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757A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4757A KR20110064757A KR1020090121479A KR20090121479A KR20110064757A KR 20110064757 A KR20110064757 A KR 20110064757A KR 1020090121479 A KR1020090121479 A KR 1020090121479A KR 20090121479 A KR20090121479 A KR 20090121479A KR 20110064757 A KR20110064757 A KR 201100647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hole
- main body
- die
- movable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5—Wire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11/006—Electrical contacts or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에 의한 마찰 접촉 작용으로 마모되는 급전다이스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와, 방전 가공용 와이어 전극에 의해 급전다이스의 와이어 접촉부위가 마모되었을 때 장치를 분해하지 아니하고 외부 조작을 통해 급전다이스의 위치 변경 조작을 통해 급전다이스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 및 방전 가공용 와이어 전극을 결선 작업 시 급전다이스가 와이어의 이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의 자동 결선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하로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며 상부측과 일측이 개방된 안치홈을 가진 메인바디와; 상기 안치홈에 상기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이 허용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하 방향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와이어 통과공을 구비하는 가동블록과; 일측 내벽면이 상기 와이어 통과공의 중심축선을 넘어 형성되는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상기 가동블록을 측방향에서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하 장공 형태의 급전 다이스 장착공과; 상기 급전 다이스 장착공에 끼워 장착하되 상기 급전 다이스 장착공 내에서 약간씩 위치 이동의 조정이 가능하며, 일측 평면이 상기 와이어 통과공을 지나는 와이어를 가압하여 강제 접촉하므로써 상기 와이어에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 다이스와; 상기 급전 다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가동블록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급전다이스 장착공과 일치 및 연통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상기 급전 다이스를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된 급전 다이스 삽입공과; 상기 와이어의 가압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블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 장착하여 상기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노즐과; 와이어와 상기 메인바디 내로 공급되는 가공액의 배출을 허용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노즐을 보호하도록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Description
본 고안은 와이어커트(Wire Cut)방전가공기(EDM;Electric Dis-charge Machine)의 와이어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선으로 인해 와이어를 다시 결선할 때 급전 다이스에 와이어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급전 다이스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획기적으로 높인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커트 방전가공기는 와이어 전극과 가공이 이루어질 공작물 사이에 소정의 전압차를 발생시켜 방전시킴과 동시에 가공지령 데이터에 따라 공작물을 와이어 전극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공작물을 소망의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와 같은 방전가공기에 있어서는 방전 가공중의 인가전압, 공작물의 이동속도, 기타의 가공조건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 와이어 전극이 공작물의 내부에서 단선될 때가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방전 가공기는 공작물에 대하여 와이어 전극을 미소한 간 격을 유지하도록 대향시키고, 공작물과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되는 와이어 전극 사이에 펄스성의 방전을 반복하여 발생시키고, 방전에너지에 의해 공작물을 절단가공하는 장치로서 통상 와이어 전극으로는 직경이 0.02∼0.2㎜ 정도의 매우 가는 금속선, 특히 구리재질의 선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방전 가공기는 금속선과 공작물과의 사이의 방전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게 되는 것인데 방전을 일으키는데 사용되는 금속선의 굵기가 매우 가늘고 높은 열에 쉽게 절단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냉각수를 공급해서 냉각시켜 줌과 아울러 와이어 전극을 연속적으로 공급해 주게 되며 와이어는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측 와이어가이드(1)와 공작물(2), 미리 성형한 가공개시구멍(3)를 거쳐 수용측 와이어가이드(4)를 통과하도록 한 후 사용이 끝난 와이어 전극(5)를 저장상자(6)에 회수하여 폐기 처분하게 된다.
이때 처음으로 작업하게 될 때나 와이어가 단선되었을 경우, 와이어를 결선시키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제트수류의 강한 압력과 속도에 의해 와이어를 장치속으로 통과하도록 밀어 넣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국제공개 WO 90/12672호를 들 수 있으며 이를 도11에 도시하였다.
