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504A -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504A
KR20110063504A KR1020117007261A KR20117007261A KR20110063504A KR 20110063504 A KR20110063504 A KR 20110063504A KR 1020117007261 A KR1020117007261 A KR 1020117007261A KR 20117007261 A KR20117007261 A KR 20117007261A KR 20110063504 A KR20110063504 A KR 20110063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extraction
container
outer container
materia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루 첸
Original Assignee
이루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0810169335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1683238B/zh
Priority claimed from CN 200910045194 external-priority patent/CN101461664B/zh
Application filed by 이루 첸 filed Critical 이루 첸
Publication of KR2011006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8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operated by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사용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추출 장치는 외측 용기와 내측 용기를 갖는다. 상기 내측 용기는 외측 용기의 내부에 설치된다.상기 외측 용기는 내측 용기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외측 용기는 밀봉된 하부면을 갖는다. 상기 내측 용기의 하부에는 추출 유지 챔버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 또는 다공성 분리판이 상기 추출 유지 챔버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필터 스크린 커버가 상기 내측 용기의 하부 표면에 장착된다. 상기 외측 용기의 측벽 및 내측 용기의 측벽들 사이에는 기계적인 밀봉장치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추출 장치는 여러 종류의 음료수, 예를 들면 커피, 티 및 식용수를 추출하거나 또는 여과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사용방법{PORTABLE MULTIFUNCTIONAL COFFEE EXTRAC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본 발명은 음료수 생산 장치 및 그 사용 벙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피, 티 및 다른 음료수의 추출 또는 여과(filtering)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상의 엑스프레소 추출 조건이 8-9 표준압력, 대략 93℃의 수온 및 20-25 초 사이의 추출 시간이라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존재하는(비-전기식) 커피 포트 및 추출 장치들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와 같은 최상의 엑스프레소 추출 요구 조건들을 완전히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장치들은 이러한 3가지 추출 조건들 중의 어느 것도 구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다른 기능들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모카 포트(Moka pot), 또는 나폴리 포트(Napoli pot)로도 알려진 장치가 초기에 대량 생산되었으며, 1903년에 이탈리아의 Bialetti 사에 의해서 시장에 출시되었다. 모카 포트는 상부 포트, 필터 및 하부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물은 하부 포트에 채워진다. 커피 분말은 필터 위에 놓여진다. 상기 하부 필터가 가열되면, 수증기가 생성되고, 가압되어 고온의 물을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며, 이는 커피 분말과 연결 튜브를 통과하고, 응축하여 상부 포트에서 커피 액을 생성한다. 수증기 압력의 생성에 기인하여, 이와 같은 추출방식은 가압식 제조방식으로 분류되고, 소위 수작업 엑스프레소라고도 불리운다. 모카 포트는 밀봉식 하부 포트와 끓는 물을 이용하여 압력을 형성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아래와 같은 한계를 갖는다:
1) 상기 추출방식은 과도하게 높은 추출 온도(그와 같은 조건에서는 물의 끓는 온도가 100℃를 초과)가 최상의 커피 추출온도인 85-94℃ 보다 높은 것이다. 따라서 공기 밀봉상태에서의 상기 추출방식은 과도하게 높은 온도에 기인하여 과추출을 유발시키고, 이는 상기 방식에서 회피할 수 없는 결함 중의 하나를 발생시킨다.
2) 상기 추출 과정은 물이 그 끓는 온도에 도달하는 때의 압력 생성에 의존한다. 따라서, 생성 압력의 크기와 지속 시간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3) 제조 비용과 안전상의 문제점을 고려하면, 수증기로부터 압력을 생성시키도록 가열되는 하부 포트는 보일러 형태로 설계되어 있지 않다. 단순히 공기 밀봉 가열 시스템에 사용되는 안전 밸브만이 장착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생성된 압력은 낮고, 이상적인 엑스프레소 추출의 8-12 바의 압력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4) 현재 개발된 장치들은 스토브 또는 전기에 의한 가열을 필요로 하며, 그에 따라서 이동식 장치로서의 사용상에 제한이 있다.
5) 상기 하부 포트가 공기 밀봉 상태에서 가열되면, 안전상 문제를 발생시킨다.
6) 상기 장치에 단일 추출 방법 및 기능만이 부여되어 있다.
수작업 커피 장치: 엑스프레소를 만들기 위한 고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피스톤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압력은 더운 물을 상부로 밀어 올려서 커피를 추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의 장치는 아래와 같은 한계들을 갖는다:
1) 상기 장치는 피스톤을 움직이기 위한 레버를 사용하며, 이와 같은 작동은 베이스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치는 크고, 이동식 장치로서 사용되기 불가능하다.
2) 상기 장치에 단일 추출 방법 및 기능만이 부여되어 있다.
3) 상기 장치는 그 크기, 재료 및 제조 공정에 기인하여 상대적으로 판매가격이 높다.
