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492A -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floating body with the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floating body with th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492A
KR20110062492A KR1020090119233A KR20090119233A KR20110062492A KR 20110062492 A KR20110062492 A KR 20110062492A KR 1020090119233 A KR1020090119233 A KR 1020090119233A KR 20090119233 A KR20090119233 A KR 20090119233A KR 20110062492 A KR20110062492 A KR 20110062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upper bar
bar
low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1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2492A/en
Publication of KR2011006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4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PURPOSE: A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a floating body attached with the same are provided to load a container in an inside space formed by a loading unit by securing an admission part of a container by rotating between an upper bar and a lower bar. CONSTITUTION: A container loading apparatus contains plural loading units(10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loading unit comprises: a lower bar(110) whose one end is fixed vertically by a base; an upper bar(12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bar; and a hinge joint(130) connecting the upper bar and the lower bar to rotate the upper bar on the other end of the lower bar, wherein a container is loaded into an inside space between the loading units.

Description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FLOATING BODY WITH THE APPARATUS}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FLOATING BODY WITH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자세히는 선박의 요동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이를 장착하여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부유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oa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loading device for easily loading a container despite a fluctuation of a ship, and to a floating body capable of unloading cargo at sea away from the land. It is about.

원격지 사이의 상품이동수단으로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비용도 저렴하여 국제 교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Maritime transportation using ships as a means of moving goods between remote areas uses less energy than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transportation cost is low, making up a large part of international trade.

최근에는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운송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 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점점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in the sea transportation using a container, a large sized ship is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which is to secure the economics of transportation by increasing the amount of transportation of the vessel. Accordingly, more and more ports are required to have mooring and unloading facilities for docking large vessels.

하지만, 대형 컨테이너선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한정되어 있 으며, 이러한 항구의 건설에는 필요한 항만 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준설 등으로 인하여 많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가 요구된다. 또한, 대형 항구의 건설로 인하여 주변 교통 체증의 유발이나 해안환경의 파괴 등 주위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바, 대형 항구의 건설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However, ports that can dock large container ships are limited at home and abroad, and the construction of such ports requires a lot of expenses due to dredging to maintain the required port depth, and requires a large place. In addit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large port has a lot of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causing a traffic jam or destruction of the coastal environmen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construction of a large port.

그러므로, 대형 선박을 육지에 마련된 항구의 안벽에 접안 시킬 필요 없이,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에 관련하여 이동 항구(모바일 하버, Mobile Harbor)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 방법에 관한 발명이 특허(등록번호 제10-0895604호)받은 바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system for unloading cargo at sea offshore, without the need to dock large vessels on the quay of the port on land. Patent invention (registration number 10-0895604) regarding the cargo transfer method used was received.

도 1은 상기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 항구(10)는 크레인(20)을 이용하여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a)는 이동 항구(10)와 대형 컨테이너선(3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 1(b)는 이동 항구(10)와 육상 부두(4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schematic view of the mobile harbor shown in the patent, the mobile port 10 can be carried out using the crane 20, the loading port 10 (a) is a mobile port 10 1 (b) shows the unloading between the mobile port 10 and the land pier 40.

여기서 이동 항구(10)는, 선적 또는 하역할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플랫폼과, 컨테이너선(30)과 플랫폼 사이에서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화물 이송 장치와,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는 동안 상기 플랫폼이 컨테이너선(30)과 충돌하지 않고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완충접속 장치 등을 포함하게 된다.Here, the mobile port 10 includes a platform having a space for loading or unloading cargo, a cargo transport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between the container ship 30 and the platform, and loading and unloading cargo. And a buffer connection device for maintaining the connected state of the platform without colliding with the container ship 30.

