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981A -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981A
KR20110063981A KR1020090120383A KR20090120383A KR20110063981A KR 20110063981 A KR20110063981 A KR 20110063981A KR 1020090120383 A KR1020090120383 A KR 1020090120383A KR 20090120383 A KR20090120383 A KR 20090120383A KR 20110063981 A KR20110063981 A KR 20110063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sun visor
driver
pup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09012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3981A/ko
Publication of KR2011006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은 (a) 차량 내에 배치된 광량감지센서에 의해 운전자의 눈동자 인근의 광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의 측정된 광량 데이터와 마이컴에 기설정된 기준 광량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마이컴은 상기 (b) 단계의 비교값을 통해 상기 차량 내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방에 배치된 선바이저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눈동자 주변의 광량 변화를 점검하는 과정을 통해서 차량 내부에 장착된 선바이저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강한 빛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차량, 선바이저, 광량, 각도, 운전자, 태양광

Description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ngle of vehicle's sunvisor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 시야에 미치는 광량을 차량 내부에 설치된 광량감지센서가 자동으로 계산하여 선바이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외부의 강한 빛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소득의 증대와 소비자들의 편리함의 추구로 인하여 차량의 폭발적인 증가와 더불어 각종 교통 사고로 인한 사상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교통 사고 사상자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에서는 선진 안전 자동차(advanced safe vehicle)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동차 교통사고를 통계적으로 보면 전방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태양빛이 강하게 내리쬐는 도로 상에서 운전하는 경우에 운전석으로 입사하는 태양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차량의 내부 상단에는 선바이 저(sunvisor, 차양판)가 마련되어진다. 운전자는 태양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선바이저의 위치를 직접 수동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특히 주행중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 내부에 설치된 광량감지센서가 차량 운전자의 눈동자에 대해 실시간으로 트랙킹 작업을 통해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눈동자 주변의 광량 변화를 점검하는 과정을 통해서 차량 내부의 장착된 선바이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강한 빛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은 (a) 차량 내에 배치된 광량감지센서에 의해 운전자의 눈동자 인근의 광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의 측정된 광량 데이터와 마이컴에 기설정된 기준 광량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마이컴은 상기 (b) 단계의 비교값을 통해 상기 차량 내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방에 배치된 선바이저의 각도를 조절하 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광량감지센서는 상기 운전자의 눈동자를 계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눈동자가 광량 측정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선바이저의 단계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선바이저 일측에 구비된 회동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선바이저가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광량감지센서는 실시간으로 상기 눈동자를 추적함으로써 상기 눈동자가 눈꺼풀에 의해 덮이기 전후의 상태에 대해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광량감지센서가 차량 운전자의 눈동자에 대해 실시간으로 트랙킹 작업을 통해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눈동자 주변의 광량 변화를 점검하는 과정을 통해서 차량 내부에 장착된 선바이저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강한 빛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선바이저를 자동으로 작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 중 불필요한 손동작을 지양하게 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광량감지센서와 선바이저가 장착된 차량의 전면부를 보이는 개념도,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보이는 블럭 다이어그램,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을 시계열적인 순서에 의해 나열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1) 내에서의 전체적인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차량(1)의 전면부를 측면에서 바라보이도록 배치하고 있다. 차량(1)은 좌석(5)에 앉아 있는 운전자(6)를 기준으로 상방 내지 측방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2), 운전자(6)의 전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엔진(미도시)이 배치되는 전방부(4), 몸체(2)와 전방부(4)를 연결하는 전방윈도우(3), 및 운전자(6)의 전면에 배치되는 핸들(7)을 구비한다.
