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132A -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132A
KR20110059132A KR1020090115769A KR20090115769A KR20110059132A KR 20110059132 A KR20110059132 A KR 20110059132A KR 1020090115769 A KR1020090115769 A KR 1020090115769A KR 20090115769 A KR20090115769 A KR 20090115769A KR 20110059132 A KR20110059132 A KR 20110059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light
path
route
navig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맵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맵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맵퍼스
Priority to KR102009011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9132A/ko
Publication of KR2011005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3Labelling using text of road map data items, e.g. road names, POI n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지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또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현재 위치 주변의 특정 경로를 간략화하고, 간략화된 경로를 순차적으로 표출함과 함께 간략화된 경로에 포함된 주요 안내 정보를 표출하여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비행 경로 제공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내비게이션, 경로

Description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Navigation Terminal and Route Guidan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사용자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지도 정보, 도로 정보, 지형지물 정보, 안내코드 등에 기초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 자신에게 안내될 경로를 미리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이를 위해 모의주행 서비스가 제안되었다. 모의주행 서비스는 실제 경로 안내와 동일한 경로 상에 차량을 가상으로 주행시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출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주행할 경로 상에 존재하는 각각의 안내 지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의 모의주행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실선(A)은 실제 주행 경로를 나타내고, 점선(B)은 모의주행 경로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 주행 경로와 모의주행 경로가 일치하지 않 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두 주행 경로는 동일한 경로를 나타낸다. 즉, 모의주행시 서비스는 실제 주행 경로와 동일한 경로 상에 차량을 가상으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이동할 경로를 보여주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모의주행은 실제 주행 경로와 동일한 경로를 가상으로 주행시키면서 실제 주행 경로 상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를 안내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 경로 상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아울러, 모의주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대한 복잡한 조작 과정이 수반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운전 중에 모의주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안전 운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한편,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화면 상에 모두 표출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적을 조절하고 지도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비스에서, 사용자는 특정 지점의 정확한 경로 정보나 부가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지도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고 지도를 확대하여 원하는 지점의 경로 정보나 부가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지점으로 지도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경로 정보나 부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를 탑재시켜, DMB 방송 신호의 특정 영역에 실시간 교통 상황을 포함시켜 전송 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자신이 주행할 경로 상의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정 지점의 교통 상황 또한 미리 확인하고, 주행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경로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지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지도를 이동시키고 확대하는 등의 과정이 수반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운전 중에 이러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모의주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전운전을 저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안전운전을 보장하면서도, 주행 예정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주요 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행 예정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경로 정보나 교통상황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지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현재 위치 주변의 특정 경로를 간략화하고, 상기 간략화된 경로를 순차적으로 표출함과 함께 상기 간략화된 경로에 포함된 주요 안내 정보를 표출하여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비행 경로 제공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은 지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현재 위치 주변의 특정 경로를 간략화하고, 상기 간략화된 경로를 순차적으로 표출함과 함께 상기 간략화된 경로에 포함된 주요 안내 정보를 표출하여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비행 경로 제공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의 경로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비행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현재 주행 경로가 설 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설정된 주행 경로에 따른 경로 정보로부터 비행 경로를 계산하는 과정;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대한 비행 경로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비행 경로의 계산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과정; 및 상기 재구성된 화면을 통해 비행 모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적지까지의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경로를 간략화하여 현재 위치 주변 또는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 상의 주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경로나 현재 위치 주변의 중요도가 높은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원-터치 방식으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안전운전을 보장하면서도 양질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목적지까지의 주요 정보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주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특정 경로 상을 지정된 고도에서 관찰하면서 주행하는 것과 같은 영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발명의 서비스는 비행 모드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20),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른 내비게이션 단말기(10)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130), 내비게이션 단말기(10)를 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140),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50), 내비게이션부(160), 모드 전환부(170) 및 비행 경로 제공부(180)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부(160)는 GPS 모듈, 자이로 센서, 차속 센서, 경로 안내부 등을 이용하여 길안내를 수행하는 통상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150)에 지도 정보, 도로 정보, 지형지물 정보, 안내코드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게 된다.
