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075A -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075A
KR20110062075A KR1020090118659A KR20090118659A KR20110062075A KR 20110062075 A KR20110062075 A KR 20110062075A KR 1020090118659 A KR1020090118659 A KR 1020090118659A KR 20090118659 A KR20090118659 A KR 20090118659A KR 20110062075 A KR20110062075 A KR 20110062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mobile standard
template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786B1 (ko
Inventor
이광배
조현묵
Original Assignee
(주)어헤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어헤드원 filed Critical (주)어헤드원
Priority to KR102009011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786B1/ko
Priority to JP2010000703A priority patent/JP2011118853A/ja
Publication of KR2011006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모바일 표준 테이블에 근거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특정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분석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결정하여,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대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포함시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Description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STANDARD TEMPLATE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시스템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한 모바일 시스템의 구축을 가능하게 해 주기 위하여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과 더불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 등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또한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들은 다른 데이터 통신 장치들과 전자 메일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과, 주소록, 전화번호부, 일정관리 등의 기능은 물론, 기업의 정보들과 각종 인터넷상의 서비스 정보를 함께 동기 관리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핸드폰, PDA, 스마트 폰, 무선 모뎀 등의 모바일 단말기는, 그 기능 및 성능이 향상되고,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기업의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를 이용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에 대한 요구 및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종래의 구축 되고 있는 모바일 시스템은, 기업의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들과의 원활한 연동을 제공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환경의 업무 처리를 원활하게 제공해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모바일 시스템은,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대하여, 모바일 환경 및 각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한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모바일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에 맞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업종별, 특성별 등으로 축적하여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고 시스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시스템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템플릿화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해줌으로써, 모바일 환경의 업무 처리를 원활하게 제공해주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대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해주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에 맞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업종별, 특성별 등으로 축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어,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한 모바일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해주고, 이로 인해 모바일 시스템 구축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주고 시스템 안정성을 높여주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특정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 상기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는 단말기 정보 파악부; 상기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결정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결정부;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대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상기 결정 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포함시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 종류, 서비스 종류, 사용자 정보, 단말기 모델, 해상도 및 단말기 외부장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특정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포함시켜 송신한 이후,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각기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토대로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템플릿 데이터 요청의 분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대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포함시켜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시스템(130)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템플릿화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해줌으로써, 모바일 환경의 업무 처리를 원활하게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의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대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에 맞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업종별, 특성별 등으로 축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시스템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한 모바일 시스템의 구축을 가능하게 해주고, 이로 인해 모바일 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주고 시스템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Mobile Standard Template Data)를 제공하는 모바일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시스템(100)은,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서버(120)로 송신하여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서버(120)로부터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110)와, 샙(SAP: Systemanalyse und Programmentwicklung 또는 Systems, Applications and Products in Data Processing)) 시스템(131), 그룹웨어(Groupware) 시스템(13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시스템(133) 및 웹(Web) 시스템(134) 등과 같이 서로 종류가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두고,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특정 데이터 시스템(예: 샙 시스템(131), 그룹웨어 시스템(13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33) 및 웹 시 스템(134) 등 중에서 하나임)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대하여, 해당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110)로 송신하는 서버(12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모바일 단말기(110)는, 단말기 종류, 서비스 종류, 사용자 정보, 단말기 모델, 해상도 및 단말기 외부장치 정보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정보를 특정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포함시켜 서버(120)로 송신한 이후,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서버(120)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110)는, 일 예로서,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 무선 모뎀 등의 다양한 기종과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한 개의 모바일 단말기(110)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한 개 또는 다양한 여러 개의 모바일 단말기(110)가 포함되어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서버(12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전술한 서버(120)는, 각기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과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Data)를 