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078A -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078A
KR20110059078A KR1020090115697A KR20090115697A KR20110059078A KR 20110059078 A KR20110059078 A KR 20110059078A KR 1020090115697 A KR1020090115697 A KR 1020090115697A KR 20090115697 A KR20090115697 A KR 20090115697A KR 20110059078 A KR20110059078 A KR 20110059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eight
adhesive composition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103B1 (ko
Inventor
장기석
장석기
박민수
양세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11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103B1/ko
Priority to PCT/KR2010/008447 priority patent/WO2011065779A2/ko
Priority to US13/512,289 priority patent/US9389455B2/en
Priority to CN201080062465.XA priority patent/CN102725372B/zh
Priority to JP2012541021A priority patent/JP5696345B2/ja
Priority to TW099141014A priority patent/TWI512071B/zh
Publication of KR20110059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103B1/ko
Priority to US14/073,620 priority patent/US9638952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관능성 가교제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구현하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낮게 설정하고, 또한 낮은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배합하여, 점착제에 우수한 응력완화성을 부여하고, 이에 따라 편광판의 치수 변화에 따른 빛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에 상호침투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구현하여, 아크릴계 중합체의 낮은 중량평균분자량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점착 물성, 재박리성 및 작업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중량평균분자량,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IPN, 편광판,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에 포함되는 광학부재이다. 편광판은, 일정 방향으로 배열된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을 포함하고, 양면에 편광 필름 또는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ex. TAC(triacetyl cellulose))이 형성되어 있는 다층 구조를 가진다. 또한, 편광판에는 기능 향상의 관점에서,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판 또는 휘도향상 필름 등의 부가적인 필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다층의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필름들은 서로 다른 분자구조 및 조성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특히 고온 및/또는 고습 조건 하에서는 일방성 분자 배열을 가진 재료들의 수축 또는 팽창 거동의 차이에 따라 치수안정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편광판이 점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고온 또는 고습 조건 하에서는 TAC층 등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복굴절이 유발되고 빛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점착제에 응력 완화성을 부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점착제를 외부응력에 대해 어긋남(Creep)이 크고, 변형하기 쉽도록 설계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ex.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8-079266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047468호 등).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점착제의 재단성이나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점착제의 재단성이나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면, 편광판의 양산 시에, 점착제 삐침이나 눌림 등의 불량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수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기술과는 상반되는 개념으로서, 점착제를 매우 하드(hard)하게 설계하여 빛샘을 최소화하려는 시도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197659호 및 제2007-212995호는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광 개시제를 첨가하여 점착제를 제조하고, UV 경화시켜, 점착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212995호는 히드록시기 함유 공중합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를 소정 비율로 배합하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및 광 개시제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UV 경화시켜, 점착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 개시하는 점착제는,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 G')에 따라서, 초기 점착력이 크게 떨어지고, 이에 따라 고온 또는 고습 하에서의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빛샘이 다량 유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초과, 100만 미만인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초과, 100만 미만인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경화 상태에서 상호침투 고분자 네트워크(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를 구현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편광판이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관능성 가교제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구현하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낮게 설정하고, 또한 낮은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배합하여, 점착제에 우수한 응력완화성을 부여하고, 이에 따라 편광판의 치수 변화에 따른 빛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에 상호침투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구현하여, 아크릴계 중합체의 낮은 중량평균분자량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점착 물성, 재박리성 및 작업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초과, 100만 미만인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초과, 100만 미만인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경화 상태에서 상호침투 고분자 네트워크(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이하, 「IPN」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구현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을 초과하고, 100만 미만인 가교성 및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분자 내에 후술하는 다관능성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의미하고,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분자 내에 다관능성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성 또는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이하이면, 응집력 저하로 인해 점착제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0만 이상이면, 점착제의 응력 완화성이 떨어져서, 편광판에 적용 시에 빛샘이 다량 유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가교성 및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10:0 초과 및 5:5 이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10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의 응집력 저하로 인해,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의 내구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구체적인 조성은, 전술한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고,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에 포함되는 알킬기가 지나치게 길어지 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유리전이온도(Tg) 또는 점착성의 조절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므로, 탄소수가 1 내지 14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량체 혼합물은 상기와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가교성 관능기 함량 대비 80 중량부 내지 99.8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9.8 중량부를 초과하면, 응집력 저하로 인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단량체 혼합물은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가교성 단량체」는, 아크릴계 중합체에 다관능성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가교성 관능기를 부여할 수 있는 단량체를 의미하며, 그 사용량에 따라서, 점착제의 내구신뢰성, 점착력 및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교성 단량체의 예로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 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량체 혼합물에서 가교성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함량 대비 0.02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2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제의 내구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성 및/또는 박리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구체적인 조성 역시 전술한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성 또는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혼합물은, 필요에 따라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의 조절 및 기타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3135024-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4는 시아노;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아세틸옥시; 또는 COR5를 나타내며, 이 때 R5는 알킬 또는 알콕시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또는 글리시딜옥시를 나타낸다.
