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202A - 단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202A
KR20110059202A KR1020090115856A KR20090115856A KR20110059202A KR 20110059202 A KR20110059202 A KR 20110059202A KR 1020090115856 A KR1020090115856 A KR 1020090115856A KR 20090115856 A KR20090115856 A KR 20090115856A KR 20110059202 A KR20110059202 A KR 20110059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usb device
external device
data channel
qu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9202A/ko
Priority to US12/903,257 priority patent/US8612634B2/en
Priority to EP10189304A priority patent/EP2328306A1/en
Priority to JP2010260172A priority patent/JP2011113565A/ja
Publication of KR2011005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Abstract

외부기기와 연결된 단말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외부 기기와 USB 기기의 연결 상태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통지되면,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퀘어리에 대응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USB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된 USB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데이터 채널을 통해 USB 기기에 액세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에 연결된 USB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외부기기, 데이터 채널, USB 기기, 퀘어리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apparatus}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기기와 연결된 USB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하나의 독립적인 환경 내에서도 복수 개의 전자 기기들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이들 전자 기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형성한 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반적이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인 USB 인터페이스는 그 편리성 때문에 대부분의 전자 기기에서 지원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 등의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에 연결된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TV에 마련된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감상하거나, PC에 연결하여 다양한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는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활용도가 높은 인터페이스이다.
하지만,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USB 기기는 그 연결된 호스트에서만 액세스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많은 수의 단말장치들이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이라고 하더라도, 타 사용자에게 USB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USB 기기를 직접 전달하거나, 서버와 같은 별도의 시스템에 USB 기기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USB 포트가 마련되지 않은 기기의 경우, USB 기기를 직접 연결할 수가 없어, USB 기기를 활용할 수 없다는 어려움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기기에 연결된 USB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그 USB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 기기와 USB 기기의 연결 상태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통지되면, 상기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퀘어리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USB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USB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USB 기기에 액세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 규격에 따른 포맷의 USB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시그널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USB 기기와 연결 가능한 단말 장치의 경우에는, USB 기기와 연결 가능한 USB 인터페이스부,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USB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USB 기기의 연결 상태를 상기 외부 기기로 통지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로 USB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USB 기기에 대응되는 드라이버를 실행시키면,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USB 기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USB 기기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USB 기기의 연결 상태를 통지받는 단계, 상기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USB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USB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USB 기기에 액세스하여, 상기 USB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USB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USB 규격에 따른 포맷의 USB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시그널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USB 기기와 연결 가능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USB 기기가 연결되면,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상기 USB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 USB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USB 규격에 따른 포맷의 USB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시그널을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USB 기기 사이에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기기에 연결된 USB 기기를 편리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의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 장치(100-1, 100-2, ... 100-4)를 포함하며, 이 중 하나인 제3 단말장치(100-3)에는 USB 기기(200)가 연결된다. 도 1의 시스템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단말 장치의 개수 및 USB 기기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에서의 각 단말 장치(100-1, 100-2, ... 100-4)들은 데이지 체인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말 장치(100-1, 100-2, ... 100-4)들은 서로 간에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단말 장치(100-1, 100-2, ... 100-4)는 S-link라고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S-link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확장한 인터페이스이다. HDMI 인터페이스는 DVI와의 호환성을 유지한 채, 비디오/오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AV 용도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규격이다. S-link 인터페이스는 HDMI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한편, 도 1의 단말장치(100-1, 100-2, ..., 100-4) 들은 각각 TV, PC, 모니터, 전자 액자, 노트북 PC, 오디오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VCR, 오디오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셋탑 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단말 장치들 중 하나인 제3 단말 장치(100-3)에는 USB 기기(200)와 같은 외부 기기가 연결된다.
USB 기기(200)란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기를 의미한다.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란 직렬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기존의 외부 확장 포트(시리얼 혹은 패러럴)들의 느린 속도와 제한된 장치 연결 문제를 해결하여, 오디오 플레이어, 조이스틱, 키보드, 전화, 스캐너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장치와 컴퓨터 간을 연결하는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USB 메모리, 전자 책, 넷북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기들이 USB 기기(200)로 구현될 수 있다.
