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085A -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폴리우레탄 필름 - Google Patents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폴리우레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085A
KR20110061085A KR1020090117622A KR20090117622A KR20110061085A KR 20110061085 A KR20110061085 A KR 20110061085A KR 1020090117622 A KR1020090117622 A KR 1020090117622A KR 20090117622 A KR20090117622 A KR 20090117622A KR 20110061085 A KR20110061085 A KR 20110061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iquid composition
parts
liquid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003B1 (ko
Inventor
김현정
박일규
장성환
양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네웰
Priority to KR102009011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0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폴리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우레탄을 액상 타입으로 이용하여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내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점착력, 신속한 피부 침투 효과를 지니는 조성물로 관절통, 근육통, 골절통, 신경통, 류마티통, 타박, 어깨 걸림증 등의 적응증에 대한 처치를 요하는 부위에 효과적인 고성능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타입이므로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처치를 요하는 부위에 바르거나 분사시 휘발성 성분이 휘발되고 경피 흡수용 약물을 함유한 폴리우레탄 수지가 필름 타입으로 해당 부위에 형성된 채 잔류함으로써 약물을 손쉽게 그리고 약효를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 경피 흡수, 우레탄, 액상

Description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폴리우레탄 필름 {Liquid Composition For Transdermal Absorption,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Polyurethane Film Obtained From The Method}
본 발명은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폴리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내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점착력, 신속한 피부 침투 효과를 지니는 조성물로 관절통, 근육통, 골절통, 신경통, 류마티통, 타박, 어깨 걸림증 등의 적응증에 대한 처치를 요하는 부위에 효과적인 고성능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액상 타입이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창상 부위에 바르거나 분사시 휘발성 성분이 휘발되고 경피 흡수용 약물을 함유한 채 필름 타입으로 처치를 요하는 부위에 형성된 채 잔류함으로써 약물을 손쉽게 그리고 약효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은 경피 투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재로서 일반적인 지지층은 약물의 피부투과 및 피부자극과 같은 안전성을 좌우한다.
일반적인 지지층인 알루미늄 호일, PVDC 및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폐쇄성 지지층은 피부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을 증가시켜 다양한 약물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며, 유효성분인 약물이 적용 부위에 작용하기 위해 약물의 경피투여 시스템으로부터 약물의 방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장기간 폐쇄는 피부 연화, 피부자극, 감작유발, 박테리아 성장증가, 경피투여 시스템의 점착층의 점착력 감소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직포나 부직포와 같은 비 폐쇄성 지지층은 피부로부터 수분의 발산을 자유롭게 하지만 경피 투여 시스템의 흡수촉진제와 같은 부형제 성분들의 증발도 동시에 유도를 하므로 약물의 피부투과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즉 지지층의 폐쇄성의 정도는 피부부착시간, 약물전달양상, 피부자극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약물의 종류, 점착제, 점착시간 및 적응증에 따라서 적절한 지지층을 선택해야 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지층은 폴리아크릴산으로 약물 전달에서는 유효하지만 부착이 불편하며, 일상적인 생활을 하거나 특히 관절부위처럼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 부착시 쉽게 떨어지며, 붙인 후 이물감이 크고, 점착층이 수분과 닿으면 쉽게 분리되어 입욕 및 샤워가 어려워 유효한 약물 전달 시간을 충분히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새로운 형태의 점착층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생체 의료용 고분자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고 탄성과 질긴 특성을 갖는 우레탄을 이용하여 관절 부위와 같이 움직임 성을 요하는 부위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 혼입이 용이하고, 방수 특성을 갖고 바르거나 분사가 용이하도록 액상 형태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타입의 기재를 확보하고 이에 기초하여 바르거나 분사하는 등 간편한 처치가 가능한 경피 투여용 액상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피 투여용 액상 조성물의 바르거나 분사하는 등 간편한 처치만으로도 방출가능한 폴리우레탄 필름을 처치가 필요한 부위에 형성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피 투여용 액상 조성물은, 경피 투여용 약물, 약물을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 및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약물 운반용 캐리어로는 휘발성 용매 또는 물을, 그리고 상기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는 액상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피 투여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i) 폴리올 및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서 액상의 폴리우레탄을 합성하는 단계;
