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518A - 지엽류 감별 장치 및 지엽류 감별 방법 - Google Patents

지엽류 감별 장치 및 지엽류 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518A
KR20110059518A KR1020100076227A KR20100076227A KR20110059518A KR 20110059518 A KR20110059518 A KR 20110059518A KR 1020100076227 A KR1020100076227 A KR 1020100076227A KR 20100076227 A KR20100076227 A KR 20100076227A KR 20110059518 A KR20110059518 A KR 20110059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paper sheet
data
image data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451B1 (ko
Inventor
마사노리 무까이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2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pattern ma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2Record kee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haracter Input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지엽류 감별 장치에 있어서, 템플릿을 기억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억부의 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지엽류의 감별을 행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1)의 기준 데이터 기억부(5)는, 지폐의 감별에 이용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템플릿(30)을 기억한다. 이미지 센서(3)는, 투입된 지폐의 화상 데이터(20)를 취득한다. 변환부(4)는, 템플릿(30) 또는 취득한 화상 데이터(20) 중 한쪽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그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읽어내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판독하여, 변환 데이터를 생성한다. 판정부(6)는, 변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입된 지폐의 감별을 행한다.

Description

지엽류 감별 장치 및 지엽류 감별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PAPER SHEET}
본 발명은, 투입된 지엽류를 템플릿과 비교하여 지엽류의 감별을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금융 기관용의 지엽류(지폐) 처리 장치에서는, 장치의 기억부에 감별해야 할 화폐 종류의 기준 데이터가 템플릿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지엽류 처리 장치는, 지엽류가 투입될 때마다, 지엽류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계조값 등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투입된 지엽류의 모양이나 농담을 검출하고, 템플릿과 검출 결과 사이에서 패턴 매칭을 행함으로써, 투입된 지엽류의 종류(화폐 종류)나 진위를 판단하고 있다.
종래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류가 어느 방향에서 투입되어도 올바르게 종류나 진위를 판단할 수 있도록, 임의의 종류의 지엽류에 대하여 4방향, 즉, 표리 및 천지 방향마다의 템플릿을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임의의 지엽류의 표리ㆍ천지 방향 각각에 대하여 템플릿을 준비해 둠으로써, 지엽류 처리 장치는, 어느 방향에서 지엽류가 투입된 경우라도, 4가지의 템플릿 중 지엽류의 방향이 일치하는 템플릿을 이용하여, 지엽류의 화폐 종류나 진위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투입된 지엽류는, 표면 도립 방향으로, B방향의 템플릿과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B방향의 템플릿을 이용하여, 지엽류의 화폐 종류나 진위의 판정을 행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인물이 그려져 있는 면을 표면, 반대측의 면을 이면으로 하고, 화상 데이터 및 템플릿 중, 표면에는, 실선으로 인물을 그리고, 이면에는, 반대측의 면(표면)의 인물이 그려져 있는 위치에, 파선으로 인물을 그리고 있다.
지폐 등을 감별하는 공지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화폐의 표면 화상이 데이터베이스의 참고 화상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면 화상을 회전시켜 참고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화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3 및 4).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4-7847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11-25026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평 11-161827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평 6-76142호 공보
지엽류 처리 장치가 취급 대상으로 하는 지엽류의 종류가 증가한 경우, 이에 수반하여, 템플릿을 기억시켜 두기 위해서 필요한 메모리 등의 기억부의 용량도 증대되게 된다. 상기의 종래에서의 지엽류의 감별 방법에 의하면, 임의의 화폐 종류에 대하여 4가지의 템플릿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메모리상의 큰 제약으로 되었다.
본 발명은, 지엽류 처리(감별) 장치에서, 템플릿을 기억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억부의 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는, 상기 지엽류의 감별에 이용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템플릿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투입된 상기 지엽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템플릿 또는 상기 취득한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그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읽어내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판독하여,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입된 지엽류의 감별을 행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 의하면, 템플릿을 기억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억부의 용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 의한 지폐의 감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 의한 지폐의 감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 의한 지폐의 감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 의한 지폐의 감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지엽류 감별 장치(1)는, 예를 들면 ATM(Automated Teller Machine, 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 내장되어 사용되며, ATM 등에 투입된 지엽류 즉 지폐의 화폐 종류나 진위의 판단을 행한다.