USB 기기(200)가 제3 단말 장치(100-3)에 마련된 USB 포트를 통하여 연결되면, 제3 단말장치(100-3)에서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USB 기기(100)와의 사이에서 통신 클래스 인터페이스에 따른 초기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USB 기기(100)의 종류(class), USB 패킷의 크기 및 대역 폭 등의 정보를 주고 받는다.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제3 단말장치(100-3)와 USB 기기(100)간에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제3 단말 장치(100-3)에만 USB 기기(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타 단말 장치, 예를 들어, 제2 단말 장치(100-2)에서 USB 기기(100)에 액세스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단말 장치(100-3)에서는 USB 기기(100)가 연결되면, 그 초기화 과정이 진행 중일 때 또는 초기화가 완료되었을 때, 타 단말장치(100-1, 100-2, 100-4)들로 USB 기기(100)와의 연결 사실을 통지한다. 이 경우, 제3 단말장치(100-3)는 연결된 주변 기기 모두에게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연결 사실을 통지하거나, 기 등록된 주변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연결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각 단말 장치들(100-1, 100-2, 100-4)은 USB 기기(200) 연결 사실이 통지되면, 이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USB 기기(200) 사용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각 단말 장치들(100-1, 100-2, 100-4)에서 직접 OSD 형태로 표시하거나, UI 창을 생성하여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 장치(100-2)의 사용자가 USB 기기(2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제2 단말장치(100-2)에서는 제3 단말장치(100-3)로 USB 기기(200)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를 전송한다. 제3 단말장치(100-3)는 퀘어 리에 대응하여, USB 기기(200)에 대한 정보인 USB 기기 정보를 송신한다. USB 기기 정보에는, USB 기기(100)의 종류(class), USB 패킷의 크기 및 대역 폭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단말장치(100-2)에서는 USB 기기 정보에 대응하여, USB 기기(200)에 액세스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2 단말장치(100-2)의 CPU 및 메인 메모리는, USB 기기(200)에 대한 호스트 컨트롤러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단말장치(100-2)는 USB 규격에 따른 포맷의 USB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시그널을 생성하여, 제3 단말장치(100-3)와의 사이에서 형성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제3 단말장치(100-3)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시그널에 포함된 USB 패킷을 그대로 USB 기기(200)에 전달하고, USB 기기(200)에서 출력되는 USB 패킷 역시 그 포맷을 그대로 유지한 채 데이터 시그널에 포함시켜 제2 단말 장치(100-2) 측으로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제3 단말장치(100-3)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은 실행 종료되고, 이후부터는 제2 단말장치(100-2)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USB 기기(200)의 호스트 컨트롤러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USB 패킷을 포함하는 데이터 시그널에는 제2 단말 장치(100-2)의 주소 정보, 제3 단말장치(100-3)의 주소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내에서 USB 패킷의 시작점, 사이즈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 장치(100-2)이외에 다른 단말 장치들(100-1, 100-3)들도 USB 기기(200)에 대한 호스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0-1)에서 USB 기기(2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사를 표명한 경우에는, 제1 단말 장치(100-1)와 제3 단말 장치(100-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단말장치(100-2)는 제1 단말 장치(100-1) 및 제3 단말 장치(100-3) 사이에서 데이터 시그널을 중계해주는 중계자 역할을 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 예와 달리, USB 기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단말 장치에서 먼저 USB 기기가 연결된 단말 장치를 탐색하기 위한 퀘어리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3 단말장치(100-3)는 USB 기기(200)가 연결된 사실을 주변 기기들로 통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장치(100-1)에서 사용자가 USB 연결 기기를 탐색하고자 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제1 단말장치(100-1)는 주변 기기들로 퀘어리를 브로드캐스팅, 멀티캐스팅, 유니캐스팅 등의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USB 기기(200)가 연결되지 않은 제2 단말장치(100-2) 또는 제4 단말장치(100-4)가 퀘어리를 수신하게 되면, 각 단말장치는 퀘어리를 파기한다.