모드 전환부(170)는 사용자가 비행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기(10)가 비행 모드로 전환하여 비행 경로를 안내하도록 한다. 운전 중에 비행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안전운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모드 전환부(17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10) 화면의 임의의 위치 또는 특정 위치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부(160)에 의해 경로 안내가 수행되는 중, 화면의 특정 위치에 터치가 발생하면 모드 전환부(170)는 경로 안내를 일시 중단시키고, 비 행 경로 제공부(180)를 통해 비행 경로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비행 경로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중, 화면의 특정 위치에 터치가 발생하면 모드 전환부(170)는 다시 내비게이션부(160)에 의해 경로 안내 모드로 복귀하도록 한다.
한편, 비행 경로 제공부(180)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특정 경로에 대한 주요 정보를 간략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기존의 모의주행은 실제 주행 경로와 동일한 경로 상에 차량을 가상 이동시키기 때문에 경로 상의 굴곡, 분기, 회전 등을 정밀하게 추종하여 안내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비행 모드는 운전자에게 제시된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 경로 상의 개략적인 정보, 예를 들어, 전체 경로의 흐름, 경로 및 주변의 교통정보, 경로 상의 주요 지형지물, 주요 교차로, IC/JC명 등을 훑어보듯이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비행 경로 제공부(180)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특정 경로 상에 존재하는 지점 정보를 추출하고 간략화한다. 그리고, 간략화된 경로 상을 지정된 아이콘이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지도정보 상에 포함된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아이콘이 간략화된 경로로부터 지정된 높이 부양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중에서 경로를 관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고, 실제 주행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특정 경로뿐 아니라, 경로의 주변 상황 또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비행 경로 제공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행 경로 제공부(180)는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의 비 행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비행 모드 제공부(1810) 및 경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현재 위치 주변의 비행 경로를 제공하는 제 2 비행 모드 제공부(1820)를 포함한다. 제 1 비행 모드 제공부(1810)는 제 2 비행 모드 제공부(1820)는 비행 경로 추출 모듈(1830)을 공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1 비행 모드 제공부(1810)는 경로 추출 모듈(1811)을 포함하며, 기 설정된 경로 정보를 내비게이션부(160)로부터 획득한다.
제 2 비행 모드 제공부(1820)는 차량 현재 위치로부터 지정된 반경 또는 지정된 전방 거리까지의 다양한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주변 정보 추출 모듈(1821) 및 주변 정보 추출 모듈(1821)에서 추출한 경로 정보로부터 현재 위치 주변의 특성을 분석하고, 특성 분석 결과에 따라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1823)을 포함한다.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1823)은 현재 위치 주변 특성을 분석한 결과, 예를 들어 고속도로인 경우 전방의 지정된 거리까지의 비행 모드를 제공하도록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위치가 도심지인 경우, 현재 위치를 지정된 반경 선회하는 비행 모드를 제공하도록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의 좌측으로 산이 있고 우측에만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에서 우측으로 지정된 반경 선회하는 비행 모드를 제공하도록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패턴은 도로의 특성과 주변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비행 경로 추출 모듈(1830)은 지점정보 추출 모듈(1831), 간략화 모 듈(1833), 부가정보 획득 모듈(1835) 및 화면 재구성 모듈(183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점정보 추출 모듈(1831)은 경로 추출 모듈(1811)에서 추출한 경로 정보 또는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1823)에서 결정한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지점정보를 추출한다.