화물의 하역 작업은 수 톤 내지 수십 톤에 이르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이므로 이동 항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선박 및 선박에 적재될 컨테이너의 평형 유지가 요구되지만, 해상에서는 바람, 파랑, 또는 조류 등의 영향으로 선박의 요동이 불가 결하다고 할 것인 바, 이러한 요동에도 불구하고 선박이 해상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컨테이너가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장치가 필요하다.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is required to move several tons or tens of tons of cargo, so i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equilibrium of the vessel and the container to be loaded as a mobile port, but at sea, due to the influence of wind, blue, or algae Since the fluctuation of the ship is indispensabl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iner can be easily loaded while the ship is working at sea despite the fluctu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선박의 요동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이를 활용하여 해상에서 신속하게 화물 하역을 수행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loading device that allows easy loading of the container despite the fluctuation of the vessel and a ship that can be quickly unloaded at sea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베이스에 의해 일단이 수직으로 지지되는 하부 바와, 상기 하부 바의 다른 일단에서 연결되는 상부 바와, 상기 상부 바가 상기 하부 바의 다른 일단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상부 바와 상기 하부 바를 연결하는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적재 유닛이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적재 유닛 사이의 내부로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bar having one end vertically supported by a base, an upper bar connected at another end of the lower bar, and connecting the upper bar and the lower bar such that the upper bar pivots about the other end of the lower bar. A plurality of stacking units including a hinge joint are provid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provides a container stacking apparatus in which a container is stack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acking units.

상기 적재 유닛은 횡방향 간격을 두고 2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적재 유닛 사이의 횡방향 간격은 컨테이너의 너비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 유닛은 종방향 간격을 두고 4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적재 유닛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컨테이너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Two or more loading units are installed at a horizontal interval, and the horizontal intervals between the loading units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container. In addition, four or more loading units are installed at longitudinal intervals, and the longitudinal intervals between the loading units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container.

상기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상기 상부 바의 선회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의 롤링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바의 선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의 롤링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바를 외부 공간으로 선회시켜 컨테이너의 진입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의 롤링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바를 선회시켜 상기 상부 바의 방향이 상기 컨테이너 측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adjusting a turning angle of the upper bar. The controller may adjust a turning angle of the upper bar in response to the rolling of the base. In detail, the controller may expand the entry space of the container by turning the upper bar to the outer space in response to the rolling of the base.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may pivot the upper bar in response to the rolling of the bas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upper bar is directed toward the container side.

상기 하부 바는 상기 상부 바가 일정 각도 이상 선회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바의 선회 각도를 제약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는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bar may restrict the turning angle of the upper bar so that the upper bar does not pivot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upper bar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컨테이너 적재 장치가 설치되는 부유체를 제공한다. 상기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적재 유닛 중 일부를 공유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 on which the container loading device is installed. A plurality of container loading apparatuses may be installed, and adjacent container loading apparatuses may share some of the plurality of loading units.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의하면, 선박의 롤링에도 불구하고 상부 바와 하부 바 사이의 선회를 통하여 컨테이너의 진입 입구를 확보함으로써 컨테이너를 적재 유닛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따라서 이를 활용하여 해상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pite of the rolling of the vessel, the container can be easily loaded in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loading unit by securing the entry inlet of the container by turning between the upper bar and the lower bar. Therefore, this can be used to quickly and smoothly unload containers at sea.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육상 항구를 활용하면서 소규모 항만에서도 대형 컨테이너선에 대한 하역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nload a large container ship even in a small port while utilizing the existing land por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handle the cargo transportation of a large container ship that requires deep water depth to strengthen the future port system competitiveness Will contribute to.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설치된 컨테이너 적재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은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규격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선박의 길이 방향을 종방향, 선박의 너비 방향을 횡방향이라고 정의한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container loading apparatus installed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ndard container. He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is define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ip is defined as the transverse direction.

