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801A - 자전거용 핸들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801A
KR20110060801A KR1020100110678A KR20100110678A KR20110060801A KR 20110060801 A KR20110060801 A KR 20110060801A KR 1020100110678 A KR1020100110678 A KR 1020100110678A KR 20100110678 A KR20100110678 A KR 20100110678A KR 20110060801 A KR20110060801 A KR 20110060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icycle
handle grip
ball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942B1 (ko
Inventor
안성훈
김충수
노민지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2/956,073 priority Critical patent/US8286530B2/en
Publication of KR2011006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25Extensions; Auxiliary handle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78Handle bars
    • Y10T74/20822Attachments and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78Handle bars
    • Y10T74/20828Handholds and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안한 자세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핸들그립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자전거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의 전륜 포크에 마련된 스템과, 상기 스템에 설치된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핸들그립과, 상기 핸들그립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바와 상기 핸들그립 사이에 마련된 볼 조인트와, 상기 핸들그립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볼 조인트에 설치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의 자전거용 핸들은, 상기 볼 조인트에 의해 상기 핸들그립의 위치가 자유롭게 조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핸들그립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손목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통증 유발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조건에 따라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허리, 다리, 어깨, 목 등의 다른 신체부위에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핸들{BICYCLE HANDLEBAR}
본 발명은 자전거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편안한 자세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핸들그립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자전거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이륜차의 일종이다.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이 부각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대표적인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자전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에 설치되는 바퀴와, 운전자가 앉는 안장과, 주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핸들과, 운전자가 페달을 밟을 때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체인링과, 상기 체인링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뒷바퀴로 전달하는 체인 및 스프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자전거의 각 구성요소 중 핸들은 주행방향을 조정함과 동시에 자전거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핸들은, 프레임과 연결되는 수직의 스템과, 상기 스템의 상단에 마련되는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핸들그립으로 이루어진다.
핸들은 운전자의 신체구조를 고려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례로, 핸들바는 주행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핸들그립은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핸들은 핸들바가 스템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수평으로 고정된 핸들바로 인해 자전거를 장시간 이용할 경우 손목에 하중이 집중되어 통증을 유발하거나 연골이 닳는 등 부상의 우려가 있다. 또한, 주행조건에 관계없이 주행자세가 고정되므로 손목 외에 허리, 다리, 어깨, 목 등의 다른 신체부위에 부담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안한 자세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핸들그립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자전거용 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핸들은, 자전거의 전륜 포크에 마련된 스템과, 상기 스템에 설치된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핸들그립과, 상기 핸들그립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바와 상기 핸들그립 사이에 마련된 볼 조인트와, 상기 핸들그립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볼 조인트에 설치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의 자전거용 핸들은, 상기 볼 조인트에 의해 상기 핸들그립의 위치가 자유롭게 조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핸들그립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핸들그립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손목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통증 유발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조건에 따라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허리, 다리, 어깨, 목 등의 다른 신체부위에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핸들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핸들의 사용상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자전거용 핸들(100)은, 자전거의 전륜 포크(200)에 설치되는 스템(110)과, 스템(110)에 마련되는 핸들바(120)와, 핸들바(120)의 단부에 설치되는 볼 조인트(130)와, 볼 조인트(130)에 결합되는 핸들그립(170)을 포함한다.
스템(110)은 핸들(100)의 조향력을 전륜(300)에 전달하는 회전축이다. 전륜 포크(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프레임(400)의 헤드튜브(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핸들(100)을 조작할 때 발생하는 조향력이 스템(110)을 통해 전륜 포크(200)로 전달되고 자전거의 주행방향이 조정된다.
핸들바(120)는 자전거의 주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는 부분으로, 그 중단이 스템(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양단에 볼 조인트(130)가 결합된다. 이러한 핸들바(120)는 운전자가 힘들이지 않고 주행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가벼운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볼 조인트(130)는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핸들그립(17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핸들바(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볼 시트(140)와, 핸들그립(170)에 결합되고 일부가 볼 시트(140)에 삽입되는 볼 스터드(150)와, 볼 스터드(150)를 관통하는 고정수단(160)을 포함한다.