상기한 발명은 가공개시 전 또는 가공중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여 와이어 전극(5)이 단선된 경우 자동적으로 와이어 전극(5)의 남은 부분(5-1)를 공작물(2)로부터 제거하고 공급측 와이어가이드(1)를 통과해 나온 새로운 와이어 전극(5-2)를 공작물(2)의 구멍(3)에 관통시킨 후 수용측 와이어가이드(4)로 끼워 도시되지 아니한 펌프를 가동시켜 로울러 유니트(7) 내부로 제트수류(8)를 공급시킨다.
이때 공급되는 제트수류(8)의 공급수압은 8㎏f/㎠ 정도로서 로울러 유니트(7)내부에서 안내파이프(9)를 경유하여 견인로울러(10)(11)를 거쳐 배출되어 저장상자(6)로 회수되어 진다. 그리고 제트수류(8)는 안내파이프(9)내부의 와이어 전극(5)에 반송력을 부여, 즉 견인로울러(10)(11)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로울러 유니트(7)내부에 마련된 풀리(12)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풀리(12)는 회전에 의해 로울러 유니트(7)내부의 와이어 전극(5)이 방향 전환 때 부하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제트수류(8)의 추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와이어 전극(5)의 이송을 돕는다.
다음에 안내 파이프(9)를 통과한 제트수류(8)는 견인로울러(10)(11)에서 배출되며 와이어전극(5)과 함께 저장상자(6)에 회수되지만 제트수류(8)만은 물분리판(13)에 의해 와이어 전극(5)과 분리되고 회수상자(13)의 바닥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상자(6)에 저장된 제트수류(8)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했을 때 플로트 스위치(14)가 동작하여 펌프(15)를 구동하고 저장상자(6)내부의 물을 퍼올려 가공액 탱크(16)에 되돌려 준다. 또한 견인로울러(10)(11)에서 제트수류(8)를 배출할 때 로울러부(10)(11)를 열어둠으로써 제트수류(8)의 흐름이 양호하게 되고 안내파이프(9)출구부의 압력손실을 저감하여 제트수류(8)의 수량을 확보하게 된다. 즉, 로울러(10)는 와이어전극(5)를 단선등으로 인하여 제거할 때는 에어실린더(17)에 의해 레버부재(18)를 거쳐서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서 로울러 사이를 개방하며 단선 된 와이어전극(5-1)이 제거되고 새로운 와이어전극(5-2)이 공급시 로울러(10)(11)는 닫혀지게 되어 와이어전극(5)은 각 로울러(10)(11)사이에 끼워져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와이어 전극(5)과 공작물(2) 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 전극(5)을 통해 고전압의 전류를 흘려주어야 하므로 끊임 없이 이송되는 와이어 전극(5)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마찰 접점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공급측 와이어가이드(1)와 로울러 유니트(7)에는 급전을 위한 기구를 두고 있다.
공급측 와이어가이드(1)에 급전기구를 두고 있는 일반적 기술로는 한국 실용신안공고공보 1995-0004811호에 개시된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안내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안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31, 공급측 와이어 가이드)는 도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가공액공급공(32)이 일체 형성된 메인바디(33)와, 그 메인바디(33)의 하단에 나사(34) 체결되어 장착하는 하부커버(3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메인바디(33) 내부에 환상의 가공액 공급통로(36)를 두고 동심으로 다이스 홀더(37)가 삽입 장착되며, 다시 상기 다이스 홀더(37) 내에는 연속적으로 급송되는 와이어(38)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전다이스(39)가 삽입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안내장치(31)의 상부에서 와이어(38)를 결선할 때 상기 와이어(38)는 와이어 안내구(40)의 좁게 형성된 와이어 통과구멍(41)을 통해 삽입되어 이송되며, 와이어 통과구멍(41)을 통과한 와이어(38)는 계속해서 급전다이 스(39)의 급전용 와이어 통과공(42)을 통과한 후 상기 다이스 홀더(37)의 하단을 형성하는 가공액가이드부재(43)의 와이어안내공(44)과 하부커버(35)의 노즐구멍(45, 가공액도 함께 분출됨)을 통과하여 하강한 후 계속해서 도11에 도시한 공작물(2)과 하부 와이어 안내장치(7), 로울러 유니트(12등을 통과하여 급송되어 결선되어지게 된다.
