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040A -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040A
KR20110064040A KR1020090120456A KR20090120456A KR20110064040A KR 20110064040 A KR20110064040 A KR 20110064040A KR 1020090120456 A KR1020090120456 A KR 1020090120456A KR 20090120456 A KR20090120456 A KR 20090120456A KR 20110064040 A KR20110064040 A KR 20110064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core
composite wire
insert nozzl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훈
조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4040A/ko
Publication of KR2011006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9/00Metallic coating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08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building-up linings or coverings, e.g. of anti-frictional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16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making compound objects cast of two or more different metals, e.g. for making rolls for rolling mi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심재를 용융된 피복재로 피복하여 복합선재를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로서, 질화규소를 함유하는 질화규소계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동피복, 복합, 심재, 연속주조, 인서트노즐, 질화규소, 전기도금

Description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INSERT NOZZLE FOR INSERTING AND GUIDING CORE MATERIAL, COMPOSITE-WIR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COMPOSITE-WIR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심재의 편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심재의 선경축소 및 합금원소 용융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복합선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선재(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적 강도, 진동, 마찰, 항장력 및 선팽창 계수 등을 고려한 심재(11)(예를 들면, 강선)의 외주연에 전기 화학적 부식, 도전성 및 전기적 저항등을 고려한 피복재(12)(예를 들면 아연, 동, 동합금, 카드뮴 등)를 피복하여 완성된다.
복합선재의 하나로 동피복 강선은 송전선이나 통신선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의 리드선으로 기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서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 선재는 심재의 외주연에 동판 또는 동리본을 용접 피복한 후 롤에 의한 압착으로 피복재를 피복하는 롤 성형(ROLL FORMING) 방식과, 동관에 심재를 삽입하여 인발 다이스를 통한 압착 봉합으로 피복재를 피복하는 봉합법, 그리고 심재에 전해도금으로 피복재를 피복하는 전해 도금법, 아울러 용융된 피복재 속에 심재를 통과시켜 연속 주조하는 융착법 등으로 완성될 수 있다.
한편, 롤 성형 방식은 피복재의 두께를 제한적으로 피복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고, 봉합법은 봉합하는 길이가 한정되어 일정거리마다 용접에 의해 연결하게 되는데 용접부위에서 박리현상이 심해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며 직경 10㎜ 이상의 철 선재를 사용하게 되면 가는 선재로 가공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설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해 도금법은 생산속도가 늦고 순도에도 한계가 있으며 폐수처리에도 많은 비용이 소모되어 생산비가 높고 피복재의 두께를 극히 제한적으로 피복할 수 밖에 없으며 부식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반면, 융착법은 이음매 없는 복합선재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피복재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융착법에 의한 동피복 강선의 제조를 위한 연속주조과정동안 용탕하부로 연속적으로 삽입되는 심재인 강심선은 피복재인 1200℃이상 고온의 용융 동에 노출되며 피복된다. 연속주조 인출속도에 따라 다르지만 10-30초동안 고온의 용융동에 노출된 강심선의 표면은 용융되어 연속주조 전보다 심재의 직경이 작아지게 된다. 더욱이 강심선으로부터 용융된 합금원소(Fe 및 Ni 등은)는 피복재인 용융동에 함유되 어 동의 전기전도도를 저하시켜 동피복 복합선재가 가져야 할 전기적 특성의 열화를 가져온다.
또한, 종래에는 강심선(선재)을 복합선재의 중심에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하여 심재유도 및 삽입을 위한 인서트 노즐 등이 흑연재료로 고안되어 있는데 이들 흑연재 인서트 노즐은 고온의 용탕과 주위의 산소에 의해 소모되어 일정시간 사용후에는 심재 유도를 위한 고유의 기능을 상실하고 복합선재 중심에서 강심선이 편중되어 주조되는 즉, 심재가 편심(센터링 불량)되는 문제를 보인다. 이러한 편심은 당업계에서 가장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는 당면 과제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고 용융된 피복재와 반응하지 않아 심재의 편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심재의 선경축소 및 합금원소 용융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복합선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심재를 용융된 피복재로 피복하여 복합선재를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은, 질화규소를 함유하는 질화규소계 세라믹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화규소계 세라믹은 질화붕소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복재는 구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재는 연강 또는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피복재를 용융시키기 위한 용해로, 심재를 용융된 피복재로 피복하여 복합선재를 연속주조하기 위한 중공 금형 및 상기 심재를 상기 복합선재의 중심에 일치시키도록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을 포함하는 복합선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노즐은 질화규소를 함유하는 질화규소계 세라믹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화규소계 세라믹은 질화붕소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해로는 흑연도가니와 상기 흑연도가니 주위에 설치되는 