몸체(2) 내부 상단에 배치된 광량감지센서(10)는 운전자(6)의 눈동자 측으로 센싱광을 조사하게 된다(도면부호 12 참조). 상기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광량감지센서(10)는 운전자(6)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어지고, 운전자가 좌석(5)에 착석 한 상태를 감지하여 그 내부에 내장된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운전자(6)의 눈동자를 추적(tracking)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차량(1)을 운행하는 운전자(6)의 앉은키에 맞추어 광량감지센서(10)의 조사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눈동자 주위에 대한 광량 측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눈동자에 대한 추적 기술은 비단 광량을 측정하는 것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눈의 깜빡임에 따른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졸음 운전을 감지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졸음 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눈동자에 대해 추적 센서(tracking sensor) 기술을 채용하여 눈꺼풀이 일정시간 이상 감기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이를 다시 경고 신호 등으로 피드백함으로써 운전자를 졸음 상태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몸체(2)의 전방부(4) 측 상단에는 광량감지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차양장치(20)가 장착된다. 차양장치(20)는 구동모터(26)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회동축(22)과 상기 회동축(22)에 일측이 고정되는 선바이저(24,sunvisor)를 구비한다. 선바이저(24)는 차량(1) 외부의 태양(8)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성분(9)이 운전자(6)의 시야에 장애를 일으킬 정도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몸체(2)의 내부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운전자(6)의 시야를 방해할 정도의 태양광이 입사될 경우에는 차양장치(20)가 작동하여, 선바이저(24)가 전방윈도우(3) 측으로 회동하면서 근접하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광량감지센서(10), 마이컴(30), 선바이저(24), 및 경고 발생부(40)와의 상호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마이컴(30)은 광량감지센서(10)에서 측정된 눈동자 인근의 광량값을 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2), 광량감지센서(10)에서의 실측값과 데이터 저장부(32)에 기 저장된 기준값을 상호 비교하여 실측값이 기준값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행하는 비교부(34), 및 상기 비교부(34)에서의 판단결과를 토대로 연관된 장치들에 작동 명령을 내리는 지시부(36)를 구비한다. 지시부(36)는 구동모터(26)와 경고발생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져 운전자(6)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선바이저(24)를 구동하게 한다.
경고발생부(40)는 광량감지센서(10)에서 측정된 광량에 대한 실측값이 나안 상태(선글라스 등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한계값을 넘는 경우에는 운전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므로 선바이저(24)를 구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강력한 경보음, 계기판에의 점등, 및 핸들(7)에의 진동 발생 등을 통하여 운전자(6)에게 위험 상태임을 알리게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에 대하여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6)가 차량(1) 내에 탑승하여 좌석(5)에 안착하면, 광량감지센서(10)가 운전자(6)의 안면부에 센서광을 조사하여 정확이 눈동자를 향하여 센싱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한다. 이 과정에서는 눈을 뜬 나안인 경우에 안구면으로부터 직접 얻어지는 광량에 대한 측정값과 눈을 감은 경우에 눈꺼풀로부터 얻어지는 광량에 대한 측정값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광량감지센서(10)의 측정 방향이 눈동자를 향하고 있는지 판별할 수 있게 한다(S10).
상기 S10 단계를 통하여 광량감지센서(10)의 측정 방향이 정해진 후에 광량 감지센서(10)는 차량(1) 외부로부터 안으로 유입되는 빛이 눈동자를 중심으로 하여 안면에 형성되는 광량을 측정한다(S11). 이후, 마이컴(30) 내의 비교부(34)는 광량감지센서(10)에서 측정된 광량의 실측값과 데이터 저장부(32)에 기 입력된 기준값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실측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2).
상기 S12 단계에서 광량의 실측값이 기준값을 초과한다면 이는 운전자의 시야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므로 지시부(36)가 구동모터(26)에 전기적인 신호를 가하여 선바이저(24)를 작동하게 한다(S13). 한편, S12 단계에서 광량의 실측값이 기준값 미만이라면 운전자의 시야가 운전을 수행하기에 불편함을 초래하지는 않는다고 보므로 다시 S11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광량 측정을 진행한다.
S13 단계에서 마이컴(30)이 구동모터(26)에 일정한 전기적인 신호를 가하여 선바이저(24)의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게 하는데, 상기 선바이저(24)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도 주기적으로 실시간 측정되는 광량의 실측값이 기 입력된 기준값 범위 내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상기 S14 단계에서 실측값이 기 입력된 기준값 범위 내를 만족하면 눈동자 인근에 형성되는 광량이 운전을 방해할 정도로 문제가 안된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마이컴(30)은 지시부(36)를 통해 선바이저(24)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게 한다(S15). 한편, S14 단계에서 실측값이 기 입력된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면 여전히 눈 주위에 강한 광량이 형성된다는 것이므로 계속적으로 선바이저(24)의 회전 구동을 지시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1) 내에 배치된 광량감지센서(10)가 운전자(6)의 눈동자 인근에 조사되는 광량의 과다 여부를 판단하여 운행에 방해가 되는 기준 시점에서 선바이저(2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태양빛이나 상대방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차량(1) 내로 입사되는 빛을 적절히 차단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광량감지센서와 선바이저가 장착된 차량의 전면부를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보이는 블럭 다이어그램,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을 시계열적인 순서에 의해 나열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 : 몸체
3: 전방 윈도우 4 : 전방부
5 : 좌석 6 : 운전자
7 : 핸들 8 : 태양
10 : 광량감지센서 20 : 차양 장치
22 : 회동축 24 : 선바이저
26 : 구동모터 30 : 마이컴
32 : 데이터 저장부 34 : 비교부
36 : 지시부 40 : 경고 발생부