수신하면, 수신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테이블(Mobile Standard Table)을 결정하여, 이렇게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토대로 각기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Mobile Standard Data)로 변환하여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특정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의 분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10)의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여,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해 모바일 단말기(110)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템플 릿(Mobile Standard Template)을 결정하고,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대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며,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포함시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Mobile Standard Template Data)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12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120)는,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10),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220),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240),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대하여 템플릿 처리 과정을 통해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는 템플릿 처리부(250) 및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110)로 송신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260)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210)는, 서로 종류가 다른 데이터 시스템(130)과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220)는, 데이터 수신부(210)에서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결정하고,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에 근거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로 변환 하여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240)는,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특정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다. 템플릿 처리부(250)는,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분석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의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여,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대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와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이용하여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저장해둔다.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260)는, 템플릿 처리부(250)에서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데이터 수신부(210),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220),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240), 템플릿 처리부(250) 및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260) 등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데이터 수신부(210)는, 샙(SAP: Systemanalyse und Programmentwicklung 또는 Systems, Applications and Products in Data Processing, 이하 "SAP"라 칭함) 시스템(131), 그룹웨어(Groupware) 시스템(132),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시스템(133) 및 웹(Web) 시스템(134) 등과 같이 서로 종류가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의 종류를 식별하고, 이렇게 식별된 종류에 해당하는 연동기를 선별하며, 선별된 연동기에 의한 데이터 시스템(130)과의 연동 을 통해,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위에서 언급한 식별된 종류에 해당하는 연동기는, RFC(Remote Function Call, 이하 "RFC"라 칭함) 기능을 호출하여 연동을 수행하는 SAP 연동기, 그룹웨어(Groupware) 종류에 따른 연동기 설정을 통해 연동을 수행하는 그룹웨어 연동기, 커넥션 풀(Connection Pool)을 통해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연동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연동기, 및 HTTP 커넥터(Hypertext Transfer Protocol Connector)를 통해 연동을 수행하는 웹(Web) 연동기 등 중 선별된 연동기일 수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이 SAP 시스템(131), 그룹웨어 시스템(13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33) 및 웹 시스템(134)을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 수신부(210)는 이러한 SAP 시스템(131), 그룹웨어 시스템(13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33) 및 웹 시스템(134) 등으로부터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데이터(410, 420, 430, 440)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데이터 수신부(210)는, 각종 기업체의 기업체 시스템일 수 있는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과 연동하기 위하여 데이터 시스템(130)의 종류를 식별하고 해당 데이터 시스템(130)과 연동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데이터 시스템(130)과 연동하기 위한 적절한 연동기를 선별하여 호출하는 이기종 인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기종 인식기에 의해 호출될 수 있는 SAP 연동기는, 데이터 시스템(130)이 SAP 시스템(예: SAP 전사적 자원 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인 경우, SAP 커넥터(Connector)를 활용하여, RFC 기능을 호출하 여 연동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RFC 기능을 제공하는 SAP 서버와 연동 작업을 수행한다. 전술한 이기종 인식기에 의해 호출될 수 있는 그룹웨어 연동기는, 기업체 시스템일 수 있는 데이터 시스템(130)이 이메일, 공지사항, 조직도, 일정 및 결제 등의 주요 기능을 위한 그룹웨어 시스템인 경우, 그룹웨어 종류에 따라 연동기 설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연동을 수행한다. 전술한 이기종 인식기에 의해 호출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연동기는, 기업체 시스템일 수 있는 데이터 시스템(130)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경우, 커넥션 풀(Connection Pool)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작업을 수행하며, 이때, 커넥션 풀은 오라클,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전술한 이기종 인식기에 의해 호출될 수 있는 웹 연동기는, 기업체 시스템일 수 있는 데이터 시스템(130) 웹 서버로 구축된 웹 시스템인 경우, HTTP 커넥터를 통해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220)는, 서로 종류가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종류 및 구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와 모바일 요구 사항을 참조하여, 미리 저장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들 중에서 모바일 환경에 더욱 적합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선택하여 결정하거나, 모바일 환경에 더욱 적합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생성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220)는, 전술한 바와 방식으로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의 필드에 서로 종류가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해당 내용을 매칭시켜 채움으로써, 서로 종류가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전술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220)는, 데이터 분석기, 모바일 표준 테이블 관리기, 데이터 변환기 및 데이터 연동기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데이터 분석기를 통해 서로 종류가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종류 및 구조를 분석한다. 모바일용 테이블(즉, 모바일 표준 테이블)의 생성, 수정, 삭제 및 조회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표준 테이블 관리기는 데이터 분석기에서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모바일 환경에 가장 적합한 테이블 구조를 확정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모바일 표준 테이블 관리기에 의해 확정된(결정된) 테이블 구조의 테이블을 모바일 표준 테이블(510)이라고 한다. 이후, 데이터 변환기는 모바일 표준 테이블 관리기에 의해 확정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510)을 이용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환경에 가장 적합한 형식의 모바일 표준 데이터(520)로 변환하여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표준 데이터(520)는, 데이터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테이블(510)에 저장한 형태이다.