유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 금형은 상기 용해로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복재는 구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재는 연강 또는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심재를 용융된 피복재와 접촉시키면서 복합선재를 연속주조하는 복합선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속주조 전에, 상기 심재가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의 두께로 상기 심재의 외주면에 상기 피복재를 미리 피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복재는 구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재는 연강 또는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께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재의 외주면에 상기 피복재를 미리 피복하는 것은 전기도금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재의 편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심재의 온도 상승을 막아 심재의 용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심재의 선경축소 및 합금원소 용융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복합선재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심재를 용융된 피복재로 피복하여 복합선재를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20)을, 종래의 흑연재질에서, 질화규소(Si3N4)를 함유하는 질화규소계 세라믹으로, 바람직하게는 질화붕소(예를 들면, 10% BN)를 더 함유하는 세라믹으로 개량함으로써, 종래의 흑연재질 인서트 노즐에 비해, 고온에서의 마모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반응성이 낮아 용탕과 반응하지 않아 복합선재내의 심재의 편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복재로는 구리가 이용될 수 있고, 심재로는 연강 또는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선이 이용될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복합선재의 직경이 20㎜이하, 그리고 심재의 직경은 5㎜이하이다. 인서트 노즐의 형상은 사용되는 심재의 직경, 복합선재의 직경 등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선재 제조장치(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선재 제조장치(30)는, 피복재를 용융시키기 위한 용해로(31), 상기 용해로(31)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심재를 상기 용융된 피복재로 피복하여 복합선재를 연속주조하기 위한 중공 금형(32) 및 상기 중공 금형의 입구 중공 측에 설치되어, 심재를 상기 복합선재의 중심에 일치시키도록 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33), 상기 중공 금형의 출구 중공측 둘레에 설치되어 복합선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재킷(34)으로 구성되며, 상기 인서트 노즐(33)이 질화규소를 함유하는 질화규소계 세라믹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서트 노즐(33)은 질화붕소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해로(31)를 흑연도가니(31a)와 상기 흑연도가니 주위에 설치되는 유도코일(31b)로 이루어지는 유도가열 방식의 용해로 구성하여 가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 때, 종래의 흑연재 인서트 노즐은 유도코일에 의해 가열되어 인서트 노즐을 통해 삽입 및 유도되는 심재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질화규소를 함유하는 질화규소계 세라믹 재질의 인서트 노즐(33)은, 유도코일(31b)에 의해 유도가열되지 않으므로 심재의 온도 상승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상승 방지 효과에 의해 심재가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피복재로는 구리가 이용될 수 있고, 심재로는 연강 또는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선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선재의 직경이 20㎜이하, 그리고 심경의 직경은 5㎜이하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선재 제조방법은, 심재를 용융된 피복재와 접촉시키면서 복합선재를 연속주조하는 복합선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속주조 전에, 상기 심재가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의 두께로 상기 심재의 외주면에 상기 피복재를 미리 피복한다.
도 4a는 융착법에 있어서 연속주조의 인출속도에 따른 심재의 직경을 나타내고, 도 4b는 융착법에 있어서 연속주조의 인출속도에 따른, 피복재(용융동)의 중량기준, 심재(Fe-Ni 와이어)로부터 용융된 합금원소(Fe와 Ni)의 중량비 및 그에 따른 전기전도 특성을 나타낸다. 도 4a에서, 복합선재의 연속주조에 사용된 심선의 직경은 2mm으로, 인출속도가 빨라질수록 용탕과 심선이 접촉하는 시간이 감소되어 용융으로 인한 심재의 직경 감소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 인출속도가 빨라질수록 피복재인 용융동내 심재로부터 용융된 합금원소 즉 Fe 와 Ni의 중량이 감소되어 복선선재의 전기전도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 심재의 선경 축소 및 합금원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심재의 용융을 최소화 하여야 하는데 이러기 위해서는, 연속주조시 인출속도를 증가시켜 용융동과 심재의 접촉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연속주조시 인출속도의 무리한 증가는 복합선재의 단락을 야기하여 생산성 저하 및 생산원가 증가의 문제가 있다.
또한, 복합선재의 연속주조시 인출속도를 증가시킨다 하더라도 용융동과 심재의 직접적인 접촉은 피할 수 없어 심재의 용융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심재(연강 또는 Fe-Ni 합금 와이어) 주위를 미리 피복재(Cu)로 도금(피복)한 후 연속주조를 행하면 심재의 합금성분이 용탕중으로 혼입되어 전기전도도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도금법 등을 이용하여 상기 심재가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의 두께(바람직하게는 100um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um)로 상기 심재의 외주면에 상기 피복재를 미리 피복한다. 이와 같이 피복재가 미리 피복된 심재를 사용하여 연속주조함으로써 심재의 용융으로 인한 심재의 선경 축소 및 합금 원소에 의한 오염을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선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선재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융착법에 있어서 연속주조의 인출속도에 따른 심재의 직경을 나타내고, 도 4b는 융착법에 있어서 연속주조의 인출속도에 따른, 피복재(용융동)의 중량기준, 심재(Fe-Ni 와이어)로부터 용융된 합금원소(Fe와 Ni)의 중량비 및 그에 따른 전기전도 특성을 나타낸다.