도 1에 도시한 대로, 지엽류 감별 장치(1)는, 투입부(2), 이미지 센서(3), 변환부(4), 기준 데이터 기억부(5) 및 판정부(6)를 갖는다.
투입부(2)는 ATM에 투입된 지폐를 접수한다. 이미지 센서(3)는, 투입부(2)에 투입된 지폐의 화상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에서는, 이미지 센서(3)로서, 투과형 포토 센서를 이용한 라인 센서를 사용한다.
변환부(4)는, 이미지 센서(3)에서 판독한 화상 데이터의 변환을 행한다. 변환부(4)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변환 방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준 데이터 기억부(5)에는, 화폐 종류나 진위를 판정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켜 둔다. 화폐 종류나 진위를 판정할 때에 기준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를, 이하 「템플릿」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에서는, 템플릿은, 각 화폐 종류에 대하여 1방향의 화상 데이터를 준비하고 있다.
판정부(6)는, 이미지 센서(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및 변환부(4)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기억부(5)에 기억되어 있는 템플릿과에 의해 패턴 매칭을 행하여, 투입된 지폐의 화폐 종류나 진위를 판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의 기준 데이터 기억부(5)는, 임의의 화폐 종류에 대하여 1방향의 템플릿을 기억하고 있다. 지폐가 투입되면, 변환부(4)는 투입된 지폐에 대하여 이미지 센서(3)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의 변환을 행한다. 판정부(6)는, 이미지 센서(3)에 의해 취득한 화상 데이터 및 변환부(4)에서 변환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데이터(이하 변환 데이터라고 함)를 임의의 방향에 대한 템플릿과 비교함으로써, 투입된 지폐에 대하여, 화폐 종류나 진위의 판정을 행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에서, 이미지 센서(3)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 데이터를 얻음으로써, 1방향에 대한 템플릿을 이용하여 감별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에 의한 지폐의 감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인물이 그려져 있는 면을 표면, 반대측의 면을 이면으로 하고, 화상 데이터 및 템플릿 중, 표면에는, 실선으로 인물을 그리고, 이면에는, 반대측의 면(표면)의 인물이 그려져 있는 위치에, 파선으로 인물을 그리고 있다.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표면ㆍ이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지엽류 감별 장치(1)는, 표면 정립 방향의 템플릿(30)을 보유한다. 이에 대하여, 지엽류 감별 장치(1)에 투입된 지폐의 방향, 즉 지폐를 판독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20)의 방향은, 표면 도립 방향으로, 서로 다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엽류의 방향 즉 표리ㆍ천지 방향을 구별하기 위해서, 인물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는 면을 표면, 초상화가 그려져 있지 않은 면을 이면으로 하고, 인물의 정립상이 그려져 있는 경우에는, 그 방향을 「표면 정립 방향」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인물의 도립상이 그려져 있는 경우에는, 그 방향을 「표면 도립 방향」으로 하고, 인물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지 않은 면으로서, 반대의 면에는 인물의 정립상이 그려져 있는 경우의 방향을 「이면 정립 방향」, 반대의 면에 인물의 도립상이 그려져 있는 경우의 방향을 「이면 도립 방향」으로 한다.
도 1의 설명에서 설명한 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과형 포토 센서를 이미지 센서(3)로서 이용하고 있다. 투과형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취득한 화상(투과 화상)에서는, 지폐의 표면 및 이면의 모양이 겹쳐서 일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가 표면 혹은 이면 중 어느 방향에서 투입된 경우라도, 화상 데이터(20)를 읽어내는 순서를 변경하면, 4방향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20)를 (1) 방향으로부터, 즉 도 2에서는 화상의 우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위의 라인부터 순차적으로 읽어내어 간다. 그리고, 읽어낸 화소를 좌측 위부터 재배치해 감으로써, 이면 도립 방향의 변환 데이터(21)를 얻는다.
