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591A -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591A
KR20110060591A KR1020090117213A KR20090117213A KR20110060591A KR 20110060591 A KR20110060591 A KR 20110060591A KR 1020090117213 A KR1020090117213 A KR 1020090117213A KR 20090117213 A KR20090117213 A KR 20090117213A KR 20110060591 A KR20110060591 A KR 20110060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arboxylic acid
platinum
catalyst
crystallin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578B1 (ko
Inventor
이기섭
노범욱
김한성
오형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578B1/ko
Priority to US12/751,411 priority patent/US20110129762A1/en
Publication of KR2011006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8Carb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01B32/174Derivatisation; Solubilisation; Dispersion in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Nanoonions; Nanoscrolls; Nanohorns; Nanocones; Nano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79Acid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2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5/28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9/10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 C07D319/14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9/16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9/18Ethylenedioxybenzenes, not 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4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D06M13/252Mercaptans, thiophenols, sulfides or polysulfides, e.g. mercapto acetic acid; Sulfonium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7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40Fibres of 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결정성 탄소 표면과 표면재질제 사이에 π-π 상호작용(interaction)을 형성시켜 발수성을 띄는 결정성 탄소에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과 상기 친수성이 증가된 결정성 탄소에 백금을 담지시켜 촉매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결정성 탄소의 표면에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의하면 결정성 탄소의 표면 구조 파괴없이 친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는 백금의 담지율, 분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촉매의 내구성 또한 우수하여 연료전지의 전극물질 제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결정성 탄소, 표면개질제, 친수성

Description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Method of Increasing Hydrophilic property of Crystalline carbon using Surface modifier and Preparing method of Platinum Catalys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친수성이 증가된 결정성 탄소는 백금 담지를 용이하게 하여 연료전지 전극물질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연료의 산화에 의해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연료전지는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 받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관련 분야에서 연비절감, 배출가스 저감, 친환경 이미지 등의 이점 때문에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연료전지의 전극에서 발생하는 산화, 환원반응의 촉매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연료전지 촉매의 활성을 높이기 위해 백금을 나노 크기로 제조하는 연구와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는 탄소에 백금을 고분산, 고비율로 담지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J. Power Sources, 139, 73). 현재 백금 담지체로는 카본블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연료전지의 운전 중 탄소 부식으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J. Power Sources, 183, 61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적,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이하 'CNT'로 칭한다), 탄소나노파이버(Carbon Nanofiber, 이하 'CNF'로 칭한다) 등의 결정성 탄소를 담제체로 사용한 연료전지 촉매 관련 연구가 활발하다(J. Power Sources, 158, 154).