이동식 공기 가압 ESP 커피 장치: 추출 압력은 탱크에 수작업으로 공기를 펌핑하여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후속적으로 상기 가압된 공기를 방출하여 추출 압력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타입의 장치는 아래와 같은 한계들을 갖는다:
1) 추출 작용을 위해서 가압된 공기를 방출시키기 때문에, 그 공기 압력이 불안정하다. 상기 장치는 공기 압력을 점진적으로 그 압력이 0 바에 도달하기까지 낮추게 된다. 상기 장치의 공기 탱크는 이동식 장치로서의 구조에 기인하는 제한된 크기를 갖는 것이고, 그에 따라서 추출과정에서 일어나는 압력 강하는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다.
2) 수작업으로 가압 공기를 얻고, 공기 탱크의 제한된 크기로 인하여, 이와 같은 장치는 8 표준 압력의 이상적인 추출 조건과, 20초의 추출 지속시간을 얻을 수 없다.
3) 상기 장치는 복잡한 제조과정을 갖지만, 한가지 기능만을 구비한다.
4) 상기 장치는 더운 물을 위한 하나의 가열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첫째로 엑스프레소 추출에 관련된 현재의 기술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서 제조 비용이 낮고, 외부 동력과는 무관하게 이동식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다양한 가열원에 호환적으로 사용가능한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서 여러가지 타입의 추출 및 여과 방법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서 고 품질 추출 및 여과 공정의 사용 예를 구비한 이동식 다기능 커피 장치를 제공한다.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외측 용기와 내측 용기를 갖는다. 상기 내측 용기는 외측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외측 용기는 밀봉된 하부면을 갖는다. 상기 내측 용기는 추출 재료 홀더와 그 하부면에 메쉬 필터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 및 내측 용기들의 측벽들 사이에는 기계적인 밀봉재(seal)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설명된 추출 재료 홀더는 그 하부면에 물 차단판 또는 다공성 분리판을 갖는다.
상기 내측 용기가 상기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의 외측 용기 내부에 위치되는 때에, 상기 용기들의 측벽들 사이의 공간은 상기 추출 재료 홀더를 통해서 내측 용기의 내부 공간에 연결된다.
상기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들의 측벽들 사이의 기계적인 밀봉재는 통상적인 기계적인 방법, 예를 들면 측벽들 상에 장착되는 밀봉 링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및 외측 용기들은 서로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그와 같은 이동 도중에, 상기 내측 용기의 외측 측벽들과, 상기 외측 용기의 내부 측벽들 사이의 공간은 그 측벽들 사이에 위치한 기계적인 밀봉재로 인하여 공기 밀봉상태로 된다.
상기 내측 및 외측용기들은 용기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실린더형, 직사각형,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형 형상은 바람직한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차단판 또는 다공성 분리판은 상기 추출 재료 홀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메쉬 필터는 메쉬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용기의 하부면을 통하여 유입하는 어떠한 액체도 상기 메쉬 또는 물 차단판의 단면적을 통해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재료 홀더는 고체-액체 분리판을 갖는다. 상기 추출 재료의 하우징은 고체-액체 분리판과, 내부 측벽들 및 메쉬 필터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고체-액체 분리판은 고체 재료로부터 액체 재료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며, 다양한 필터 부분, 예를 들면 메쉬, 다수의 구멍들을 갖는 다공성 판 또는 고체-액체의 분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구조 또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액체 분리판의 상부측에 액체 유도 튜브가 있다. 상기 액체 유도 튜브의 일단부는 고체-액체 분리판에 연결된다. 타측 단부는 상기 내측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향한 출구이다. 이와 같은 튜브는 추출 재료 홀더를 상기 내측 용기에 연결시키며, 추출 액체를 상기 내측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튜브의 설계는 상기 튜브의 출구에서 급격한 압력 변동을 가능하게 하고, 커피 추출에서 크림 생성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액체 유도 튜브는 상기 추출 재료 홀더에 고정 부분으로서 설계되거나, 또는 소제의 용이함을 위해서 탈착식의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재료 홀더는 음료수용 커피 분말이나 티를 보관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메쉬 필터는 사용자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여 커피 분말 또는 티를 손쉽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통의 추출 재료 홀더를 대신하여 일회용의 대체 패키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재료 홀더 대신에 커피 또는 티 백들이 사용될 수 있다.
물 정화 목적으로 상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추출 재료 홀더는 활성 탄소 또는 다른 물 여과 재료들로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견지(aspect)는 이와 같은 이동식 다기능 추출 장치의 사용 방법이며, 아래와 같다.
