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415A -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415A
KR20110059415A KR1020090116140A KR20090116140A KR20110059415A KR 20110059415 A KR20110059415 A KR 20110059415A KR 1020090116140 A KR1020090116140 A KR 1020090116140A KR 20090116140 A KR20090116140 A KR 20090116140A KR 20110059415 A KR20110059415 A KR 20110059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radio resource
denotes
scheduling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234B1 (ko
Inventor
김영기
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1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2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트래픽을 스케쥴링하는 방법은,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과 큐의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 파라미터를 상이하게 설정하고,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타임 슬롯별 각 트래픽에 무선 자원 속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무선 자원 속도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래픽, traffic, 스케쥴링

Description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QoS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eterogeneous traffic}
본 발명은 트래픽 스케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이종 트래픽간의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시스템은 여러 가지 특성을 지닌 여러 종류의 트래픽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진화되고 있다. 이러한 트래픽은 크게 실시간 트래픽 및 비실시간 트래픽이 혼합된 형태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실시간 트래픽의 일부 품질 보장 요소를 만족시키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거나 비실시간 트래픽의 공평성을 만족시키는 방안에 대해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실시간 트래픽의 품질을 보장하며, 비실시간 트래픽의 공평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래픽을 스케쥴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과 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 및 큐의 상태에 따라 제어 파라미터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타임 슬롯별 각 트래픽에 무선 자원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무선 자원 속도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종 트래픽을 스케쥴링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 및 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획득부; 상기 무선 자원 용량 및 큐의 상태에 따라 제어 파라미터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타임 슬롯별 각 트래픽에 대한 무선 자원 속도를 산출하는 계산부; 및 상기 산출된 무선 자원 속도에 따라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스케쥴링부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트래픽의 품질을 보장하며, 비실시간 트래픽의 공평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이종 트래픽간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망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WCMDA망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말기(100), BS(Base Station)(110), RNC(Radio Network Controller)(120), MSC(Mobile Telephone Switching Center)(130), GMSC(Gateway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140),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60),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음성 통화 연결은 BS(110), RNC(120)를 거쳐 MSC(130), GMSC(140)을 통하여 음성통화를 위한 공중 전화 교환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50)와 연결된 다.
반면 인터넷 연결은 BS(110), RNC(120)를 거쳐 SGSN(160), GGSN(170)을 통하여 Internet 망(180)으로 연결된다.
먼저 WCDMA 망에서의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 즉 휴대 전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지털 처리 장치들이 가능하다.
특히 WCDMA 방식에서는 고속 이동성을 지원하고 음성 품질이 높으며 또한 대역 확산 방식을 사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의 전송에도 적합하므로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다.
BS(110)는 일반적으로 기지국으로 불리우며 휴대 단말(100)로 또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한다.
RNC(120)는 기지국을 제어하는 무선 접속망의 구성 요소로서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기능과 무선 통신망에서의 기지국에 대한 관리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부와 다른 네트워크 구성 요소간의 연결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MSC(130)는 이동 전화 교환국 또는 이동 전화 교환기라고도 하며, 기지국에서 발신 또는 착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SC(130)는 도 1에서는 미도시하였으나, 휴대 단말(100)의 소재를 관리하고 가입자의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 사용자의 위치등록 정보를 문의한다. HLR(미도시)은 가입자의 발신, 착신 상태, 부가서비스 등의 각종 정보와 가입자 위치를 알려준다.
GMSC(140)는 관문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도 불리우며 HLR에 기억되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VMSC(Visited MSC)을 결정하고 호를 선택 지정하는 자동 추적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GMSC(140)와 VMSC는 호 단위로 같은 교환국이 되거나 다른 교환국이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MSC(130)와 GMSC(140)는 음성 통화 등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로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거쳐 PSTN(150)에 연결된다.
PSTN(150)은 일반적으로 공공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공중 전화 교환 네트워크를 말하며 이러한 PSTN(150)과 GMSC(140)의 연결로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인터넷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관련되는 구성 요소인 SGSN(160)은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도 불리우며, 이동 통신 서비스 지역 내에서 기지국과의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노드이다.