상기 식의 R1 내지 R5의 정의에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 또는 알콕시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부톡시이다.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 크릴아미드, N-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또는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질소 함유 단량체; 스티렌 또는 메틸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카르본산 비닐 에스테르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단량체 혼합물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경우, 그 함량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함량 대비 2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의 유연성 및/또는 박리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가교성 및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용액 중합, 광중합, 벌크 중합, 서스펜션 중합 또는 에멀션 중합과 같은 일반적인 중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용액 중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용액 중합은 각각의 단량체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개시제를 첨가하여, 50℃ 내지 140℃의 중합 온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개시제의 예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아조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보니트릴 등과 같은 아조계 개시제; 및/또는 과산화 벤조일 또는 과산화 아세틸 등과 같은 과산화물과 같은 통상의 개시제를 들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상태에서 IPN 구조를 구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상태」는 광조사 및/또는 가열 공정 등을 거쳐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점착제의 형태로 제조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광조사」는 광개시제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등에 영향을 주어 중합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전자기파의 조사를 의미하며, 상기에서 전자기파는 마이크로파(microwaves), 적외선(IR), 자외선(UV), X선 및 γ선은 물론, α-입자선(α-particle beam), 프로톤빔(proton beam), 뉴트론빔(neutron beam) 및 전자선(electron beam)과 같은 입자빔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용어 「IPN 구조」는 점착제 내에 2개 이상의 가교 구조가 동시에 구현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점착제는, 상기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에 의해 구현된 가교 구조와 함께, 하나 이상의 가교 구조가 추가로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제가 IPN 구조를 구현하도록,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함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함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내구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점착 물성, 재박리성 및 작업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과 같은 일반적인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 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중 어느 하나의 폴리올(ex. 트리메틸롤 프로판)과의 반응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고; 에폭시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및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아지리딘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및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에서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및/또는 바나듐과 같은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 에틸 등에 배위하고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가교제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교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층간 박리나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등 내구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후술하는 광개시제의 작용에 의한 중합 반응에 의해 점착제에 가교 구조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hydroxyl puivalic acid)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allyl)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fluorine) 등과 같은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며, 3관능성 이상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탁월한 내구성 구현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로서, 분자 구조 중 고리상 구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아크릴레이트에 포함되는 고리 구조는 탄소환식 구조 또는 복소환식 구조; 또는 단환식 또는 다환식 구조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에 포함되는 고리 구조의 예로는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또는 시클로헵탄 등과 같은, 탄소수 3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 고리 구조를 들 수 있고, 상기 고리 구조는 아크릴레이트 내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O, S 또는 N와 같은 헤테로 원자가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갖는 단량체,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ex. 분자 중 고리 구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ex.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화합물(ex.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전술한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초과 및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5 중량부 이하이거나, 15 중량부 이상이면, 점착제의 내구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광조사에 의해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점착제 내에 가교 구조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개시제의 종류는,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인계, 히드록시 케톤계, 아미노케톤계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등을 들 수 있고, 보 다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개시제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거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대비 0.2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개시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어지면, 중합 또는 경화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많아지면, 내구신뢰성이나 투명성 등과 같은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계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플링제는 점착제와 유리 기판 사이의 밀착성 및 접착 안정성을 향상시켜, 내열성 및 내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제는,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점착제가 장기간 방치되었을 경우에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커플링제의 예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메타크릴록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이소시아네이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β-시아노아세틸 트리메톡시 실란, β-시아노아세틸 트리에톡시 실란, 아세톡시아세토 트리메톡시 실란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세토아세테이트기 또는 β-시아노아세틸기를 갖는 실란계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실란계 커플링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커플링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력 증가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구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점착 성능의 조절의 관점에서, 점착성 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성 부여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첨) 히드로카본계 수지, (수첨) 로진 수지, (수첨)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첨) 테르펜 수지, (수첨) 테르펜 페놀 수지, 중합 로진 수지 또는 중합 로진 에스테르 수지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부여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용성 및/또는 응집력 향상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에폭시 수지, 가교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가지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편광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종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편광 필름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등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종류를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 또는 시트이다. 이와 같은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겔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될 수 있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단독 중합체는 물론, 비닐 아세테이트 및 상기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에는, 불포화 카르본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및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겔화도는, 통상 85몰% 내지 100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추가로 변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정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여, 편광자의 원반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 며,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제막된 원반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 ㎛ 내지 150 ㎛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연신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원반 필름의 두께는 10 ㎛ 이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편광자는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연신(ex.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boric acid)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색성 색소로서는, 요오드(iodine)나 이색성의 유기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또한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포함될 수 있는 보호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및/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으로 구성되는 보호 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편광 필름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바코터 등의 통상의 수단으로 점착제 조성물(코팅액)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방법, 또는 점착제 조성물을 일단 박리성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경화시킨 후에, 형성된 점착층을 편광 필름 표면에 전사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층의 형성 과정은 점착제 조성물(코팅액) 내부의 휘발 성분 또는 반응 잔류물과 같은 기포 유발 성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점착제의 가교 밀도 또는 분자량 등이 지나치게 낮아 탄성률이 떨어지고, 고온 상태에서 유리판 및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들이 커져 내부에서 산란체를 형성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법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성물 내에 포함된 광개시제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광조사,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 등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 조사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 상기 자외선 조사는, 예를 들면, 고압수은 램프, 무전극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xenon lamp)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 방식에서 조사량은, 제반 물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질 정도로 제어된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조도가 50 mW/cm2 내지 1,000 mW/cm2이고, 광량 50 mJ/cm2 내지 1,000 mJ/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점착층은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겔(gel) 함량이 8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2]
겔 함량(중량%) = B/A × 100
상기 일반식 2에서, A는 상기 점착제의 질량을 나타내고, B는 상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48 시간 침적 후의 상기 점착제의 불용해분의 건조 질량을 나타낸다.