그러나 CNT와 CNF는 표면의 발수성 때문에 극성 용매에서 뭉치는 경향성을 가져 고비율, 고분산의 백금 담지 촉매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Electrochim. Acta. 50, 791).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탄소 표면을 산화시켜 작용기를 붙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플라즈마와 공기, 강산을 사용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플라즈마와 공기를 사용한 방법은 CNT와 CNF의 표면 구조를 파괴할 정도의 강한 산화 반응으로 촉매 담체에 적용할 경우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dv. Mater., 7, 275). 또 다른 방법으로 질산과 황산 등의 강산을 사용하는 산처리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Chem. Eur. J., 8, 1151), 산처리 과정에서 결정성 탄소의 구조 및 내구성 저하를 야기시켜 연료전지 촉매 담체로 적용할 경우 전기화학적 부식성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결정성 탄소의 표면 구조 파괴 없이 친수 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J. Mater. Chem., 18, 1977, J. Am. Chem. Soc. 123, 3838, 한국공개특허 제2006-084785호, 미국공개특허 제2004-11523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9-079935호, 미국공개특허 제2007-298168호). 즉, CNT 표면을 파이렌(pyrene) 화합물을 사용하여 친수성으로 바꾸는 방법인데, 특히 Adv. Funct. Mater. 16, 2431 에서는 파이렌을 함유한 아민계 1-아미노 파이렌(1-Amino Pyrene)을 사용하여 CNT에 백금, 황화카드뮴(CdS), 실리카 입자들을 고르게 배열하는 연구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에 의해 표면 처리된 CNT는 친수성 개선의 효과는 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물분산성이 감소하여 백금 담지 촉매제조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 표면개질제와 결정성 탄소의 비공유 결함인 π-π 상호작용을 형성시켜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킨 후 연료전지 촉매의 담체로 적용할 경우 고비율, 고분산의 백금 담지 촉매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친수성을 증가시킨 결정성 탄소에 백금을 담지 시켜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결정성 탄소에 백금을 담지시켜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촉매의 세척 및 건조를 거쳐 불필요한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결정성 탄소와 표면개질제 사이의 π-π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전기화학적 탄소 부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고비율, 고분산, 고내구성 백금 나노 촉매의 제조가 가능하며, 제조된 촉매는 연료전지의 전극물질 등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성 탄소로는 탄소나노튜브(CNT), 탄소나노파이버(CNF), 탄소나노코일, 탄소나노케이지(CNC) 등이 있으며 이들은 발수성이 있어 극성 용매에서 뭉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발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정성 탄소의 방향족 표면과 표면개질제 간에 π-π 상호작용을 형성시키면, 표면개질제에 있는 친수성 작용기인 카르복실기(-COOH), 티올기(-SH) 등이 결정성 탄소 표면에 고정화되어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표면개질제는 카르복실기 또는 티올기를 가지는 방향족 고리화합물로서 1-파이렌 카르복시산(1-pyrene carboxylic acid, 이하 '1-PCA'로 칭한다), 9-안트라센 카르복시산(9-Anthracene carboxylic acid), 플루오렌-1-카르복시산 (Fluorene-1-carboxylic acid), 1-파이렌부틸산(1- Pyrenebutyric acid), 나프토익산(Naphthoic acid), 1-파이렌아세트산(1-Pyreneacetic acid), 나프토-2-아미노피리딘-3-카르복시산(Naphtho-2-Aminopyridine-3-carboxylic acid), 1,4-벤조다이옥산-6-카르복시산(1,4-Benzodioxane-6-carboxylic acid), 2-머캅토벤즈이미다졸(2-mercaptobenzimidazole), 2-나프탈렌티올 (2-Naphthalenethiol), 1-머캅토파이렌 (1-mercaptopyrene), 6-머캅토벤조파이렌 (6-mercaptobenzopyrene), 1,4-벤젠 디티올(1,4-benzen dithiol)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PCA, 9-안트라센 카르복산, 플루오렌-1-카르복시산, 1-파이렌부틸산, 나프토익산, 2-머캅토벤즈이미다졸 및 2-나프탈렌티올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PCA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Figure 112009073891865-PAT00001
에탄올에 용매 하에서 상기 결정성 탄소와 상기 표면개질제를 넣고 교반시킨 후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를 회수하고 건조시키면 친수성을 증가시킨 결정성 탄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정성 탄소 표면을 표면개질제로 처리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킨 후 백금을 담지한 다음,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쳐 백금 담지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결정성 탄소에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결정성 탄소에 백금을 담지시켜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폴리올 방법(Polyol Process)를 이용한다. 폴리올 방법에 사용되는 에틸렌 글리콜은 용매이자 환원제 역할을 한다. 또한 에틸렌 글리콜의 산화과정에서 생성되는 글리콜레이트 음이온(glycolate anion)은 안정제로 작용하여 백금 입자를 나노 사이즈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 글리콜에 수산화나트륨을 넣어 pH를 12 이상 유지 시킨다. 이후 백금 전구체를 일정량 취하여 용매에 넣고 교반한다. 사용되는 백금 전구체는 플래티늄 클로라이드(platinum chloride), 포타슘 테트라 클로로 플라티네이트(potassium tetrachloroplatinate), 테트라 아민 플래티넘 클로라이드 (tetraammineplatinum chlor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에 상기 표면개질제로 처리된 탄소를 넣고 충분히 교반 해주며 160℃까지 온도를 올려준다. 이 단계에서 에틸렌 글리콜이 이 산화되면서 백금전구체가 환원이 되며 에틸렌글리콜의 산화 단계에서 생성되는 글리콜레이트 음이온은 환원된 백금 입자가 서로 뭉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반응이 끝난 뒤 상온까지 온도를 낮춰 주고 충분히 교반한다.