그런데 도12에 도시한 급전다이스(39)를 통해 와이어(38)에 전기를 끊김 없이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급전다이스(39)와 와이어(38)의 접촉 상태가 확실해야 하나 와이어(38)가 연속해서 이송되기 때문에 접촉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급전다이스(39)와 와이어(38)의 접속 상태의 확실성을 보장하기 위해 급전다이스(39)의 급전용 와이어 통과공(42)의 중심축선을 와이어 안내구(40)의 와이어 통과구멍(41) 및 하측의 가공액가이드부재(43)에 형성된 와이어 안내공(44)의 중심축선과 편심(e)을 주어서 와이어(38)가 급전용 와이어 통과공(42)의 구간을 지나게 될 때에는 와이어 안내공(44)의 중심축선을 지나 돌출(도시 상태를 기준하여 좌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내벽면(46)에 강제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급송되는 와이어(38)가 항시 급전다이스(39)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급전다이스(39)를 와이어 공급축선에 대해 편심(e)되게 설치하는 종래 방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상기 와이어(38)는 가공 작업을 위해 끊임 없이 이송되어야 하므로 급전다이스(39)의 와이어(38)가 접촉하는 내벽면(46)은 마찰에 의해, 즉 직경이 가는 와이어(38)에 의해 마치 예리한 칼날이 계속해서 스치고 지나는 형상이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와이어(38)가 내벽면(46)을 파고 들어 마모를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마모는 전기 통전의 불량을 초래하고 또 와이어(38)가 쉽게 절단되도록 만들게 된다.
그런데 급전다이스(39)의 내벽면(46)이 마모되어 급전 불량이 일어나면 급전다이스(39)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데, 종래 기술의 경우 와이어 안내장치(31) 전체를 분해한 후 급전다이스(39)를 새것으로 교체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함으로써 가공 작업의 중단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또 와이어(38)의 도중을 끊고 재결선 작업을 해야 함으로 와이어의 낭비가 심화되며, 무엇보다 고가의 급전다이스(39)를 한번 사용 후 폐기 처분해야 하므로 자원이 낭비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들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로는 급전다이스(39)의 구멍(42)이 와이어 공급축선, 즉 와이어 통과구멍(41)에 대해 편심량 e 만큼 어긋나 있기 때문에 와이어(38) 통과 시 끝단의 걸림 작용으로 와이어의 자동 결선 작업에 방해를 받을 수 있어 와이어의 결선 작업을 도울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인건비 상승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와이어에 의한 마찰 접촉 작용으로 마모되는 급전다이스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방전 가공용 와이어 전극에 의해 급전다이스의 와이어 접촉부위가 마모되었을 때 장치를 분해하지 아니하고 외부 조작을 통해 급전다이스의 위치 변경 조작을 통해 급전다이스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전 가공용 와이어 전극을 결선 작업 시 급전다이스가 와이어의 이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의 자동 결선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구조의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며 상부측과 일측이 개방된 안치홈을 가진 메인바디와; 상기 안치홈에 상기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이 허용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하 방향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와이어 통과공을 구비하는 가동블록과; 일측 내벽면이 상 기 와이어 통과공의 중심축선을 넘어 형성되는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상기 가동블록을 측방향에서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하 장공 형태의 급전 다이스 장착공과; 상기 급전 다이스 장착공에 끼워 장착하되 상기 급전 다이스 장착공 내에서 약간씩 위치 이동의 조정이 가능하며, 일측 평면이 상기 와이어 통과공을 지나는 와이어를 가압하여 강제 접촉하므로써 상기 와이어에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 다이스와; 상기 급전 다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가동블록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급전다이스 장착공과 일치 및 연통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상기 급전 다이스를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된 급전 다이스 삽입공과; 상기 와이어의 가압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블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 장착하여 상기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노즐과; 와이어와 상기 메인바디 내로 공급되는 가공액의 배출을 허용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노즐을 보호하도록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급전 다이스 삽입공에 대향되는 반대쪽의 상기 메인바디에는 막대공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그 막대공구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막대공구로 상기 