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413A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413A
KR20110061413A KR1020090118056A KR20090118056A KR20110061413A KR 20110061413 A KR20110061413 A KR 20110061413A KR 1020090118056 A KR1020090118056 A KR 1020090118056A KR 20090118056 A KR20090118056 A KR 20090118056A KR 20110061413 A KR20110061413 A KR 2011006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gram
region
weight
display panel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길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413A/en
Publication of KR2011006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4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ncrease a contrast by analyzing a histogram property at regions applying a weighted value. CONSTITUTION: In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 display panel comprises an LCD panel o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A histogram analysis unit(71) produces a histogram of a data signal supplied from outside. A weighted value determination unit(73) makes the weighted value of the histogram of a homogeneous region and a heterogeneous region different. The histogram changing unit(75) generates a corrected data signal by changing the histogram of a homogeneous region and a heterogeneous region. A data driving unit supplies a data signal to a display panel.

Description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market for a display device,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a user and information, is growing. Accordingly, the use of display devices such a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the like is increasing.

이와 같은 표시장치는 텔레비전(TV)이나 비디오 등의 가전분야에서 노트북(Note book)과 같은 컴퓨터나 핸드폰과 등과 같은 산업분야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Such a display device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a computer field such as a notebook (note book) or an industrial field such as a mobile phone in a home appliance field such as a television (TV) or a video.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의 특성에 맞게 데이터 보정이나 데이터 변환 등과 같은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시패널 상에 원하는 영상을 표시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performs image processing such as data correction or data conver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and displays a desired image on the display panel using the digital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outside.

영상 처리 방법 중에는 영상 표시품질을 높이기 위해 입력된 데이터신호의 계조별 빈도수에 따라 데이터 등을 보정 이용하는 히스토그램 처리 기법이 있다. 종래 히스토그램 처리 기법의 경우, 호모지니어스(Homogeneous) 영역과 헤테로지니 어스(Heterogeneous) 영역을 동일한 가중치(Weight)를 두고 빈도수를 산출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 히스토그램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하면,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 변경을 실시하면 원본 영상과 이질감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Among the image processing methods, there is a histogram processing technique that corrects data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ch gray level of an input data signal in order to improve image display quality. In the conventional histogram processing method, a method of calculating a frequency with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regions having the same weight is used. Accordingly, when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histogram processing technique, when the histogram is changed for the homogeneous reg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riginal image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image.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간 특성 반영 방법으로 콘트라스트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트라스트 향상 및 원본 영상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background art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efficiently increasing contrast by a method of reflecting spatial characteristic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and minimizing heterogeneity with an original imag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호모지니어스 영역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을 분석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 히스토그램 분석부로부터 공급된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하는 가중치 결정부; 가중치 결정부로부터 공급된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히스토그램 변경부; 및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stogram analyzer for analyzing a homogeneous region and a heterogeneous region by calculating a histogram for an externally supplied data signal; A weight determination unit for varying weights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histogram analyzer; A histogram changer for generating a corrected data signal by changing a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a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weight determining unit; And a data driver for supplying the corrected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가중치 결정부는, 히스토그램 분석부로부터 공급된 호모지니어스 영역 및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빈도수에 가중치를 곱할 수 있다.The weight determiner may multiply the frequency by the frequency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histogram analyzer.

가중치 결정부는,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보다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크게 반영할 수 있다.The weight determining unit may reflect the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eterogeneous region to be larger than the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omogeneous region.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호모지니어스 영역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을 분석하는 단계;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하는 단계;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단계를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histogram for the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analyze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Varying weights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Generating a corrected data signal by changing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And supplying the corrected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가중치를 달리하는 단계에서는, 호모지니어스 영역 및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빈도수에 가중치를 곱할 수 있다.In the step of varying the weight, the frequency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may be multiplied by the weight.