상기 제조된 촉매의 세척 및 건조를 거쳐 불필요한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에틸렌 글리콜의 산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산 및 기타 불순물들을 초순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소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표면처리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표면과 표면처리제 사이의 π-π 상호작용을 형성함으로 해서 전기화학적 탄소 부식에 영향이 없이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켜 고비율, 고분산, 고내구성 백금 나노 촉매의 제조가 가능하며, 제조된 촉매를 연료전지의 전극에 적용하는 경우 전극에 도포되는 촉매의 양이 감소하여 전극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연료의 물질전달이 개선되어 연료전지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PCA 100 mg을 400 mL의 에탄올에 넣고 30분간 교반을 실시한 후 헤링본 타입(Herring-bone type)의 탄소나노파이버(CNF) 200 mg을 1-PCA 용액에 넣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단계는 1-PCA의 파이렌과 CNF의 그래핀(graphene) 사이에 π-π 상호작용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후 감압 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1-PCA 처리된 CNF를 회수하고 40℃ 오븐에서 30분간 건조시켰다. 40 중량%의 Pt/C 촉매를 목표로, 1-PCA 처리 CNF 144 mg을 에틸렌 글리콜 25 mL에 넣고 20 분간 교반한 후 0.1 M 수산화나트륨(NaOH)용액 100 mL를 첨가하고, 40 중량%의 Pt/CNF 촉매 가 되도록 백금 전구체 PtCl4를 150 mg 넣고 30분간 교반하였다. 백금 전구체를 환원 시키기 위해 160℃에서 3시간 동안 환류(reflux)시켜 반응을 마친 후 상온까지 온도를 낮추고 황산(H2SO4)를 사용하여 pH를 3까지 낮춘 뒤 공기에 노출 시키고 12시간동안 교반을 실시하였다. 이후 감압장치를 이용하여 반응용액을 여과하여 제조된 촉매를 회수하고 초순수로 여러 번 세척하고 160℃ 오븐에서 30분 건조시켜 1-PCA 처리 Pt/CNF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헤링본 타입(Herring-bone type)의 탄소나노파이버(CNF) 대신 플레이트릿 타입(Platelet type)의 탄소나노파이버를 사용하여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탄소나노파이버(CNF) 대신 탄소나노케이지(CNC)를 사용하여 촉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CNF에 표면처리를 하지 않고 폴리올 방법을 사용하여 미처리 Pt/CNF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CNF에 표면처리를 하지 않고 폴리올 방법을 사용하여 미처리 Pt/CNF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CNC에 표면처리를 하지 않고 폴리올 방법을 사용하여 미처리 Pt/CNC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CNC의 표면처리시 1-아미노 파이렌(1-Amino pyrene, 이하 '1-AP'로 칭한다)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1: 1-PCA 처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 증가 시험
실시예 1의 과정 중 얻은 1-PCA 처리 CNF의 친수성 증가를 확인 하기 위해 미처리 CNF와 함께 물분산 시험을 하여 실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험은 우선 CNF를 물과 혼합시킨 후 헥산을 첨가하여 CNF가 물층에 분산되어 있는지로 평가하였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미처리 CNF(a)와 달리 1-PCA가 표면 처리된 CNF(b)의 경우 물에 잘 분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PCA가 CNF의 친수성을 증가 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과정 중 얻은1-PCA가 처리된 CNC(Carbon Nanocage)(a)와 비교예 4의 과정 중 얻은 1-AP이 처리된 CNC(b)의 친수성 정도를 측정 하기 위한 물분산 시험을 하여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발수성이 높은 CNC에 1-PCA와 1-AP를 처리할 경우 친수성이 증가하여 물층에 CNC가 잘 분산되어 있지만 6시간이 지난 뒤 1-PCA를 처리한 (a)의 경우 CNC가 물층에 계속 분산 되어 있고, 1-AP를 처리한 (b)의 경우에는 물층에 분산 되어 있던 CNC가 헥산 층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 1-PCA를 처리한 CNC 담체가 1-AP를 처리한 CNC 담체보다 친수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담지된 백금의 크기 및 분산도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에서 제조한 백금 담지 촉매의 백금 분산도를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HR-TEM)을 통하여 시험하였다.