이와 같은 장치는 다양한 음료수, 엑스프레소 커피, 프렌치 프레스 커피, 드립핑 커피(dripping coffee), 티 및 비용해성 고체로부터 얻어지는 많은 다른 음료수들을 얻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또한 여과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타입의 여과 재료들, 예를 들면 활성 탄소 또는 다른 재료들을 추출 재료 홀더에 채움으로써, 다양한 타입의 정화수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의 다양한 사용 메카니즘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가압 추출용:
상기 외측 용기 내에 적절한 온도의 더운 물을 적절 량 채우고, 상기 추출 재료 홀더 내에는 추출 재료를 넣으며, 상기 외측 용기 내로 내측 용기를 밀어 넣고, 상기 내측 용기를 손으로 가압한다. 상기 2개의 용기들의 측벽들 사이에 위치된 기계적 밀봉재들로 인하여, 상기 외측 용기내의 물은 상기 추출 재료 홀더측으로 향해, 그리고 액체 유도 튜브와 내측 용기측으로 향해 상부로 밀려 올려진다. 추출 과정이 종료된다. 추출 압력은 손에 의한 가압으로서 생성되고, 손의 가압 힘과 속도, 상기 추출 재료 홀더의 유입 단면적, 액체 배출을 위한 배출 단면적 및 추출 재료의 입자 크기와 같은 조합 인자(factor)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추출 압력은 수작업에 의한 압력으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이상적인 엑스프레소 준비 조건인 8-9 바의 압력이 쉽게 얻어질 수 있다. 93℃의 수온과 20-25 초의 추출 시간도 역시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매우 높은 품질의 엑스프레소 준비를 구현할 수 있다.
프렌치 프레스용:
외측 용기의 내부에 추출 재료를 넣는다. 적절한 온도의 더운 물을 적정 량 채운다. 혼합물을 저어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1-2분 방치한다. 추출 재료 홀더를 제거한다. 메쉬 필터를 상기 내측 용기의 하부면에 직접 조립한다.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상기 내측 용기를 손으로 가압하면, 외측 용기내의 액체는 메쉬 필터를 통해서 내측 용기측으로 흘러들어 온다. 추출 재료는 메쉬 필터에 의해서 외측 용기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추출된 음료수 액체는 내측 용기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추출 과정이 종료된다.
드립핑(dripping) 용:
내측 용기로부터 추출 재료 홀더를 제거한다. 메쉬 필터를 내측 용기의 하부면에 조립한다. 외측 용기의 상부에 내측 용기를 놓는다. 상기 내측 용기에 추출 재료를 넣는다. 적절한 온도의 더운 물을 적정 량 내측 용기의 내부에 채운다. 물은 추출 재료와 메쉬 필터를 통하여 흐르고, 외측 용기 내로 떨어져서 들어간다. 추출 공정이 종료된다.
현재 시장에서 구입가능한 종래의 추출 장치에 비교하여, 상기 제시된 본 발명의 장치가 우수한 점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A. 추출 품질:
엑스프레소에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얻어지는 유효 압력은 커피 분말상에서 8-9 바의 압력일 수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인식되는 압력 값이다. 최종 사용자는 물 온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문가적인 수준에서 엑스프레소 추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장치에 의해서 얻어지는 엑스프레소는 전기적 펌프를 사용하는 커피 장치에 의해서 얻어진 것과 동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장치는 8-9 바의 유효 압력, 대략 93℃의 물 온도 및 대략 20초의 추출 시간 등의 엑스프레소 추출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프렌치 프레스에서: 상기 개시된 장치의 작동 메카니즘은 기존의 프렌치 프레스 장치와 다르지 않다. 상기 개시된 장치의 추출 품질은 기존의 전통적인 프렌치 프레스의 것과 동일하다.
가압 프렌치 추출에서: 상기 개시된 장치는 추출 과정에서 대략 1 바의 압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기존의 방식에 의해서 얻어진 것보다도 강한 맛의 보다 우수한 품질의 커피를 생산할 수 있다.
드립핑에서: 상기 개시된 장치의 작동 메카니즘은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개시된 장치의 추출 품질은 기존의 전통적인 드립핑 커피(수작업 커피)의 것과 동일하다.
B. 여과 품질
여과 품질은 활성 탄소 입자들의 흡착 능력에 의존한다. 다른 종류의 활성 탄소 입자들은 다른 여과 품질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개시된 장치는 동일 타입의 활성 탄소 입자들이 구비된 다른 물 여과장치들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장치는 부가적인 여과 재료가 추가되면, 보다 양호한 여과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C. 사용 품질
기존의 시장에서, 엑스프레소는 전기적 펌프를 사용하는 커피 장치를 사용하여 생산되었다. 엑스프레소 음료는 전기적 펌프 커피 장치가 설치된 특정 장소에서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본 발명의 장치는 이동식, 소형의 작동이 쉬운 구조로서, 더운 물이 있거나, 물을 덥힐 수 있는 다른 가열원이 있는 경우에는 엑스프레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장치에서는, 엑스프레소가 인스턴트 커피와 같이 쉽게 얻어질 수 있다(용기는 음료수 컵으로서도 사용가능함).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엑스프레소 추출이 여러 장소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장치는 고품질의 엑스프레소를 제작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필요 조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시장에서 판매되는 기존의 비전원 펌프식 장치로서는 얻어질 수 없다.