ii) 상기 액상 폴리우레탄에 약물 운반용 캐리어로서 휘발성 용매 또는 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이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iii) 경피 투여용 약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여기에 피부진정제, 용해보조제, 소독제, 피부 흡수 증진제 중 1종 이상을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필름은,
상술한 경피흡수용 액상 조성물을 처치를 요하는 부위에 바르거나 분사함으로써 휘발성분이 휘발된 후 형성되어 경피 투여용 약물을 방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창상 부위에 바르거나 분사함으로써 휘발성분의 휘발 후 형성되어 경피 투여용 약물을 방출가능한 폴리우레탄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경피 투여용 액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경피 투여용 액상 조성물은 경피 투여용 약물, 약 물을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 및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약물 운반용 캐리어로는 휘발성 용매 또는 물을, 그리고 상기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는 액상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탄성을 부여하거나 무릎이나 팔꿈치, 손가락 같은 관절부위나 굴곡진 부위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로는 나아가 피부진정제, 용해보조제, 소독제, 피부 흡수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사용량은 상기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약물 운반용 캐리어 1~400 중량부, 및 경피 투여용 약물 0.45~90 중량부(약물 총 합으로서)를 포함하는 것이 피부에 도포하거나 약물의 유효성을 갖는 측면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다.
이는, 캐리어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면 점도가 높아 적용 부위에 바르거나 분사하기에 수월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폴리우레탄 필름)의 필름이 얇아져 적용된 부위에서 제거가 어려우며, 유효한 방출 속도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약물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면 유효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유효성의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고, 사용된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의 필름 물성이 약해져 제거가 어려운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0.05~3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여기에 피부진정제 0.1~10 중량부, 용해보조제 0.1~20 중량부, 소독제 0.1~10 중량부, 피부 흡수 증진제 0.1~20 중량부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약물을 효과적으로 적용부위에 전달하기에 바람직하다.
이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면 약물의 유효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유효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방출 기재로 사용된 폴리우레탄의 물성이 저하되며, 피부 진정제, 용해 보조제, 소독제, 피부 흡수 증진제 등의 기타 약물들 또한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면 기타 약물을 사용한 유효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유효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방출 기재로 사용된 폴리우레탄의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살리실산, 셀레콕시브, 로페콕시브, 멜록시캄, 테녹시캄, 이속시캄, 피록시캄, 케토프로펜, 케토롤락, 플루비프로펜, 페노프로펜, 나프록센, 인도메타신, 아세클로페낙, 디클로페낙,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염산테르비나핀, 폴리크레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이중에서 셀레콕시브, 멜록시캄, 피록시캄, 케토프로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COX-2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상용화되어 입수하기 용이한 점을 감안할 때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피부 진정제는 멘톨, 캄포,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에틸, 티트리오일, 아로마오일, 올리브오일,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가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의 피부 트러블 진정 측면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며, 이중에서 멘톨, 캄포, 살리실산메틸 등을 사용하는 것이 상용화되어 입수하기 용이한 점을 감안할 때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독제는 피부에 적용하기 전 세균을 제거하여 적용부위를 청결히 할 목적으로 투여되는 것으로, 그 종류로는 염화벤잘코늄, 아크리놀, 벤질알콜,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적용 부위를 청결히 하는 측면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며, 이중에서 염화벤잘코늄, 아크리놀 등을 사용하는 것이 서방형 필름 형성시의 빠른 건조 시간과 물성 저하 측면에서 볼 때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용해보조제로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폼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다이메틸아이소소르비드, 아이소소르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유효 약물을 효과적으로 용해하여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에 혼합하는 측면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며, 이중에서 다이메틸설폭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 및 캐리어에 손쉽게 혼합되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흡수 증진제로는 리놀레산,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카프르산 및 미리스트산과 같은 지방산; 플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롤과 같은 다가알콜; 트윈 80, 라브라솔, 크레모포와 같은 계면활성제; 올레일알콜 및 스테아릴알콜과 같은 지방산 알코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라우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헥실데실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유효 