전술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240)는,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포함된 확장성 생성 언어(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이하 "XML"이라 칭함)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XML 데이터의 정합성 여부를 검토하여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의 제공 가능성 여 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24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많은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템플릿 데이터 요청이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템플릿 데이터 요청 처리 부하를 분산시켜 안정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하나 이상의 요청 처리 큐(810)에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요청 처리 큐(810)에 저장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저장 순서에 따라 템플릿 처리부(250, 즉, 도 3에서의 단말기 정보 파악부(310))로 전달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템플릿 처리부(250)는,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템플릿 처리부(250)는,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분석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의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는 단말기 정보 파악부(310)와,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결정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결정부(320)와,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대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포함시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33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템플릿 처리부(250)에 포함된 단말기 정보 파악부(310)는,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240)에서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 기(110)의 단말기 종류, 서비스 종류, 사용자 정보, 단말기 모델, 해상도 및 단말기 외부장치 정보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110)의 고유한 단말기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정보 파악부(310)를 단말기 인식기, 템플릿 요청 분석기 또는 요청 분석기라고도 한다.
전술한 템플릿 처리부(250)에 포함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결정부(320)는, 전술한 단말기 정보 파악부(310)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10)에 대하여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저장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들 중에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선택하여 결정하거나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새롭게 생성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결정부(320)는 템플릿 관리기라고도 하며, 모바일 단밀기(110)에서 필요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의 생성, 삭제, 수정 및 조회 등의 기능을 가진다. 즉, 그동안 누적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참조로 하여 고객의 모바일 업무를 설계하고, 신규의 모바일 표준 템플릿 필요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생성하고 커스트마이징(Customizing)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미리 저장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들은, 업종별 또는 특성별 등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이다. 또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결정부(320)는,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업종별 또는 특성별 등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해둠으로써,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110)에 맞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해둘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나중에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결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템플릿 처리부(250)에 포함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 부(330)는,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 연동기, XML 데이터 생성기 및 모바일 UI 생성기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 연동기는,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220)를 호출하여, 모바일 표준 템플릿 결정부(320)에 의해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서 필요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230)에 추출됨)를 전달받는다. XML 데이터 연동기는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 연동기가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220)로부터 전달받은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110)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XML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전송된 XML 데이터를 고객의 데이터 시스템(130)에 전달하기 위해 XML 데이터를 파싱하여 순수 데이터를 선별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UI 생성기는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업무 수행시 필요한 UI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UI를 필요로 하지 않는 모바일 단말기(110)에 대해서는 업무 수행에 필요한 비즈니스 로직을 생성시켜 준다.
다시 말해, 전술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3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6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UI"라 칭함) 정보(610)를 포함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600)를 생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UI 정보(610)는, UI 스크립트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611)와, 실제 UI와 관련된 정보(6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620)는, 확장성 생성 언어(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일 수 있으며, 데이터 생성 결과 정보(621)와 실제 데이터에 해당하는 정보(6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600)는 모바일 단말기(110)로 송신되어 표시되면, 도 6의 오른쪽 단말기 화면의 예시(630)와 같다.