가중치를 달리하는 단계에서는,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보다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크게 반영할 수 있다.In the step of varying the weight, the weight of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may be larger than the weight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신호에 대해 영역별 히스토그램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가중치를 달리하는 공간 특성 반영 방법으로 콘트라스트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스토그램의 빈도수를 카운트할 시 호모지니어스 영역에서는 빈도수에 큰 가중치를 주고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서는 빈도수에 작은 가중치를 줌으로써 콘트라 스트 향상 및 원본 영상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efficiently increasing contrast by analyzing a characteristic of a histogram for each region with respect to an input data signal and reflecting a spatial characteristic having a different weight based on the characteristic.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and minimizing heterogeneity with the original image by giving a large weight to the frequency in the homogeneous region and a small weight to the frequency in the heterogeneous region when counting the frequency of the histogram.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driving method.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ecific content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 이고, 도 2는 게이트구동부의 블록도 이며, 도 3은 데이터구동부의 블록도 이고, 도 4는 액정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 예시도 이며, 도 5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 예시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gate driver,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driver, and FIG. 4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subpixel circu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pixel circuit configura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타이밍구동부(TCN), 영상보정부(HGMP), 게이트구동부(SDRV), 데이터구동부(DDRV) 및 표시패널(PNL)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ming driver TCN, an image compensator HGMP, a gate driver SDRV, a data driver DRV, and a display panel PNL. It includes.

타이밍구동부(TCN)는 외부로부터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데이터신호(D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구동부(TCN)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구동부(DDRV)와 게이트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구동부(TCN)는 1 수평기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카운트하여 프 레임기간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와 수평 동기신호(Hsync)는 생략될 수 있다. 타이밍구동부(TCN)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들에는 게이트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구동부(D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가 포함될 수 있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시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이 포함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첫 번째 게이트신호가 발생하는 게이트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에 공급된다.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신호로써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시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의 출력을 제어한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이 포함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구동부(DDRV)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데이터구동부(DDRV)에 공급되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전송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The timing driver TCN receive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 data enable signal Data Enable (DE), a clock signal CLK, and a data signal DDATA from an external source. The timing driver TCN uses the timing signals such a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the data enable signal Data Enable, and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gate of the data driver DDRN and the gate.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river SDRV is controlled. Since the timing driver TCN may determine the frame period by counting the data enable signal DE of one horizontal perio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supplied from the outside may be omitted. . The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timing driver TCN include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er SDRV and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DDR. ) May be included.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includes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ate Output Enable, GOE), and the like. The gate start pulse GSP is supplied to a gate drive integrated circuit (IC) where the first gate signal is generated. The gate shift clock GSC is a clock signal commonly input to the gate drive ICs and is a clock signal for shifting the gate start pulse GSP. The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controls the output of the gate drive ICs.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includes a source start pulse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ampling clock (SSC),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urce Output Enable, SOE), and the like. The source start pulse SSP controls the data sampling start time of the data driver DDRV.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is a clock signal that controls the sampling operation of data in the data driver DDRV based on the rising or falling edge.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controls the output of the data driver DDRV. Meanwhile, the source start pulse SSP supplied to the data driver DVV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영상보정부(HGMP)는 외부 예컨대,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 호(DDATA)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호모지니어스(Homogenous) 영역과 헤테로지니어스(Heterogenous) 영역을 분석한다. 그리고 영상보정부(HGMP)는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하고, 호모지니어스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보정부(HGMP)는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타이밍구동부(TCN) 또는 데이터구동부(DDRV)에 공급한다. 영상보정부(HGMP)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The HGMP analyzes a homogenous region and a heterogenous region by calculating a histogram of an external data, for example, a data signal (DDATA) supplied from a timing driver (TCN). HGMP generates a corrected data signal (CDATA) by changing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and changing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do. The image correction unit HGMP supplies the corrected data signal CDATA to the timing driver TCN or the data driver DVV. HGMP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게이트구동부(S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의 트랜지스터들이 동작 가능한 게이트 구동전압의 스윙폭으로 신호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게이트구동부(SDRV)에는 게이트라인들(SL1~SLm)을 통해 생성된 게이트신호를 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구동부(SDRV)는 게이트 드라이브 IC들로 구성된다.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은 각각 쉬프트레지스터(61), 레벨쉬프터(63), 쉬프트레지스터(61)와 레벨쉬프터(63) 사이에 접속된 다수의 논리곱 게이트(이하, "AND 게이트"라 함)(62)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를 반전시키기 위한 인버터(64) 등을 포함한다. 쉬프트레지스터(61)는 종속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D-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킨다. AND 게이트들(62)은 각각 쉬프트레지스터(61)의 출력신호와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의 반전신호를 논리곱하여 출력을 발생한다. 인버터(64)는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를 반전시켜 AND 게이트들(62)에 공급한다. 레벨쉬프터(63)는 AND 게이트(62)의 출력전압 스윙폭을 표시패널(PNL)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이 동작 가능한 게이트전압의 스윙폭으로 쉬프트시킨다. 레벨쉬프터(63)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신호는 게이트라인들(SL1~SLm)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The gate driver SDRV is a swing width of the gate driving voltage at which the transistors of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PNL can operate in response to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supplied from the timing driver TCN. The gate signal is sequentially generated while shifting the signal level. The gate driver SDRV supplies the gate signals generated through the gate lines SL1 to SLm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PNL. As shown in FIG. 2, the gate driver SDRV includes gate drive ICs. The gate drive ICs each include a shift register 61, a level shifter 63, and a plurality of AND gat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D gates") 62 connected between the shift register 61 and the level shifter 63. And an inverter 64 for inverting the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and the like. The shift register 61 sequentially shifts the gate start pulse GSP according to the gate shift clock GSC using a plurality of D-flip flops connected in a cascade manner. The AND gates 62 generate an output by AND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hift register 61 and the inverted signal of the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respectively. The inverter 64 inverts the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and supplies it to the AND gates 62. The level shifter 63 shifts the output voltage swing width of the AND gate 62 to the swing width of the gate voltage at which the transistor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PNL can operate. The gate signal output from the level shifter 63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gate lines SL1 to SLm.