Claims (15)

  1. 심재를 용융된 피복재로 피복하여 복합선재를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로서, 질화규소를 함유하는 질화규소계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규소계 세라믹은 질화붕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연강 또는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5. 피복재를 용융시키기 위한 용해로, 심재를 용융된 피복재로 피복하여 복합선재를 연속주조하기 위한 중공 금형 및 상기 심재를 상기 복합선재의 중심에 일치시키도록하는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을 포함하는 복합선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노즐은 질화규소를 함유하는 질화규소계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규소계 세라믹은 질화붕소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로는 흑연도가니와 상기 흑연도가니 주위에 설치되는 유도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금형은 상기 용해로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장치.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연강 또는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장치.
  11. 심재를 용융된 피복재와 접촉시키면서 복합선재를 연속주조하는 복합선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속주조 전에, 상기 심재가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의 두께로 상기 심재의 외주면에 상기 피복재를 미리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 합선재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연강 또는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는 10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외주면에 상기 피복재를 미리 피복하는 것은 전기도금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재 제조방법.
KR1020090120456A 2009-12-07 2009-12-07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10064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56A KR20110064040A (ko) 2009-12-07 2009-12-07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56A KR20110064040A (ko) 2009-12-07 2009-12-07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40A true KR20110064040A (ko) 2011-06-15

Family

ID=4439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456A KR20110064040A (ko) 2009-12-07 2009-12-07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40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4823A (zh) * 2014-09-01 2014-12-03 北京科技大学 一种包覆材料固/液复合连铸成形设备与方法
CN110653358A (zh) * 2019-10-09 2020-01-07 中铁建电气化局集团康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大长度熔融渗透式铜钢复合线材连续挤压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4823A (zh) * 2014-09-01 2014-12-03 北京科技大学 一种包覆材料固/液复合连铸成形设备与方法
CN104174823B (zh) * 2014-09-01 2016-04-20 北京科技大学 一种包覆材料固/液复合连铸成形设备与方法
CN110653358A (zh) * 2019-10-09 2020-01-07 中铁建电气化局集团康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大长度熔融渗透式铜钢复合线材连续挤压设备
CN110653358B (zh) * 2019-10-09 2024-04-12 中铁建电气化局集团康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大长度熔融渗透式铜钢复合线材连续挤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2895B2 (ja) 放電加工用多孔性電極線の構造
JP3948203B2 (ja) 銅合金線、銅合金撚線導体、同軸ケーブル、および銅合金線の製造方法
CN1067613C (zh) 铜包钢双金属复合材终形铸轧方法
WO2005072891A1 (ja) 銅合金の連続鋳造方法
JP2009226419A (ja) 銅または銅合金線材の製造方法および銅または銅合金線材
KR20110064040A (ko) 심재의 삽입 및 유도용 인서트 노즐, 이를 이용한 복합선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1870182B1 (en) Process for the casting of molten alloy
JP2005105326A (ja) 被覆金属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6526489A (ja) 対象物の放電切断のためのワイヤ電極
RU2722554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установки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методом погружения в расплав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элемента
EP0153014A1 (en)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horizontal casting of copper
US5064611A (en) Process for producing copper alloy
JP7494990B2 (ja) 合金元素添加材および銅合金材の製造方法
US4436763A (en) Method of plating a wire with metal
EP3428305A1 (en) Production method for molten-aluminum-plated copper wire
JPH0237943A (ja) 連続鋳造用加熱鋳型および連続鋳造方法
EP3438319A1 (en) Method for producing molten aluminum-plated steel wire
JPS61159247A (ja) 高珪素薄鋼帯製造用急冷ロ−ル
EP0149063A1 (en) Continuous molten copper cladding of ferrous alloys
JP7384086B2 (ja) 合金元素添加材および銅合金材の製造方法
CN109207999A (zh) 一种玻璃包覆铜丝的生产工艺
JP2000198027A (ja) 放電加工用電極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77505A (ja) Cu−Ag合金線および同軸ケーブル用Cu−Ag合金線
JPH05220545A (ja) 金属複合線材の製造方法
JP3332196B2 (ja) 放電加工用電極線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