SGSN(160)은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인증 및 요금 부과 등의 기능을 가지며, SGSN(160)의 위치 레지스터(미도시)는 SGSN(160)에 등록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 프로 파일 등을 저장한다.
GGSN(170)은 패킷 관문 지원 노드로도 불리우며, GPRS의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 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이다.
SGSN(160)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적당한 PDP(Packet Data Protocol: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착신 패킷 데이터의 PDP 주소를 GSM 주소 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GSN(160)의 위치 레지스터에 있는 사용자의 SGSN(160) 주소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인증과 요금 부과 기능도 수행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트래픽의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는 기지국 제어기(BTS), 노드 B(node-B)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스케쥴링 장치라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유형별 패킷이 순차적으로 저장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실시간 트래픽은 음성 통신 또는 화상 통신을 위한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지칭하며, 비실시간 트래픽은 웹 브라우징 또는 파일 다운로드에 따른 통신을 위한 트래픽을 지칭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200)는 분배부(210), 획득부(215), 설정부(220), 계산부(225) 및 스케쥴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배기(210)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각 데이터 패킷을 각 패킷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버퍼(예를 들어, 큐)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각 패킷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패킷 버퍼라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패킷 유형은 실시간 음성 통신 호에 따른 패킷, 실시간 영상 통신호에 따른 패킷, 무선 인터넷에 상응하는 패킷, 파일 다운로드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 등과 같이 상이할 수 있다.
도 3에 각각의 패킷이 각 패킷 유형에 상응하여 버퍼(예를 들어, 큐)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획득부(215)는 각 패킷 버퍼(예를 들어, 큐)의 정보를 확인하여 각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과 큐의 상태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패킷 버퍼의 정보는 각 패킷에 대한 길이 및 만료 시간일 수 있다.
또한, 획득부(215)는 각 무선 채널에 대한 정보(이하에서는 채널 정보라 칭하기로 함)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채널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로써, 각 무선 채널의 세기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채널 정보는 당해 스케쥴링 장치(200)에 내장되거나 또는 연결된 리시버를 통해 수신된 각 무선 채널에 대한 세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채널이 하나의 채널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복수의 채채널 이루어진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정부(220)는 획득부(215)에서 획득된 각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과 큐의 상태에 따라 트래픽 스케쥴링을 위한 제어 파라미터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파라미터는 실시간 트래픽 및 비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스케쥴링 정책을 위해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로써, 0 내지 ∞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서는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트래픽에 대해 임의의 스케쥴링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간 트래픽이 비실시간 트래픽에 비해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 파라미터가 “0”로 설정되는 경우, 스케쥴링 정책은 실시간 트래픽(예를 들어, 동영상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무선 자원 용량이 어용되는 한 보장하도록 스케쥴링 정책이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우선 순위가 낮은 트래픽은 우선 순위가 높은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보장된 후 무선 자원에 대한 할당이 이루어지므로 중요도가 낮게 설정되게 된다.
또한, 제어 파라미터가 “∞”로 설정되는 경우, 실시간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은 당해 실시간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만 보장되도록 스케쥴링 정책이 설정된다.