상기 개시된 본 발명의 장치는 다기능이고, 기존의 커피 장치에서 장치 타입별로 단지 한가지의 추출만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완전히 일소시킨다. 상기 개시된 장치를 통하여, 최종 사용자는 그들의 취향에 따라서 여러 가지 추출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D. 상기 개시된 장치는 간단한 구조, 저가의 제조 비용을 갖고, 시장에서 판매되는 기존의 것에 비해서 이동식의 우수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상기 개시된 장치는 금속, 플라스틱 및 다른 재료들로서 제작될 수 있다. 외측 용기는 상기 언급된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적절한 온도의 더운 물을 담을 수 있다. 열 내구성 재료로 제작되는 외측 용기는 차가운 물을 원하는 고온으로 가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전기 펌프식 커피 장치에 비교하여 보면, 상기 개시된 본 발명의 장치는 고품질의 엑스프레소 추출을 얻을 수 있고, 비용적, 사용상의 편리함, 친환경적, 이동성 및 여러 가지 측면에서 명백한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A)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움직인 위치에서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A)의 내측 용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A)의 외측 용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는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A)의 내측 용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B)의 구조도이다.
도 6은 움직인 위치에서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B)의 내측 용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7은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B)의 외측 용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8은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B)의 내측 용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9는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B)의 나선 구조 압력 생성 튜브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0은 이동식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C)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움직인 위치에서 이동식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C)의 내측 용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2는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C)의 외측 용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3은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C)의 내측 용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4는 이동식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C)의 내측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추출 재료 홀더는 장착되어 있지 않지만, 메쉬 필터가 장착된 구조도이다.
도 15는 이동식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C)의 추출 재료 홀더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6은 이동식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C)의 메쉬 필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실시 예 1: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A)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외측 용기(1)(도 3에 도시) 및 내측 용기(2)(도 4에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내측 용기(2)는 외측 용기(1)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내측 용기(2)는 외측 용기(1) 내에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분리되어 외부로 빠질 수 있다. 상기 외측 용기는 밀봉된 하부면(3)을 갖는다. 상기 내측 용기는 하부면에 메쉬 필터(4)를 갖는다. 상기 메쉬 필터 하부에는 물 차단판(15)이 위치되어 있다. 물 차단판은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구멍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내측 용기 내의 공간은 다공성 분리판(5)에 의해서 상부 내측 공간(6)과 하부 내측 공간(7)으로 구획된다. 상기 하부 내측 공간(7)은 탈착 가능하다. 밀봉 링(10)이 상기 외측 용기의 내부 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메쉬 필터(4)와 다공성 분리판(5)들은 탈착 가능하다.
음료수 추출 과정:
엑스프레소 가압추출:
85-90℃의 더운 물을 외측 용기(1)의 내부에 채우고, 커피 분말을 내측 용기의 하부 내측 공간(7)으로 채운 다음, 상기 내측 용기(2)를 외측 용기(1)의 내부로 밀어 넣고, 내측 용기를 하향으로 가압하여 누른다. 상기 내측 용기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외측 용기(1) 내의 더운 물은 2개의 용기들 사이의 공기밀봉 공간 내에서 가압되고, 하부 내측 공간(7)을 통해서 상부측으로 흐르며, 내측 용기의 상부 내측 공간(6)으로 흐른다. 추출과정이 종료된다.
프렌치 프레스 추출:
외측 용기(1)의 내부에 커피 분말을 넣고, 85-90℃ 온도의 더운 물을 외측 용기(1) 내에 채우며, 혼합물을 저어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1-2분 방치한다. 다공성 분리판(5)과 물 차단판(15)을 내측 용기(2)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고 하향으로 가압한다. 커피 분말은 메쉬 필터에 의해서 외측 용기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추출된 음료수 액체는 내측 용기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추출 과정이 종료된다.
가압 프렌치 추출:
외측 용기의 내부에 커피 분말을 넣고, 85-90℃ 온도의 더운 물을 채우며, 혼합물을 저어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1-2분 방치한다. 다공성 분리판(5)을 제거하고, 상기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물 차단판(15)의 개방 면적은 외측 용기의 개구부보다 작기 때문에, 외측 용기의 내부에서 내측 용기를 하향으로 가압시키는 과정에서 압력이 생성된다. 액체는 추출 과정 도중에 내측 용기로 흘러들어가게 된다(대략 1 바의 압력으로). 이와 같은 가압 프렌치 프레스 추출 방법은 전통적인 기존의 프렌치 프레스 추출로부터 얻어진 것보다 강한 맛을 얻을 수 있다.
드립핑(dripping) 추출:
물 차단판(15)과 다공성 분리판(5)을 제거한다. 커피 분말을 내측 용기(2) 내에 넣는다. 상기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 위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적절한 량의 더운 물을 내측 용기의 내부에 채운다. 물은 분말을 통하여 흐르고, 메쉬 필터를 통과하여 외측 용기 내로 떨어져서 들어간다. 추출 공정이 종료된다.
티 추출:
개인의 맛 취향에 따라서, 티 추출은 상기 설명된 방법들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짧은 시간의 추출로 인하여, 차 잎사귀로부터의 몇몇 유해 물질들이 음료수 내로 추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방법들 모두는 전통적인 기존의 물에 담궈 달이는(steeping) 추출 방법보다 우수한 것이다.