도 4(a)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촉매의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백금 입자의 크기가 2.5 nm 로 측정 되었으며, 도4(b)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촉매의 사진으로 백금 입자 크기가 2.5 nm로 측정되어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측정에 의해서는 크기면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PCA를 처리한 도 4(b)의 백금 밀도가 도 4(a) 보다 높고 분산도가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1-PCA의 카르복실기(-COOH)는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킴은 물론 백금의 교착점으로 작용하여 백금이 고르게 담지되므로 백금의 담지 밀도를 증가시킨다.
도 5(a)는 5만 배에서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촉매의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 경 사진이며, 도 5(b)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촉매의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a)는 백금이 담지 되지 않은 영역이 있음은 물론 백금들이 뭉쳐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PCA가 처리된 도 5(b)의 경우 도 5(a)보다 백금의 밀도가 높고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1-PCA 가 미처리된 CNF의 경우 CNF의 발수성 때문에 백금 담지가 어려운 반면 1-PCA가 처리된 경우 친수성이 증가하여 백금 담지가 용이해 졌기 때문이다.
도 6은 비교예 3(a), 비교예 4(b), 실시예 1(c) 에 의해 제조된 촉매의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발수성이 유지된 (a)의 경우 백금이 담지 되지 않은 탄소 영역이 있음은 물론 백금들이 뭉쳐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AP 처리된 (b)의 경우 (a)에 비해 백금이 고르게 담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백금 입자 크기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1-PCA가 처리된 (c)의 경우 백금입자 크기를 (a)와 같이 작게 유지함은 물론 (b)의 1-AP를 사용한 것처럼 분산도 또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촉매의 X-선 회절 패턴이다. 2θ=67o 영역의 Pt(220) 피크를 scherrer formular에 적용시켜 백금 입자 크기를 계산하였다. X-선 회절을 통해 계산된 백금 입자 크기는 비교예 1의 경우 2.0 nm, 실시예 1의 경우 1.8 nm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1-PCA 처리된 CNF를 담체로 사용할 경우 백금입자가 0.2 nm 작게 담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3, 4 및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촉매의 X-선 회절을 통해 계산된 백금 입자의 크기는 각각 2.5 nm, 2.7 nm, 2.5 nm 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에 연구되었던 1-AP 처리 방법과 비교할 때 1-PCA 처리 방법이 발수성 담체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데 더 용이하여 고비율, 고분산 백금 담지 촉매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촉매의 백금 담지율과 촉매의 활성면적 측정
촉매의 백금 담지율과 촉매의 활성 면적을 측정 하기 위해 ICP(Inductiviely Coupled Plasma)와 CV(Cyclic Voltametry) 실험을 진행하였다. ICP분석을 통한 백금 담지량은 비교예 1의 경우 23.9 중량%, 실시예 1의 경우 35.5 중량%로 40 중량%의 목표 값을 기준으로 각각60 %, 89 %의 수율을 보였다. CV 실험을 통해 측정된 백금 촉매의 유효 활성 면적은 각각 50.3 m2/g Pt, 51.2 m2/g Pt로 1-PCA 처리에 관계 없이 비슷하게 측정 되었다. 이는 X-선 회절과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CNF에 담지된 백금의 입자 크기가 0.2 nm 차이만을 보이기 때문에 백금의 단위질량당 활성 면적이 비슷하게 측정된 것이다.
비교예 3, 4 및 실시예 3의 경우 각각 35.0 중량%, 36.0 중량%, 40 중량%의 백금 담지량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4: 공기조건에서 단위전지의 성능 측정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한 촉매로 연료전지 전극을 제조하고, 공기조건에서 단위전지의 성능을 측정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산화전극에는 수소를 1.5 stoic, 환원전극에는 공기를 2 stoic 공급해 주었다. 산소 조건의 성능 평가 에서는 1-PCA처리 유무와 관계 없이 비슷한 성능을 보이는 반면 공기 조건에서의 성능은 1-PCA 를 처리한 실시예 1의 경우가 0.6 V 에서 0.89 A/cm2 로 비교예 1의 0.78 A/cm2 보다 높게 측정 되었다. 이는 백금 입자 크기 성장 없이 1-PCA를 처리한 실시예 1의 백금 담지율이 35.5 중량% 로 비교예 1의 백금 담지율 23.9 중량% 보다 높아 전극에 도포 되는 촉매 양이 줄어 들기 때문이다. 전극에 도포되는 촉매 양이 줄어들 경우 전극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연료의 물질 전달이 개선 되어 공기 조건 성능이 향상된다.