이때,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330)는, 단말기 정보 파악부(310)에 의해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620)를 변환하거나 UI 정보(610)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정보 중 해상도 정보를 토대로 모바일 단말기(110)의 단말기 화면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모바일 표준 데이터(620) 또는 UI 정보(610)를 변환하여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600)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10)의 해상도 정보를 고려하여 변환되어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600)가 모바일 단말기(110)로 송신되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4가지의 예시를 도 7의 (a), (b), (c) 및 (d)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템플릿 처리부(250)에 포함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3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많은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동시에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져서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110)로 응답하는 템플릿 데이터 응답 처리 부하를 분산시켜 안정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응답 처리 큐(820)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260)는 하나 이상의 응답 처리 큐(820)에 저장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저장 순서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기(110)로 안정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의 송신에 따른 부하 분산과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의 안정적 송신을 위하여, 이러한 응답 처리 큐(820)에 저장된 응답 중 하나의 응답(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포함)을 추출하여 송신하기 전, 해상도 정보 등의 단말기 정보를 토대로 모바일 단말기(110)의 단말기 화면 등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600)에 포함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620) 또는 UI 정보(610)를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에 대한 정보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330)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생성하거나,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260)는 암호화되지 않은 채로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에 대한 정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시스템(100)에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110)는,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서버(120)로 송신하여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서버(120)로부터 수신하는 장치로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서버(120)로 송신하는 요청부와,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서버(120)로부터 수신하는 응답부와,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템플릿 데이터 표시부 등을 포함한다.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서버(120)로 송신하는 요청부는, 통신 연결부, 암호 생성부 및 템플릿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연결부는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기업 업무 수행 시 특정 데이터 시스 템(130)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받고 하는 경우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위해 서버(120)와의 통신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 연결부는, CDMA, GSM, 3G등의 각종 이동통신 규격, WiFi 등의 무선 통신 규격, 또는 인터넷 망 등을 이용하는 각종 유선 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 규격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10)와 서버(120)는 이동통신망, 무선망, 또는 인터넷망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구간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해, 암호 생성부는 통신에 대한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
템플릿 요청부는,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필요한 템플릿 데이터(즉, 모바일 표준 템플렛 데이터)를 서버(120)에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 시, 템플릿 요청부는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에 단말기 종류, 서비스 종류 및 사용자 정보 등을 탑재하고, 이러한 사용자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해당 모바일 단말기(110)에 적합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서버(120)로부터 수신하는 응답부는, 암호 해독부 및 템플릿 데이터 검증부 등을 포함한다.
암호 해독부는,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가 보안을 위해 특정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상태인 경우, 수신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서버(120)에서의 암호화 알고리즘과 대응되는 역 암화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해독한다.
템플릿 데이터 검증부는, 해독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가 해당 모바일 단말기(110)에 적합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인지를 검증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해독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표시되기에 적합한지를 검증한다. 검증 결과, 해독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가 해당 모바일 단말기(110)에 적합하지 않은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인 경우, 즉, 해독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110)에서 표시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서버(120)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고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템플릿 데이터 표시부는, 템플릿 데이터 인식부, 화면 생성부, 화면 표시부, 사용자 요청 인식부 및 요청 데이터 생성부 등을 포함한다.
템플릿 데이터 인식부는, 전술한 템플릿 데이터 검증부에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면, 검증 완료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의 UI 정보 및 XML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후, 분석된 UI 정보 및 XML 데이터를 화면 생성부로 전달한다.
화면 생성부는, 템플릿 데이터 인식부로부터 전달받은 UI 정보 및 XML 데이터를 이용하여 UI 정보 및 XML 데이터로 이루어진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생성하는데, 이를 위해, UI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제어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전달받은 XML 데이터를 파싱하여 해당 제어에 적합한 데이터를 입력 후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을 생성한다.