간략화 모듈(1833)은 지점정보 추출 모듈(1831)에서 추출한 지점정보로부터 비행 모드를 수행할 아이콘의 궤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궤적에서 표시할 안내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안내 정보는 경로 및 주변의 교통정보, 경로 상의 주요 지형지물, 주요 교차로, IC/JC명 등이 될 수 있으며, 안내 정보의 종류는 서비스 목적에 따라 추가, 삭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가정보 획득 모듈(1835)은 경로 추출 모듈(1811)에서 추출한 경로 정보 또는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1823)에서 결정한 이동 경로가 포함된 지도 정보로부터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간략화 모듈(1833)에서 산출한 궤적에 따라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아이콘의 비행 각도를 결정한다. 아이콘의 비행 각도는 간략화된 두 지점 정보 간의 벡터 보간법 등을 통해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화면 재구성 모듈(1837)은 내비게이션 단말기(10)의 화면에 비행 모드를 수행할 아이콘을 지정된 고도에 표시하고, 비행 모드로 안내할 경로 및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아이콘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아울러, 비행 모드에 따라 지도의 방향이 가변될 수 있으므로 나침반 등이 부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목적지까지의 거리, 전체 비행 모드의 진행 상태 등을 화면에 표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비행 모드로 진입하면, 화면 재구성 모듈(1887)에서 구성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아이콘은 실제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경로를 동일하게 주행하지 않고, 간략화 모듈(1833)에서 산출된 궤적에 따른 경로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아이콘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실제 경로나 현재 위치 주변 경로로부터 시야가 확대 되어 주변 정보까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기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제공한 경로를 주행할 때, 전방의 교통상황을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비행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경로 전방의 교통 상황뿐 아니라 인근 도로의 교통 상황까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경로를 변경하는 등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제공한 경로 상의 주요 정보나 주변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주요 정보나 주변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비행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최적화된 안내정보로만 이루어진 간략화된 궤적을 일정 고도 상에서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실시간 교통 상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DMB 방송국 서버, 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도 4a 내지 4b는 지점정보 추출 및 간략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지점점보 추출 모듈(1831)은 경로 추출 모듈(1811)에서 추출한 경로 정보 또는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1823)에서 결정한 이동 경로의 거리를 지정된 자연수로 나누어 대표점을 추출한다. 이동 경로의 거리를 나누기 위한 자연수는 이동 경로의 거리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로 확대될수록 크게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비행 모드를 통해 P11로부터 P18까지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경로의 총 거리를 7로 나누어, P11~P18까지의 대표점이 결정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대표점 간의 거리는 고정되지 않으며, 이동 경로의 패턴에 따라 적절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서 실선은 경로 추출 모듈(1811)에서 추출한 경로 정보 또는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1823)에서 결정한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대표점이 결정됨에 따라 간략화부(1833)는 인접하는 대표점 간의 거리에 대한 산술적 평균값을 이용하여 대표점을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4 개의 대표점인 제 1 내지 제 4 대표점에 대하여, 1차적으로 제 1 대표점과 제 3 대표점 간의 중심점인 제 1 중심점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 1 중심점과 제 2 대표점과의 중심점인 제 2 중심점을 산출하고, 제 2 대표점의 좌표를 제 2 중심점의 좌표로 대체한다. 다음으로, 제 2 중심점과 제 4 대표점의 중심점인 제 3 중심점을 산출하고, 제 3 중심점과 제 3 대표점의 중심점인 제 4 중심점을 산출하여 제 3 대표점의 좌표를 제 4 중심점으로 대체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대표점(P11)과 대표점(P13) 간의 중심점인 제 1 중심점(A11)을 산출하고, 제 1 중심점과 대표점(P12) 간의 중심점인 제 2 중심점(P21) 을 산출하여, 대표점(P12)의 좌표를 제 2 중심점(P21)의 좌표로 대체한다. 다음, 제 2중심점(P21)과 대표점(P14) 간의 중심점인 제 3 중심점(A12)가 산출되고, 제 3 중심점(A12)과 대표점(P13) 간의 중심점인 제 4 중심점(P22)가 산출되어, 대표점(P13)의 좌표로 대체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P11-P21-P22-P23-P24-P25-P26-P18로 경로가 간략화된다.
대표점의 간략화 과정은 적어도 1회 수행될 수 있으며, 도 4b는 2차로 경로를 간략화하여 P11-P31-P32-P33-P34-P35-P36-P18로 경로를 간략화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c에는 2차로 경로를 간략화함에 따른 결과적인 비행 경로를 도시하였다.
도 4a의 실선 즉, 경로 추출 모듈(1811)에서 추출한 경로 정보 또는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1823)에서 결정한 이동 경로와 도 4c의 비행 경로를 비교하여 보면, 비행 경로는 실제 경로를 그대로 따라 가는 것이 아니라, 실제 경로의 패턴을 추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아이콘은 비행 경로의 지도 정보에 포함된 고도 정보에 따라 지정된 높이 부양된 상태로 주행한다. 따라서, 비행 모드를 따라 주행하더라도 실제 경로를 화면 상에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 실제 경로 주변 도로 정보 및 교통 상황까지로 화면에 표출시킬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자신이 주행할 경로 정보뿐 아니라, 주변 경로의 상태 및 상황까지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현재 위치한 장소 주변의 도로의 종류 및 상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모드 전환부(170)는 대기 상태 또는 특정 모드에서 동작을 수행하면서(S10), 비행 모드로의 전환 요청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20). 확인 결과, 비행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된 경우, 비행 경로 제공부(18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현재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0).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비행 경로 제공부(180)의 경로 추출 모듈(1810)은 내비게이션부(160)를 참조하여 경로 정보에 따른 비행 경로를 계산한다(S40). 한편,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주변정보 추출 모듈(1821) 및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1823)은 차량의 현재 위치 주변에 대한 비행 경로를 계산한다(S50).