실시 예 2: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B)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외측 용기(1)(도 7에 도시) 및 내측 용기(2)(도 8에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내측 용기(2)는 외측 용기(1)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내측 용기(2)는 외측 용기(1) 내에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분리되어 외부로 빠질 수 있다. 상기 외측 용기는 밀봉된 하부면(3)을 갖는다. 상기 내측 용기는 메쉬 필터(4)를 갖는다. 상기 메쉬 필터 하부에는 물 차단판(15)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용기는 다공성 분리판(5)에 의해서 상부 내측 공간(6)과 하부 내측 공간(7)으로 구획된다. 밀봉 링(10)이 상기 내측 용기의 외부 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내측 공간(6)과 하부 내측 공간(7)들은 나선형 트랙(11)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압력 균형 장치(12)가 상기 외측 용기(1)의 하부면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압력 균형 장치는 공기 구멍을 갖추며, 스프링 장착 나사식 밀봉 캡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 용기는 상기 나사식 밀봉 캡이 잠궈지면, 완전히 밀봉상태로 유지된다. 나사식 밀봉 캡이 헐거워진 상태에서는, 공기는 상기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 사이의 공간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나선 구조 압력 생성 튜브가 외측 용기 상에 위치되며, 내측 용기에 연결되고,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나선 구조 압력 생성 튜브는 나선형 트랙, 상부 및 하부 개구부를 갖는 튜브 구조체(13) 및 핸들(14)을 갖는다. 상기 핸들은 튜브 구조체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나선형 트랙(132,131)은 외측 용기의 외부 측벽과, 튜브 구조체의 내부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용기와 튜브 구조체의 측벽 연결부들은 서로 일치하는 실린더 형상과 나선형 트랙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튜브 구조체의 상단부에 위치한 플랜지(133)는 상기 내측 용기의 상부 모서리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덮는다. 탈착 가능한 액체 유도 튜브(8)가 상기 다공성 분리판(5) 상에 놓여진다. 상기 액체 유도 튜브의 하단부는 상기 다공성 분리판(5)의 윤곽에 일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는 액체 배출을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압력 밸브(9)가 상기 튜브의 출구에 위치되어 있다.
여러 가지 추출 과정:
엑스프레소 가압추출:
85-90℃의 적절한 더운 물을 외측 용기(1)의 내부에 채운다. 커피 분말을 하부 내측 공간(7)으로 채운 다음, 상기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고, 외측 용기의 내부로 하향 가압하여 누른다. 상기 내측 용기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외측 용기(1) 내의 더운 물은 2개의 용기들 사이의 공기밀봉 공간 내에서 가압되고, 하부 내측 공간(7)을 통해서 상부측으로 흐르며, 내측 용기의 상부 내측 공간(6)으로 흐르고, 추출과정을 종료한다.
프렌치 프레스:
외측 용기(1)의 내부에 커피 분말을 넣고, 85-90℃ 온도의 더운 물을 외측 용기(1) 내에 채우며, 혼합물을 저어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1-2분 방치한다. 다공성 분리판(5), 액체 유도 튜브(8), 압력 밸브(9) 및 물 차단판(15)을 내측 용기(2)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고, 하향으로 가압하여 누른다. 커피 분말은 메쉬 필터에 의해서 외측 용기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추출된 음료수는 내측 용기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추출 과정이 종료된다.
가압 프렌치 프레스:
외측 용기(1)의 내부에 커피 분말을 넣고, 85-90℃ 온도의 더운 물을 채우며, 혼합물을 저어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1-2분 방치한다. 다공성 분리판(5)과 액체 유도 튜브(8)를 내측 용기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상기 물 차단판(15)의 개방 면적은 외측 용기의 개구부보다 작기 때문에, 외측 용기 내부로의 내측 용기의 하향 가압과정 도중에 압력이 생성된다. 액체는 추출 과정 도중에 내측 용기로 흘러들어가게 된다(대략 1 바의 압력으로). 이와 같은 가압 프렌치 프레스 추출 방법은 전통적인 기존의 프렌치 프레스 추출로부터 얻어진 것보다 강한 맛의 음료수를 얻을 수 있다.
드립핑(dripping):
다공성 분리판(5), 액체 유도 튜브(8), 압력 밸브(9) 및 물 차단판(15)을 내측 용기(2)로부터 제거한다. 그 다음 커피 분말을 내측 용기(2) 내에 넣는다. 상기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 위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적절한 량의 더운 물을 내측 용기의 내부에 채운다. 물은 분말을 통하여 흐르고, 메쉬 필터를 통과하여 외측 용기 내로 떨어져서 들어가고, 추출 공정을 종료한다.
티 추출:
개인의 맛 취향에 따라서, 티 추출은 상기 설명된 방법들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짧은 시간의 추출로 인하여, 티(tea)로부터의 몇몇 유해 물질들이 음료수 내로 추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방법들 모두는 전통적인 기존의 물에 담궈 달이는(steeping) 추출 방법보다 우수한 것이다.