도 4를 먼저 참조하여 우선 컨테이너(C)의 규격을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컨테이너는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 컨테이너 및 FEU(Forty-foot Equivalent Unit) 컨테이너가 있다. TEU 컨테이너는 길이(L)가 20 피트인 컨테이너, FEU 컨테이너는 길이(L)가 40 피트인 컨테이너를 일컬으며, 두 종류의 컨테이너 모두 너비(W)는 8 피트, 높이(H)는 8 피트 6 인치로 동일하다.First, the standard of the container 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Commonly used containers include a Twenty-foot Equivalent Unit (TEU) container and a Forty-foot Equivalent Unit (FEU) container. TEU containers are 20 feet long (L), FEU containers are 40 feet long (L), and both containers are 8 feet wide (W) and 8 feet high (H). Is the same in inches.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선박의 요동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guiding the container to be easily loaded despite the fluctuation of the vessel.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하부 바(110)와, 상부 바(120)와, 힌지 조인트(130)를 포함하는 복수의 적재 유닛(100)을 구비하여, 복수의 적재 유닛(100)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컨테이너(C)가 적재된다. 하부 바(110)는 베이스(여기서는 부유체(200) 자체)에 의해 일단이 수직으로 지지된다. 상부 바(120)는 하부 바(110)의 다른 일단에서 연결된다. 힌지 조인트(130)는 상부 바(120)와 하부 바(110)를 연결하되 상부 바(120)가 하부 바(110)의 다른 일단을 중심으로 선회(즉, 피봇)하도록 상부 바(120)와 하부 바(110)를 연결한다.Th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loading units 100 including a lower bar 110, an upper bar 120, and a hinge joint 130, and serves as an interior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loading units 100. The container C is loaded. The lower bar 110 is vertically supported at one end by a base (here, the floating body 200 itself). The upper bar 120 is connected 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bar 110. The hinge joint 130 connects the upper bar 120 and the lower bar 110 with the upper bar 120 so that the upper bar 120 pivots (ie, pivots) about the other end of the lower bar 110. Connect the lower bar 110.

고정된 하부 바(110)와 달리 상부 바(120)는 선회함으로써 컨테이너(C)의 진입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또는 상부 바(120)가 선회되어 상부 바(120)의 방향이 컨테이너(C) 측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바(110)는 상부 바(120)가 일정 각도 이상 선회되지 않도록 상부 바(120)의 선회 각도를 제약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부 바(110) 중 힌지 조인트(130) 아래로 돌출된 부분이 하부(120)의 내부 벽에 의해 일정 각도 이상 선회될 수 없게 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또는 상부 바(12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컨테이너(C)가 좀 더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Unlike the fixed lower bar 110, the upper bar 120 may expand the entry space of the container C by turning. Alternatively, the upper bar 120 may be pivot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upper bar 120 faces the container C side. The lower bar 110 may restrict the turning angle of the upper bar 120 so that the upper bar 120 does not pivot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3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portion of the upper bar 110 protruding below the hinge joint 130 cannot be pivo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inner wall of the lower 120. Alternatively, the upper bar 12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container C may be more easily load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컨테이너 적재 장치가 설치되는 부유체(200)를 제공한다. 부유체(200)는 일반적인 선박이거나 이동 항구일 수 있으며, 자체 동력원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ing body 200 in which th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Floating body 200 may be a general ship or a mobile port, may have its own power source.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부유체(200)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복수의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복수의 적재 유닛(100) 중 일부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와 적재 유닛(100)을 2 개씩 공유한다. 도 2에서는 횡방향(선박의 너비 방향)으로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사이에서만 적재 유닛(100)을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종방향(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 사이에서 적재 유닛(100)을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TEU 컨테이너의 규격에 대응하여 적재 유닛(100)이 4 개가 마 련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의 경우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가 2 개의 적재 유닛(100)을 공유하면, FEU 컨테이너는 2 개의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사용하여 적재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container loading apparatuses are installed in the floating body 200, and the plurality of container loading apparatuses may share some of the plurality of loading units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tainer loading device shares two neighboring container loading devices and two loading units 100. In FIG. 2, the loading unit 100 is shown to be shared only between neighboring container loading devic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ip), but the loading unit (between the adjacent container loading devi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 It is also possible to share 100). In the case of a container loading device in which four loading units 100 correspond to the specifications of a TEU container, if the neighboring container loading devi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ares two loading units 100, the FEU container loads two containers. It can be loaded using the device.