시험예 5: 촉매의 부식 평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촉매의 부식 평가를 실시하였다. N212 Nafion Membran의 수소극(anode) 면에 상용 Johnson Matthey 40중량% Pt/C촉매를 5중량% Nafion 용액과 섞어 Pt 0.4 mg/cm2으로 도포하고, N212 Nafion Membran의 공기극(cathode) 면에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촉매를 5 중량% Nafion 용액과 섞어 Pt 0.4 mg/cm2으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GDL(gas diffusion layer)과 가스킷을 단위전지에 함께 체결하여 부식 평가를 실시하였다. 부식단계 전 MEA(membrane-electrode assembly)의 산소 성능평가, 임피던스, CV를 먼저 측정하였으며, 부식 단계에서는 Potentiostat를 사용하여 공기극(cathode)에 1.4 VSHE의 일정 전압을 30분간 공급하여 촉매층을 부식시켰다. 이 때 Potentiostat의 대응전극(counter electrode),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은 단위전지의 수소극(anode)에 연결하고 작동전극(working electrode)은 공기극(cathode)에 연결하였다. 수소극(anode)에 수소를 20 mL/분 으로 흘려주고 공기극(cathode)에 질소를 30 mL/분 으로 흘려주며, 단위 전지의 온도는 90℃, 가습 온도 90℃ 를 유지시켜 주었다. 촉매층이 부식 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실시간 측정하였다. 부식 단계가 끝난 뒤 부식전의 성능, 저항, 촉매의 활성 면적을 비교하기 위해 MEA 성능평가, 임피던스. CV를 측정하고, 부식 전후의 측정 수치들을 비교하여 촉매의 내부식성을 평가하였다.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한 촉매의 부식성을 평가한 결과이며 내용을 하기 표 1에 요약하였다.
MEA 성능평가
(A/cm2)
활성표면적
(m2/g)
임피던스
(Ω cm2)
CO2 발생량
(㎕)
부식 전 부식 후 부식 전 부식 후 부식 전 부식 후
비교예 1 1.66 1.50 32.5 31.7 0.0429 0.0458 18 ㎕
-9.6 % -2.5% +6.8 %
실시예 1 1.67 1.51 30.1 28.8 0.0394 0.0403 19 ㎕
-9.6 % -4.3 % +2.3 %
부식 전의 산소 조건 단위전지의 성능은 0.6 V에서 비교예 1의 경우 1.66 A/cm2, 실시예 1의 경우 1.67 A/cm2로 측정되었다. 공기극(cathode)에 1.4 VSHE의 인위적 전위를 공급 하여 공기극 촉매를 부식 시켰으며 부식 후 단위 전지 성능 변화는 도 9(a)의 비교예 1의 경우 0.6 V에서 9.6 % 성능 감소를 보였고 도 9(b)의 실시예 1의 경우 또한 9.6 % 성능 감소를 보였다. 활성 표면적의 경우 비교예 1의 경우 2.5 % 감소하고 실시예 1의 경우는 4.3 % 감소하였으며, 임피던스의 경우 비교예 1의 경우 6.8 % 증가하고 실시예 1의 경우 2.3 % 증가하였다. 도 10은 2종의 Pt/C 촉매의 탄소 부식 생성물인 이산화탄소를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이 18 ㎕, 실시예 1이 19 ㎕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에 비추어 1-PCA가 결정성 탄소에 π-π 상호작용을 형성하여 백금을 담지 시키더라도 전기화학적 부식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1-PCA가 결정성 탄소 표면과 π-π 상호작용을 형성하는 것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탄소나노파이버(CNF)(a)와 1-PCA가 처리된 CNF(b)의 친수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물분산 시험 사진이다.
도 3은 1-PCA가 처리된 CNC(a)와 1-AP이 처리된 CNC(b)의 친수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물분산 시험 사진이다.
도 4는 헤링본 타입(herring-bone type)의 CNF를 담체로 사용하여, 미처리 CNF와 1-PCA가 처리된 CNF에 백금을 담지한 촉매의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HR-TEM) 이미지이다. (배율 200,000배)
도 5는 플레이트릿 타입(platelet type)의 CNF를 담체로 사용하여, 미처리 CNF와 1-PCA가 처리된 CNF에 백금을 담지한 촉매의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배율 50,000배)
도 6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Pt/CNC(a), 1-AP이 처리된 Pt/CNC(b), 1-PCA가 처리된 Pt/CNC(c)의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배율 200,000배)
도 7은 헤링본 타입의 CNF를 담체로 사용하여, 미처리 CNF와 1-PCA가 처리된 CNF에 백금을 담지한 촉매의 X-선 회전 패턴이다.