데이터구동부(D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C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할 때,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CDATA)를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신호(ADATA)를 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공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프트 레지스터(51), 데이터 레지스터(52), 제1래치(53), 제2래치(54), 변환부(55), 출력회로(56) 등을 포함한다. 쉬프트레지스터(51)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소스 샘플링 클럭(SSC)을 쉬프트시킨다. 쉬프트레지스터(51)는 이웃하는 다음 단의 소스 드라이브 IC의 쉬프트레지스터에 캐리신호(CAR)를 전달한다. 데이터레지스터(52)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CDATA)를 일시 저장하고 이를 제1래치(53)에 공급한다. 제1래치(53)는 쉬프트레지스터(51)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직렬로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CDATA)를 샘플링하여 래치한 다음 래치한 데이터들을 동시에 출력한다. 제2래치(54)는 제1래치(53)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들을 래치한 다 음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에 응답하여 다른 소스 드라이브 IC들의 제2래치(54)와 동기 하여 래치한 데이터들을 동시에 출력한다. 변환부(55)는 제2래치(5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CATA)를 감마 기준전압(GMA1~GMAn)으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한다. 출력회로(56)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ATA)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들(DL1~DLn)에 공급된다.The data driver DDRV samples and latches the digital data signal CDATA supplied from the timing driver TCN in response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supplied from the timing driver TCN, thereby providing data of a parallel data system. Convert to The data driver DVV converts the digital data signal CDATA into a gamma reference voltage and converts it into an analog data signal ADATA. The data driver DDRV supplies the data signal ADATA converted through the data lines DL1 to DLn to the subpixels SP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PNL. As shown in FIG. 3, a shift register 51, a data register 52, a first latch 53, a second latch 54, a converter 55, an output circuit 56, and the like are included. The shift register 51 shifts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supplied from the timing driver TCN. The shift register 51 transfers a carry signal CAR to a shift register of a source driver IC of a neighboring next stage. The data register 52 temporarily stores the digital data signal CDATA supplied from the timing driver TCN and supplies it to the first latch 53. The first latch 53 samples and latches a digital data signal CDATA that is serially input according to a clock sequentially supplied from the shift register 51, and simultaneously outputs the latched data. The second latch 54 latches data supplied from the first latch 53 and then latches the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latch 54 of the other source drive ICs in response to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Output them simultaneously. The conversion unit 55 converts the digital data signal CATA input from the second latch 54 to the gamma reference voltages GMA1 to GMAn and converts the data signal ADATA to an analog data signal ADATA. The analog data signal ADATA output from the output circuit 56 is supplied to the data lines DL1 to DLn in response to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표시패널(PNL)은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SP)을 포함한다. 표시패널(PNL)은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로 구성될 수 있으나, 플라즈마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 다른 표시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표시패널(PNL)이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서브 픽셀(SP)은 다음의 도 4와 같은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라인(SL1)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데이터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라인(DL1)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1노드(n1)에 타단이 연결된다. 액정셀(Clc)의 일측에 위치하는 화소전극(1)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FT)의 타단에 연결된 제1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며 액정셀(Clc)의 타측에 위치하는 공통전극(2)은 공통전압배선(Vcom)에 연결된다. 스토리지커패시터(Cst)는 제1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며 공통전압배선(Vcom)에 타단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서브 픽셀(SP)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패널은 게이트라인(SL1)을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신호와 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각 서브 픽셀에 포함된 액정층의 변화에 따른 광의 투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PNL includes subpixels SP arranged in a matrix. The display panel PNL may be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but may be applied to other display devices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 When the display panel PNL is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subpixel SP may have a circuit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The switching transistor TFT has a gate connected to the gate line SL1 to which the gate signal is supplied, one end thereof to the data line DL1 to which the data signal is supplied, and the other end thereof to the first node n1. The pixel electrode 1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Clc is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tching transistor TFT, and the common electrode 2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Clc. ) Is connected to the common voltage wiring (Vcom). One end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mmon voltage wiring Vc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the sub pixel SP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liquid crystal layer included in each sub pixel according to the gate signal supplied through the gate line SL1 and the data signal supplied through the data line DL1. The image can be displayed by the transmission of the light.