약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침투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중에서 지방산과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 및 캐리어에 손쉽게 혼합되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사용량은 휘발성 용매가 포함된 액체상태의 폴리우레탄에 대하여 0.1~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는 피부 흡수 증진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피부 흡수 증진의 효과가 미약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 형성 후 부착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휘발성 용매로는 에탄올, 벤질알콜,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이소옥탄,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인 폴리우레탄과 혼합이 용이함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다. 이중에서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액 상의 폴리우레탄과의 합성을 고려할 때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가 피부에 자극적일 수 있으므로 상기 유기용매를 대신하여 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가능한 휘발성 용매 또는 물의 함량은 액상의 폴리우레탄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0중량부 범위 내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에서의 경구 흡수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폴리올 및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서 액상의 폴리우레탄을 합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폴리올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올,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올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서, 사용량이 0.8 내지 1.2 몰 범위 내인 것이 액상 형태의 폴리 우레탄을 합성하기에 감안할 때 바람직하며, 이중에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합성의 효율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글리콜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사용량이 0.8 내지 1.2 몰 범위 내인 것이 합성의 효율 측면에서 감안할 때 바람직하며, 이중에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합성 효율 및 합성된 필름 물성을 감안할 때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폴리올과 글리콜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합성된 폴리우레탄의 물성과 합성 효율을 감안하여 1.2:1 내지 1:1.2의 중량비로 투입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액상형태의 폴리우레탄을 합성하기에 수월함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며, 이중에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합성된 폴리 우레탄의 황변 감소를 고려할 때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이소시아네이트류 중 지환족/방향족은 필름 탄성이 약하고 강도가 강한 질긴 필름 또는 딱딱한 고무의 형태를 띄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합성된 액상 폴리우레탄에 약물 운반용 캐리어로서 휘발성 용매 또는 물을 액상의 폴리우레탄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00 중량부를 첨가한다.
이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경피 투여용 약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여기에 피부진정제, 용해보조제, 소독제, 피부 흡수 증진제 중 1종 이상을 부가한다.
이때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은 액상의 폴리우레탄 중량을 기준으로 0.45~90 중량부 범위 내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0.05~3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여기에 피부진정제 0.1~10 중량부, 용해보조제 0.1~20 중량부, 소독제 0.1~10 중량부, 피부 흡수 증진제 0.1~20 중량부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폴리우레탄을 합성하는 단계>
프리폴리머(Prepolymer) 합성법을 사용하여 폴리올 0.8 내지 1.2몰(바람직하게는 약 1몰)과 글리콜 0.8 내지 1.2몰(바람직하게는 약 1몰) 중 1종 혹은 이들 모두를 혼합하여 투입한 다음 서서히 교반하면서 60 내지 70℃로 승온시킨다.
상기 폴리올과 글리콜은 1.2:1 내지 1:1.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투입하는 것이 우레탄 필름에 탄성을 부여하는 측면에서 볼 때 좋다. 또한, 상기 교반시 승온하는 온도 범위는 반응 활성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다.
상기 용액에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류 화합물을 2.4 내지 3.6몰, 바람직하게는 3몰을 투입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110 ± 2 ℃로 유지한다.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3 몰을 넣어 반응시키는 경우, 1 몰의 말단 NCO 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110 ± 2 ℃를 벗어난 온도에서는 반응이 진행되지 않거나 또는 부 반응이 진행되게 되므로 원하는 우레탄 구조를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혼합액을 상기 온도(110 ± 2 ℃)를 유지한 상태로 3 시간 경과 후, 이소시아네이트의 그룹에 존재하는 NCO %를 측정하고, 프리폴리머의 소정 분자량 하한치에 해당하는 수치로서 이론 NCO %가 4.1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춰 반응을 정지시킨다.
그런 다음 말단 NCO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와 디-아민류(DI-AMINE류) 화합물과의 원활한 반응을 위해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을 투입하여 희석한다. 여기서 합성된 우레탄의 물성과 점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합성된 프리폴리머에 디-아민류(DI-AMINE류) 화합물:알코올 = 1:1 중량비의 희석물을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드롭 차지한다. 이때,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촉매제인 디-아민류 화합물이 투입되면 프리폴리머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고분자화 된다.