실시 예 3:
다기능 음료수 추출장치(C)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으며, 외측 용기(1)(도 12에 도시) 및 내측 용기(2)(도 13에 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내측 용기(2)는 외측 용기(1)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내측 용기(2)는 외측 용기(1) 내에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분리되어 외부로 빠질 수 있다. 상기 외측 용기는 밀봉된 하부면(3)을 갖는다. 상기 내측 용기는 추출 재료 홀더(4)를 갖는다. 상기 추출 재료 홀더는 추출 재료를 담아서 유지하기 위한 내측 챔버(12), 다공성 분리판(9) 및 액체 유도 튜브(13)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 재료 홀더의 하부면에는 물 차단판(7) 또는 다공성 분리판이 위치되어 있다. 메쉬 필터(5)가 내측 용기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물 차단판(7) 또는 다공성 분리판이 생략가능하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메쉬 필터(5)는 상기 추출 재료 홀더의 하부면이 되고, 내측 용기에 접촉한다.물 차단판이 상기 추출 재료 홀더에 부가되면, 이는 메쉬 필터 상에 놓여진다. 상기 메쉬 필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6)를 포함한다. 기계적인 밀봉 링(8)들이 외측 용기의 내부 측벽과, 내측 용기의 외부 측벽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밀봉 링들은 내측 용기의 외부 측벽 또는 외측 용기의 내부 측벽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재료 홀더, 메쉬 필터 및 물 차단판들은 탈착 가능한 부품들이다. 단지 메쉬 필터만을 구비한 추출 재료 홀더가 도 14에 도시되어있다. 상기 추출 재료 홀더의 상세 구조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그 상부에 다공성 분리판(9)을 갖는다. 이는 내측 챔버(12)를 구비하며, 다공성 분리판(9), 추출 재료 홀더(4)의 내부 측벽 및 물 차단판(7) 들에 의해서 에워싸여 있다. 액체 유도 튜브(13)가 다공성 분리판(9)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액체 유도 튜브는 하나의 하부면을 구비하여 다공성 분리판(9)을 통하여 상기 내측 챔버에 연결되고, 그 상단부에는 액체 배출구(14)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 용기에 연결된다. 따라서 추출된 액체는 압력 밸브(15)를 통하여 내측 용기의 내부 공간(11)으로 흘러들어간다. 액체 유도 튜브와 추출 재료 홀더들은 하나의 통합된 보조 조립체 또는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들을 연결시킨 후에는, 상기 외측 용기의 체적(10)은 추출 재료 홀더(4)를 통하여 내부 공간(1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2가지 방식으로, 물 여과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한가지 방식은 활성 탄소 또는 다른 여과 재료들을 추출 재료 홀더 내에 넣는다. 다른 방식은 활성 탄소 또는 다른 여과 재료들을 내측 용기 내에 넣고, 상기 내측 용기를 외측 용기의 상부에 배치하고서 임의의 오염된 물을 내측 용기의 내부로 부어 넣는다.
추출 과정:
엑스프레소 가압추출:
적절한 온도의 더운 물을 외측 용기(1)의 내부에 채운다. 커피 분말을 추출 재료 홀더 내에 채운다. 내측 용기(2)를 외측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고, 하향 가압하여 누른다. 상기 외측 용기 내의 더운 물은 2개의 용기들 사이의 공기밀봉 공간 내에서 생성된 압력에 의해서 상부측으로 밀어 올려지며, 추출 재료 홀더와 액체 유도 튜브(13)를 통하여 흐르고, 내부 공간(11)으로 유입하며, 추출과정을 종료한다.
프렌치 프레스:
외측 용기(1)의 내부에 커피 분말을 넣는다. 적절한 온도의 더운 물을 채운다. 혼합물을 저어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1-2분 방치한다. 추출 재료 홀더(4) 및 물 차단판(7)을 제거한다. 상기 내측 용기(2)의 하부면 상에 메쉬 필터(5)를 씌운다. 상기 내측 용기(2)를 외측 용기(1)의 내부로 밀어 넣고, 하향으로 가압하여 누른다. 커피 분말은 메쉬 필터에 의해서 외측 용기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추출된 음료수는 내측 용기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추출 과정이 종료된다.
가압 프렌치 프레스:
외측 용기(1)의 내부에 커피 분말을 넣는다. 적절한 온도의 더운 물을 채운다. 혼합물을 저어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1-2분 방치한다. 추출 재료 홀더(4) 및 물 차단판(7)을 제거한다. 상기 내측 용기(2)의 하부면 상에 메쉬 필터(5)를 씌운다. 상기 내측 용기(2)를 외측 용기(1)의 내부로 밀어 넣고, 하향으로 가압하여 누른다. 상기 물 차단판의 개방 면적은 외측 용기의 개구부보다 작기 때문에, 외측 용기 내부로의 내측 용기의 하향 가압과정 도중에 압력이 생성된다. 액체는 추출 과정 도중에 내측 용기로 흘러들어가게 된다(대략 1 바의 압력으로). 이와 같은 가압 프렌치 프레스 추출 방법은 전통적인 기존의 프렌치 프레스 추출로부터 얻어진 것보다 강하고 보다 풍미있는 맛을 얻을 수 있다.
드립핑(dripping):
추출 재료 홀더(4) 및 물 차단판(7)을 내측 용기(2)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내측 용기의 하부면 상에 메쉬 필터(5)를 씌운다. 커피 분말을 내측 용기(2) 내에 넣는다. 상기 내측 용기(2)를 외측 용기(1) 위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적절한 온도의 더운 물 적정 량을 내측 용기(1)의 내부에 채운다. 물은 추출 재료를 통하여 흐르고, 메쉬 필터를 통과하여 외측 용기 내로 떨어져서 들어간다. 추출 공정이 종료된다.