이에, 비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은 무선 자원의 다이버시티 게인(diversity gain)이 최대한 획득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비실시간 트래픽에 대해 적절한 공평성과 수율(throughput)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부(220)는 실시간 트래픽의 실제 트래픽 양에 따라 제어 파라미터를 유동적으로 설정하여 트래픽에 대한 스케쥴링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부(220)는 각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과 큐의 상태를 확인하여, 실시간 트래픽이 적은 경우, 제어 파라미터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설정부(220)는 각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과 큐의 상태를 확인하여 실시간 트래픽이 많은 경우, 제어 파라미터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계산부(225)는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타임 슬롯별 각 트래픽에 대한 무선 자원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자원 속도는 실시간 트래픽에 상응하여 필요한 무선 자원에 대해 보장해야할 최소한의 전송 속도일 수 있다.예를 들어, 계산부(225)는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각 트래픽에 대한 무선 자원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3351316-PAT00001
여기서, t는 타임 슬롯을 나타내고, i는 데이터 흐름(flow)를 나타내며, k는 패킷을 나타내고,
Figure 112009073351316-PAT00002
는 i 데이터 흐름의 k번째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73351316-PAT00003
는 i 데이터 흐름의 k번째 패킷의 만료 시간에 대한 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09073351316-PAT00004
는 타임 슬롯 t에서 실시간 데이터 흐름 i의 전체 패킷 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73351316-PAT00005
는 제어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스케쥴링부(230)는 산출된 무선 자원 속도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할당하여 스케쥴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부(230)는 획득부(215)에서 획득된 각 무선 채널의 채널 정보를 확인하여 산출된 무선 자원 속도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400)는 분배부(410), 정보 획득부(415), 설정부(420), 계산부(425) 및 스케쥴링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배부(41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정보 획득부(415)는 각 가입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가 가입한 요금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금제 정보는 각 가입자별 서비스 품질 보장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420)는 가입자에 대해 획득된 서비스 품질 보장 정도에 따라 각 단말로의 트래픽에 대한 제어 파라미터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각 가입자가 가입한 가입자별 서비스 품질 보장 정도에 따라 각 가입자에 상응하는 단말로 제공되는 트래픽에 대한 제어 파라미터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가입자별로 서비스 품질 보장을 상이하게 제공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계산부(425)에 의해 계산되는 무선 자원 속도가 각 가입자별로 각각 상이하게 산출된다. 즉, 가입자가 가입한 서비스 품질 보장 정도에 따라 각각 무선 자원 속도를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각각 상이하게 무선 채널(즉,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계산부(425) 및 스케쥴링부(430)는 각각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가 이종 트래픽에 대해 스케쥴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스케쥴링 장치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스케쥴링 장치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10에서 스케쥴링 장치(200)는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 및 큐의 상태를 확인한다.
단계 515에서 스케쥴링 장치(200)는 확인된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 및 큐의 상태에 따라 트래픽 스케쥴링을 위한 제어 파라미터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타임 슬롯 상에 실시간 트래픽(예를 들어, 동영상 서비스)이 매우 작은 경우, 스케쥴링 장치(200)는 제어 파라미터를 무한대로 매우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실시간 트래픽이 점점 증가하는 경우, 스케쥴링 장치(200) 는 제어 파라미터의 값을 점점 감소시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스케쥴링 장치(200)는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타임 슬롯별 각 트래픽에 대한 무선 자원 속도를 산출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525에서 스케쥴링 장치(200)는 산출된 무선 자원 속도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할당한다.
즉, 스케쥴링 장치(200)는 각각의 무선 채널에 대해 획득된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산출된 무선 자원 속도에 가장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트래픽에 대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함으로써, 트래픽 유형별 수용이 상이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파라미터가 작을수록, 스케쥴링 장치(200)는 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보장되도록 무선 자원을 우선하여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링 장치(200)는 실시간 트래픽의 수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파라미터가 클수록, 스케쥴링 장치(200)는 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실시간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만 보장되도록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스케쥴링 장치(200)는 비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다이버시티 게인이 증가되도록 비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수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유형별 패킷이 순차적으로 저장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장치가 이종 트래픽에 대해 스케쥴링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10)

  1. 스케쥴링 장치가 트래픽을 스케쥴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과 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 및 큐의 상태에 따라 제어 파라미터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타임 슬롯별 각 트래픽에 무선 자원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된 무선 자원 속도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유형은 실시간 트래픽 및 비실시간 트래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전에,
    각 무선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채널 정보는 각 채널에 대한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파라미터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단계는,
    실시간 트래픽이 적은 경우,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값을 무한대로 크게 설정하는 단계; 및
    실시간 트래픽이 증가할수록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값을 감소시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속도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방법.
