)를 투과하게 될 때 빛의 혼합에 의해 백색이 되어 상기 청유리(10)에 나타나는 청색을 한층 더 은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색 인쇄층(35)을 투과한 일부의 빛은 다시 백색의 상기 제2기재층(37)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율을 한층 더 향상시키게 되며,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장패널(1)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반사 인쇄층(34)과, 보색 인쇄층(35) 그리고, 제2기재층(37)에서 재차 반사된다. 결국 상기 외장패널(1)에 입사되는 빛은 2중 또는 3중의 반사를 거치면서 색반사율이 극대화된다.
즉, 상기 청유리(10)를 통해 입사되는 빛은 반사율이 높아진 상태로 재차 반사되어 상기 인쇄층(33)의 백색을 보다 밝게 함은 물론, 상기 보색 인쇄층(35)에서 은은하게 올라오는 보색효과에 의해 상기 청유리(10)의 청색을 완전히 은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장패널(1)의 색상이 백색을 가지도록 상기 인쇄층(33)이 백색으로 인쇄되고, 상기 청유리(10)를 사용하여 상기 외장패널(1)를 구성하게 되더라도, 상기 외장필름에 의해 상기 청유리(10)의 청색을 완전하게 은폐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외장패널(1)이 원래의 백색을 온전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패널은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하에서는 상기 외장패널이 다양한 가전기기에 장착되는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양문형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구획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공간을 갖는 본체(110)와 이를 차폐하는 도어(1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좌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하게 되며, 각각의 저장공간은 도어(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도어(120)는 냉장고의 개구된 전면 즉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개구된 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120)는 각각 좌우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도어(1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냉기를 단속하며, 아울러 상기 냉장고(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120)의 전면에는 도어(120)의 회동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 잡이(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에는 냉장고(100)의 사용상태의 확인 및 조작을 위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24)와 저장공간 내부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꺼내기 위한 홈바(126) 그리고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도어(12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120)는 전방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는 아웃케이스(130)와 도어라이너(미도시), 외장패널(1) 및 이들을 고정하는 데코부재(140)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30)는 상기 도어(120)의 전반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철판의 둘레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아웃케이스(130)의 전면에는 냉장고의 운전 상태의 표시 및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24)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24)는 상기 도어(12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24) 전체가 상기 도어(120)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외장패널(1)를 통해서 외부로 투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는 상기 도어(120)의 배면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스켓과 같은 음식물 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재의 장착을 위한 성형단이 형성되거나 별도의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130)와 도어라이너의 사이는 이격 형성되어 결합시 내부에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된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폴리스티렌(EPS:Expandable poly-styrene)과 같은 발포성 소재에 의해 형성되며, 발포액이 주입된 후 발포 충진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단열재는 일반적인 다른 냉장고 도어의 그것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 단열재가 발포 충진으로 상기 아웃케이스(130)와 도어라이너는 하나의 어셈블리 상태로 결합체를 이루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데코부재(140) 및 외장패널(1) 등의 결합이 이루어져 상기 도어(12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120)의 둘레에는 데코부재(140)가 구비된다. 상기 데코부재(140)는 어셈블리 상태의 상기 아웃케이스(130)와 도어라이너 결합체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외장패널(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120)의 좌우 측면과 상,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데코부재(140)는 상기 도어(120)의 상하단에 배치되는 캡데코(142)와 상기 도어(120)의 좌우측단에 배치되는 사이드데코(144)로 구성된다. 상기 캡데코(142)는 상기 아웃케이스(130)와 도어라이너 결합체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외장패널(1)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사이드데코(144)는 상기 아웃케이스(130)와 도어라이너 결합체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외장패널(1)의 좌우 양측단을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도어(120)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120)의 전면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전방에서 볼 때)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도어(120)의 전면 전체에 걸쳐 한장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에 홈바(126) 등이 구비된 경우, 다수장으로 구성되어 상기 홈바(126) 등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및 좌우 측 중 일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뚜껑식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장패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는 물론 냉장고 본체에도 장착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200)는 상방으로 개구된 저장공간을 가지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서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도어(22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20)는 저장공간의 형태에 따라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이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20)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외관이 보다 돋보일 수 있도록 상기 도어(220)의 상면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의 외장패널(1)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1)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외장패널(1)의 고정장착을 위해서 상기 도어(220)의 둘레에는 도 어데코(222)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데코(222)에 의해서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도어(2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200)는 냉장고(200)의 설치시 도어의 상면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의 전면 또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200)의 외관이 돋보일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0)의 적어도 전면에는 상기 도어(220)에 구비되는 외장패널(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외장패널(1)이 제공된다.