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749A - Sea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ea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749A
KR20110062749A KR1020090119571A KR20090119571A KR20110062749A KR 20110062749 A KR20110062749 A KR 20110062749A KR 1020090119571 A KR1020090119571 A KR 1020090119571A KR 20090119571 A KR20090119571 A KR 20090119571A KR 20110062749 A KR20110062749 A KR 20110062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eat
coupled
plate holder
lin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38849B1 (en
Inventor
이현기
성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849B1/en
Publication of KR2011006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8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seat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maximally reduce injuries in a rear-end collision by enabling a seat back to maximally absorb shock applied to the seat. CONSTITUTION: A seat for a vehicle comprises a base bracket(5), a plate holder(12), a connection link, and a balance spring(16). The base bracket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a seat cushion frame. Guide grooves are formed in both end of the base bracket. One end of the plate holder is coupled to the base bracket through a movable guide shaft,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an extra bracket.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k is coupled to the base bracket through an upper link pi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plate holder through a lower link pin. The balance spring allows the plate holder to be rearward rotated to the base bracket and restricts the rear movement of the plate holder.

Description

차량용 시트{Seat for vehicle}Seat for vehicle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후방 추돌 사고 시 시트 착석자의 등과 허리 및 목 부위 상해치를 최대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at for reducing the injury to the back and neck of the seat occupant during the rear collision accident as much as possible.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석시 안락감을 줄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후방 추돌 사고와 같은 응급상황 발생 시 착석자를 충분히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In general, the seat provided in the vehicle should not only be able to give comfort when seating, but also should serve to sufficiently protect the occupant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rear collision.

차량용 시트는 착석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 상기 시트백의 상단에는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착석자의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t for the vehicle includes a seat cushion for supporting the lower body of the seater, a seat back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seater, and the upper end of the seatback is coupled to adjust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head and neck of the seat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drest (headrest).

한편, 후방 추돌을 당하는 사고에서는 시트 착석자의 목 부위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데, 이를 휘프래쉬 상해(whiplash injury)라 부른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rear collision, the neck part of the seat occupant is very frequently injured, which is called a whiplash injury.

이러한, 휘프래쉬 상해 즉 목 부위의 상해는 착석자의 상체와 머리 사이의 상대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후방 추돌시 시트백의 충격으로 착석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머리는 그 자리에 있으려 하여 목 부위에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전단력은 목의 관절 및 근육에 급격한 충격을 미침은 물론 목 부위 관절의 상해까지 초래하게 된다.Such a whiplash injury, or neck injury, is known to be caused by a difference in relative spe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head of the seated person. The back of the seat moves the body forward due to the impact of the seatback during the rear collision while the head remains in place. The shear force acts on the neck area, and the shear force causes a sharp impact on the joints and muscles of the neck as well as injury to the neck joints.

이를 예방하기 위해, 추돌 사고 시 헤드레스트가 착석자의 머리와 인접한 위치로 상승 이동하도록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목 부상을 최대한 경감시키도록 하고 있는 추세이다.To prevent this, an active headrest has been developed that allows the headrest to move up close to the head of the seater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re is a trend.

상기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시트백내에 구비된 구동장치가 시트 착석자의 상체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된 것이 일반적이며, 작동시 헤드레스트는 시트백프레임에 대해서 시트 착석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대략 5°정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트 착석자의 머리를 향해 상승 이동하여 시트 착석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게 된다.The active headrest is generally operated such that the driving device provided in the seatback receives pressure from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and the headrest is inclined about 5 °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at occupant with respect to the seatback frame. While supporting the seat occupant's head to move up to support the seat occupant's back head.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시트는 추돌 사고 시 시트백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추돌 사고 시 발생한 관성력에 의해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한 후 재차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시트백에 강하게 부딪혀서 충격을 받게 됨으로써, 등과 허리부위의 상해가 가중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ehicle seat, since the position of the seatback is fix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is moved to the front by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and then hits the seatback strongly when moving to the rear again. By being shock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isk of injury to the back and back.