티 추출:
개인의 맛 취향에 따라서, 티 추출은 상기 설명된 방법들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짧은 시간의 추출로 인하여, 티(tea)로부터의 몇몇 유해 물질들이 음료수 내로 추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방법들 모두는 전통적인 기존의 물에 담궈 달이는(steeping) 추출 방법보다 우수한 것이다.

Claims (14)

  1. 외측 용기와 내측 용기를 갖고, 상기 내측 용기는 외측 용기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외측 용기는 밀봉된 하부면을 갖고; 상기 내측 용기는 그 하부면에 추출 재료 홀더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내측 용기는 그 하부면에 메쉬 필터, 또는 물 차단판, 또는 다공성 분리판을 갖고; 상기 외측 용기의 내부 측벽과 상기 내측 용기의 외부 측벽들 사이에는 밀봉 메카니즘을 구비한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재료 홀더는 그 하부면에 물 차단판 또는 다공성 분리판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용기들 사이의 공간은 상기 추출 재료 홀더를 통해서 내측 용기의 내부 공간에 유체 연통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메카니즘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밀봉 링들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재료 홀더는 탈착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필터는 탈착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차단판은 탈착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 분리판은 탈착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재료 홀더는 그 내부에 고체-액체 분리부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액체 분리부는 다공성 분리판 또는 메쉬 필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액체 유도 튜브를 추가 포함하고, 그 일단부는 고체-액체 분리부에 연결되며, 그 타측 단부는 상기 내측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여 개방된 배출구이고; 상기 추출 재료 홀더는 상기 액체 유도 튜브를 통하여 상기 내측 용기의 내부 공간에 유체 연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도 튜브는 상기 추출 재료 홀더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추출 재료 홀더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물을 정화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장치.
  13. 엑스프레소, 프렌치 프레스 커피, 드립핑 커피 또는 티를 추출하도록 동작하는 제1항의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14. 외측 용기 내에 사전에 결정된 량 및 사전에 결정된 온도의 물을 채우고; 추출 재료 홀더 내에는 추출 재료를 넣으며; 상기 외측 용기 내로 내측 용기를 밀어 넣고; 상기 외측 용기에 대해 내측 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외측 용기 내의 물이 상기 추출 재료 홀더를 통해서 직접 내측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흘러들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외측 용기 내의 물이 상기 추출 재료 홀더와 액체 유도 튜브를 통해서 내측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흘러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3항의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117007261A 2008-09-27 2009-09-24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20110063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200659.6 2008-09-27
CN200810200659 2008-09-27
CN200810169335.0 2008-10-09
CN2008101693350A CN101683238B (zh) 2008-09-27 2008-10-09 多功能饮料萃取装置及其应用
CN 200910045194 CN101461664B (zh) 2009-01-12 2009-01-12 便携多功能咖啡萃取装置及其应用
CN200910045194.6 2009-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504A true KR20110063504A (ko) 2011-06-10

Family

ID=4207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261A KR20110063504A (ko) 2008-09-27 2009-09-24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83560A1 (ko)
EP (1) EP2353468A4 (ko)
JP (1) JP2012503503A (ko)
KR (1) KR20110063504A (ko)
AU (1) AU2009298293A1 (ko)
WO (1) WO20100373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20B1 (ko) * 2012-12-26 2015-07-17 김철구 커피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7623B2 (en) * 2011-06-21 2014-11-18 Samuel GIORDANO Device for removing spent flavor base from a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20140175131A1 (en) * 2012-12-21 2014-06-26 David Abrams Content Dispensing Container Apparatus
TW201509354A (zh) 2013-06-03 2015-03-16 Starbucks Corp Dba Starbucks Coffee Co 沖泡飲料的設備及其使用
CN103479224B (zh) * 2013-10-23 2016-01-06 赵凯 一种小型手动压力咖啡壶
KR101431725B1 (ko) 2013-11-05 2014-08-20 제이원에너지 주식회사 휴대용 음료 추출·정수 기구
AT515309B1 (de) * 2014-04-30 2015-08-15 Günter Wedl Filter für automatische Kaffeemaschinen
CN104783661B (zh) * 2015-04-13 2018-05-01 方卫国 一种负压饮水机
CN104957317B (zh) * 2015-07-07 2018-05-29 北京百奥泰格科技有限公司 一种萃取容器
CA3014084C (en) * 2016-02-11 2019-02-26 Alan Paul KALBFLEISCH Beverage maker
WO2017210554A1 (en) 2016-06-02 2017-12-07 Herndon Jeffrey R Container assembly and accessories therefor
CN106063678A (zh) * 2016-08-16 2016-11-02 宝客(上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活力水水杯滤网
CN106419560B (zh) * 2016-11-30 2019-05-28 武汉工程大学 增压式便携咖啡萃取设备
US11638891B2 (en) * 2017-05-23 2023-05-02 Kohler Co. Water filter system
DE102017112677A1 (de) * 2017-06-08 2018-12-13 Felix Fischer Filtersystem zur Zubereitung von Getränken mittels eines Getränkesubstrats
CN109316006A (zh) * 2017-07-31 2019-02-1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用于净水杯的滤芯及净水杯
CN109527996A (zh) * 2018-12-20 2019-03-29 佛山市顺德区华酷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手动压力式咖啡机
CN110825131B (zh) * 2019-11-26 2021-11-16 安徽德睿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plc的智能控制装置
US20220338661A1 (en) * 2021-04-27 2022-10-27 Robert J. Becker Portable self-contained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CN113368535B (zh) * 2021-05-18 2022-07-26 吉林农业大学 一种小分子生物质萃取提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2565A (en) * 1924-10-14 1925-09-08 Charles D Morton Machine for making infusions
US2997940A (en) * 1958-05-21 1961-08-29 Ref Mfg Corp Method and canister means for making beverages
US3799342A (en) * 1970-07-27 1974-03-26 Medical Res & Dev Inc Method of using a serum separator
GB2070917A (en) * 1980-01-22 1981-09-16 Howitt G Preparation of beverages
DK157057C (da) * 1987-08-18 1990-04-09 Wittenborg As Fremgangsmaade til portionsvis brygning af drikke, saasom friskbrygget kaffe, samt et apparat til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og et indre baeger til brug i naevnte apparat.