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본체(210)의 전면을 구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본체(210)의 전면을 비롯한 측면 등 다른 면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본체(210)의 둘레를 형성하는 본체데코(212)에 의해 고정 장착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본체(210)에 구비되는 다른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도어(220)와 본체(210)에 모두 장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도어(220)와 본체(210) 중 어느 일측에만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200)의 외관은 상기 외장패널(1)에 의해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외장패널(1)이 백색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필름(20)과 제2필름(30) 및 제2기재층(37)에 의해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하여 온전한 백색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 고, 도 7은 도 6의 A-A'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1)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본체(300)는 베이스(310)와 상기 베이스(310)의 후반부 상측에 배치된 후방 케비닛(320)과, 상기 베이스(310)의 전반부 상측에 배치된 전방 케비닛(330)과, 상기 전방 케비닛(330)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패널(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구성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310)와 후방 케비닛(320) 및 전방 케비닛(330)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과 유로가 구비되고, 흡입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 어셈블리, 흡입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 및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구성 등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10)와 후방 케비닛(320) 및 전방 케비닛(330)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340)은 상기 전방 케비닛(3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340)의 회동 또는 착탈에 의해 상기 전방 케비닛(330)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케비닛(330)의 내외측에 구비된 구성들의 조작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340)은 상기 실내기의 전면측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색상 또는 디자인 등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패널(340)은 상기 전면패널(340)의 둘레를 형성하는 테두리 커버(350)와, 상기 테두리 커버(350)에 의해 고정되는 후방패널(360) 및 상기 후방패널(360)과 함께 상기 테두리 커버(350)에 고정되는 외장패널(1)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외장패널(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청유리(10)와 상기 청유리(10)의 배면에 접착되는 외장필름(3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후방패널(360)이 상기 외장패널(1)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장패널(1)과 후방패널(360)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기 테두리 커버(35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테두리 커버(350)는 대략 'ㄷ'단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 커버(350)의 전면부(352)는 상기 외장패널(1)의 전면을 구속하고, 후면부는 상기 후방패널(360)의 배면을 구속하게 된다. 이때, 후면부(354)에는 상기 후방패널(360)에 형성되는 후크(362)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후크홀(35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테두리 커버(350)와의 분리를 통해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가지는 것으로 교체 가능하며,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이 나타나지 않고 온전한 백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세탁기 본체는(4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400)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드럼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와, 세탁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 급장치와,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400)의 전면 일부는 개구되어 세탁물을 상기 드럼에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400)의 개구된 전면은 커버(410)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410)는 상기 본체(4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커버(4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4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400)의 하부에는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하부서랍(42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버(410)의 전면 및 상기 하부서랍(420)의 전면은 상기 세탁기 본체(4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410)와 하부서랍(420)에는 외장패널(1)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1)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410)와 하부서랍(420) 전면에 부착된다. 물론 상기 외장패널(1)은 별도 제공되는 결합수단 또는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커버(410) 및 하부서랍(42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커버(410)와 하부서랍(420)의 전면 대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세착기 본체(400)의 전면 외관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본체(400)의 전면 상부에 제공되는 컨트롤 패널(430)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컨트롤 패널(430)에 제공되는 조작스위치(432) 및 디스플레이(434)를 제외한 전체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세탁기 본체(400)의 좌우 측면 및 후면 또는 상면에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 본체(400)의 외관은 상기 외장패널(1)에 의해 표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외장패널(1)에 제공되는 제1필름(20)과 제2필름(30) 및 제2기재층(37)의 색반사에 의한 반사율 향상으로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하여 상기 외장패널(1)이 표현하고자 하는 온전한 백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식기세척기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본체(5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500)의 내부에는 세척을 위한 식기가 수용되는 케비티와, 상기 케비티에서 인출입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렉부재, 그리고 케비티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그리고 세척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500)에는 도어(51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510)는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50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5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510)는 상부도어(520)와 하부도어(530)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도어(530)의 조작시 상기 상부도어(520)가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510)에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조작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조작부(512)와 디스플레이(514) 그리고 손잡이(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510)의 전면 즉, 상기 상부도어(520)와 하부도어(530)의 전면에는 외장패널(1)이 부착된다. 상기 외장패널(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도어(5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도어(510)의 전면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 제공되는 고정수단 또는 고정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510)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510)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500)의 전면 영역에도 상기 외장패널(1)이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도어(520)의 상방과 하부도어(53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500)의 전면 일측에도 상기 외장패널(1)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510)를 닫았을때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500) 전면이 외장패널(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500)의 좌우 측면 및 후면 또는 상면에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기세척기 본체(500)의 외관은 상기 외장패널(1)에 의해 표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외장패널(1)에 제공되는 외장필름(30)의 반사 인쇄층(34)과 보색 인쇄층(35)에 의해 색반사에 의한 반사율이 향상되어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하여 상기 외장패널(1)이 표현하고자 하는 온전한 백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 