상기 디-아민류 화합물은 반응 촉매제로서, 구체적으로는 m-페닐렌디아민, 디에틸톨루엔디아민, 이메틸시오톨루엔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경피투여 흡수제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경피투여 흡수제제는 휘발성 용매, 폴리우레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피부 진정제, 용해 보조제, 소독제, 피부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용액 상태의 경피투여 흡수 제제이다
상기 제조된 액상의 폴리우레탄에 휘발성 용매를 투입하되, 휘발성 유기 용매의 함량은 상기 액상의 폴리우레탄에 대하여 1 내지 4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우레탄의 필름화 두께가 두꺼워지고 필름 건조가 느려 사용상의 제약이 있으며, 4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 두께가 얇아져 상처 보호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휘발성 용매로는 에탄올, 벤질알콜,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이소옥탄, 헥사메틸다이실옥산, 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액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작용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투입하되, 휘발성 용매가 포함된 액체상태의 폴리우레탄에 대하여 0.05~3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임상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이상의 임상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의 용액은 피부와 접촉하는 경피 흡수 제제로써 피부의 진정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피부 진정제를 투입하되, 휘발성 용매가 포함된 액체상태의 폴리우레탄에 대하여 0.1~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피부 진정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피부 진정 효과가 없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 형성한 다음 부착력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용액에 활성성분을 가용화시키기 위해 용해보조제를 투입하되, 휘발성 용매가 포함된 액체상태의 폴리우레탄에 대하여 0.1~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용해보조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피부투과 증진 효과가 미약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 형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생성된 필름의 부착력 및 인장력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의 용액에 소독능력을 포함하기 위하여 소독제를 투입하되, 휘발성 용매가 포함된 액체상태의 폴리우레탄에 대하여 0.1~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소독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소독의 효과가 미약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소독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경피흡수용 액상 조성물을 창상 부위에 바르거나 분사함으로써 휘발성분의 휘발 후 경피투여용 약물을 방출가능한 폴리우레탄 필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름의 두께는 바르거나 분사하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지만 대략 10~1,000 ㎛ 범위 내인 것이 약물 유효성분의 효과적인 투여를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상 부위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관절통, 근육통, 골절통, 신경통, 류마티통, 타박, 어깨 결린 데에 적용하는 것이 유효 약물의 효과적인 치유 및 통증 개선으로 인하여 바람직하다.
적용 방식으로는 바르거나 분사하는 등 액제 제형을 적용하면 휘발성분이 1~2 분내 휘발되고 창상 부위에 잔류한 폴리우레탄 필름이 약물을 방출하게 된다.이 같은 바르거나 분사하는 횟수는 특별히 제한받지 않으며, 효과적으로 처치되지 않은 경우 창상 부위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거하지 않고 그 위에 추가로 본 발명에서 제조한 경구 흡수용 액상 조성물을 추가로 바르거나 분사하여도 좋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피 투여를 위한 흡수제제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탄성이 매우 우수하여 움직임 성이 좋고, 적용부위에 대한 사용이 손쉬우며, 재탈락될 우려가 거의 없고 방출 효과가 탁월한 경피투여 흡수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액상 우레탄 합성>
먼저, 프리폴리머 합성법을 사용하여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 몰과 에틸렌글리콜 1 몰을 투입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온도를 60 ~ 70 ℃ 범위 내로 상승시켰다.
상기 용액에 우레탄의 골격 구조를 형성할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3 몰 투입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110 ℃로 유지하였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콜 혼합액을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3 시간 경과 후에 이소시아네이트의 그룹에 존재하는 NCO %를 측정하고, 이론 NCO % 4.1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춰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말단 NCO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와 m-페닐렌디아민 1 몰과의 원활한 반응을 위해 에틸아세테이트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투입 희석하였다. 합성된 프리폴리머에 m-페닐렌디아민:이소프로필알코올=1:1 중량비의 희석물을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드롭 차지하여 m-페닐렌디아민과 프리폴리머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무색 투명하며 점성이 있는 액상 우레탄을 합성하였다.