도 8은 헤링본 타입의 CNF를 담체로 사용하여, 미처리 CNF와 1-PCA가 처리된 CNF에 백금을 담지한 촉매의 공기 조건 단위 전지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 이다.
도 9는 헤링본 타입의 CNF를 담체로 사용하여, 미처리 CNF(a)와 1-PCA가 처 리된 CNF(b)에 백금을 담지한 촉매의 부식 평가 전후의 MEA 산소 성능평가 결과이다.
도 10은 헤링본 타입의 CNF를 담체로 사용하여, 미처리 CNF와 1-PCA가 처리된 CNF에 백금을 담지한 촉매의 부식평가 중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CO2 발생량이다.

Claims (8)

  1.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제와 상기 결정성 탄소 사이에 π-π 상호작용을 형성시키며, 표면개질제의 친수성 작용기에 의해 친수성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재질재는 1-파이렌 카르복시산(1-pyrene carboxylic acid), 9-안트라센 카르복시산(9-Anthracene carboxylic acid), 플루오렌-1-카르복시산(Fluorene-1-carboxylic acid), 1-파이렌부틸산 (1-Pyrenebutyric acid), 나프토익산(Naphthoic acid), 1-파이렌아세트산 (1-Pyreneacetic acid), 나프토-2-아미노피리딘-3-카르복시산 (Naphtho-2-Aminopyridine-3-carboxylic acid), 1,4-벤조다이옥산-6-카르복시산 (1,4-Benzodioxane-6-carboxylic acid), 2-머캅토벤즈이미다졸 (2-mercaptobenzimidazole), 2-나프탈렌티올 (2-Naphthalenethiol), 1-머캅토파이렌 (1-mercaptopyrene), 6-머캅토벤조파이렌 (6-mercaptobenzopyrene) 및 1,4-벤젠 디티올(1,4-benzen dithiol)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결정성 탄소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탄소나노파이버(Carbon nanofiber), 탄소나노코일(Carbon nanocoil) 및 탄소나노케이지(Carbon nanocage)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5.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결정성 탄소에 백금을 담지시켜 촉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촉매의 세척 및 건조를 거쳐 불필요한 유기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6. 제 5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백금 담지 촉매.
  7. 제 6 항의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전극.
  8. 제 7 항의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KR1020090117213A 2009-11-30 2009-11-30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KR10113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213A KR101135578B1 (ko) 2009-11-30 2009-11-30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US12/751,411 US20110129762A1 (en) 2009-11-30 2010-03-31 Method of increasing hydrophilic property of crystalline carbon using surface modifier and method of preparing platinum catalys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213A KR101135578B1 (ko) 2009-11-30 2009-11-30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591A true KR20110060591A (ko) 2011-06-08
KR101135578B1 KR101135578B1 (ko) 2012-04-17

Family

ID=4406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213A KR101135578B1 (ko) 2009-11-30 2009-11-30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29762A1 (ko)
KR (1) KR101135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95A (ko) * 2019-05-10 2020-11-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내구성 탄소 기반 연료전지용 촉매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내구성 탄소 기반 연료전지용 촉매층 및 고내구성 탄소 기반 연료전지용 촉매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4314B1 (fr) * 2011-04-19 2013-05-10 Snecma Propulsion Solide Procede de preparation d'un element monolithique de catalyse comprenant un support fibreux et ledit element monolithique de catalyse
US9157003B2 (en) * 2011-06-24 2015-10-13 Brewer Science Inc. Highly soluble carbon nanotubes with enhanced conductivity
CN103450714B (zh) * 2012-05-24 2015-11-25 东丽先端材料研究开发(中国)有限公司 一种导电性石墨片及其制备方法
US9269966B2 (en) * 2013-10-04 2016-02-23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platinum catalyst
KR101624389B1 (ko) * 2013-12-24 2016-05-25 주식회사 포스코 비공유결합 개질된 탄소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구조체/고분자 복합체
KR20150088006A (ko) * 2014-01-23 2015-07-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용 전극 및 연료전지
KR102119921B1 (ko) * 2016-12-13 2020-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층 보호 코팅과 오존을 이용한 백금 합금 촉매의 제조방법
KR102474174B1 (ko) * 2018-10-29 2022-12-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322750B2 (en) * 2019-04-24 2022-05-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urface modified platinum or platinum alloy catalyst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0529B1 (fr) * 2002-06-06 2004-10-0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stinee a conferer du volume aux fibres keratiniques et utilisation cosmetique de nanotubes pour conferer du volume aux fibres keratiniques
US7799485B2 (en) * 2004-07-09 2010-09-21 Nissan Motor Co., Ltd. Fuel cell system and composition for electrode