예를 들면, 지폐의 표면에 그려진 인물의 초상은, 화상 데이터(20)에서는, 도립 방향으로 도면 중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투과형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20)의 데이터를 재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변환 데이터(21)에서는, 지폐에 그려진 인물의 초상은, 도립 방향으로 도면 중의 우측에 있게 된다. 변환 데이터(21)는, 표면 도립 방향의 화상 데이터(20)에 대하여, 지폐의 투입 방향을 반전시킨 경우의 데이터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20)를 (2) 방향 및 (3) 방향으로부터 읽어내어 재배치를 행함으로써, 각각 이면 정립 방향의 변환 데이터(22) 및 표면 정립 방향의 변환 데이터(23)를 얻는다. 변환 데이터(22)는, 화상 데이터(20)에 대하여, 180도의 회전 및 지폐 투입 방향에 관하여 반전을 시킨 데이터에 상당하고, 변환 데이터(23)는, 화상 데이터(20)에 대하여, 180도의 회전을 시킨 데이터에 상당한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4방향 각각에 대한 데이터(화상 데이터(20) 및 변환 데이터(21∼23)) 중, (3) 방향으로부터 읽어내어 얻어진 변환 데이터(23)의 방향은, 표면 정립 방향으로, 변환 데이터(23)는, 템플릿(30)과 합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에서는, 변환부(4)에서, 화상 데이터(20)의 데이터의 재배치를 행하여, 의사적으로 다른 방향에 대한 변환 데이터를 얻는다. 화상 데이터(20) 및 변환 데이터(21∼23) 중 어느 하나는, 템플릿(30)과 합치한다. 이에 의해, 지엽류 감별 장치(1)에 기억하는 템플릿(30)의 방향은 1방향만이라도, 판정부(6)는, 투입된 지폐의 방향에 상관없이 패턴 매칭을 행할 수 있어, 지폐의 종류나 진위의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변환 데이터(21∼23)를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에 재배치하고 나서 템플릿(30)과의 비교를 행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20)를 소정의 순서로(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각각 (1), (2) 및 (3) 방향의 순서로) 읽어내면서, 템플릿(30)의 대응하는 개소와 비교를 행하여 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패턴 매칭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화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는, 투입된 지폐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20)에 대하여 읽어내는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4방향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템플릿(30)과의 비교를 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는, 보유하고 있는 임의의 방향에 대한 템플릿(30)에 대하여 읽어내는 방향을 변화시켜 4방향에 대한 데이터를 얻어, 투입된 지폐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의 비교를 행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서 지폐의 감별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지엽류 감별 장치(11) 중, 도 1에 도시한 상기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과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의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대로, 변환부(4)는, 이미지 센서(3)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20)의 변환 데이터를 얻는다. 이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1)의 변환부(14)는, 기준 데이터 기억부(5)에 기억하고 있는 템플릿(30)의 변환 데이터를 얻는다. 의사 템플릿 데이터(31∼33)는, 각각, 템플릿(30)을 반전시킨 데이터, 반전 및 180도 회전을 시킨 데이터 및 180도 회전시킨 데이터에 상당한다.
판정부(6)는, 기준 데이터 기억부(5)로부터 읽어낸 템플릿(30) 및 템플릿(30)을 변환한 데이터(31∼33)를 이미지 센서(3)에서 취득한 화상 데이터(20)와 비교함으로써, 지폐의 화폐 종류나 진위의 판정을 행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1)에 의한 지폐의 감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템플릿(30)의 방향은, 표면 정립 방향이고, 투입된 지폐(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20))의 방향은, 이면 도립 방향인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1)도,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와 마찬가지로, 투과형 포토 센서를 이미지 센서(3)로서 이용하고 있다. 기준 데이터 기억부(5)에서는, 기준으로 되는 화상 데이터를 투과형 포토 센서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를 템플릿(30)으로서 기억하고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1)에서는, 투과형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취득한 화상에서는, 지폐의 표면 및 이면의 모양이 겹쳐서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변환부(14)에서, 템플릿(30)을 읽어내는 방향을 변화시켜 데이터를 재배치함으로써, 보유하고 있는 템플릿(30)의 방향은 1방향만이라도, 다른 방향에 대한 의사 템플릿 데이터를 얻는다. 