CN2066287U (zh) * 1990-04-09 1990-11-28 楼一成 滤渣、温热两用饮料杯
GB9305460D0 (en) * 1993-03-17 1993-05-05 Gen Food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everage preparation
GB9912149D0 (en) * 1999-05-26 1999-07-28 Holding Edwin J Receptacle for beverage
AUPQ476599A0 (en) * 1999-12-21 2000-02-03 Maynard, John C. Manual coffee maker
TWI250863B (en) * 2001-09-20 2006-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ffee maker
US6797160B2 (en) * 2001-10-15 2004-09-28 I-Chung Huang Percolating steeper
US6561080B1 (en) * 2001-12-04 2003-05-13 James E. Feeney Screw press coffee brewing apparatus
SE0301937D0 (sv) * 2003-07-01 2003-07-01 Blue Air Ab Vattenfilter
US20050120886A1 (en) * 2003-12-03 2005-06-09 Shao-Wen Chen Infusion tea maker
JP2008505749A (ja) * 2004-07-06 2008-02-28 コリア バイオ テクノロジー エンタ. アルカリ水の還元容器
US7578231B2 (en) * 2004-07-30 2009-08-25 Pacific Cornetta, Inc. Plunger and lid apparatus for a beverage press and a beverage press having same
US8038916B2 (en) * 2005-07-27 2011-10-18 Ntn Corporation Solid-liquid separating method, solid-liquid separator and solidified product
WO2007036864A1 (en) * 2005-09-28 2007-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nually operable water purifying device
CN2850479Y (zh) * 2005-11-29 2006-12-27 赵凯 一种能够制作浓咖啡的滤网
CN200950975Y (zh) * 2006-07-14 2007-09-26 邢立勇 组合冲泡杯
US20090229472A1 (en) * 2008-03-12 2009-09-17 Ferrara Jr Daniel A Brewing system and packaging
CN201243955Y (zh) * 2008-09-27 2009-05-27 陈一儒 多功能饮料萃取装置
CN101461664B (zh) * 2009-01-12 2013-01-23 陈一儒 便携多功能咖啡萃取装置及其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20B1 (ko) * 2012-12-26 2015-07-17 김철구 커피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3560A1 (en) 2011-04-14
JP2012503503A (ja) 2012-02-09
EP2353468A1 (en) 2011-08-10
WO2010037340A1 (zh) 2010-04-08
AU2009298293A1 (en) 2010-04-08
EP2353468A4 (en)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3504A (ko) 이동식 다기능 커피 추출 장치 및 그 사용방법
US4386109A (en) Microwave expresso coffee maker and process
US91797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and the like
US3695168A (en) Drip coffee maker
CN101683238B (zh) 多功能饮料萃取装置及其应用
JP2013146565A (ja) 圧縮ドリップ式コーヒーメーカー
US20130213240A1 (en) Portable brewing device
US4143590A (en) Coffee maker assembly
CN101461664B (zh) 便携多功能咖啡萃取装置及其应用
CA2089916A1 (en) Device for preparing hot drinks from a liquid and a drink medium
CA2959892A1 (en) Coffee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83717A1 (en) Improve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one or a plurality of beverages
JP4814554B2 (ja) 飲料水抽出製造機
US2345146A (en)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and/or tea
CN201243955Y (zh) 多功能饮料萃取装置
US20140182458A1 (en) Microwave Beverage Cartridge Holder
HU18891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ream coffee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CN109310228B (zh) 饮料冲泡器
CN108185810B (zh) 下压腔的压力方法
CN102578915B (zh) 具有双室的饮料制备机器
CN208551256U (zh) 下压腔及水壶
CN208404157U (zh) 手压腔及水壶
US10674862B1 (en) Coffee brewing apparatus
US3396654A (en) Coffe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