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조리기기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본체(5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리기기 본체(500)에는 조리를 위한 식품이 수용되는 케비티와, 상기 케비티 내부의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수단 또는 마그네트론, 그리고 케비티의 내부의 대류를 위한 팬어셈블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 본체(500)에는 도어(51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510)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50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5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조리기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510)는 상기 조리기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좌우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조리기기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510)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작동을 조작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조작부(512)와 디스플레이(514) 그리고 손잡이(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조리기기 본체(500) 내부에 수용된 식품의 조리 진행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510)의 전면에는 외장패널(1)이 부착된다. 상기 외장패널(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도어(510)의 전면 외관을 형성 하게 된다.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도어(510)의 전면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 제공되는 고정수단 또는 고정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510)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도어(510)외에도 상기 조리기기 본체(500)의 상면 또는 좌우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장패널(1)은 상기 조리기기 본체 또는 도어의 외관은 상기 외장패널(1)에 의해 표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외장패널(1)에 제공되는 외장필름(30)에서의 색반사에 의한 반사율 향상에 의해 상기 청유리(10)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하여 상기 외장패널(1)이 표현하고자 하는 온전한 백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에 빛이 반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양문형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뚜껑식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패널이 적용된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Claims (6)

  1. 외측으로 노출되는 청유리;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청유리를 투과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필름에 있어서,
    상기 외장필름은,
    상기 청유리의 배면에 점착되며, 피이티 소재로 형성되는 제1기재층;
    상기 제1기재층에 백색의 무기 안료가 포함된 인쇄잉크로 그라비어 인쇄되어, 색반사에 의해 상기 청유리가 가지는 청색을 은폐시키는 반사 인쇄층;
    상기 반사 인쇄층에 하방에서 접착되며, 피브이시 소재로 형성되는 제2기재층; 및
    상기 제2기재층의 배면에 접착되며, 피이티 소재로 형성되는 보강층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의 무기안료는 은, 아연, 티타늄 산화물, 바륨 산화물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층과 제2기재층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며,
    상기 접착제에는 반짝이는 질감의 표현을 위해 메탈 플레이크, 펄, 마이카, 실리카 중의 어느 하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인쇄층의 배면에는 적색으로 그라비어 인쇄되며, 상기 청유리의 청색과 보색효과를 가지도록 하여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보색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층의 배면에는,
    상기 청유리를 투과하여 드러나는 무늬가 그라비어 인쇄된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층의 상면에는 상기 백색의 무기안료가 더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KR1020090121649A 2009-12-09 2009-12-09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KR10113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49A KR101132428B1 (ko) 2009-12-09 2009-12-09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49A KR101132428B1 (ko) 2009-12-09 2009-12-09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80A true KR20110064880A (ko) 2011-06-15
KR101132428B1 KR101132428B1 (ko) 2012-03-30

Family

ID=4439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649A KR101132428B1 (ko) 2009-12-09 2009-12-09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4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827A (zh) * 2012-11-14 2013-02-13 江苏欧邦塑胶有限公司 一种无界玻璃
CN102922841A (zh) * 2012-11-14 2013-02-13 江苏欧邦塑胶有限公司 一种无界玻璃用复合膜
CN103232004A (zh) * 2013-03-26 2013-08-07 安徽省皖美装饰玻璃有限公司 一种大型晒网机
US9028950B2 (en) 2012-06-25 2015-05-12 Lg Electronics Inc. Decoration film having mirror effect
KR102147123B1 (ko) * 2019-12-30 2020-08-24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데코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881B1 (ko) * 2012-06-22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526Y1 (ko) * 2007-03-02 2008-06-16 김철환 인테리어용 장식 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8950B2 (en) 2012-06-25 2015-05-12 Lg Electronics Inc. Decoration film having mirror effect
CN102922827A (zh) * 2012-11-14 2013-02-13 江苏欧邦塑胶有限公司 一种无界玻璃
CN102922841A (zh) * 2012-11-14 2013-02-13 江苏欧邦塑胶有限公司 一种无界玻璃用复合膜
CN103232004A (zh) * 2013-03-26 2013-08-07 安徽省皖美装饰玻璃有限公司 一种大型晒网机
KR102147123B1 (ko) * 2019-12-30 2020-08-24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데코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428B1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8676B1 (en) Decoration panel for home appliance
KR101132428B1 (ko)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KR101132513B1 (ko) 가전기기용 외장패널 및 외장패널이 구비된 가전기기
CN104374137B (zh) 冰箱
CN109564053A (zh) 冰箱
KR20110016091A (ko) 가전기기용 외장필름 및 외장필름 부착 방법
EP2893864B1 (en) Home appliance having display unit
US8622487B2 (en) Home appliance and washing machine
CN108139141A (zh) 用于家电的外部部件及其制造方法
US20100189935A1 (en) Film for electri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using the same
KR20170040710A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KR101731724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EP3553385B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wall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wall of the household appliance or of a component for the household appliance
KR20200009107A (ko) 냉장고
KR101694538B1 (ko) 가전기기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94300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012987A1 (e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Control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Control Panel
KR20110072378A (ko) 냉장고 도어 외장부재
KR102441799B1 (ko) 냉장고 아웃 플레이트
KR102273104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제조 방법
CN216716519U (zh) 显示面板及空调室内机
EP2494538B1 (en) Method of adhering an exterior film to a home appliance
WO2009028785A1 (en) Decoration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240051576A (ko) 냉장고
KR20200141430A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