이와 달리, 표시패널(PNL)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서브 픽셀은 다음의 도 5와 같은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라인(SL1)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데이터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라인(DL1)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1노드(n1)에 타단이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제1노드(n1)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고 전위의 구동 전원(Vdd)이 공급되는 제1전원 배선(VDD)에 연결된 제2노드(n2)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3노드(n3)에 타단이 연결된다. 스토리지커패시터(Cst)는 제1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노드(n2)에 타단이 연결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타단에 연결된 제3노드(n3)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저 전위의 구동 전원(Vss)이 공급되는 제2전원 배선(VSS)에 캐소드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서브 픽셀(SP)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은 게이트라인(SL1)을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신호와, 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각 서브 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이 발광을 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display panel PNL is configur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subpixels may have a circuit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The switching transistor T1 has a gate connected to the gate line SL1 supplied with the gate signal, one end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1 supplied with the data signa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The driving transistor T2 has a gat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one end of the driving transistor T2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VDD supplied with the driving power supply Vdd having a high potential.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node n3. One end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 an anode is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transistor T2, and a cath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line VSS to which the driving power Vss of low potential is supplied.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having the sub pixel SP structure includes a light emitting layer included in each sub pixel according to a gate signal supplied through the gate line SL1 and a data signal supplied through the data line DL1. By emitting light, an image can be display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이다.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image compens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보정부(HGMP)는 히스토그램 분석부(71), 가중치 결정부(73) 및 히스토그램 변경부(7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HGMP includes a histogram analyzer 71, a weight determiner 73, and a histogram changer 75.