< 경피 흡수용 제제 제조>
상기 제조된 액상의 우레탄은 직접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점성이 높아 사용상 용이하지 않으므로 에틸아세테이트:에탄올=1:4 중량비의 희석물을 액상의 우레탄을 기준으로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유효성분인 소염 진통제를 포함하고자 피록시캄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1.9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 보조제로 다이메틸설폭사이드를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부 첨가한 후, 피부 진정제로 멘톨, 살리실산을 각각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3 중량부씩, 그리고 피부흡수 증진제로 글리세롤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 로 5 중량부 첨가하여 경피 흡수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액상 우레탄 합성>
프리폴리머 합성법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올 1 몰과 에틸렌글리콜 1 몰을 투입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온도를 65 ℃로 상승시켰다. 상기 용액에 우레탄의 골격 구조를 형성할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로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3 몰을 투입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110 ℃로 유지하였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혼합액을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3 시간 경과 후에 이소시아네이트의 그룹에 존재하는 NCO %를 측정하고, 이론 NCO % 4.1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춰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말단 NCO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와 m-페닐렌디아민 1 몰과의 원활한 반응을 위해 에틸아세테이트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투입 희석하였다. 합성된 프리폴리머에 m-페닐렌디아민:이소프로필알코올=1:1 중량비의 희석물을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드롭 차지하여 무색 투명하며 점성이 있는 액상 우레탄을 합성하였다.
< 경피 흡수용 제제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비스테로이드성 유효성분인 소염 진통제를 포함하고자 피록시캄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1.9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 보조제로 다이메틸설폭사이드를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부 첨가한 후, 피부 진정제로 멘톨, 살리실산을 각각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3 중량부씩, 그리고 피부흡수 증진제로 글리세롤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5 중량부 첨가하여 경피 흡수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액상 우레탄 합성>
프리폴리머 합성법을 사용하여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 몰과 에틸렌글리콜 1 몰을 투입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온도를 65 ℃로 상승시켰다. 상기 용액에 우레탄의 골격 구조를 형성할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3 몰과 최종 필름 형성 시 점착력 증가를 위해 실리콘 0.3 몰을 투입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110 ℃로 유지하였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콜의 혼합액을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3 시간 경과 후에 이소시아네이트의 그룹에 존재하는 NCO %를 측정하고, 이론 NCO % 4.1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춰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말단 NCO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와 m-페닐렌디아민 1 몰과의 원활한 반응을 위해 에틸아세테이트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투입 희석한다. 합성된 프리폴리머에 m-페닐렌디아민:이소프로필알코올=1:1 중량비의 희석물을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드롭 차지하고 무색 투명하며 점성이 있는 액상 우레탄을 합성하였다.
< 경피 흡수용 제제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비스테로이드성 유효성분인 소염 진통제를 포함하고자 피록시캄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1.9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 보조제로 다이메틸설폭사이드를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부 첨가한 후, 피부 진정제로 멘톨, 살리실산을 각각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3 중량부씩, 그리고 피부흡수 증진제로 글리세롤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5 중량부 첨가하여 경피 흡수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액상 우레탄 합성>
프리폴리머 합성법을 사용하여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 몰과 에틸렌글리콜 1 몰을 투입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온도를 65 ℃로 상승시켰다. 상기 용액에 우레탄의 골격 구조를 형성할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3 몰을 투입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110 ℃로 유지하였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콜의 혼합액을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3 시간 경과 후에 이소시아네이트의 그룹에 존재하는 NCO %를 측정하고, 이론 NCO % 4.1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춰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말단 NCO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와 m-페닐렌디아민 1 몰과의 원활한 반응을 위해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을 투입 희석하였다. 합성된 프리폴리머에 m-페닐렌디아민:에탄올=1:1 중량비의 희석물을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드롭 차지하고 무색 투명하며 점성이 있는 액상 우레탄을 합성하였다.
< 경피 흡수용 제제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비스테로이드성 유효성분인 소염 진통제를 포함하고자 피록시캄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1.9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 보조제로 다이메틸설폭사이드를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부 첨가한 후, 피부 진정제로 멘톨, 살리실산을 각각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3 중량부씩, 그리고 피부흡수 증진제로 글리세롤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5 중량부 첨가하여 경피 흡수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액상 우레탄 합성>
프리폴리머 합성법을 사용하여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 몰과 에틸렌글리콜 및 1,4-부틸렌글리콜을 각각 0.5 몰씩 투입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온도를 65 ℃로 상승시켰다.