또한, 추돌 사고 시 시트백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인 반면 상기와 같은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시트 착석자의 머리를 향해 상승 이동하기 때문에, 시트 착석자의 머리가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 후 재차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강하게 부딪혀서 목 상해를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ile the seatback position is fix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active headrest as described above moves upward toward the seat occupant's head, so that when the head of the seat occupant moves forward by the inertia force and then moves backward again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an be hit hard to the active headrest to increase the neck injur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추돌 사고 시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시트백과 접촉할 때에 상기 시트백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개선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시트백에 강하게 부딪혀서 충격을 받는 현상 및 시트 착석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강하게 부딪혀서 충격을 받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여, 시트 착석자의 등과 허리 및 목 부위 상해치를 최대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mproving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at a certain angle while moving the seat back when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contacts the seat back in the event of a collision, seat seating A vehicle seat that allows the upper body of the child to hit the seat back so as to be shocked and the seat occupant's head to the head restrained by the strong impact of the head restraint.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시트는, 시트쿠션프레임의 후방쪽 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양단이 전후방쪽에 위치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베이스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샤프트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백프레임에 구비된 엑스트라브라켓과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된 플레이트홀더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어퍼링크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홀더에 로어링크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샤프트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후방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플레이트홀더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해 후방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링크와; 상기 어퍼링크핀에 감겨진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 기 로어링크핀의 후방쪽 면에 지지 설치되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의 자유로운 후방 이동을 구속하는 밸런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bracket formed with guide groove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seat cushion frame, both ends are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A plate hol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se bracket via a guide shaft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extra bracket provided on the seat back frame to allow relative rotation;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bracket via an upper link pin,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late holder via a lower link pin so that the plate is moved upward and rearward along the guide groove. A connecting link for allowing the holder to rotate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bracket; A balance spring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base bracket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link pi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link pin is wound around the upper link pin to restrain the rear movement of the plat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에 의하면, 추돌 사고 시 발생한 관성력에 의해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한 후 재차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백과 접촉할 때에, 상기 시트백이 시트 착석자의 상체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일정구간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상기 시트백이 충격을 흡수하면서 시트 착석자의 상체와 강하게 부딪히는 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등과 허리부위의 상해치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시트 착석자의 후두부가 헤드레스트에 강하게 부딪히는 현상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목 부위 상해치도 크게 경감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is moved forward by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accident, and the rear seat is in contact with the seat back while moving backward again, the seat back is moved backward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with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At the same time, since the seat back is absorbed by the shock, the seat back absorbs the shock, and thus eliminates a strong collision with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thereby reducing the injury of the seat occupant's back and waist, and at the same time, the back head of the seat occupant By being able to eliminate the phenomenon of hitting the headrest strongly, the neck injury of the seat occupant can also be greatly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착석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1)과, 시트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2)과, 시트 착석자의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7,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cushion 1 supporting the lower body of the seat occupant, a seat back 2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a head of the seat occupant, and And a headrest 31 supporting the neck.

여기서, 상기 시트쿠션(1)과 상기 시트백(2)은 각각 시트쿠션프레임(3)과 시트백프레임(4)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3)의 후방쪽 측면에는 양단이 전후방쪽에 위치하는 가이드홈(51a)이 형성된 베이스브라켓(5)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시트백프레임(4)의 측면에는 엑스트라브라켓(6)이 고정 설치 된다.Here, the seat cushion (1) and the seat back (2) is composed of a frame formed by the seat cushion frame (3) and the seat back frame (4), respectively, both ends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cushion frame (3) The base bracket 5 having the guide groove 51a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extra bracket 6 is fixedly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seat back frame 4.

상기 시트백프레임(4)의 좌우측 안쪽면에는 회전링크(7)가 스프링(8)을 매개로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전링크(7)의 일단에는 조작케이블(9)의 일단이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회전링크(7)의 타단에는 시트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10)가 상기 시트백프레임(4)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Rotating link 7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seat back frame 4 so as to be elastically rotatable via a spring 8, and one end of the operating link 9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link 7. One end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link 7 is provided with a back plate 10 supporting the seat occupant's back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frame 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는, 일단은 상기 가이드홈(51a)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샤프트(11)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브라켓(5)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엑스트라브라켓(6)과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된 플레이트홀더(12)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5)에 어퍼링크핀(1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홀더(12)에 로어링크핀(14)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샤프트(11)가 상기 가이드홈(51a)을 따라 후방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플레이트홀더(12)가 상기 베이스브라켓(5)에 대해 후방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링크(15)와, 상기 어퍼링크핀(13)에 감겨진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5)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로어링크핀(14)의 후방쪽 면에 지지 설치되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2)의 자유로운 후방 이동을 구속하는 밸런스스프링(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coupled to the base bracket (5) via a guide shaft 11 that is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51a) and the other end is rotated relative to the extra bracket (6) The plate holder 12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be possibl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bracket (5) via the upper link pin (13)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link pin 14 to the plate holder (12) Rotatably coupled to the plate holder 12 so that the plate holder 12 can rotate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bracket 5 when the guide shaft 11 moves upwardly rearward along the guide groove 51a. In a state in which the link link 15 and the upper link pin 13 is installed in a wound stat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base bracket 5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link pin 14. Support-installed Then it comprises a balance spring (16) for restraining the free rear movement of the plate holder (12).