이에 의해, 판정부(6)는, 패턴 매칭을 행하여 지폐의 화폐 종류나 진위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템플릿(30)을 변환하여 생성한 의사 템플릿 데이터(31∼33)를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에 재배치하고 나서 화상 데이터(20)와의 비교를 행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템플릿(30)을 소정의 순서로(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각각 (1), (2) 및 (3) 방향의 순서로) 읽어내면서, 화상 데이터(20)의 대응하는 개소와 비교를 행하여 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패턴 매칭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서는, 기준 데이터 기억부(5)에 기억하고 있는 템플릿(30)에 대하여 읽어내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을 이용하여, 지엽류 감별 장치가 지폐의 감별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 않는 기간 등의 빈틈 시간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지폐가 지엽류 감별 장치에 투입될 때까지의 기간에, 미리 의사 템플릿 데이터(31∼33)를 생성해 두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센서(3)로서 라인 센서를 이용하고 있고, 템플릿은, 사용 파장 영역의 파장마다 준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임의의 화폐 종류에 대한 템플릿은, 적외 영역, 가시광 영역 및 자외 영역의 각각에 대한 템플릿이, 기준 데이터 기억부(5)에 기억되어 있다. 지엽류 감별 장치가 감별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 않는 빈틈 시간 등에, 임의의 파장 및 다른 파장에 대한 템플릿을 조합한(가산한) 템플릿이나, 파장간의 차분을 취한 템플릿 등을 생성해 놓고, 지폐의 감별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엽류 감별 장치에서, 지폐의 감별에 이용하는 각종 템플릿이 생성 가능하게 됨으로써, 미리 이들 템플릿(예를 들면 가산한 템플릿)을 기준 데이터 기억부(5)에 기억시켜 두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지엽류 감별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템플릿을 기억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1)와 마찬가지로, 템플릿의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고, 변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턴 매칭을 행하여, 지폐의 감별을 행한다.
단, 상기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는, 이미지 센서(3)로서 투과형 포토 센서를 이용한 라인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는, 이미지 센서로서, 반사형 포토 센서를 이용한 라인 센서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서 지폐의 감별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의 구성은, 도 3과 마찬가지이지만, 상기와 같이, 이미지 센서(3)로서 반사형 포토 센서를 이용한 라인 센서를 사용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1)와 상이하다. 또한, 기준 데이터 기억부(5)에는, 표면 및 이면 각각에 대한 템플릿(40, 50)을 기억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 의한 지폐의 감별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투입된 지폐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20)는, 이면 도립 방향인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판별 장치에서는, 반사형 포토 센서를 이미지 센서(3)에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미지 센서(3)는, 투입된 지폐의 방향에 따라서, 표면 혹은 이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화상 데이터(20)를 얻는다. 화상 데이터(20)와 패턴 매칭을 행하는 템플릿에 대해서도, 표면 및 이면 각각에 대한 템플릿(40, 50)을 기준 데이터 기억부(5)에 기억시키고 있다.
지엽류 감별 장치에 지폐가 투입되면, 표면 및 이면 각각에 대한 템플릿(40, 50)을 읽어내는 방향을 변화시켜 데이터를 재배치함으로써, 변환 데이터(41, 51)(의사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한다. 변환 데이터(41)는, 템플릿(40)을 180도 회전시킨 데이터에 상당하고, 변환 데이터(51)는, 템플릿(50)을 180도 회전시킨 데이터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센서는 반사형 포토 센서이기 때문에, 투과형의 포토 센서와는 달리, 표면과 이면을 투과한 화상을 템플릿으로서 사용할 수 없다. 반사형 포토 센서에서는 센서의 이면의 화상을 취득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기준 템플릿은 표면과 이면의 적어도 2종류가 필요로 된다.