적재 유닛(100)은 횡방향 간격을 두고 2 개 이상 마련되며, 적재 유닛(100) 사이의 횡방향 간격은 컨테이너의 너비(W)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적재 유닛(100)은 종방향 간격을 두고 2 쌍 이상 마련되며, 적재 유닛(100)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컨테이너의 길이(L)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에서 적재 유닛(100)은, 횡방향으로는 컨테이너의 너비(8 피트)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TEU 컨테이너 길이(20 피트) 또는 FEU 컨테이너의 길이(40 피트)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모두 4 개가 마련된다. 또는 적재 유닛(100)이 종방향으로 20 피트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2 개씩 3 쌍, 모두 6 개가 마련되어 TEU 컨테이너와 FEU 컨테이너에 대하여 모두 활용될 수 있다.Load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with a horizontal gap, the horizontal gap between the loading unit 100 may correspond to the width (W) of the container. In addition, the load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pairs with a longitudinal interval, the longitudinal interval between the loading unit 100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L) of the container. In FIG. 2 the loading unit 100 is sp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ontainer (8 feet)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TEU container (20 feet) or the length of the FEU container (40 feet). At intervals, all four are prepared. Alternatively, the stacking unit 100 may be provided in three pairs, six in all,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20 f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utilized for both the TEU container and the FEU container.

제어부(150)는 힌지 조인트(130)를 중심으로 상부 바(120)의 선회 각도를 조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여기서는 부유체(200) 자체)의 롤링에 대응하여 상부 바(120)를 선회시킨다. 부유체(200)의 롤링을 감지하는 검지 수단(미도시)과 상부 바(120)를 선회시키는 구동 수단(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adjusts the turning angle of the upper bar 120 around the hinge joint 130,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ar 120 corresponds to the rolling of the base (here, the floating body 200 itself). Turn). A detection means (not shown) for detecting the rolling of the floating body 200 and a driving means (not shown) for turning the upper bar 120 may be provided.

도 5 및 도 6은 각각 부유체의 롤링이 있는 경우에 컨테이너 적재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5 and 6 are front views showing how the container stacking device operates when there is rolling of the floating body, respectively.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부유체(200)의 롤링 시에 2 개의 적재 유닛(100)의 상부 바(12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선회시켜, 즉 컨테이너 적재 장치의 외부 공간 방향으로 선회시켜 컨테이너(C)의 진입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부유체(200)의 롤링 시에 2 개의 적재 유닛(100)의 상부 바(120)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선회시켜, 2 개의 상부 바(120)의 방향이 모두 컨테이너(C) 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컨테이너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ntroller 150 pivots the upper bars 120 of the two loading units 100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floating body 200 is rolled, that is, the outer space of the container loa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entry space of the container (C) by turning in the direction.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ler 150 pivots the upper bars 120 of the two loading units 100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floating body 200 is rolled, thereby allowing the two upper bars 120 to rotate. ) Can be directed toward the container (C) side so that the space in which the container can enter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의하면, 부유체(200)에 롤링이 발생하여 적재 장치 자체가 기울어지더라도, 상부 바(120)와 하부 바(110) 사이의 선회를 통하여 컨테이너(C)의 진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컨테이너(C)를 적재 유닛(10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따라서 이를 활용하여 해상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컨테이너(C)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rolling occurs on the floating body 200 and the loading apparatus itself is inclined, the container C enters through the pivot between the upper bar 120 and the lower bar 110. By securing a space, the container C can be easily loaded into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loading unit 100, and thus, the container C can be quickly and smoothly unloaded at sea. To be.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s only an illustration an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has the broadest range based on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iel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attern of the shape not shown by combining or replac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is also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apparent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mobile port shown in the prior patent.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설치된 컨테이너 적재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container loading apparatus installed in a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규격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ndard container.

도 5 및 도6은 각각 부유체의 롤링이 있는 경우에 컨테이너 적재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5 and 6 are front views showing how the container stacking device operates when there is rolling of the floating body,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적재 유닛 110: 하부 바100: loading unit 110: lower bar

120: 상부 바 130: 힌지 조인트120: upper bar 130: hinge joint

150: 제어부 200: 부유체150: control unit 200: floating body

C: 컨테이너C: container

Claims (11)