상기 베이스브라켓(5)은 상기 가이드홈(51a)이 형성된 메인브라켓(51)과, 상기 밸런스스프링(16)의 일단이 걸려져 고정되는 스프링돌기(52a)를 구비한 커버브라켓(52)으로 구성된다.The base bracket 5 includes a main bracket 51 having the guide groove 51a and a cover bracket 52 having a spring protrusion 52a on which one end of the balance spring 16 is engaged and fixed. do.

상기 메인브라켓(51)과 상기 커버브라켓(52)은 상기 메인브라켓(51)과 상기 커버브라켓(52) 사이에 작동공간이 구비되도록 다수개의 결합핀(17)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메인브라켓(51)과 상기 커버브라켓(52) 사이에 작동공간속에 상기 가이드샤프트(11)를 포함한 상기 플레이트홀더(12)의 하단부 및 상기 연결링크(15)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main bracket 51 and the cover bracket 52 are coupled via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17 so that an operating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racket 51 and the cover bracket 52, and the main bracket The lower end of the plate holder 12 including the guide shaft 11 and the connecting link 15 are positioned between the 51 and the cover bracket 52 in the working space.

한편, 상기 가이드홈(51a)은 상기 메인브라켓(51)의 전방쪽 하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구간(51a-1)과, 상기 경사구간(51a-1)의 끝에서 상측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상승구간(51a-2)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groove 51a is an inclined section 51a-1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front lower end of the main bracket 51 toward the rear and toward the upper front at the end of the inclined section 51a-1. It consists of an extended rising section 51a-2.

또한, 본 발명의 시트는 상기 가이드홈(51a)의 상승구간(51a-2)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메인브라켓(51)의 측면에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상승구간(51a-2)으로 진입한 상기 가이드샤프트(11)에 의해 파손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플레이트(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댐퍼플레이트(18)에는 양단이 전후방향을 향하면서 물결모양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 다수개의 충격흡수홀(18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main bracket 51 so as to cover the rising section (51a-2) of the guide groove (51a) while entering the rising section (51a-2) It further comprises a damper plate (18) that absorbs shock while being damaged by the guide shaft (11), wherein the damper plate (18) is formed in a wave shape with both ends facing forward and backward and stacked vertically.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holes 18a having a configuration are formed.

그리고, 상기 밸런스스프링(16)은 상기 커버브라켓(52)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밸런스스프링(16)에서 상기 어퍼링크핀(13)에 감겨진 형태로 설치된 부위는 상기 어퍼링크핀(13)에 끼워져 결합되는 푸시너트(19)에 의해 상기 어퍼링크핀(13)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In addition, the balance spring 16 i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bracket 52, the portion installed in the form wound around the upper link pin 13 in the balance spring 16 is the upper link pin ( It is a structure installed so as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upper link pin 13 by the push nut 19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13).

또한, 본 발명의 시트는 상기 가이드홈(51a)을 기준으로 후방쪽에 위치한 상기 메인브라켓(51)에 양단 사이의 중간부위가 힌지핀(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일단에 래치홈(21a)이 형성된 래치브라켓(21)과, 상기 플레이트홀더(12)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래치브라켓(21)의 래치홈(21a)으로 삽입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2)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핀(22)과, 상기 래치브라켓(21)의 타단과 상기 메인브라켓(51)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래치브라켓(21)의 회전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제공하는 래치스프링(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iddle between the two ends of the main bracket 51 locat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guide groove (51a) via a hinge pin (20) and at one end The latch bracket 21 having the latch groove 21a formed therein is coupled to the plate holder 12 and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latch groove 21a of the latch bracket 21 so that the plate holder 12 is moved forward. The stopper pin 22 which restrains the rota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latch bracket 21 and the main bracket 51 are installed to support both ends, thereby providing an elastic return force to the rotation of the latch bracket 21. It further comprises a latch spring (23).