이와 같이, 4방향에 대한 템플릿 데이터를 의사적으로 생성하고, 표면 정립 방향 및 이면 정립 방향에 대한 템플릿(40, 50)과, 표면 도립 방향 및 이면 도립 방향에 대한 변환 데이터(41, 51)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20)와의 패턴 매칭을 행한다. 이에 의해, 보유하고 있는 템플릿(40, 50)은 2방향에 대해서만이라도, 투입된 지폐의 방향에 상관없이, 지폐의 화폐 종류나 진위의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템플릿(40, 50)을 변환하여 생성한 변환 데이터(41, 51)를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에 재배치하고 나서 화상 데이터(20)와의 비교를 행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템플릿(40 또는 50)을 소정의 순서로(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각각, (1) 방향 및 (2) 방향의 순서로) 읽어내면서, 화상 데이터(20)의 대응하는 개소와 비교를 행하여 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패턴 매칭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20)에 대하여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여 템플릿(40, 50)과의 비교를 행함으로써, 지폐의 감별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반사형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20)의 방향은, 이면 도립 방향이다. 화상 데이터(20)의 (a) 방향으로부터 읽어내어 감으로써, 이면 정립 방향의 변환 데이터를 얻는다. 화상 데이터(20)의 방향은, 템플릿(40, 50)의 방향과는 일치하지 않지만, 얻어진 변환 데이터는, 템플릿(50)의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에서도, 마찬가지로 지폐의 감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의 제1∼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3)에서 투입된 지폐를 판독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데이터 또는 템플릿을 변환하여, 다른 방향에 대한 화상 데이터 또는 의사 템플릿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한 데이터(변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입한 지폐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와의 패턴 매칭을 행함으로써, 보유하는 템플릿은 1방향에 대해서만이라도, 지폐의 방향에 상관없이, 패턴 매칭을 행하여 지폐의 감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템플릿을 기억시켜 두는 메모리 등의 기억부의 용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지폐의 감별 방법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며, 하드웨어 구성에는 수정을 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현이 용이하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내장의 고속 메모리를 이용하여, 패턴 매칭을 고속으로 행하자고 하는 경우에는, CPU 내장의 고속 메모리는, 처리 속도는 고속이지만, 메모리 용량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처리 시에 메모리 용량의 제약을 받게 된다. 종래는, 예를 들면, 모든 화폐 종류의 템플릿을 고속 메모리로부터 한번에 읽어낼 수 없어, 일부의 화폐 종류의 템플릿을 고속 메모리에 읽어들여서 처리를 실행하고, 도중에 다른 화폐 종류의 템플릿으로 절환하여 처리를 계속할 필요가 생기는 등의 지장이 생겨, 고속화의 방해로 되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에 의하면, 임의의 화폐 종류에 대하여 기억하는 템플릿은 1방향에 대해서만으로도 족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도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PU를 내장하는 메모리 이외라도, 템플릿을 기억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량이 억제됨으로써, 예를 들면, 메모리 뱅크를 절환하는 빈도를 억제할 수 있어, 마찬가지로, 처리의 고속화에 이바지한다.
1, 11 : 지엽류 감별 장치
2 : 투입부
3 : 이미지 센서(취득부)
4 : 변환부
5 : 기준 데이터 기억부
6 : 판정부
20 : 화상 데이터
21∼23 : 변환 데이터
30 : 템플릿
31∼33 : 의사 템플릿 데이터
40, 50 : 템플릿
41, 51 : 의사 템플릿 데이터

Claims (7)

  1. 지엽류의 감별을 행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로서,
    상기 지엽류의 감별에 이용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템플릿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투입된 상기 지엽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템플릿 또는 상기 취득한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그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읽어내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판독하여,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입된 지엽류의 감별을 행하는 판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취득한 화상 데이터 및 그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변환 데이터와, 상기 지엽류의 임의의 방향에 대한 상기 템플릿과의 패턴 매칭을 행함으로써, 상기 투입된 지엽류의 감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는, 상기 지엽류를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얻어지는 투과 화상이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판독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그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그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킨 경우에 상당하는 데이터, 상기 지엽류의 투입 방향을 반전시킨 경우에 상당하는 데이터 및 그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켜, 상기 지엽류의 투입 방향을 반전시킨 경우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템플릿 및 그 템플릿으로부터 생성한 변환 데이터로서의 의사 템플릿 데이터와의 패턴 매칭을 행함으로써, 상기 투입된 지엽류의 감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은, 상기 지엽류를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얻어지는 투과 화상이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템플릿의 판독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그 템플릿을 판독함으로써, 그 템플릿을 회전시킨 경우에 상당하는 데이터, 그 템플릿의 상기 지엽류의 투입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반전시킨 경우에 상당하는 데이터 및 그 템플릿을 회전시켜, 상기 지엽류의 투입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반전시킨 경우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은, 상기 지엽류의 표면 및 이면의 각각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상이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지엽류의 표면 및 이면의 템플릿의 판독의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그 표면 및 이면의 템플릿을 판독함으로써, 그 표면 및 이면의 각각에 대한 템플릿을 회전시킨 경우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7. 지엽류의 감별을 행하는 지엽류 감별 방법으로서,
    투입된 상기 지엽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지엽류의 감별에 이용할 때에 기준으로 하고, 미리 기억부에 기억시켜져 있는 템플릿, 또는 상기 취득한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그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읽어내기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판독하여,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입된 지엽류의 감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방법.