Claims (5)

  1. (a) 차량 내에 배치된 광량감지센서에 의해 운전자의 눈동자 인근의 광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의 측정된 광량 데이터와 마이컴에 기설정된 기준 광량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마이컴은 상기 (b) 단계의 비교값을 통해 상기 차량 내에서 상기 운전자의 상방에 배치된 선바이저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광량감지센서는 상기 운전자의 눈동자를 계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눈동자가 광량 측정의 중심부에 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선바이저의 단계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선바이저 일측에 구비된 회동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선바이저가 회전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광량감지센서는 실시간으로 상기 눈동자를 추적함으로써 상기 눈동자가 눈꺼풀에 의해 덮이기 전후의 상태에 대해 측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KR1020090120383A 2009-12-07 2009-12-07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KR20110063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83A KR20110063981A (ko) 2009-12-07 2009-12-07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383A KR20110063981A (ko) 2009-12-07 2009-12-07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81A true KR20110063981A (ko) 2011-06-15

Family

ID=4439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383A KR20110063981A (ko) 2009-12-07 2009-12-07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39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02A1 (ko) * 2015-10-15 2017-04-20 도이진 전동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장치
US9902239B2 (en) 2015-10-20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n visor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09727586A (zh) * 2018-12-29 2019-05-07 重庆秉为科技有限公司 一种护眼显示器
CN112977013A (zh) * 2021-02-24 2021-06-1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商用车自动感应遮阳方法及系统
US11858319B2 (en) * 2021-08-25 2024-01-02 Mirza Faizan Automatic sunvisor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02A1 (ko) * 2015-10-15 2017-04-20 도이진 전동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장치
US9902239B2 (en) 2015-10-20 2018-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n visor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09727586A (zh) * 2018-12-29 2019-05-07 重庆秉为科技有限公司 一种护眼显示器
CN112977013A (zh) * 2021-02-24 2021-06-18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商用车自动感应遮阳方法及系统
US11858319B2 (en) * 2021-08-25 2024-01-02 Mirza Faizan Automatic sunviso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941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azzle protection system for a vehicle
KR20110063981A (ko) 차량 선바이저 자동각도조절방법
KR101459432B1 (ko) 운전자 시력 처방에 기초한 앞유리의 굴절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8162729B (zh) 一种汽车防眩光系统及方法
US20190367038A1 (en) Driver monitoring device
JP2007522003A (ja) 車中のドライバの運転能力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2016502165A (ja) 運転者注意力検出方法および装置
WO2007092512A2 (en) Driver drowsiness and distraction monitor
CN106080196A (zh) 一种车辆自动调节仪表及汽车
CN109760689A (zh) 驾驶员监视系统
JP2003260933A (ja) 自動眩しさ調節装置
CN107499239B (zh) 一种后视镜随动检测装置及方法
CN109969195B (zh) 一种驾驶员面部行为异常报警系统及方法和基于其的车辆
CN107487161A (zh) 智能车辆遮阳帘装置
KR102106180B1 (ko) 주간 자동차 운전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319200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image data of the eyes, eye positions and/or a viewing direction of a vehicle user in a vehicle
KR100757579B1 (ko) 자동차용 모니터의 밝기와 각도 조절장치 및 방법
RU2369490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глаз от ослепления
WO2009060172A1 (en) Detecting driver impairment
CN107215278A (zh) 一种具有光线调节功能的智能化后视镜及其工作方法
WO20170889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a brightness of an object perceivable by a passenger of a vehicle
CN107499126A (zh) 一种智能汽车管理系统
KR101742399B1 (ko) 차량 상태를 이용한 차량의 사이드 미러 조정 장치 및 방법
JPH0732907A (ja) 意識レベル検出装置
CN205706441U (zh) 一种具有自动报警功能的后视镜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