그리고, 상기 래치브라켓(21)의 타단에는 상기 조작케이블(9)의 일단이 일단이 연결된 구조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operation cable 9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bracket 21.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도 1 및 도 5는 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이다.First, FIG. 1 and FIG. 5 are normal states in which a rear collision accident does not occur.

상기의 상태에서 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면 시트 착석자의 상체는 관성에 의해 전방쪽으로 하였다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체가 시트백(2)에 부딪혀서 을 상기 시트백(2)을 가압하게 된다.When a rear collision accident occurs in the above state, the upper part of the seat occupant is moved forward by the inertia, and then moves backwards while the upper body collides with the seat back 2 to press the seat back 2.

그러면, 상기 시트백(2)에 구비된 백플레이트(10)가 가압되어 상기 백플레이트(10)는 도 3의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백플레이트(10)와 결합된 회전링크(7)는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회전링크(7)와 결합된 조작케이블(9)은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측으로 당겨지게 된다.Then, the back plate 10 provided in the seat back 2 is pressed so that the back plate 10 moves backward in the state of FIG. 3, and the rotary link 7 coupled to the back plate 1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the operation cable 9 is coupled to the rotary link 7 is pulled upward as shown in the arrow.

상기 조작케이블(9)이 당겨지면 도 5에 도시된 래치브라켓(21)은 도시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스토퍼핀(22)으로부터 래치홈(21a)이 빠지게 되고, 플레이트홀더(12)는 착석자 상체의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는 바, 이에 따라 가이드샤프트(11)는 가이드홈(51a)의 경사구간(51a-1)을 따라 후방 상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11)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홀더(12)도 연결링크(15)를 매개로 회전하면서 도 8과 같이 후방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When the operation cable 9 is pulled, the latch bracket 21 shown in FIG. 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illustrated state so that the latch groove 21a is removed from the stopper pin 22, and the plate holder ( 12) is subjected to the force to move to the rear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body of the seat, accordingly the guide shaft 11 is moved to the rear upper side along the inclined section (51a-1) of the guide groove (51a) As the guide shaft 11 moves, the plate holder 12 also moves to the rear upper side as shown in FIG. 8 while rotating the connection link 15.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2)는 엑스트라브라켓(6)과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엑스트라브라켓(6)은 시트백프레임(4)과 결합된 상태이며, 상기 시트백프레임(4)은 시트백(2)속에 내장되어 골격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상기 플레이트홀더(12)가 후방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시트백(2)도 후방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Here, the plate holder 12 is coupled to the extra bracket 6, the extra bracket 6 is coupled to the seatback frame 4, and the seatback frame 4 is in the seatback 2. Since the plate holder 12 is moved upward and rearward, the seatback 2 is also moved upward rearward.

도 8의 상태에서,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계속해서 시트백(2)을 가압하게 되면, 가이드샤프트(11)는 가이드홈(51a)의 경사구간(51a-1)을 지나서 상승구간(51a-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In the state of FIG. 8, when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continues to press the seat back 2, the guide shaft 11 passes the inclined section 51a-1 of the guide groove 51a and ascends the section 51a-2. Will move along.

그러면, 상기 가이드샤프트(11)의 이동력에 의해 댐퍼플레이트(18)의 충격흡수홀(18)이 도 9와 같이 파손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바, 상기 댐퍼플레이트(18)의 충격흡수는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시트백(2)에 부딪칠 때의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상체(등) 및 허리부위의 상해치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Then, the shock absorbing hole 18 of the damper plate 18 is broken as shown in FIG. 9 by the moving force of the guide shaft 11 to absorb the shock, and the shock absorbing of the damper plate 18 is a sheet. By absorbing the impact when the upper body of the seated person hits the seat back 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jury value of the upper body (back) and the waist of the seat seated person.

가이드샤프트(11)가 충격흡수홀(18)을 파손시키면서 경사구간(51a-1)의 상단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플레이트홀더(12)는 시트백(2)의 하중에 의해 연결링크(15)를 매개로 일정구간 후방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When the guide shaft 11 moves to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ection 51a-1 while damaging the shock absorbing hole 18, the plate holder 12 opens the connecting link 15 by the load of the seat back 2; It rotates backwards by a certain section.