KR1020100076227A 2009-11-27 2010-08-09 지엽류 감별 장치 및 지엽류 감별 방법 KR101276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0329 2009-11-27
JP2009270329A JP2011113375A (ja) 2009-11-27 2009-11-27 紙葉類鑑別装置及び紙葉類鑑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518A true KR20110059518A (ko) 2011-06-02
KR101276451B1 KR101276451B1 (ko) 2013-06-19

Family

ID=4408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227A KR101276451B1 (ko) 2009-11-27 2010-08-09 지엽류 감별 장치 및 지엽류 감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113375A (ko)
KR (1) KR101276451B1 (ko)
CN (1) CN1020818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4136A (zh) * 2022-04-27 2022-07-08 上海弘玑信息技术有限公司 标注数据生成的方法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5988A (zh) * 2014-05-06 2014-07-3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交易装置
CN104992496A (zh) * 2015-07-08 2015-10-2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面向识别方法及装置
CN106803307B (zh) * 2016-12-16 2023-05-02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模板匹配的纸币面值面向识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482A (ja) * 1988-06-29 1990-01-16 Toshiba Corp 紙葉類のパターン識別装置
JP2891828B2 (ja) * 1992-08-27 1999-05-17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紙幣認識方式
JP3596176B2 (ja) * 1996-06-12 2004-12-02 オムロン株式会社 媒体識別装置
JP2004326547A (ja) * 2003-04-25 2004-11-18 Nippon Conlux Co Ltd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方法
JP4382579B2 (ja) * 2004-06-03 2009-12-16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方法
EP1901241A1 (en) * 2006-09-06 2008-03-19 Kba-Giori S.A. Method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printed documents based on pattern matching
JP4620135B2 (ja) * 2008-02-29 2011-01-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鑑別装置及び紙葉類鑑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4136A (zh) * 2022-04-27 2022-07-08 上海弘玑信息技术有限公司 标注数据生成的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451B1 (ko) 2013-06-19
JP2011113375A (ja) 2011-06-09
CN102081818A (zh) 2011-06-01
CN102081818B (zh)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4419B2 (ja) 紙幣の真贋判定方法、及び紙幣の真贋判定装置
US9727911B2 (en) Systems,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s for providing secure paper transactions using paper fiber identifiers
US7014105B2 (en) Bill handling machine
JP2009238090A (ja) 紙葉類鑑別装置及びその鑑別方法
EP2071528A1 (en) Papers discriminating device, and papers discriminating method
KR101792690B1 (ko) 지폐 처리 장치
KR101276451B1 (ko) 지엽류 감별 장치 및 지엽류 감별 방법
EP25306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paper current or financial bill number, and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for paper currency or financial bill number
CN107016363A (zh) 票据图像管理装置、票据图像管理系统以及方法
JP5241650B2 (ja) 記番号認識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US8989433B2 (en) Paper sheet recognition apparatus and paper sheet recognition method
US202200053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tm fraud via counting notes
KR101223316B1 (ko) 지엽류 감별 시스템, 지엽류 감별 방법 및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707218B1 (ko) 스마트폰 연동형 위조지폐감별장치 및 방법
JP7227818B2 (ja) 紙幣識別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識別方法
JP6582548B2 (ja) 記番号認識装置、媒体鑑別装置、自動取引装置、記番号管理装置、記番号管理システム、及び記番号管理プログラム
US9499006B2 (en) Anti-counterfeiting feature generation method for valuable document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07393124A (zh) 判断钞票货币种类及面值的方法及多种钞票接收器
KR101812206B1 (ko)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JP4319173B2 (ja) 紙葉類処理装置
US81942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select alternate image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03716A (ko) 지엽류 감별 장치 및 그 감별 방법
CN107767528B (zh) 一种纸币检验方法、装置、atm机及存储介质
KR20150077592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CN203909908U (zh) 一种有价介质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