화면 표시부는,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단말기 화면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UI가 구성될 수 있도록 사이즈를 자동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요청 인식부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10)를 활용해 업무 수행 중, 기업 시스템 등과 같은 데이터 시스템(130)에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때, 데이터 입력은, GPS, 카드 결재기, 바코드 등 다양한 외부 입력장치와 연동을 통해 데이터를 인식하여 입력받는다.
요청 데이터 생성부는, 사용자 요청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기업 시스템 등의 데이터 시스템(130)에서 인식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XML 형식의 데이터로 생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시스템(130)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템플릿화하여 모바일 단말기(110)로 제공해줌으로써, 모바일 환경의 업무 처리를 원활하게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의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대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110)에 적합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시스템(13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110)에 맞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업종별, 특성별 등으로 축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시스템(130)과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110)에 적합한 모바일 시스 템(100)의 구축을 가능하게 해주고, 이로 인해 모바일 시스템(100)의 구축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주고 시스템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포함된 템플릿 처리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모바일 표준 테이블과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변환되어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템플릿 데이터 요청과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요청 처리 큐와 응답 처리 큐에 각각 큐잉하여 부하 분산 기능을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모바일 시스템
110: 모바일 단말기
120: 서버
130: 데이터 시스템
131: SAP 시스템
132: 그룹웨어 시스템
13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34: 웹 시스템
210: 데이터 수신부
220: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
230: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
240: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
250: 템플릿 처리부
260: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
310: 단말기 정보 파악부
320: 모바일 표준 템플릿 결정부
330: 모바일 표준 템플릿 생성부
510: 모바일 표준 테이블
520: 모바일 표준 데이터
600: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610: UI 정보
620: 모바일 표준 데이터
810: 요청 처리 큐
820: 응답 처리 큐

Claims (13)

  1. 데이터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특정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
    상기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는 단말기 정보 파악부;
    상기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결정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결정부;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대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포함시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 시스템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종류에 해당하는 연동기를 선별하며, 상기 선별된 연동기에 의한 상기 데이터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종류에 해당하는 연동기는,
    RFC(Remote Function Call) 기능을 호출하여 연동을 수행하는 샙(SAP) 연동기, 그룹웨어(Groupware) 종류에 따른 연동기 설정을 통해 연동을 수행하는 그룹웨어 연동기, 커넥션 풀(Connection Pool)을 통해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연동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연동기, 및 HTTP 커넥터(Hypertext Transfer Protocol Connector)를 통해 연동을 수행하는 웹(Web) 연동기 중 선별된 연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표준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종류 및 구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와 모바일 요구 사항을 참조하여, 미리 저장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들 중에서 상기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선택하여 결정하거나 상기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생성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 파악부는,
    상기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종류, 서비스 종류, 사용자 정보, 단말기 모델, 해상도 및 단말기 외부장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결정부는,
    상기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업종별 또는 특성별로 분류되어 미리 저장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들 중에서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선택하여 결정하거나,
    상기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생성하여 결정하고, 상기 생성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업종별 또는 특성별로 분류하여 저장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포함된 XML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XML 데이터의 정합성 여부를 검토하여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의 제공 가능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8. 제 1항에 있어서,
    템플릿 데이터 요청 처리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템플릿 데이터 요청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하나 이상의 요청 처리 큐에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요청 처리 큐에 저장된 템플릿 데이터 요청을 저장 순서에 따라 상기 단말기 정보 파악부로 전달하고,
    템플릿 데이터 응답 처리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응답 처리 큐에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처리 큐에 저장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저장 순서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는 확장성 생성 언어(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생성부에서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생성하거나,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 송신부가 암호화되지 않은 채로 생성된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12. 단말기 종류, 서비스 종류, 사용자 정보, 단말기 모델, 해상도 및 단말기 외 부장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특정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 요청에 포함시켜 송신한 이후,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각기 다른 이기종의 데이터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테이블을 토대로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모바일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템플릿 데이터 요청의 분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파악된 단말기 정보에 근거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모바일 표준 템플릿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대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표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모바일 표준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에 포함시켜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암호화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독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해독된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표시되기에 적합한지를 검증하여, 적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시스템.