상기 용액에 우레탄의 골격 구조를 형성할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로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3 몰을 투입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110 ℃로 유지하였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콜의 혼합액을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3 시간 경과 후에 이소시아네이트의 그룹에 존재하는 NCO %를 측정하고, 이론 NCO % 4.1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춰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말단 NCO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와 m-페닐렌디아민 1 몰과의 원활한 반응을 위해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을 투입 희석하였다. 합성된 프리폴리머에 m-페닐렌디아민:에탄올=1:4 중량비의 희석물을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드롭 차지하고 무색 투명하며 점성이 있는 액상 우레탄을 합성하였다.
< 경피 흡수용 제제 제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비스테로이드성 유효성분인 소염 진통제를 포함하고자 피록시캄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1.9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 보조제로 다이메틸설폭사이드를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부 첨가한 후, 피부 진정제로 멘톨, 살리실산을 각각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3 중량부씩, 그리고 피부흡수 증진제로 글리세롤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5 중량부 첨가하여 경피 흡수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액상 우레탄 합성>
프리폴리머 합성법을 사용하여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 몰과 에틸렌글리콜 및 1,4-부틸렌글리콜을 각각 0.5 몰씩 투입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온도를 65 ℃로 상승시켰다.
상기 용액에 우레탄의 골격 구조를 형성할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로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3 몰을 투입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110 ℃로 유지하였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콜의 혼합액을 상기 온도를 유지 한 상태로 3 시간 경과 후에 이소시아네이트의 그룹에 존재하는 NCO %를 측정하고, 이론 NCO % 4.1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춰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말단 NCO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와 m-페닐렌디아민 1 몰과의 원활한 반응과 최종 필름 형성 시 보습을 위해 핀솔브(C12-C15 Alkyl Benzoate)와 에탄올을 투입 희석하였다. 합성된 프리폴리머에 m-페닐렌디아민:에탄올=1:4 중량비의 희석물을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드롭 차지하고 무색 투명하며 점성이 있는 액상 우레탄을 합성하였다.
< 경피 흡수용 제제 제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비스테로이드성 유효성분인 소염 진통제를 포함하고자 피록시캄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1.9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 보조제로 다이메틸설폭사이드를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부 첨가한 후, 피부 진정제로 멘톨, 살리실산을 각각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3 중량부씩, 그리고 피부흡수 증진제로 글리세롤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5 중량부 첨가하여 경피 흡수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액상 우레탄 합성>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 몰과 에틸렌글리콜 및 1,4-부틸렌글리콜을 각각 0.5몰을 투입한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온도를 65 ℃로 상승시켰다. 상기 용액에 우레탄의 골격 구조를 형성할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3 몰을 투입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110 ℃로 유지하였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콜의 혼합액을 상기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3 시간 경과 후에 이소시아네이트의 그룹에 존재하는 NCO %를 측정하고, 이론 NCO % 4.1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춰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말단 NCO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와 m-페닐렌디아민 1몰과의 원활한 반응과 최종 필름 형성 시 보습을 위해 유탄올(2-octyldodecanol-1)과 에탄올을 투입 희석하였다.
합성된 프리폴리머에 m-페닐렌디아민:에탄올=1:4 중량비의 희석물을 미리 준비한 상태에서 드롭 차지하고 무색 투명하며 점성 있는 액상 우레탄을 합성하였다.
< 경피 흡수용 제제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비스테로이드성 유효성분인 소염 진통제를 포함하고자 피록시캄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1.9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유효성분의 용해 보조제로 다이메틸설폭사이드를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부 첨가한 후, 피부 진정제로 멘톨, 살리실산을 각각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0.3 중량부씩 그리고 피부흡수 증진제로 글리세롤을 액상 폴리우레탄 중량 기준으로 5 중량부 첨가하여 경피흡수 액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제제를 트라스트와 직접 대비하기 위해 동일 조건으로 규격화한 트라스트 제품을 비교예로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피부 투과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각각 제조된 용액 상태의 경피흡수 제제에 대하여 무모마우스의 피부를 이용하여 피부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약 8 주령의 무모마우스 피부에 실험하고자 하는 제품 중 트라스트를 2cm2 면적의 원형으로 잘라 부착하고 실시예 제품들은 각각 2cm2 면적의 원형으로 바른 후 확산 실험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플로우뜨루(Flow-through) 확산장치에 올리고 2 시간 간격으로 8 시간 동안 시료를 받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시간에 따른 약물 투과량을 계산하였다.