급전 다이스를 밀어 장착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메인바디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가동블록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자유단을 피스톤 로드의 신축 작동을 통해 밀거나 당기도록 설치되는 에어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가동블록의 측면 노출을 차단하는 측면보호덮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측면보호덮개를 개방 시 상기 급전 다이스를 고정하는 고정나사가 노출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부덮개가 장착되며, 상기 상부덮개에는 상기 와이어의 결선 작업 시 와이어의 급송을 안내하는 파이프가 안착하여 접속할 수 있는 테이퍼공을 구비한 상부가이드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를 가압하여 강제 접촉함으로써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급전 다이스를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와이어로부터 물러 나도록 하여 와이어가 걸림 없이 이송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와이어의 자동 결선 작업을 무인화를 통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또 급전 다이스의 와이어 마찰접촉부위가 마모되었을 때 외부로부터 급전 다이스의 위치를 간단히 변경시켜 새 접촉 표면을 형성할 수 있어 장치를 분해 조립할 염려가 없고 급전 다이스를 반복해서 사용하게 되므로 유지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를 상술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에 있어 측면보호덮개와 상부덮개를 제거항 상태의 내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메인바디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가동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가동블록의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급전 다이스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와이어 결선 작업시 실린더 작동 전후의 가동블록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48)는 상하 방향으로 와이어(50)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멍(51)과 상부 측과 전면을 향한 일 측이 개방된 안치홈(52)을 가진 메인바디(5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바디(53)의 일측 벽(54)에는 상하로 길이가 긴 장공 형상의 급전 다이스 삽입공(55)이 외부와 상기 안치홈(52)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전 다이스 삽입공(55)에 대향되는 반대쪽의 타측 벽(56)에는 막대공구 삽입공(5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치홈(52)에는 상기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수평 이동이 허용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와이어(50)의 상하 방향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와이어 통과공(58)을 구비하는 가동블록(59)이 안치되며, 가동블록(59)은 도7에 도시하는 것처럼 가동블록(59)의 급전다이스 장착공(61)의 일측 내벽면(60)이 상기 와이어 통과공(58) 내로 침범되는 형상, 즉 상호 겹침되게 형성되는 중심축선(C)을 가지도록 상기 가동블록(59)을 일측 방향에서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하로 긴 장공 형태의 급전 다이스 장착공(61)을 구비하고 있으며(즉 이 형태는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급전 다이스 장착공(61)을 형성하고 그와 직각 방향에서 상기 와이어 통과공(58)의 일측 내벽이 상기 급전다이스 장착공(61)을 일부 침범하여 파먹어 들어간 형태로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다), 급전 다이스 장착공(61)과 상기 급전 다이스 삽입공(55)은 서로 같은 형상으로서 가공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정상 상태에서는 서로 연통 상태가 일치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와이어(50) 측에 위치하게 되는 일측 와이어 접촉 평면(62) 이 상기 와이어 통과공(58)을 지나는 와이어(50)를 가압하여 강제 접촉하므로써 상기 와이어(50)에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급전 다이스(63)가 상기 급전 다이스 삽입공(55)을 통해 상기 급전 다이스 장착공(61)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으며, 또 상기 급전다이스(63)는 급전 다이스 장착공(61) 내에서 약간씩 위치 이동의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와이어와의 접촉 지점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급전 다이스(63)를 상기 급전 다이스 장착공(61)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가동블록(59)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나사(64)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나사(64)를 풀 경우 상기 막대공구 삽입공(57)을 통해 삽입되는 드라이버 등의 막대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급전다이스(63)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0)의 