    Figure 112009073351316-PAT00006
    여기서, t는 타임 슬롯을 나타내고, i는 데이터 흐름(flow)를 나타내며, k는 패킷을 나타내고, 는 i 데이터 흐름의 k번째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73351316-PAT00008
    는 i 데이터 흐름의 k번째 패킷의 만료 시간에 대한 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09073351316-PAT00009
    는 타임 슬롯 t에서 실시간 데이터 흐름 i의 전체 패킷 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73351316-PAT00010
    는 제어 파라미터를 나타냄.
  6. 트래픽 유형별 가용 가능한 무선 자원 용량 및 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획득부;
    상기 무선 자원 용량 및 큐의 상태에 따라 제어 파라미터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타임 슬롯별 각 트래픽에 대한 무선 자원 속도를 산출하는 계산부; 및
    상기 산출된 무선 자원 속도에 따라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스케쥴링부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각 무선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각각 더 획득하되,
    상기 스케쥴링부는 상기 획득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자원 속도 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각 무선 채널에 대한 수신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실시간 트래픽이 적은 경우,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값을 무한대로 크게 설정하며, 실시간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어 파라미터의 값을 점점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속도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방법.
    Figure 112009073351316-PAT00011
    여기서, t는 타임 슬롯을 나타내고, i는 데이터 흐름(flow)를 나타내며, k는 패킷을 나타내고,
    Figure 112009073351316-PAT00012
    는 i 데이터 흐름의 k번째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73351316-PAT00013
    는 i 데이터 흐름의 k번째 패킷의 만료 시간에 대한 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09073351316-PAT00014
    는 타임 슬롯 t에서 실시간 데이터 흐름 i의 전체 패킷 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09073351316-PAT00015
    는 제어 파라미터를 나타냄.
KR1020090116140A 2009-11-27 2009-11-27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KR10108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40A KR101086234B1 (ko) 2009-11-27 2009-11-27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40A KR101086234B1 (ko) 2009-11-27 2009-11-27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15A true KR20110059415A (ko) 2011-06-02
KR101086234B1 KR101086234B1 (ko) 2011-11-24

Family

ID=4439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40A KR101086234B1 (ko) 2009-11-27 2009-11-27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2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9896A (ja) 2002-02-01 2003-08-15 Fujitsu Ltd パケット伝送の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及びパケット伝送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GB0302215D0 (en) 2003-01-30 2003-03-05 Univ Surrey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optimum resourse allocation in a network
KR100588001B1 (ko) 2004-12-13 2006-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중치 기반의 패킷 스케줄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234B1 (ko)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877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QoS description information and apparatus
US9490958B2 (en) Allocating resources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ES2429663B1 (es) Método y sistema para planificar el enlace descendente en redes de evolución a largo plazo (lte) basándose en calidad de servicio (qos)
US8948006B2 (en) System for managing uplink quality of service (QoS) in cellular network
KR100553543B1 (ko) Cdma ev-d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최소 전송지연을 보장하기 위한 패킷 스케쥴링 방법 및 시스템
RU254026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дифференцированной услуги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EP2409514B1 (en) Hspa relative bit-rate aimd-based qos profiling
KR2003006050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수락 방법
CN110474854B (zh) 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JP2009517968A (ja) 高速ダウンリンクにおける低ビットレートユーザのフロー制御
US8289852B2 (en) Setting token bucket parameters for scheduling of air-interface resources
JP4981139B2 (ja) パケットスケジューリング
JP200451114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を次元合わせするシステムと方法
EP1853009A1 (en) Resource control for scheduled and non-scheduled traffic
US8417826B2 (en) Method and system of overload control in packetized communication networks
JP2000069548A (ja) 通信帯域割当方法
KR101086234B1 (ko) 이종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CN107211400B (zh) 网络准入控制方法、接入点及接入控制器
KR1005239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JP472217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上位ノード
WO2007129186A1 (en) Resource control for scheduled and non-scheduled traffic
CN110876160A (zh) 基于多模基站下的资源传输控制方法及装置
EP2009943A1 (en) Uplink transmission in mobile networks
CN113950090B (zh) 5g网络优先级自动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06011195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