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916A -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916A
KR20110063916A KR1020090120288A KR20090120288A KR20110063916A KR 20110063916 A KR20110063916 A KR 20110063916A KR 1020090120288 A KR1020090120288 A KR 1020090120288A KR 20090120288 A KR20090120288 A KR 20090120288A KR 20110063916 A KR20110063916 A KR 20110063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skin
cosmetic composition
red ginseng
skin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경이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경이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경이노테크
Priority to KR102009012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3916A/ko
Publication of KR2011006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침투 효과가 크게 증가하고 제형의 안정성도 크게 개선시킨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홍삼과 대두에서 추출되는 식이섬유 유니테인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을 혼합시킨 혼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동결건조중량기준 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홍삼과 대두에서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액을 자화 육각수와 1000분의 1로 희석하는 단계와, 상기 희석액을 세포 생장촉진 효과가 있는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과 서로 혼합하는 단계로 제조되며, 상기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은 대나무 숯 증류 죽 초액, 와송(셀레늄 강화 약초), 달맞이 꽃 종자유(V-리놀렌산), 도꼬마리, 대황, 토종비아그라약초 등이 혼합되어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 항산화 효능, 보습력 향상 및 피부 면역 증강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홍삼, 대두, 식이섬유, 유니테인, 한방생약, 피부 케어

Description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SKIN CARE COMPOSITIONS}
본 발명은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 항산화 효능, 보습력 향상 및 피부 면역 증강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콜라겐 합성의 촉진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과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향상시킨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불규칙한 식생활습관 및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운동부족, 과로, 스트레스, 질병, 과음, 흡연 등으로 인해 체질악화가 유발되고 있다.
이에 건강 유지나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는 기능성 소재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전통 한방원료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체 인체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는 피부는 인체 안으로 침입하려는 치명적인 많은 유해인자, 예를 들면,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인간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 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그 원인으로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으로 인해 피부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부에 주름, 탄력 손실 및 각질화 등이 발생한다.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아루론산,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 피브로넥틴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게 되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중 발생하는 프리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화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노화를 억제 또는 진행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레티놀, 레티노이드,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및 토코페롤, 생약 성분 등의 여러 가지 피부 보호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약성분,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는 그 자체가 불안정 할 뿐만 아니라 최종적인 제형에 있어서 내용물의 침전 및 색깔의 변화가 일어나고 역가가 떨어져 그 효능이 경미해지는 등 화장용수의 안정성에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약, 화장품 및 식품 분야에서는 생리활성 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안정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생리활성 성분에 의한 피부 침투 효과를 극대화를 위하여 종래에는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자연의 천연물로부터 탁월한 항노화 효능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여러 물질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화장품의 소재로서 사용된 원료들은 단순히 효소 활성만을 억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효소의 발현양은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점차 특수한 조성에 따른 고품질의 기능적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피부보호, 자극억제, 염증억제, 일광차단 등의 최소한의 부작용을 갖는 화장품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고,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래의 화학물질 원료를 사용하는 대신에 천연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천연재료를 화장품의 원료로써 개발할 필요성이 한층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홍삼과 대두에서 추출되는 식이섬유 유니테인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을 제조하여, 피부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효과, 피부 잔주름 완화효과, 미백효과, 육모효과, 여드름방지 효 과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홍삼과 대두에서 추출되는 식이섬유 유니테인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을 활용한 화장료의 원료로서의 효능을 확인하고, 그 사용 방법을 개발하여, 이 원료를 피부 화장료에 적용 가능하고 화장료에 함유시 항산화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피부 잔주름 방지효과 등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추출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료에 적용시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한 미백 효과와 피부 면역 증강 및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뛰어난 고기능성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홍삼과 대두에서 추출되는 식이섬유 유니테인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을 혼합시킨 혼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동결건조중량기준 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홍삼과 대두에서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액을 자화 육각수와 1000분의 1로 희석하는 단계와, 상기 희석액을 세포 생장촉진 효과가 있는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과 서로 혼합하는 단계로 제조되며, 상기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은 대나무 숯 증류 죽 초액, 와송(셀레늄 강화 약초), 달맞이 꽃 종자유(V-리놀렌산), 도꼬마리, 대황, 토종비아그라약초 등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홍삼과 대두에서 추출되는 식이섬유 유니테인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을 활용한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화장료에 적용 가능하고 화장료에 함유시 기미, 주근깨 및 피부 색소 침착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멜라닌 생성을 막아주는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 등의 미백효과와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콜라게나제(MMP-1)의 활성 및 발현억제 등의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하고, 온도 변화에 대해 변색과 분리 및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생약추출 혼합물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침투 효과가 크게 증가하고 유효성분의 효과가 극대화되며, 제형의 안정성도 크게 개선된다.
그리고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의 강력한 정장작용과 식중독균 등의 병원성 미생물과 저해성 그람 균((陽性菌, Gram positive bacillus), (陰性菌, Gram nagative bacillus)) 모두에게 광범위한 항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홍삼과 대두에서 추출되는 식이섬유 유니테인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감압농축물 및 동결건조물이 0.001 내지 30.0중량% 함유되게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용해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오일성 용액, 수중유 또는 유증수 또는 다중 에멀전, 수성 또는 오일성 겔, 액체, 페이스트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분산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다소 유체일수 있으며, 백색 또는 유색크림, 연고, 밀크로션, 유액(serum), 에센스, 페이스트 또는 무스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고체 형태 예컨대, 스틱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는 피부용 케어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인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 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20중량 %이다. 그 성질에 따라 이러한 보조제는 지방상, 수성상, 지질 소포체 및/또는 나노입자에 도입될 수 있다.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홍삼과 대두에서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액을 자화 육각수와 1000분의 1로 희석하는 단계와, 상기 희석액을 세포 생장촉진 효과가 있는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과 서로 혼합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은 우리나라 산청의 한방 약제 특산물 중 대나무 숯 증류 죽 초액, 와송(셀레늄 강화 약초), 달맞이 꽃 종자유(V-리놀렌산), 도꼬마리, 대황, 토종비아그라약초 등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홍삼은 인삼을 증숙 또는 팽숙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인삼의 녹말을 호화한 것을 말하는 것이며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 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외에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
그리고 콩은 혈중 콜레스테롤 양을 낮춰줘서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및 고혈압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식으로 사용될수 있으며 콩속의 식이섬유소, 다가불포화지방산(주로 니놀레산;51%), 사포닌, 트립신저해제 등은 콜레스테롤치를 낮추거나 암예방 효과가 있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콩기름에 들어있는 레시틴은 콜레스테롤치를 낮추거나 노인성치매 예방은 물론 비타민 E가 20mg/100g 가량 있는데 미용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홍삼과 대두에서 추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은 홍삼과 대두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추출 엑기스 및 추출액 중에 함유되고 있는 주효과를 발휘하는 화학물질 그 자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피세포증식인자(EGF, Human Olgopeptide-1)는 세포표면의 EGFR에 강하게 결합하여 세포내 칼슘농도증가, 당분 해와 단백질합성증가, EGFR을 포함한 여러 유전자의 발현 증가와 같은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를 발생시켜 DNA합성 및 세포분열 증식을 이끄는 역활을 담당한다.
또한, 상피세포증식인자(EGF)는 피부 대한 주요 기능은 상처치유 및 재생 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어 자연이 주는 피부영양제라 불리며, 피부 보습 단백질인 당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합성을 촉진하고 세포 밖으로의 분비를 유도하여 피부의 친수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피부가 촉촉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물 내 각종 생약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생약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 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20.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4~ 12중량%이다.
본 발명의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홍삼과 대두에서 추출되는 식이섬유 유니테인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을 활용한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화장료에 적용 가능하고 화장료에 함유시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 항산화 효능, 보습력 향상 및 피부 면역 증강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콜라겐 합성의 촉진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과 피부 탄력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생약추출 혼합물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침투 효과가 크게 증가하고 유효성분의 효과가 극대화되며, 제형의 안정성도 크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의 강력한 정장작용과 식중독균 등의 병원성 미생물과 저해성 그람 균((陽性菌, Gram positive bacillus), (陰性菌, Gram nagative bacillus)) 모두에게 광범위한 항균효과가 높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2)