US8333948B2 (en) * 2004-10-06 2012-12-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rbon nanotube for fuel cell, nanocomposite comprising the sam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US20070298168A1 (en) * 2006-06-09 2007-12-27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Multifunctional carbon nanotube based brushes
KR20070120346A (ko) * 2006-06-19 2007-12-2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이 금속 배위결합에 의해 표면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 및그의 개질 방법
WO2009078815A1 (en) * 2007-12-14 2009-06-25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A nanostructured material loaded with noble metal part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95A (ko) * 2019-05-10 2020-11-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내구성 탄소 기반 연료전지용 촉매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내구성 탄소 기반 연료전지용 촉매층 및 고내구성 탄소 기반 연료전지용 촉매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9762A1 (en) 2011-06-02
KR101135578B1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578B1 (ko)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결정성 탄소의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백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Trogadas et al. Carbon as catalyst and support for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Devrim et al.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decorated by platinum catalyst for high temperature PEM fuel cell
KR101831830B1 (ko) 연료전지 촉매용 탄소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Martínez-Huerta et al. Electrocatalysts for low temperature fuel cells
Sharma et al. Support materials for PEMFC and DMFC electrocatalysts—A review
Cheng Highly effective and CO-tolerant PtRu electrocatalysts supported on poly (ethyleneimine)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Ahmad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t nanoparticles on sulfur-modified carbon nanotubes for methanol oxidation
Li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tubes supported platinum nanocatalyst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KR101679809B1 (ko) 질소(N)가 도핑된 탄소에 담지된 백금(Pt)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하여 제조된 질소(N)가 도핑된 탄소에 담지된 백금(Pt)촉매
US9331341B2 (en) Durable platinum/multi-walled carbon nanotube catalysts
Saminathan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electrodeposited platinum nanoparticles on in situ carbon nanotubes grown carbon paper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Heydari et al. Fabrication of electrocatalyst based on nitrogen doped graphene as highly efficient and durable support for using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CN104810527A (zh) 用于燃料电池的电极催化剂、电极和燃料电池
KR101599221B1 (ko) 연료전지용 전극촉매 및 그 제조방법
Su et al. Phosphorus-doped carbon nitride as powerful electrocatalyst for high-power vanadium flow battery
Song et al. Additional doping of phosphorus into polypyrrole functionalized nitrogenous carbon nanotubes as novel metal-free oxygen reduction electrocatalyst in alkaline solution
Shi et al. A novel Pt/pyridine ionic liquid polyoxometalate/rGO tri-component hybrid and its enhanced activities for methanol electrooxidation
KR101749486B1 (ko) 볼 밀링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그래핀 촉매의 제조방법
Lin et al. Synthesis and electrocatalysis of 1-aminopyrene-functionalized carbon nanofiber-supported platinum–ruthenium nanoparticles
Chiang et al. The effect of carbon supports on the performance of platinum/carbon nanotube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Haque et al. Synthesis of polymer/MWCNT nanocomposite catalyst supporting materials for high-temperature PEM fuel cells
Amyab et al. Platinum nanoparticles with superacid-doped polyvinylpyrrolidone coated carbon nanotubes: electrocatalyst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high-temperatur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Harun et al. Progress of g‐C3N4 and carbon‐based material composite in fuel cell application
Litkohi et al. Pt/Fe/Ni decorated CVD grown CNTs on carbon paper as electrocatalytic electrodes in polymer fuel cells: An investigation on H2 gas on the growth of CNTs and reduction of electrocataly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