상술한 볼 조인트(130)의 각 구성요소(130~16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볼 시트(140)는 소정 길이를 갖는 환봉형상이다. 볼 시트(140)의 일단에는 핸들바(120)가 삽입되는 결합홈(14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볼 시트(150)가 삽입되는 안착홈(144)이 형성된다. 또한, 볼 시트(140)의 타단에는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슬릿(146)이 형성되고, 안착홈(144)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홈(148)이 형성된다.
상술한 슬릿(146)은 핸들그립(170)이 핸들바(120)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볼 스터드(150)의 스터드(15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특히, 슬릿(146)이 볼 시트(140)의 타단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므로 핸들그립(170)을 다양한 방향에서 절곡할 수 있다.
고정홈(148)은 고정수단(160)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안착홈(144)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볼 조인트(13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핸들그립(170)이 다양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볼 스터드(150)는, 다단의 스터드(152)와, 소경부 측 단부에 형성되는 볼 헤드(15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볼 스터드(150)의 내부에는 고정수단(160)이 삽입되는 관통공(156)이 형성된다. 또한, 볼 스터드(150)의 일단에는 핸들그립(170)이 결합되는 체결홈(158)이 형성되고, 체결홈(158)의 내부에는 나사산(159)이 형성된다.
고정수단(160)은 핸들그립(170)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핀 형상의 고정수단이다. 고정수단(160)의 핸들그립(170) 측 일단에 걸림턱(162)이 형성되고, 걸림턱(162)과 볼 스터드(150) 사이에 스프링(164)이 설치된다.
핸들그립(170)은 자전거 이용시 운전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핸들그립(170)은 볼 스터드(15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에 나사산(172)이 형성된다. 또한,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그립감이 우수하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탄성체(174)가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는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핸들그립(17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그립(170)을 회전시켜 풀면 볼 스터드(150)와 핸들그립(170) 사이가 이격되고, 핸들그립(170)에 의해 가압되었던 고정수단(160)이 스프링(164)에 의해 핸들그립(170)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정수단(160)의 단부가 고정홈(148)에서 이탈하여 볼 조인트(130)를 고정하던 힘이 소멸되므로 핸들그립(170)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반면, 핸들그립(170)을 회전시켜 조이면 볼 스터드(150)와 핸들그립(170) 사이가 좁아지고, 핸들그립(170)이 고정수단(160)을 가압한다. 따라서 고정수단(160)이 핸들바(120) 측으로 이동하고, 고정수단(160)의 단부가 고정홈(148)에서 삽입되어 볼 조인트(130)를 고정함으로써 핸들그립(170)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킨다(도 4 및 도 5 참조).
한편, 핸들그립(170)을 푼 상태(핸들그립이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태)에서 볼 스터드(150)의 스터드(152)가 슬릿(146)에 삽입되도록 핸들그립(170)을 회전시키면 핸들그립(170)을 핸들바(120)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특히, 슬릿(146)이 볼 시트(140)의 타단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므로 핸들그립(170)을 다양한 방향에서 절곡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전거 핸들 110: 스템
120: 핸들바 130: 볼 조인트
140: 볼 시트 150: 볼 스터드
160: 고정수단 170: 핸들그립

Claims (12)

  1. 자전거의 전륜 포크에 마련된 스템;
    상기 스템에 설치된 핸들바;
    상기 핸들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핸들그립;
    상기 핸들그립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바와 상기 핸들그립 사이에 마련된 볼 조인트; 및
    상기 핸들그립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볼 조인트에 설치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자전거용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는, 상기 핸들바에 결합되는 볼 시트와, 상기 핸들그립에 결합되는 볼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 스터드는 상기 볼 시트 측 일단에 스터드가, 상기 스터드의 선단에 볼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볼 시트는 상기 볼 스터드 측 일단에 상기 볼 헤드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 둘레에 상기 스터드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안착홈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볼 스터드에 관통, 결합되는 핀 형상이고, 일단이 상기 볼 헤드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의 내측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핸들그립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상기 안착홈의 내측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안착홈의 내측벽면을 따라 이격된 다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볼 스터드와 상기 핸들그립이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볼 스터드의 일단에는 상기 핸들그립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의 내측벽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상기 핸들그립의 일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볼 스터드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의 타단은 상기 체결홈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핸들그립에 접촉되며, 상기 핸들그립 회전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핸들바 또는 상기 핸들그립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타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볼 스터드와 상기 고정수단의 걸림턱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핸들그립 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핸들.