비행 경로의 계산이 완료되면, 모드 전환부(170)에 의해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이전 모드가 일시 중지되고 비행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비행 경로 추출 모듈(1830)의 화면 재구성 모듈(1837)은 비행 경로에 따라 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화면을 재구성하여(S70), 비행 모드가 수행된다(S80).
한편, 비행 모드가 수행되는 중 비행 모드가 종료되거나, 외부로부터 비행 모드를 종료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여(S90), 비행 모드가 종료된 경우 또는 외부로부터 비행 모드 종료가 요청된 경우에는 이전 모드로 복귀(S100)하는 한편, 그렇지 않은 경우 비행 모드를 계속하여 수행한다.
도 5의 경로 정보 안내 방법에서,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의 비행 경로 계산 과정 및 경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비행 경로 계산 과정을 구체적으 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경로 정보에 따른 비행 경로 계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비행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된 경우, 경로 정보 추출 모듈(1811)은 내비게이션부(160)를 참조하여 경로 정보를 획득한다(S401).
그리고, 비행 경로 추출 모듈(1830)은 단계 S401에서 획득한 경로 정보로부터 지점 정보를 획득한다(S403). 즉, 경로 정보의 총 거리를 지정된 자연수로 나누고, 경로 정보의 패턴을 참조하여 대표점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후, 간략화 모듈(1833)은 S403에서 획득한 대표점으로부터 비행 모드를 수행할 아이콘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궤적에서 표시할 안내 정보를 선택한다. 이때에는 상술한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인접 대표점 간의 산술적 평균값 계산법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 궤적이 산출되면, 부가정보 획득 모듈(1835)은 단계 S401에서 획득한 경로 정보가 포함된 지도 정보로부터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아이콘의 이동 궤적에 따라 아이콘의 비행 각도를 결정한다(S407). 아이콘의 비행 각도는 간략화된 두 지점 정보 간의 벡터 보간법 등을 통해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단계 S405에서 획득한 이동 궤적 및 단계 S407에서 획득한 부가정보를 기초로, 비행 모드를 수행할 비행 경로를 산출한다(S409).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현재 위치 주변의 비행 경로 계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 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단계 S30의 판단 결과,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경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비행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된 경우, 주변정보 추출 모듈(1821)은 차량 현재 위치로부터 지정된 반경 또는 지정된 전방 거리까지의 다양한 경로 정보를 추출한다(S501).
그리고,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1823)은 단계 S501에서 추출한 경로 정보로부터 현재 위치 주변의 특성을 분석하고, 특성 분석 결과에 따라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S503). 예를 들어 고속도로인 경우 전방의 지정된 거리까지의 비행 모드를 제공하도록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위치가 도심지인 경우, 현재 위치를 지정된 반경 선회하는 비행 모드를 제공하도록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의 좌측으로 산이 있고 우측에만 경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에서 우측으로 지정된 반경 선회하는 비행 모드를 제공하도록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패턴은 도로의 특성과 주변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비행 경로 추출 모듈(1830)은 단계 S503에서 획득한 이동 경로 정보로부터 지점 정보를 획득한다(S505). 즉, 경로 정보의 총 거리를 지정된 자연수로 나누고, 경로 정보의 패턴을 참조하여 대표점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후, 간략화 모듈(1833)은 S505에서 획득한 대표점으로부터 비행 모드를 수행할 아이콘의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궤적에서 표시할 안내 정보를 선택한다. 이때에는 상술한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인접 대표점 간의 산술적 평균값 계산법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 궤적이 산출되면, 부가정보 획득 모듈(1835)은 단계 S503에서 획득한 경로 정보가 포함된 지도 정보로부터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아이콘의 이동 궤적에 따라 아이콘의 비행 각도를 결정한다(S509). 아이콘의 비행 각도는 간략화된 두 지점 정보 간의 벡터 보간법 등을 통해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단계 S507에서 획득한 이동 궤적 및 단계 S509에서 획득한 부가정보를 기초로, 비행 모드를 수행할 비행 경로를 산출한다(S511).