히스토그램 분석부(71)는 외부 예컨대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데이 터신호(DDATA)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호모지니어스 영역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을 분석한다. 히스토그램 분석부(71)는 데이터신호(DDATA)의 휘도 성분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히스토그램을 추출하고, 추출된 히스토그램에 대해 균일한 분포를 가지도록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histogram equalization)을 실시한다. 히스토그램 분석부(71)는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을 실시한 후, 호모지니어스 영역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을 분석한다. 호모지니어스 영역은 특정 영역에 계조가 많은 것을 의미하고,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은 특정 영역에 계조가 적은 것을 의미한다.The histogram analyzer 71 analyzes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by calculating a histogram of the data signal DDATA supplied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timing driver TCN. The histogram analyzer 71 extracts the histogram by dividing the luminance component of the data signal DDATA into a plurality of stages, and performs histogram equalization so as to have a uniform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histogram. The histogram analyzer 71 analyzes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after performing histogram equalization. The homogeneous region means that there are many gray scales in a specific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means that there is few gray scales in a specific region.

가중치 결정부(73)는 히스토그램 분석부(71)로부터 공급된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한다. 가중치 결정부(73)는 히스토그램 분석부(71)로부터 공급된 호모지니어스 영역 및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빈도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각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한다. 가중치 결정부(73)는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보다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크게 반영한다. 가중치 결정부(73)는 예컨대, 히스토그램 분석부(71)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신호가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해당할 경우, 가중치를 작게 주어 히스토그램에 반영한다. 이와 달리, 히스토그램 분석부(71)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신호가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해당할 경우, 가중치를 크게 주어 히스토그램에 반영한다. 가중치 결정부(73)에 의해 상호 인접된 픽셀 간에는 특성별 가중치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호모지니어스 영역에서의 히스토그램 변 경(histogram modify)을 실시할 때, 원본 연상과의 이질감이 줄어들게 된다.The weight determination unit 73 varies the weight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histogram analyzer 71. The weight determining unit 73 multiplies the frequency of the histograms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ous region supplied from the histogram analysis unit 71 by the weight to vary the weight of the histogram for each region. The weight determination unit 73 reflects the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eterogeneous region more than the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omogeneous region. For example, if the input data signal corresponds to the homogeneous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histogram analyzer 71, the weight determiner 73 may reduce the weight to reflect the histogram. 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eterogeneous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histogram analysis unit 71 is given a large weight to be reflected in the histogram. The weight determination unit 73 determines the weight for each feature among the pixels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ly, when performing histogram modification in the homogeneous domain, heterogeneity with the original association is reduced.

히스토그램 변경부(75)는 가중치 결정부(73)로부터 공급된 호모지니어스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생성한다. 히스토그램 변경부(75)는 각 영역별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생성하고 이를 타이밍구동부(TCN)에 공급한다.The histogram changing unit 75 generates a corrected data signal CDATA by changing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weight determining unit 73. The histogram changing unit 75 changes the histogram for each region to generate a corrected data signal CDATA and supplies it to the timing driver TCN.

타이밍구동부(TCN)는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데이터구동부(DDRV)에 공급한다. 그러면 데이터구동부(DDRV)는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TA)로 변환하여 표시패널(PNL)에 공급한다.The timing driver TCN supplies the corrected data signal CDATA to the data driver DDRV. Then, the data driver DDRV converts the corrected data signal CDATA into an analog data signal ADTA and supplies the same to the display panel PNL.

<표시장치의 구동방법><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 대비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output image data compared to inpu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히스토그램 분석 단계(S11), 영역에 따른 가중치 결정 단계(S13), 보정된 데이터신호 생성 단계(S15) 및 보정된 데이터신호 공급 단계(S17)을 포함한다.1 to 8,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stogram analysis step S11, a weight determination step S13 according to an area, and a corrected data signal generation step S15. And the corrected data signal supply step (S17).

히스토그램 분석 단계(S11)는 외부 예컨대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DATA)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호모지니어스 영역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히스토그램 분석 단계(S11)는 히스토그램 분석 부(71)에 의해 수행된다. 히스토그램 분석부(71)는 데이터신호(DDATA)의 휘도 성분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히스토그램을 추출하고, 추출된 히스토그램에 대해 균일한 분포를 가지도록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histogram equalization)을 실시한다. 히스토그램 분석부(71)는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을 실시한 후, 호모지니어스 영역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을 분석한다. 호모지니어스 영역은 특정 영역에 계조가 많은 것을 의미하고,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은 특정 영역에 계조가 적은 것을 의미한다.The histogram analysis step S11 is a step of analyzing a homogeneous region and a heterogeneous region by calculating a histogram for the data signal DDATA supplied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timing driver TCN. The histogram analysis step S11 is performed by the histogram analysis unit 71. The histogram analyzer 71 extracts the histogram by dividing the luminance component of the data signal DDATA into a plurality of stages, and performs histogram equalization to have a uniform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histogram. The histogram analyzer 71 analyzes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after performing histogram equalization. The homogeneous region means that there are many gray scales in a specific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means that there is few gray scales in a specific region.