베이스에 의해 일단이 수직으로 고정 지지되는 하부 바와,A lower bar whose one end is vertically fixed and supported by the base, 상기 하부 바의 다른 일단에서 연결되는 상부 바와,An upper bar connected 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bar, 상기 상부 바가 상기 하부 바의 다른 일단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상부 바와 상기 하부 바를 연결하는 힌지 조인트를A hinge joint connecting the upper bar and the lower bar such that the upper bar pivots about the other end of the lower bar. 포함하는 복수의 적재 유닛이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며,It includes a plurality of loading units are provided spaced from each other, 상기 복수의 적재 유닛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Container loading apparatus in which a container is loaded into an inner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loading uni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재 유닛은 횡방향 간격을 두고 2 개 이상 설치되며,The stacking unit is installed at least two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적재 유닛 사이의 횡방향 간격은 컨테이너의 너비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The transverse spacing between the loading units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contain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적재 유닛은 종방향 간격을 두고 4 개 이상 설치되며,The loading unit is installed more than four at longitudinal intervals, 상기 적재 유닛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컨테이너의 길이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And a longitudinal gap between the loading units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바의 선회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turning angle of the upper bar.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의 롤링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바의 선회 각도를 조절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The control unit is a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adjusting the turning angle of the upper bar in response to the rolling of the bas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의 롤링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바를 외부 공간으로 선회시켜 컨테이너의 진입 공간을 확장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The control unit is a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extending the entry space of the container by turning the upper bar to the outer space in response to the rolling of the bas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의 롤링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바를 선회시켜 상 기 상부 바의 방향이 상기 컨테이너 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The control unit rotates the upper bar in response to the rolling of the bas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upper bar toward the container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 바는 상기 상부 바가 일정 각도 이상 선회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바의 선회 각도를 제약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The lower bar is a container loading device for constraining the turning angle of the upper bar so that the upper bar is not turned over a certain ang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바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The upper bar is a container loading device consisting of an elastic material.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테이너 적재 장치가 설치되는 부유체.The floating body in which th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9 is installed.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The container load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서로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적재 유닛 중 일부를 공유하는 부유체.The container loading apparatuses adjacent to each other share a part of the plurality of loading units.
KR1020090119233A 2009-12-03 2009-12-03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floating body with the apparatus KR201100624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33A KR20110062492A (en) 2009-12-03 2009-12-03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floating body with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33A KR20110062492A (en) 2009-12-03 2009-12-03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floating body with th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492A true KR20110062492A (en) 2011-06-10

Family

ID=4439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233A KR20110062492A (en) 2009-12-03 2009-12-03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floating body with th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249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0B1 (en) * 2012-08-10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ea-fastening support and method for sea-fastening of freight
KR20160001056U (en) * 2014-09-23 2016-03-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protection barrier for installation of shi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0B1 (en) * 2012-08-10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ea-fastening support and method for sea-fastening of freight
KR20160001056U (en) * 2014-09-23 2016-03-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protection barrier for installation of sh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156B1 (en) Container crane with multi-stage trolley
KR20110062492A (en)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floating body with the apparatus
KR101141593B1 (en) Dual boom structure, dual boom crane and vessel with the crane
KR101089283B1 (en) Mobile harbor with a swivel crane
KR101112158B1 (en) Mobile portal crane and vessel with the crane
KR20110081662A (en)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method
KR101068663B1 (en) Hybrid mobile floating port
KR101192600B1 (en) Container auto handling system and method
KR20110029919A (en) Dual boom structure, dual boom crane and vessel with the crane
KR20110089766A (en) Container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192601B1 (en)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79654B1 (en) Dual guide crane, vessel with the crane and container landing method
KR100750223B1 (en) Floating type quay wall
KR20100072798A (en) Hybrid mobile floating port
KR20110064228A (en) Container transport apparatus
KR101166716B1 (en) Mobile Harbor System and Cargo Handling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167908B1 (en) Inter-hulls connecting slider and vessel with the slider
KR101166714B1 (en) Mobile Harbor System and Cargo Handling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125044B1 (en) Container Crane With Downward Housed Boom
KR20110124960A (en) Floating body with a container crane
KR101112126B1 (en) Rolling isolated crane and vessel with the crane
KR101162927B1 (en) Inter-hulls fastening slider and vessel with the slider
KR101125040B1 (en) Swivel Crane For Container Handling
KR20110053741A (en) Anti-motion foundation
KR20150000890U (en) Carrier equipment for cargo-working of pier mooring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