가압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블록(59)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65)가 설치되는 데, 이 액츄에이터(65)는 레버부재(66)와 에어실린더(67) 또는 전기적으로 온 오프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부재(66)는 상기 가동블록(59)의 로드 통과홈(68)을 지나도록 설치하되 일단은 회동 움직임이 허용되는 힌지부(69)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53) 측에 장착되고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 측은 상기 에어실린더(67)의 피스톤로드(70) 측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에어실린더(67)의 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70)가 신장하면 상기 레버부재(66)의 화동 움직임에 의해 상기 가동블록(59)이 안치홈(52)을 따라 측면보호덮개(71) 측을 향해 공간(72)만큼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급전다이스(62)도 함께 후퇴하여 와이어 통과공(58)과 겹침 상태에서 벗어나므로(즉 와이어 통과공(58) 내로의 돌출 상태가 해제) 와이어 통과공(58)은 완전히 상하로 완전 개방되어지게 되어 와이어(50)가 통과 시 도중에 장해물이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53) 하부에는 상기 와이어(50)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멍(73)을 가진 노즐(74)이 장착되고, 또 와이어(50) 및 상기 메인바디(53) 내로 공급되는 가공액의 배출을 허용하는 구멍(75)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노즐(74)을 보호하도록 상기 메인바디(53) 하부로 하부캡(76)이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측면보호덮개(71)는 상기 레버부재(66)와 상기 가동블록(59)의 측면 노출을 차단하도록 설치하는 것인 데, 상기 측면보호덮개(71)는 메인바디(53) 일측에 힌지(77)를 통해 장착하고 있어 상기 측면보호덮개(71)의 회동 개방 시 상기 급전 다이스(63)를 고정하는 고정나사(64)가 노출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메인바디(53)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50)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부덮개(78)가 장착되며, 상기 상부덮개(78)에는 상기 와이어(50)의 결선 작업 시 와이어(50)의 급송을 안내하는 파이프가 안착하여 접속할 수 있는 테이퍼공(79)을 구비한 상부가이드부재(8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부호 81은 메인바디(53) 내로 가공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가공액공급탱크 측에 파이프(또는 호스)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니플이며, 메인바디(53)에 공급된 가공액은 하부캡(76)의 구멍(75)을 통해 분사되어 그의 하측에서 진행되는 공작물에의 방전 가공에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50)의 결선 작업 시엔 에어실린더(67)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70)에 의해 레버부재(66)를 회동시키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가동블록(59)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그의 내부에 간직된 급전다이스(63)를 와이어 통과공(58)으로부터 후퇴시키게 된다(도9의 실린더 작동 후 도면 참조).
이에 따라 와이어 통과공(58)은 완전히 개방되며, 이윽고 와이어(50)의 급송 로울러 기구들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테이퍼공(79)에 접속된 도시하지 아니한 파이프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는 와이어(50)가 상기 와이어 통과공(58)을 거침 없이 통과하여 계속해서 노즐구멍(73)과 하부캡(76)의 구멍(75)을 통해 인출된 후 공작물과 하부 와이어 안내장치 및 가이드 로울러 장치와 제트 수류 회수장치와 최종 인출 로울러 장치를 거쳐 나가게 됨으로써 와이어 결선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며, 결선 작업이 완료되면 에어실린더 장치(67)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70)를 원대 복귀시키며, 이에 따라 가동블록(59)이 다시 전진(도 9를 기준하여 상부 방향 이동)하게 되어 상기 급전다이스(62)의 일측 가압면(62)이 상기 와이어 통과공(58) 내로 밀고 들어와 와이어(50)를 가압하게 되며, 급전다이스(62)에 의해 경로가 굴곡된 와이어(50)는 항상 급전다이스(62)와 강제 마찰 상태 하에서 이송되게 되는 것이며, 전기를 공급하면 급전다이스(62)를 통해 와이어(50)를 타고 흐르게 되며, 이 고압의 전류는 공작물을 통과하면서 방전에 의해 고온을 발생시켜 금속을 용융시켜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이송되는 와이어(50)에 의해 쏠려 나가 급전다이스(62)의 접촉면이 마모되어 전기 공급이 불안정해지는 일이 발생하였을 때의 급전다이스(62)의 위치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급전다이스(62)가 마모되더라도 본 발명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48)를 분해하지 않고, 이때에는 측면보호덮개(71)를 열고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고정나사(64;암나사공 64a에 나사 결합)를 풀어 급전다이스(62)의 고정을 해제한 후, 메인바디(53)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막대공구 삽입공(57)을 통해 바깥으로부터 드라이버등의 긴 막대를 넣어 가동블록(59) 내에 수용된 급전다이스(62)의 측면에 힘을 가해 밀어서 약간 위치 이동시키면 마모되지 아니한 새 표면이 와이어에 대향하게 된다.