그러면, 시트백(2)도 후방으로 회전을 한 상태가 되므로, 시트 착석자의 상체는 후방쪽으로 일정각도 젖혀진 상태가 된다.Then, since the seat back 2 is also rotated to the rear side, the upper part of the seat occupant is in the state which leaned back also a certain angle.

이와 같이, 추돌 사고 시 발생한 관성력에 의해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한 후 재차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시트백(2)과 접촉할 때에, 상기 시트백(2)이 시트 착석자의 상체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일정구간 뒤로 젖혀진 상태가 되면, 상기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상기 시트백(2)에 부딪힐 때에 상기 시트백(2)이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착석자의 상체와 강하게 부딪히는 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며, 이 결과 시트 착석자의 등과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상해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is moved forward by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accident, and the rear seat is in contact with the seat back 2 while moving backward again, the seat back 2 remains in contact with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While moving backward while being in a state where the seat leans back after a certain period, the seat back 2 absorbs an impact when the upper body of the seat occupant hits the seat back 2, thereby strongly impacting the upper body of the seated occupan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jury to the seat back and waist of the seat occupa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추돌 사고 시 시트백(2)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헤드레스트(31)도 함께 후방 이동을 하는 구조이므로, 시트 착석자의 후두부가 상기 헤드레스트(31)에 강하게 부딪히는 현상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시트 착석자의 목 부위 상해치도 크게 경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rest 31 also moves backward together when the position of the seatback 2 moves rearwar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rear head of the seat occupant is strongly hit by the headrest 31. The phenomenon can be eliminated, and this can greatly reduce the neck injury of the seat occup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시트의 골격을 이루는 시트쿠션프레임과 시트백프레임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cushion frame and a seat back frame forming the skeleton of the vehicl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 시트의 구성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to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eet,

도 8과 도 9는 후방 추돌 시 본 발명 시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rear collis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 시트쿠션프레임 5 - 베이스브라켓3-Seat Cushion Frame 5-Base Bracket

4 - 시트백프레임 6 - 엑스트라브라켓4-Seat back frame 6-Extra bracket

11 - 가이드샤프트 12 - 플레이트홀더11-guide shaft 12-plate holder

13 - 어퍼링크핀 14 - 로어링크핀13-Upper Link Pin 14-Lower Link Pin

15 - 연결링크 16 - 밸런스스프링15-Link 16-Balance Spring

Claims (7)