도 8은 도 5에 도시한 화면 재구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모드 전환부(170)에 의해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비행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화면 재구성 모듈(1837)은 단계 S40 또는 S50에서 산출한 비행 경로에 따라 길 안내를 수행할 지도 정보를 추출한다(S701). 그리고, 비행 모드를 수행할 출발 지점의 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S703),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아이콘의 고도 정보를 획득하여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S705). 이때, 아이콘의 고도 정보는 단계 S407 또는 S509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음, 비행 모드를 수행할 비행 경로의 거리에 따라 아이콘의 비행 속도를 결정하는 한편, 비행 경로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할 아이콘의 비행 각도를 결정한다(S707). 여기에서, 비행 속도는 비행 경로의 거리가 길수록 고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아이콘의 비행 각도는 단계 S407 또는 S509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필요에 따라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화면 상에 비행 모드에 필요한 부가 표출정보를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부가 표출 정보는 비행 모드에 따라 지도의 방향이 가변될 수 있으므로 나침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목적지까지의 거리, 전체 비행 모드의 진행 상태 등을 화면에 표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단계 S80에 의해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비행 모드로 진입하면, 단계 S70을 통해 구성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아이콘은 실제 경로 또는 현재 위치 주변의 경로를 동일하게 주행하지 않고, 단계 S40 또는 S50에서 산출된 비행 경로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아이콘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실제 경로나 현재 위치 주변 경로로부터 시야가 확대 되어 주변 정보까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의 모의주행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비행 경로 제공부의 구성도,
도 4a 내지 4b는 지점정보 추출 및 간략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경로 정보에 따른 비행 경로 계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현재 위치 주변의 비행 경로 계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한 화면 재구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내비게이션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메모리 150 : 데이터베이스
160 : 내비게이션부 170 : 모드 전환부
180 : 비행 경로 제공부

Claims (19)

  1. 내비게이션 단말기로서,
    지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현재 위치 주변의 특정 경로를 간략화하고, 상기 간략화된 경로를 순차적으로 표출함과 함께 상기 간략화된 경로에 포함된 주요 안내 정보를 표출하여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비행 경로 제공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는, 상기 간략화된 경로의 고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경로로부터 지정된 높이 부양된 시점에서 상기 간략화된 경로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안내 정보는 상기 간략화된 경로 및 상기 간략화된 경로 주변 경로의 흐름, 교통정보, 주요 지형지물, 주요 교차로, IC/JC명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 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임의의 영역 또는 지정된 영역에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비행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비행 모드 수행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임의의 영역 또는 지정된 영역에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비행 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경로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되어 있는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경로 추출 모듈; 및
    상기 경로 추출 모듈에서 경로 정보가 추출됨에 따라, 상기 경로 정보를 간략화하여 상기 비행 모드를 수행할 궤적을 산출하는 비행 경로 추출 모듈;
    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경로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주변 정보 추출 모듈; 및
    상기 주변 정보 추출 모듈에서 추출한 경로 정보로부터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의 특성을 분석하고, 특성 분석 결과에 따라 경로 정보를 획득하는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 및
    상기 분석 및 패턴 결정 모듈에서 경로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상기 경로 정보를 간략화하여 상기 비행 모드를 수행할 궤적을 산출하는 비행 경로 추출 모듈;
    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경로 추출 모듈은, 상기 경로 정보로부터 지점정보를 추출하는 지점정보 추출 모듈; 및
    상기 지점정보로부터 비행 모드를 수행할 궤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궤적에서 표시할 안내 정보를 선택하는 간략화 모듈;
    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
    상기 비행 경로 추출 모듈은, 상기 비행 모드를 수행할 경로 정보에 포함된 지도 정보로부터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간략화 모듈에서 산출한 궤적에 따라 상기 비행 모드를 수행할 아이콘의 비행 각도를 결정하는 부가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비행 모드를 수행할 경로 정보에 포함된 지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아이콘을 지정된 고도에 표출하는 화면 재구성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11. 지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현재 위치 주변의 특정 경로를 간략화하고, 상기 간략화된 경로를 순차적으로 표출함과 함께 상기 간략화된 경로에 포함된 주요 안내 정보를 표출하여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비행 경로 제공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의 경로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비행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현재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설정된 주행 경로에 따른 경로 정보로부터 비행 경로를 계산하는 과정;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대한 비행 경로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비행 경로의 계산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과정; 및