이때 수용체 용매는 Ph 7.4 인산염 완충액을 사용하였으며 온도는 37 ℃를 유지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의 이동 상으로는 메탄올 : 물 : 인산(800: 199 : 1) 혼액을 사용하였으며 고정 상은 zorbax rx c8을 사용하며 자외부 250 nm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단위시간당, 단위면적당 투과된 약물량의 평균은 다음 표 1과 같다.
시험 제품 8시간 동안 피록시캄의 평균피부 투과속액
(㎍/cm2/hr)
비교예 5.7
실시예 1 3.5
실시예 2 7.9
실시예 3 5.4
실시예 4 9.2
실시예 5 10.3
실시예 6 4.7
실시예 7 5.1
상기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액상 우레탄으로 제조된 필름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에는 비교예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트라스트 제제와 비교해 본 결과, 피부 투과 속도에 있어서 우레탄 합성 과정에서 휘발성 용매, 우레탄 반응기, 우레탄 분자량 등에 따른 약물의 방출 속도로 인한 차이가 다소 있었으나, 트라스트와 유사한 방출 속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1)

  1. 경피 투여용 약물, 약물을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 및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약물 운반용 캐리어로는 휘발성 용매 또는 물을, 그리고 상기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는 액상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은 나아가 피부진정제, 용해보조제, 소독제, 피부 흡수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약물 운 반용 캐리어 1~400 중량부, 및 경피 투여용 약물 0.45~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0.05~3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여기에 피부진정제 0.1~10 중량부, 용해보조제 0.1~20 중량부, 소독제 0.1~10 중량부, 피부 흡수 증진제 0.1~20 중량부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용매는 에탄올, 벤질알콜,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이소옥탄, 헥사메틸다이실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는 살리실산, 셀레콕시브, 로페콕시브, 멜록시캄, 테녹시캄, 이속시캄, 피록시캄, 케토프로펜, 케토롤락, 플루비프로펜, 페노프로펜, 나프록센, 인도메타신, 아세클로페낙, 디클로페낙,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염산테르비나핀, 폴리크레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는 셀레콕시브, 멜록시캄, 피록시캄, 케토프로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COX-2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및 글리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로 형성되며, 상기 폴리올과 글리콜은 각각 0.8 내지 1.2 몰 범위 내로, 그리고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은 2.4 내지 3.6 몰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정제는 멘톨, 캄포,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에틸, 티트리오일, 아로마오일, 올리브오일,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로는 염화벤잘코늄, 아크리놀, 벤질알콜,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보조제로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폼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다이메틸아이소소르비드, 아이소소르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흡수 증진제로는 리놀레산,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카프르산 및 미리스트산과 같은 지방산; 플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롤과 같은 다가알콜; 트윈 80, 라브라솔, 크레모포와 같은 계면활성제; 올레일알콜 및 스테아릴알콜과 같은 지방산 알코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라우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헥실데실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
  13. i) 폴리올 및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과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을 혼합하여 액상 타입에서 고형화되는 필름 기재로서 액상의 폴리우레탄을 합성하는 단계;
    ii) 상기 액상 폴리우레탄에 약물 운반용 캐리어로서 휘발성 용매 또는 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이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iii) 경피 투여용 약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유효성분으로 첨가하고, 여기에 피부진정제, 용해보조제, 소독제, 피부 흡수 증진제 중 1종 이상을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과 글리콜은 각각 0.8 내지 1.2 몰 범위 내로 사용되고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 내지 3.6 몰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은 액상의 폴리우레탄 중량을 기준으로 0.45~90 중량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투여용 약물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0.05~3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여기에 피부진정제 0.1~10 중량부, 용해보조제 0.1~20 중량부, 소독제 0.1~10 중량부, 피부 흡수 증진제 0.1~20 중량부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올,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올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공중합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9.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류 화합물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흡수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경피흡수용 액상 조성물을 처치를 요하는 부위에 바르거나 분사함으로써 휘발성분의 휘발된 후 형성되어 경피 투여용 약물을 방출가능한