시트쿠션프레임의 후방쪽 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양단이 전후방쪽에 위치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베이스브라켓과;A base bracket having guide groove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seat cushion frame and having both ends positioned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일단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샤프트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결합되고 타단은 시트백프레임에 구비된 엑스트라브라켓과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된 플레이트홀더와;A plate hol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ase bracket via a guide shaft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extra bracket provided on the seat back frame to allow relative rotation;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어퍼링크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홀더에 로어링크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샤프트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후방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플레이트홀더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해 후방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링크와;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bracket via an upper link pin,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late holder via a lower link pin so that the plate is moved upward and rearward along the guide groove. A connecting link for allowing the holder to rotate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bracket; 상기 어퍼링크핀에 감겨진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로어링크핀의 후방쪽 면에 지지 설치되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의 자유로운 후방 이동을 구속하는 밸런스스프링;A balance spring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base bracket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a rear surface of the lower link pi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link pin is wound around the upper link pin to restrain the rear movement of the plate holder; 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bracket,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메인브라켓과;A main bracket on which the guide groove is formed; 상기 밸런스스프링의 일단이 걸려져 고정되는 스프링돌기를 구비한 커버브라켓으로 구성되는데;A cover bracket having a spring protrusion fixed to one end of the balance spring; 상기 메인브라켓과 상기 커버브라켓은 상기 메인브라켓과 상기 커버브라켓 사이에 작동공간이 구비되도록 다수개의 결합핀을 매개로 결합되고;The main bracket and the cover bracket are coupled via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so that an operating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racket and the cover bracket; 상기 메인브라켓과 상기 커버브라켓 사이에 작동공간속에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한 상기 플레이트홀더의 하단부 및 상기 연결링크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A lower end of the plate holder including the guide shaft and the connection link are positioned in an operation space between the main bracket and the cover bracket;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guide groove, 상기 메인브라켓의 전방쪽 하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구간과;An inclined sec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ar from the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bracket; 상기 경사구간의 끝에서 상측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상승구간;An upward section extending toward the upper front at the end of the inclined section;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상승구간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메인브라켓의 측면에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상승구간으로 진입한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의해 파손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플레이트;4. The damper plate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damper plat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racket so as to cover the rising section of the guide groove, the damper plate being damaged by the guide shaft entering the rising section while being damaged.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댐퍼플레이트에는 양단이 전후방향을 향하면서 물결모양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 다수개의 충격흡수홀이 형성된 것;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amper plate has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holes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ends are formed in a wave shape while fac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스프링은 상기 커버브라켓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lance spring i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ver bracket; 상기 밸런스스프링에서 상기 어퍼링크핀에 감겨진 부위는 상기 어퍼링크핀에 끼워져 결합되는 푸시너트에 의해 상기 어퍼링크핀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된 것;A portion of the balance spring wound around the upper link pin is installed to prevent the upper link pi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link pin by a push nut coupled to the upper link pin;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후방쪽에 위치한 상기 메인브라켓에 양단 사이의 중간부위가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일단에 래치홈이 형성된 래치브라켓과;The latch brack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both end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racket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guide groove with a hinge pin and a latch groove formed at one end thereof; 상기 플레이트홀더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래치브라켓의 래치홈으로 삽입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핀과;A stopper pin coupled to the plate holder and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latch groove of the latch bracket to restrain the plate holder from rotating forward; 상기 래치브라켓의 타단과 상기 메인브라켓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래치브라켓의 회전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제공하는 래치스프링과;A latch spring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atch bracket and the main bracket so as to be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to provide a resilient return force to the rotation of the latch bracket; 상기 래치브라켓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조작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면서;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bracket; 상기 조작케이블의 타단은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링크의 일단과 연결되어 설치되고;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cable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rotary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 back frame; 상기 회전링크의 타단은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백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설치된 것;The other end of the rotary link is connected to the back plat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 back frame is installed;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90119571A 2009-12-04 2009-12-04 Seat for vehicle KR101438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571A KR101438849B1 (en) 2009-12-04 2009-12-04 Sea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571A KR101438849B1 (en) 2009-12-04 2009-12-04 Sea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749A true KR20110062749A (en) 2011-06-10
KR101438849B1 KR101438849B1 (en) 2014-09-05

Family

ID=4439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571A KR101438849B1 (en) 2009-12-04 2009-12-04 Sea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8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092B1 (en) 2023-04-27 2023-10-19 (주)케이엠앤아이 Seat-Back Shock Absorber and Seat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8843B (en) 2004-10-11 2008-07-1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recliner mechanism
KR100769829B1 (en)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다스 Seat back folding device for vehicle
KR20080016060A (en) * 2006-08-17 2008-02-21 대일공업주식회사 Rear-end collision impact elevation system for car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092B1 (en) 2023-04-27 2023-10-19 (주)케이엠앤아이 Seat-Back Shock Absorber and Seat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849B1 (en)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20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neck injury of seat in vehicle
KR101073958B1 (en) Active headrest apparatus for seat vehicle
JP200051726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ed to safety seats
US4335918A (en) Vehicle safety seat
CN103832300A (en) Motor vehicle safety seat
CN105691260A (en) Functional seat headrest
EP1636065B1 (en) A vehicle seat
CN108909555B (en) Seat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whiplash injury and vehicle
KR102107009B1 (en) Rear-end collision impact elevation equipment for car seat
KR20110062749A (en) Seat for vehicle
KR101238433B1 (en)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induced rear-end collision of vehicle
KR100706440B1 (en) A movement structure for vehicle&#39;s active headrest
KR100786007B1 (en) Driving apparatus of active headrest for seat vehicle
CN106828221B (en) Safety seat for motor vehicle
JP5228514B2 (en) Vehicle seat device
CN109130976A (en) Safety chair seats of car for children
KR101262970B1 (en) Mounting bracket for seatback frame and seat frame unit for vehicle
KR20080016060A (en) Rear-end collision impact elevation system for car seat
KR101116704B1 (en) Active headrest device for vehicle
KR102590092B1 (en) Seat-Back Shock Absorber and Seat having the Same
JP5229524B2 (en) Vehicle seat structure
KR101265172B1 (en) impact relaxation seat back for vehicle
KR101166879B1 (en) Active headrest of seat for vehicle
KR101116573B1 (en) Impact reducing seat of rail vehicles
KR20080038292A (en) Rear-end collision impact elevation equipment for ca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