영역에 따른 가중치 결정 단계(S13)는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하는 단계이다. 영역에 따른 가중치 결정 단계(S13)는 가중치 결정부(73)에 의해 수행된다. 가중치 결정부(73)는 히스토그램 분석부(71)로부터 공급된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한다. 가중치 결정부(73)는 히스토그램 분석부(71)로부터 공급된 호모지니어스 영역 및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빈도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각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한다. 가중치 결정부(73)는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보다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크게 반영한다. 가중치 결정부(73)는 예컨대, 히스토그램 분석부(71)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신호가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해당할 경우, 가중치를 작게 주어 히스토그램에 반영한다. 이와 달리, 히스토그램 분석부(71)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신호가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해당할 경우, 가중치를 크게 주어 히스토그램에 반영한다. 가중치 결정부(73)에 의해 상호 인접된 픽셀 간에는 특성별 가중치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호모지니어스 영역에서의 히스토그램 변경(histogram modify)을 실시할 때, 원본 연상과의 이질감이 줄어들게 된다.The weight determination step S13 according to the region is a step of varying the weight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The weight determination step S13 according to the region is performed by the weight determination unit 73. The weight determination unit 73 varies the weight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histogram analyzer 71. The weight determining unit 73 multiplies the frequency of the histograms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ous region supplied from the histogram analysis unit 71 by the weight to vary the weight of the histogram for each region. The weight determination unit 73 reflects the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eterogeneous region more than the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omogeneous region. For example, if the input data signal corresponds to the homogeneous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histogram analyzer 71, the weight determiner 73 may reduce the weight to reflect the histogram. 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eterogeneous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histogram analysis unit 71 is given a large weight to be reflected in the histogram. The weight determination unit 73 determines the weight for each feature among the pixels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ly, when performing histogram modification in the homogeneous region, heterogeneity with the original association is reduced.

보정된 데이터신호 생성 단계(S15)는 호모지니어스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보정된 데이터신호 생성 단계(S15)는 히스토그램 변경부(75)에 의해 수행된다. 히스토그램 변경부(75)는 가중치 결정부(73)로부터 공급된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생성한다. 히스토그램 변경부(75)는 각 영역별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생성하고 이를 타이밍구동부(TCN)에 공급한다.The corrected data signal generation step S15 is a step of generating a corrected data signal by changing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The corrected data signal generating step S15 is performed by the histogram changing unit 75. The histogram changing unit 75 changes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weight determining unit 73 to generate the corrected data signal CDATA. The histogram changing unit 75 changes the histogram for each region to generate a corrected data signal CDATA and supplies it to the timing driver TCN.

보정된 데이터신호 공급 단계(S17)는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표시패널(PNL)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보정된 데이터신호 공급 단계(S17)는 데이터구동부(DDRV)에 의해 수행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보정된 데이터신호(CDATA)를 공급받고 이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ATA)로 변한하여 표시패널(PNL)에 공급한다.The corrected data signal supply step S17 is a step of supplying the corrected data signal CDATA to the display panel PNL. The corrected data signal supply step S17 is performed by the data driver DVV. The data driver DDRV receives the corrected data signal CDATA from the timing driver TCN, converts the data signal CDATA into an analog data signal ADATA, and supplies the same to the display panel PN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특성 반영 방법으로 영역별 특성에 따라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와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간의 이질감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 method for reflecting spatial characteristics may improve contrast while minimizing heterogeneity between input image data and output image data by changing histogram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ill be.