    폴리우레탄 필름.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를 요하는 적응증은 관절통, 근육통, 골절통, 신경통, 류마티통, 타박, 또는 어깨 결림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KR1020090117622A 2009-12-01 2009-12-01 경피 흡수 제제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KR10113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22A KR101134003B1 (ko) 2009-12-01 2009-12-01 경피 흡수 제제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22A KR101134003B1 (ko) 2009-12-01 2009-12-01 경피 흡수 제제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85A true KR20110061085A (ko) 2011-06-09
KR101134003B1 KR101134003B1 (ko) 2012-04-05

Family

ID=4439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622A KR101134003B1 (ko) 2009-12-01 2009-12-01 경피 흡수 제제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0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450A (ko) * 2014-11-26 2016-06-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통증완화 성분이 포함된 알코올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코올 스왑
ITUA20162327A1 (it) * 2016-04-05 2017-10-05 Sixtem Life Srl Prodotto per il trattamento di lesioni della pelle e di verruche e dispositivo applicatore
WO2018174498A1 (ko) * 2017-03-20 2018-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8603C (zh) 1998-08-20 2005-04-27 3M创新有限公司 形成绷带和药物输递系统的喷雾液体
KR100376086B1 (ko) * 2000-10-18 2003-03-15 주식회사 태평양 약물 전달용 필름 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제제
KR101125162B1 (ko) * 2009-03-17 2012-03-19 주식회사 제네웰 피부 및 상처의 보호를 위한 액상의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450A (ko) * 2014-11-26 2016-06-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통증완화 성분이 포함된 알코올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코올 스왑
ITUA20162327A1 (it) * 2016-04-05 2017-10-05 Sixtem Life Srl Prodotto per il trattamento di lesioni della pelle e di verruche e dispositivo applicatore
WO2017175094A1 (en) * 2016-04-05 2017-10-12 Sixtem Life Srl Product for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 and warts and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said product
WO2018174498A1 (ko) * 2017-03-20 2018-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US11577497B2 (en) 2017-03-20 2023-02-14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prepa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003B1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8612B2 (en)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tamsulosin
KR100682729B1 (ko) 신규 경피흡수제제 및 그 제조방법
JP5542665B2 (ja) マトリックス型経皮投与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0800173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Z86496A3 (en)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s (tts)
KR20120101704A (ko) 항인지증 약물의 경피흡수제제
KR101134003B1 (ko) 경피 흡수 제제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CA2630675A1 (en)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for volatile and/or thermolabile substances
CN107249650A (zh) 用于制备包含消炎剂的聚氨酯泡沫敷料的方法
SK126093A3 (en) Lanoline derivatives as a penetration-promoting substances
US2009031745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skin surface and/or transdermal substance delivery
AU2004285335B2 (en) Transdermal pharmaceutical spray formulations comprising a VP/VA copolymer and a non-aqueous vehicle
KR20060136367A (ko) Vp/va 공중합체 및 비-수성 부형제를 포함하는 경피용약학적 스프레이 제제들
JP5319950B2 (ja) 塩酸ブテナフィン含有水性貼付剤
CN104367566A (zh) 一种吲哚美辛巴布剂及其组合物
KR101625926B1 (ko) 포스포디에스터라제 타입-5 억제제의 경피 전달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포스포디에스터라제 타입-5 억제제의 경피 전달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약학적 조성물
US20140046274A1 (en) Piroxicam-containing matrix patches and methods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pain and inflammation therewith
KR101998451B1 (ko) 경피 흡수형 제제
JPS6233116A (ja) 外用消炎鎮痛剤
JP2016216384A (ja) 経皮吸収型製剤
KR20020017063A (ko) 약제의 역확산 억제능이 우수한 dds 제제용 폴리우레탄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