급전다이스(62)의 위치 이동이 끝나면 다시 고정나사(64)를 조여 급전다이스(6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보호덮개(71)를 닫으면 되는 것이며, 급전다이스(62)가 해당 위치에서 마모되면 앞서와 같은 방법으로 급전다이스(62)를 조금씩 위치 이동시켜 반복해서 사용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여 한쪽 면의 사용이 끝나면 다른 쪽 면이 위치되도록 하여 양쪽 면을 다 사용하면 그때 급전다이스(62)를 새것으로 교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에 대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에 있어 측면보호덮개와 상부덮개를 제거항 상태의 내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메인바디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가동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가동블록의 정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급전 다이스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의 와이어 결선 작업시 실린더 작동 전후의 가동블록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0 내지 도12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48: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50:와이어
51:구멍 52:안치홈
53:메인바디 54:벽
55:급전 다이스 삽입공 56:벽
57:막대공구 삽입공 58:와이어 통과공
59:가동블록 60:내벽면
61:급전다이스 장착공 62:접촉평면
63:급전다이스 64:고정나사
65:액츄에이터 66:레버부재
67:에어실린더 70:피스톤로드
71:측면보호덮개 72:구멍
73:노즐 74:구멍
76:하부캡 80:상부가이드부재
e:편심
Claims (5)
- 본 발명은 상하로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며 상부측과 일측이 개방된 안치홈을 가진 메인바디와; 상기 안치홈에 상기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이 허용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하 방향으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와이어 통과공을 구비하는 가동블록과; 일측 내벽면이 상기 와이어 통과공의 중심축선을 넘어 형성되는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상기 가동블록을 측방향에서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하 장공 형태의 급전 다이스 장착공과; 상기 급전 다이스 장착공에 끼워 장착하되 상기 급전 다이스 장착공 내에서 약간씩 위치 이동의 조정이 가능하며, 일측 평면이 상기 와이어 통과공을 지나는 와이어를 가압하여 강제 접촉하므로써 상기 와이어에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 다이스와; 상기 급전 다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가동블록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급전다이스 장착공과 일치 및 연통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상기 급전 다이스를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된 급전 다이스 삽입공과; 상기 와이어의 가압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블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 장착하여 상기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노즐과; 와이어와 상기 메인바디 내로 공급되는 가공액의 배출을 허용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노즐을 보호하도록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다이스 삽입공에 대향되는 반대쪽의 상기 메인바디에는 막대공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그 막대공구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막대공구로 상기 급전 다이스를 밀어 장착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메인바디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가동블록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자유단을 피스톤 로드의 신축 작동을 통해 밀거나 당기도록 설치되는 에어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가동블록의 측면 노출을 차단하는 측면보호덮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측면보호덮개를 개방 시 상기 급전 다이스를 고정하는 고정나사가 노출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부덮개가 장착되며, 상기 상부덮개에는 상기 와이어의 결선 작업 시 와이어의 급송을 안내하는 파이프가 안착하여 접속할 수 있는 테이퍼공을 구비한 상부가이드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1479A KR101118630B1 (ko) | 2009-12-09 | 2009-12-09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1479A KR101118630B1 (ko) | 2009-12-09 | 2009-12-09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4757A true KR20110064757A (ko) | 2011-06-15 |
KR101118630B1 KR101118630B1 (ko) | 2012-03-06 |
Family