이상 본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신호에 대해 영역별 히스토그램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가중치를 달리하는 공간 특성 반영 방법으로 콘트라스트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스토그램의 빈도수를 카운트할 시 호모지니어스 영역에서는 빈도수에 큰 가중치를 주고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서는 빈도수에 작은 가중치를 줌으로써 콘트라스트 향상 및 원본 영상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efficiently increase contrast by analyzing a characteristic of a histogram for each region of an input data signal and reflecting spatial characteristics having different weights based on the histogram.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and minimizing heterogeneity with the original image by giving a large weight to the frequency in the homogeneous region and a small weight to the frequency in the heterogeneous region when counting the frequency of the histogram.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etho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lso, it is to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게이트구동부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gate driver.

도 3은 데이터구동부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driver;

도 4는 액정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 예시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pixel circuit configur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도 5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 예시도.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pixel circuit configuratio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image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 대비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image data output compared to image data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TCN: 타이밍구동부 HGMP: 영상보정부TCN: Timing Driver HGMP: Video Compensation

SDRV: 게이트구동부 DDRV: 데이터구동부SDRV: Gate driver DDRV: Data driver

PNL: 표시패널 71: 히스토그램 분석부PNL: display panel 71: histogram analysis unit

73: 가중치 결정부 75: 히스토그램 변경부73: weight determining unit 75: histogram changing unit

Claims (8)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호모지니어스 영역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을 분석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A histogram analyzer for analyzing a homogeneous region and a heterogeneous region by calculating a histogram of a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하는 가중치 결정부;A weight determination unit that varies a weight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histogram analyzer; 상기 가중치 결정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히스토그램 변경부; 및A histogram changer for generating a corrected data signal by changing a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a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weight determining unit; And 상기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And a data driver for supplying the corrected data signal to a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중치 결정부는,The weight determination unit,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호모지니어스 영역 및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빈도수에 가중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And a weight multiplied by the frequency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supplied from the histogram analyz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중치 결정부는,The weight determination unit, 상기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보다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크게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And a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eterogeneous region is greater than a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omogeneous reg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패널은,The display panel,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 호모지니어스 영역과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을 분석하는 단계;Analyzing a homogeneous region and a heterogeneous region by calculating a histogram of an externally supplied data signal; 상기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달리하는 단계;Varying weights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상기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변경하여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corrected data signal by changing a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a histogram for the heterogeneous region; And 상기 보정된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에 공급하는 단계를 표시장치의 구동방법.And supplying the corrected data signal to a display pane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가중치를 달리하는 단계에서는,In the step of varying the weight, 상기 호모지니어스 영역 및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빈도수에 가중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And multiplying the frequency by the frequency of the histogram for the homogeneous region and the heterogeneous reg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가중치를 달리하는 단계에서는,In the step of varying the weight, 상기 호모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보다 상기 헤테로지니어스 영역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가중치를 크게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And a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eterogenous region is greater than a weight of the histogram with respect to the homogeneous reg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표시패널은,The display panel,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KR1020090118056A 2009-12-01 2009-12-01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100614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56A KR20110061413A (en) 2009-12-01 2009-12-01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56A KR20110061413A (en) 2009-12-01 2009-12-01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413A true KR20110061413A (en) 2011-06-09

Family

ID=4439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056A KR20110061413A (en) 2009-12-01 2009-12-01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41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79798B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14936B1 (en) Method and circuit for compensating gamma reference voltages
CN101188093B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0847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5551445B (en) Gamma voltage generative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it
KR101639308B1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30166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528750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 of the same
KR102286944B1 (en) Display panel driv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70018219A1 (en) Pixel signal compensation for a display panel
KR101666578B1 (en) Driving circui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387136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080000201A (en)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0806122B1 (en) Source Driving Circuit, Method of driving data lin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81845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99133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469470B1 (en)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080096907A (en) Driving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20162168A1 (en) Method of setting gamma of display device
KR20130131807A (en) Lu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riving thereof
US20160189631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8011184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072295A (en) Display device
KR101958654B1 (en) Dot invers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72293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