  1. 홍삼과 대두에서 추출되는 식이섬유 유니테인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을 혼합시킨 혼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동결건조중량기준 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의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홍삼과 대두에서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액을 자화 육각수와 1000분의 1로 희석하는 단계와, 상기 희석액을 세포 생장촉진 효과가 있는 상피세포증식인자(EGF) 및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과 혼합하는 단계로 제조되며, 상기 한방생약제제를 첨가한 생약추출 혼합물은 대나무 숯 증류 죽 초액, 와송(셀레늄 강화 약초), 달맞이 꽃 종자유(V-리놀렌산), 도꼬마리, 대황, 토종비아그라약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90120288A 2009-12-07 2009-12-07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3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288A KR20110063916A (ko) 2009-12-07 2009-12-07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288A KR20110063916A (ko) 2009-12-07 2009-12-07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916A true KR20110063916A (ko) 2011-06-15

Family

ID=4439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288A KR20110063916A (ko) 2009-12-07 2009-12-07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39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921A (zh) * 2015-12-21 2016-04-20 太仓张根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竹炭美白面膜
CN109602660A (zh) * 2019-01-17 2019-04-12 上海灰灵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抗氧化因子的化妆品制剂及其制备方法
CN113813211A (zh) * 2021-10-29 2021-12-21 黄国庆 一种含有人参提取物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921A (zh) * 2015-12-21 2016-04-20 太仓张根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竹炭美白面膜
CN109602660A (zh) * 2019-01-17 2019-04-12 上海灰灵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抗氧化因子的化妆品制剂及其制备方法
CN113813211A (zh) * 2021-10-29 2021-12-21 黄国庆 一种含有人参提取物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9204A (ko) 이상 단백질 제거용 조성물
KR101973639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60008100A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US10363212B2 (en) Aesculus hippocastanum extract
CN107072933B (zh) 包含宽叶蔓豆油的组合物
KR20110063916A (ko) 홍삼과 대두에서 축출되는 식이섬유 단백질 성분인 유니테인과 한방생약제제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피부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3527B1 (ko) 곡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337916B2 (en) Myrciaria dubia fruit extracts rich in organic acids,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and cosmetic uses thereof
KR101978850B1 (ko)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0611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7338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149499A (ko) 와송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54889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48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2040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40055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