반면, USB 기기(200)가 연결된 제3 단말장치(100-3)가 퀘어리를 수신한 경우, 그 퀘어리에 대한 응답으로 USB 기기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장치(100-1)가 USB 호스트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단말장치들이 모두 USB 기기(200)를 이용하기 위한 퀘어리를 전송한 경우, 제3 단말장치(100-3)는 가장 먼저 수신된 퀘어리에 대해서만 USB 기기 정보를 제공하여, USB 호스트의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USB 호스트로 동작하는 단말장치가 USB 기기(200)에 대한 사용을 종료하게 되면, 그 다음 단말장치로 USB 호스트의 지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3 단말장치(100-3)는 퀘어리를 전송한 각 단말장치에 대한 정보를 그 전송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를 부 여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단말장치는, 인터페이스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단말장치는 USB 기기(200)와 연결되지 않는 단말장치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므로, USB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이 부분에 대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터페이스부(110)는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로는 S-link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와 USB 기기의 연결 상태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통지되면,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를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퀘어리 전송에 앞서, 사용자에게 USB 기기(200) 사용 여부를 문의하는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USB 기기(200) 사용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그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 의사를 밝히는 선택신호가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스피커 등이 구비되어, 문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20)에서 전송한 퀘어리에 대응하여 외부기기로부터 USB 기기 정보가 전송되면, 저장부(140)는 수신된 USB 기기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USB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USB 기기(200)에 대한 호스트 컨트롤러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USB 기기(200)에 직접 액세스하여, USB 기기(200)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고,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상에서 특정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파일에 대한 데이터를 USB 기기(200)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사진 파일인 경우,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단말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되는 해상도의 사진으로 변환한 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USB 기기와 연결되는 단말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인터페이스부(210), 통신부(220), 제어부(230), 저장부(240), USB 인터페이스부(2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10)란 주변 기기들과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통신부(220)는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변 기기와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제어부(230)는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하며, 저장부(240)는 단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소스,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 터 등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USB 인터페이스부(250)는 USB 기기(20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USB 인터페이스부(250)는 USB 커넥터가 직접 연결되는 USB 포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USB 커넥터가 연결되면, USB 기기(200)의 연결 상태를 인식하여, 제어부(230)로 통지한다.
제어부(230)는 USB 기기(200)의 연결 상태가 통지되면, USB 기기(200)에 대응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USB 기기(200)와의 연결 상태를 초기화한 후, USB 기기(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23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연결된 주변 기기들로, USB 기기(200) 연결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한다. 통신부(220)는 생성된 신호를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주변 기기들로 전송함으로써, USB 연결 사실을 알리게 된다.
제어부(230)는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USB 기기(200)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가 수신되면, 퀘어리를 전송한 외부 기기로 USB 기기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230)는 외부 기기에서 USB 기기에 대응되는 드라이버를 실행시켜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 동작하게 되면, 상기 외부기기가 USB 기기(200)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시그널 내의 USB 패킷을 바로 USB 기기(200)로 전달하고, USB 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USB 패킷 역시 데이터 시그널에 포함시켜 외부 기기로 전송하여 준다.