KR1020090118659A 2009-12-02 2009-12-02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1071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59A KR101071786B1 (ko) 2009-12-02 2009-12-02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JP2010000703A JP2011118853A (ja) 2009-12-02 2010-01-05 モバイル標準テンプレートデータを提供するサー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59A KR101071786B1 (ko) 2009-12-02 2009-12-02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075A true KR20110062075A (ko) 2011-06-10
KR101071786B1 KR101071786B1 (ko) 2011-10-11

Family

ID=4428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659A KR101071786B1 (ko) 2009-12-02 2009-12-02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118853A (ko)
KR (1) KR1010717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615A1 (en) * 2011-12-06 2013-06-13 Google Inc. Edition designer
WO2014055593A1 (en) * 2012-10-03 2014-04-10 Elateral, Inc. Content analytics
KR101401335B1 (ko) * 2012-07-23 2014-06-02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템플릿에 기반한 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9827A (ko) * 2013-10-31 2015-05-08 한동표 모바일 통합제어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9558B2 (en) * 2015-05-07 2016-12-27 Ricoh Company, Ltd. Mobile document generation from a print workflow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1794B2 (ja) * 2001-08-07 2009-04-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並びに情報供給装置及び情報供給方法
GB0202513D0 (en) 2002-02-04 2002-03-20 Idesta Group Lt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obile applications
JP4055944B2 (ja) * 2002-09-18 2008-03-05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Webコンテンツ変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265090A (ja) * 2003-02-28 2004-09-24 Seiko Precision Inc タイムスタンプ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115276A (ja) * 2007-01-18 2007-05-10 Fujitsu Social Science Laboratory Ltd コンテンツデータ生成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生成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182853B2 (ja) 2007-10-26 2013-04-17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615A1 (en) * 2011-12-06 2013-06-13 Google Inc. Edition designer
KR101401335B1 (ko) * 2012-07-23 2014-06-02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템플릿에 기반한 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4055593A1 (en) * 2012-10-03 2014-04-10 Elateral, Inc. Content analytics
KR20150049827A (ko) * 2013-10-31 2015-05-08 한동표 모바일 통합제어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8853A (ja) 2011-06-16
KR101071786B1 (ko)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6400B (zh) 交互系统和过程
CA2578472C (en) Methods and system for orchestrating services and data sharing on mobile devices
KR101541263B1 (ko) 사용자 동작 커맨드들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71786B1 (ko) 모바일 표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
JP6721792B2 (ja) アイデンティティ認識方法、アイデンティティ認識装置、オフィス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サーバ
US11082813B2 (en) Message-based management service enrollment
US201102646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Enterprise Inform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Backend Platform
CN101202694A (zh) 用于在普及性设备上提供web服务的方法和系统
CN112039826A (zh) 一种应用于小程序端的登录方法和装置
US20120179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content transformation
WO2017002496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2507005A (zh) 一种处理报文的方法和装置
US20060136893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adapting software applications for client devices
JP2009252153A5 (ko)
JP7287497B2 (ja) 応答処理システム
JPWO2021117101A5 (ko)
KR101157876B1 (ko) 전자 계약 체결을 위한 전자적 장치
Shen et al. A Proposed architecture for building NFC tag services
KR101084476B1 (ko) 전화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CN107111635A (zh) 内容传递方法
KR100442061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관 서비스 방법
KR101344450B1 (ko) 스마트기기를 위한 모바일오피스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92301B1 (ko) 모바일 통합제어 서버
KR102181608B1 (ko) 연합 인증 장치 및 그것의 연합 인증 방법
KR100964911B1 (ko)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기업용 레가시 시스템의인터페이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