KR1020100110678A 2009-11-30 2010-11-08 자전거용 핸들 KR101212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56,073 US8286530B2 (en) 2009-11-30 2010-11-30 Bicycle handl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7122 2009-11-30
KR1020090117122 2009-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801A true KR20110060801A (ko) 2011-06-08
KR101212942B1 KR101212942B1 (ko) 2012-12-18

Family

ID=4439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678A KR101212942B1 (ko) 2009-11-30 2010-11-08 자전거용 핸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86530B2 (ko)
KR (1) KR101212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652A (ko) * 2019-10-31 2021-05-10 홍은주 킥보드 견인 바 및 견인 바가 구비된 킥보드
KR20220021967A (ko) * 2020-08-13 2022-02-23 하태홍 자세변동 가능한 구조의 자전거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9545B2 (en) * 2011-01-03 2015-07-14 James A. Dugan Gear shift mounted accessory holder
US20130192411A1 (en) * 2012-01-27 2013-08-01 Jon Wong Handlebar arrangement
FR3011527B1 (fr) * 2013-10-08 2017-08-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Guidon repliable
US20160159426A1 (en) * 2014-12-08 2016-06-09 Sam Malaj Vibration-damping handlebar assembly
ES1173933Y (es) * 2016-03-15 2017-04-04 Donoso Emilio Aranda Tricicleta deportiva.
KR102069871B1 (ko) * 2018-08-22 2020-01-23 김경륜 자전거
US11097762B1 (en) * 2019-07-25 2021-08-24 Ashley Collins Handle extension for s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0867A (en) 1991-07-15 1992-08-25 Smith Robert T Vibration suppressor for handlebars
FR2691415B1 (fr) * 1992-05-25 1998-06-12 Valeo Vision Dispositif de montage du genre rotule et element intermediaire, notamment pour reflecteur de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US5297445A (en) * 1993-06-24 1994-03-29 Lu Goo Co., Ltd. Structure of handle of bicycle
US6409413B1 (en) * 1999-06-18 2002-06-25 Sandia Corporation Large displacement spherical joint
JP3311711B2 (ja) 1999-10-01 2002-08-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モニタテレビ用スタンド
KR100798353B1 (ko) 2006-09-20 2008-01-28 왕현민 제어 대상체 자세 시뮬레이션을 위한 모션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652A (ko) * 2019-10-31 2021-05-10 홍은주 킥보드 견인 바 및 견인 바가 구비된 킥보드
KR20220021967A (ko) * 2020-08-13 2022-02-23 하태홍 자세변동 가능한 구조의 자전거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942B1 (ko) 2012-12-18
US20110290067A1 (en) 2011-12-01
US8286530B2 (en)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942B1 (ko) 자전거용 핸들
US8424963B2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US10512816B2 (en) Handle for jump rope
US9352183B2 (en) Bicycle-mounted exercise apparatus
JPH0579555B2 (ko)
US20140125032A1 (en) Dual Drive Bicycle
US5201243A (en) Handlebar assembly
US20110215549A1 (en) Handlebar extensions
CN205220954U (zh) 一种具有新型转向机构的滑板车
US6234043B1 (en) Performance enhancing handlebars for cyclists
KR20090085900A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US20050239609A1 (en) Retractable link for pedal-driven apparatus
US10363989B2 (en) Dual purpose cycle
JP6595456B2 (ja) 車両のグリップ位置を調節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装置並びに関連する方法
KR100820389B1 (ko) 자전거용 손잡이조립체
US20170225738A1 (en) Recreational bicycle
CN105398527A (zh) 一种具有新型转向机构的滑板车
TWM545733U (zh) 自行車之輔助操控裝置
TWI332919B (ko)
US11414146B2 (en) Adjustable bicycle frame to enable front wheel elevation
CN220616067U (zh) 一种摩托车及其可调式手把
KR102296671B1 (ko) 킥보드 견인 바 및 견인 바가 구비된 킥보드
KR20170111672A (ko) 여러 단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전거 핸들
US20180065697A1 (en) Pedal driven standing stype bicycle
GB2537435A (en) Device for a wheeled trans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