한편, 제어부(230)는 주변 기기들로 USB 연결 사실을 알리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USB 연결 사실을 통지할 것인지 문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즉, USB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USB 기기(200)가 연결되었다고 통지되면,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미도시) 등의 출력 소자를 통해서 외부 기기로 USB 기기 사용을 허용할 것인지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USB 기기 사용을 허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USB 연결 사실을 주변 기기들로 알릴 수 있다. 이에 비해, 불허하는 선택신호를 입력하거나, 메시지 출력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응답이 없으면, USB 연결 사실을 통지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230)는 주변 기기들로부터 퀘어리가 전송된 이후 시점에서, 사용자에게 타 기기의 USB 기기(200) 사용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할 수도 있다. 문의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주변 기기들로부터 퀘어리가 전송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퀘어리를 전송한 각 주변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주변 기기에 대하여 USB 기기(200) 사용을 허용할 수도 있다. 각 주변 기기들에 대한 정보는 퀘어리에 포함된 정보 또는 자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주변 기기들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단말장치들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 시그널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데이터 시그널은 기 설정된 개수의 패킷들(10-1 ~ 10-n)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킷들의 사이즈와 구조, 단위 개수등은 단말장치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데이터 시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에는 USB 포맷을 따르는 USB 패킷(20)이 그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패킷에는 USB 헤더 및 USB 페이로드 영역이 그대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USB 기기와 연결된 제3 단말장치(100-3)에서는 타 단말장치로부터 도 4와 같은 형태의 데이터 시그널이 수신되면, 헤더를 참고하여 USB 패킷의 위치 및 사이즈를 확인한 후, 확인된 정보에 ㄸ따라 USB 패킷을 분리하여 USB 기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USB 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USB 패킷은 반대로 도 4와 같은 구조의 데이터 시그널에 포함시킨 후, USB 호스트로 동작하는 타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의 데이터 시그널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실제로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 실시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USB 기기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외부 기기에 USB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확인하면(S510), 퀘어리를 전송한다(S520). 이 경우, 외부 기기에 USB 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직접 통지받을 수도 있지만, 주기적으로 외부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단말장치가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퀘어리에 대응하여, 외부기기로부터 USB 기기 정보가 수신되면(S530), 수신된 USB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USB 기기(200)에 대한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540).
이에 따라, USB 기기(200)에 대한 호스트 컨트롤러로 기능하면서, 외부 기기 에 연결된 USB 기기에 직접 액세스하여 USB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S550).
도 6은 USB 기기가 연결되는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USB 기기(200)가 연결되면(S610), 그 연결 상태를 외부 기기에 통지한다(S620). 이후에, 외부 기기로부터 퀘어리가 수신되면(S630), 그 퀘어리에 대응하여 USB 기기 정보를 전송한다(S640).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사용자의 동의를 얻는 과정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USB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외부기기에서 실행되면, USB 기기(200)와 외부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을 지원한다(S650). 구체적으로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시그널에서 USB 패킷을 분리하여 USB 기기(200)로 전달하고, USB 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USB 패킷은 데이터 시그널내에 포함시켜 외부 기기(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외부 통신 기능이 없는 USB 기기(200)를 외부 기기(200)에 연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단말장치들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 시그널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USB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USB 기기와 연결된 단말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 인터페이스부 120, 220 : 통신부
130, 230 : 제어부 140, 240 : 저장부
250 : USB 인터페이스부

Claims (6)

  1.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 기기와 USB 기기의 연결 상태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통지되면, 상기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퀘어리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USB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USB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USB 기기에 액세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 규격에 따른 포맷의 USB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시그널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USB 기기와 연결 가능한 USB 인터페이스부;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USB 기기가 연결되면, 상기 USB 기기의 연결 상태를 상기 외부 기기로 통지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로 USB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USB 기기에 대응되는 드라이버를 실행시키면, 상기 외부기기가 상기 USB 기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4.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USB 기기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USB 기기의 연결 상태를 통지받는 단계;
    상기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USB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USB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USB 기기에 액세스하여, 상기 USB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USB 기기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SB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USB 규격에 따른 포맷의 USB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시그널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USB 기기 제어 방법.