    상기 재구성된 화면을 통해 비행 모드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주행 경로에 따라 비행 경로를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설정된 주행 경로로부터 경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획득한 경로 정보로부터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지점 정보로부터 비행 모드를 수행할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궤적에서 표시할 안내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획득한 경로 정보가 포함된 지도 정보로부터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궤적에 따라 비행 각도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이동 궤적 및 상기 부가정보를 기초로, 비행 모드를 수행할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현재 위치 주변에 대한 비행 경로를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지정된 반경 또는 지정된 전방 거리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로부터 현재 위치 주변의 특성을 분석하고, 특성 분 석 결과에 따라 경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획득한 경로 정보로부터 지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지점 정보로부터 비행 모드를 수행할 이동 궤적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궤적에서 표시할 안내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획득한 경로 정보가 포함된 지도 정보로부터 고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궤적에 따라 비행 각도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비행 경로 제공부가 상기 이동 궤적 및 상기 부가정보를 기초로, 비행 모드를 수행할 비행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간략화된 경로 및 상기 간략화된 경로 주변 경로의 흐름, 교통정보, 주요 지형지물, 주요 교차로, IC/JC명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구비된 화면의 임의의 위치 또는 특정 위치에 터 치가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비행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를 제공하는 과정 이후, 상기 모드 전환부가 상기 비행 모드의 종료 여부에 따라 이전 모드로의 복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를 제공하는 과정 이후,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구비된 화면의 임의의 위치 또는 특정 위치에 터치가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비행 모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과정은,
    상기 비행 경로 계산 과정에서 산출한 비행 경로에 따라 길 안내를 수행할 지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비행 모드를 수행할 출발 지점의 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비행 모드를 수행하는 아이콘의 고도 정보에 따라 상기 아이콘을 디스 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비행 경로의 거리에 따라 상기 아이콘의 비행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비행 경로에 따라 상기 아이콘의 비행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방법.
KR1020090115769A 2009-11-27 2009-11-27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 KR20110059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769A KR20110059132A (ko) 2009-11-27 2009-11-27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769A KR20110059132A (ko) 2009-11-27 2009-11-27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231A Division KR20120031972A (ko) 2012-02-03 2012-02-03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132A true KR20110059132A (ko) 2011-06-02

Family

ID=4439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769A KR20110059132A (ko) 2009-11-27 2009-11-27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91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806A (ko) * 2018-12-28 2020-07-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비행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326679B1 (ko) * 2020-09-08 2021-11-17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및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의 가이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806A (ko) * 2018-12-28 2020-07-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비행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326679B1 (ko) * 2020-09-08 2021-11-17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및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의 가이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8574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5765345B (zh) 显示导航指令的设备及方法
EP3534119B1 (en) Interactive 3d navigation system
EP3682194B1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lane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apparatus
JP4679182B2 (ja) 地図表示方法、地図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地図表示装置
EP0645603B1 (en) Land vehicle multiple navigation route apparatus
CN104101348B (zh) 导航系统以及在导航系统上显示地图的方法
US201102887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route guidance
EP1662231A2 (en) Map drawing method and system, navigation apparatus and input/output device
CN102135433A (zh) 精确导航方法及位置服务设备
KR20150070346A (ko) 내비게이션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135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uidance for navigation system
CN107209021B (zh) 用于导航地图的视觉相关性分级的系统和方法
US20140372023A1 (en)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With Centralised Server
KR20140000488A (ko) 교차로 회전지점 안내방법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10059132A (ko)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
KR20160064653A (ko) 실사 이미지를 이용한 주행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US96385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ap according to the guiding of a navigation system
KR20120031972A (ko) 내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
JP6764735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10035815A (ko) 교차로 확대도를 표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6244217A (ja) 三次元地図表示方法、三次元地図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三次元地図表示装置
KR102386312B1 (ko) Hd 맵과 hud를 활용한 tbt 정보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64732A (ko) 지도 축척 변화에 따른 웹 벡터 지도 표시 방법
JP2014071000A (ja)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情報制御方法、画像情報制御プログラム、画像情報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および画像配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