ID=4439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1479A KR101118630B1 (ko) | 2009-12-09 | 2009-12-09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8630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6710A (ko) * | 2012-01-26 | 2013-08-05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와이어 방전 가공기용 이중 분사 노즐 |
KR101324059B1 (ko) * | 2011-11-21 | 2013-11-20 | 주식회사 원일정기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안내장치 |
CN112872516A (zh) * | 2021-02-23 | 2021-06-01 | 桑明焱 | 一种导丝机构及含有该机构的中走丝线切割机 |
KR102390213B1 (ko) * | 2021-07-14 | 2022-04-22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방전가공 금형장치 |
KR20230033967A (ko) * | 2021-09-02 | 2023-03-09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선택적 가공이 가능한 방전가공 금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4061B1 (ko) | 2011-11-15 | 2013-11-11 | 주식회사 원일정기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안내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30268A (en) | 1992-12-23 | 1995-07-04 | Basix Technologies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d replacing EDM components from the guide assembly working end |
JP2006224259A (ja) | 2005-02-18 | 2006-08-31 | Sodick Co Ltd | ワイヤガイドアッセンブリおよび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
JP4266992B2 (ja) * | 2006-03-22 | 2009-05-27 | 株式会社ソディック |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
-
2009
- 2009-12-09 KR KR1020090121479A patent/KR1011186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4059B1 (ko) * | 2011-11-21 | 2013-11-20 | 주식회사 원일정기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안내장치 |
KR20130086710A (ko) * | 2012-01-26 | 2013-08-05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와이어 방전 가공기용 이중 분사 노즐 |
CN112872516A (zh) * | 2021-02-23 | 2021-06-01 | 桑明焱 | 一种导丝机构及含有该机构的中走丝线切割机 |
CN112872516B (zh) * | 2021-02-23 | 2023-11-07 | 桑明焱 | 一种导丝机构及含有该机构的中走丝线切割机 |
KR102390213B1 (ko) * | 2021-07-14 | 2022-04-22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방전가공 금형장치 |
KR20230033967A (ko) * | 2021-09-02 | 2023-03-09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선택적 가공이 가능한 방전가공 금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8630B1 (ko) | 2012-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8630B1 (ko)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상부 와이어 안내장치 | |
CN102131608B (zh) | 线放电加工装置中的线导引罩 | |
JP4210307B2 (ja) | 切粉排出構造を有する工作機械 | |
JP5255167B1 (ja) | 細穴放電加工装置 | |
WO2011136309A1 (ja) |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の自動結線装置 | |
WO2013021782A1 (ja) | 押出プレス | |
CN101410216A (zh) | 清洁焊炬的导电管的方法以及焊炬和导电管 | |
WO2012074897A1 (en) | Electrode holder | |
JP4331119B2 (ja) | ワイヤ放電加工機 | |
CN113305570B (zh) | 一种基于cfd流体分析的立式泵导水管加工装置 | |
KR101944889B1 (ko) | 웰딩 스터드 볼트 제조장치 | |
KR101324059B1 (ko)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안내장치 | |
JP2006224259A (ja) | ワイヤガイドアッセンブリおよび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 | |
JPH034332B2 (ko) | ||
KR20110064758A (ko)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하부 와이어 안내장치 | |
US20020047538A1 (en) | Devic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machining electrode into an EDM machine | |
KR101335517B1 (ko)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급전다이스용 장착케이스 | |
JP5753710B2 (ja) | 静電型液体塗布装置及び静電型液体塗布方法 | |
US20120125895A1 (en) | Wire transmitting module | |
KR101324061B1 (ko) |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와이어 안내장치 | |
CN215369709U (zh) | 一种矿用割裂一体化钻头 | |
JP4941504B2 (ja) |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のワイヤ自動供給装置 | |
DE3514661C2 (ko) | ||
CN220880985U (zh) | 喷头结构及激光划片机 | |
CN217452118U (zh) | 一种新型中间包水口快换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