  6. USB 기기와 연결 가능한 단말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USB 기기가 연결되면,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상기 USB 기기가 연결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USB 기기의 사용을 요청하는 퀘어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 USB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USB 규격에 따른 포맷의 USB 패킷을 그대로 포함하는 데이터 시그널을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USB 기기 사이에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90115856A 2009-11-27 2009-11-27 단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KR20110059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856A KR20110059202A (ko) 2009-11-27 2009-11-27 단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US12/903,257 US8612634B2 (en) 2009-11-27 2010-10-13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apparatus thereof
EP10189304A EP2328306A1 (en) 2009-11-27 2010-10-28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apparatus thereof
JP2010260172A JP2011113565A (ja) 2009-11-27 2010-11-22 端末装置及びそのusb機器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856A KR20110059202A (ko) 2009-11-27 2009-11-27 단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202A true KR20110059202A (ko) 2011-06-02

Family

ID=4356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856A KR20110059202A (ko) 2009-11-27 2009-11-27 단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12634B2 (ko)
EP (1) EP2328306A1 (ko)
JP (1) JP2011113565A (ko)
KR (1) KR201100592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9628B2 (en) 2011-12-22 2014-07-01 Sandisk Technologies Inc. Remote access to a data storage device
US8966131B2 (en) * 2012-01-06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method for bi-directional tunneling via user input back channel (UIBC) for wireless displays
FR2988252A1 (fr) * 2012-03-13 2013-09-20 France Telecom Dispositif electronique configure pour etre relie a un reseau local et passerelle d'acces a un reseau local
EP2804388A1 (en) * 2013-05-14 2014-11-19 TP Vision Holding B.V. Common interface host and common interface conditional access module
KR101843431B1 (ko) * 2014-04-04 2018-03-2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os 단말, pos 시스템 및 pos 단말의 제어 방법
US10387636B2 (en) 2015-10-20 2019-08-20 Vivint, Inc. Secure unlock of a device
JP6631735B1 (ja) * 2019-02-28 2020-01-15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制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7213755B2 (ja) * 2019-05-29 2023-01-2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9391B2 (en) 1999-03-19 2008-03-25 F5 Networks, Inc. Tunneling between a bus and a network
US6633929B1 (en) * 1999-04-30 2003-10-1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bstracting network device drivers
US6904489B2 (en) * 2001-10-23 2005-06-07 Digi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accessing universal serial bus devices
US7395366B1 (en) * 2002-09-27 2008-07-01 Cypress Semiconductor Cor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USB peripherals at extended distances from a host computer
US20040090984A1 (en) 2002-11-12 2004-05-13 Intel Corporation Network adapter for remote devices
US7752471B1 (en) * 2003-09-17 2010-07-0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Adaptive USB mass storage devices that reduce power consumption
US20050209842A1 (en) * 2004-03-16 2005-09-22 Digi International Inc. Remote USB port system and method
JP2007219711A (ja) 2006-02-15 2007-08-30 Silex Technology Inc リモート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
US20100321151A1 (en) * 2007-04-04 2010-12-23 Control4 Corporation Home automa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TWI368848B (en) * 2007-05-09 2012-07-21 Arcadyan Technology Corp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12634B2 (en) 2013-12-17
US20110131344A1 (en) 2011-06-02
EP2328306A1 (en) 2011-06-01
JP2011113565A (ja)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080B1 (ko) 명령 및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프록시 디바이스 동작
KR20110059202A (ko) 단말 장치 및 그의 usb 기기 제어 방법
JP5607095B2 (ja) 情報生成装置および情報出力装置
US8402135B2 (en) DLNA-compliant device, DLNA connec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WO2015137717A1 (ko)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CN105100848B (zh) 智能设备、智能设备控制系统及其实现方法
JP2010068509A (ja) 映像制御装置および映像制御装置の制御方法
TW200821857A (en) Dynamic power cycling
EP2469767B1 (en) Network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Reproduction-Takeover Method, and Program
JP2009278262A (ja)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US20150134860A1 (en) System for improving hdmi cec perform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1139377A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63915B2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8120960A1 (en) Network bridge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TWI777230B (zh) 行動裝置橋接平台
JP2006345240A (ja)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遠隔操作方法
WO2012128497A2 (ko) 스마트 카를 위한 차량내 네트워크 장치
US20130060910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001535A1 (zh) 一种显示设备、播放设备、控制设备和数据传输方法
JP2008104175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CN105913626A (zh) 一种实现从源端显示屏到目的端显示屏的镜像功能的设备
CN115914732A (zh) 一种显示设备及基于usb通路的智能路由方法
CN115643436A (zh) 显示设备、多路投屏方法及存储介质
CN115914707A (zh) 一种显示设备及基于usb通路的无感配网控制方法
CN115767156A (zh) 显示设备、设备发现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