상기 겔 함량이 80 중량% 미만이면, 고온 및/또는 고습 조건 하에서 점착제의 내구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겔 함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점착제의 응력 완화 특성 등을 고려하여, 99%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또한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umatic)형, STN(Super Twisted Neumatic)형, F(ferroelectric)형 및 PD(polymer dispersed LCD)형 등을 포함한 F 각종 수동행렬 방식; 2단자형(two terminal) 및 3단자형(three terminal)을 포함한 각종 능동행렬 방식; 횡전계형(IPS mode)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mode) 패널을 포함한 공지의 액정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그 외의 기타 구성의 종류 및 그 제조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구성을 제한 없이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A)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n-부틸 아크릴레이트(n-BA) 98 중량부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투여하였다. 이어서, 용제로서 에틸 아세테이트(EAc) 120 중량부를 투입하고,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 동안 퍼징(purging)하였다. 그 후, 반응기의 온도를 60℃로 유지하고, 반응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3 중량부를 투입한 후, 8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70만인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8. 가교성 및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단량체 조성 및 제조된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하기 표 1 및 2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 준한 방식으로 가교성 및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1]
공중합체(A) 공중합체(B) 공중합체(C) 공중합체(D)
단량체 조성
(중량부)
n-BA/HEMA
(98/2)
n-BA
(100)
n-BA/AA
(97/3)
n-BA/HEMA
(99/1)
Mw(만) 70 70 70 150
n-BA: n-부틸 아크릴레이트
HEMA: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AA: 아크릴산
Mw: 중량평균분자량
[표 2]
공중합체(E) 공중합체(F) 공중합체(G) 공중합체(H)
단량체 조성
(중량부)
n-BA
(100)
n-BA/HEMA
(99/1)
n-BA
(100)
n-BA/HEMA
(98/2)
Mw(만) 150 120 120 40
n-BA: n-부틸 아크릴레이트
HEMA: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AA: 아크릴산
Mw: 중량평균분자량
실시예 1.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B) 25 중량부,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분자량: 423, 3관능형, aronix M-315) 12 중량부,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Irg184, Ciba(제)) 1.59 중량부 및 가교제로서 트리메틸롤 변성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 트(coronate-L) 0.07 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 편광판의 제조
상기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시트로서 이형 처리된 두께 38 ㎛의 PET 필름(미쯔비시사제, MRF-38)상에 건조 후 두께가 25 ㎛가 되도록 코팅하고, 110℃의 오븐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건조된 코팅층을 약 24 시간일 동안 항온항습실(23℃, 55% RH)에서 보관한 후, 편면에 WV(Wide View) 액정층이 코팅된 편광판의 WV 코팅층에 상기 점착제층을 라미네이션 처리하였다. 이어서, 하기 조건으로 자외선 조사 처리를 하여, 점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조사 조건>
자외선 조사기: 고압 수은 램프
조사 조건: 조도 = 600 mW/cm2, 광량 = 150 mJ/cm2
실시예 2.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C)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B) 25 중량부,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분자량: 423, 3관능형, aronix M-315) 12 중량부, 광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Irg184, Ciba(제)) 1.59 중량부 및 가교제로서 트리메틸롤 변성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coronate-L) 0.07 중량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준한 방식으로 점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을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준한 방법으로 점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표 3]

비교예
1 2 3 4
가교성
공중합체
종류 D D A A
중량부 100 100 100 100
비가교성
공중합체
종류 E - - -
중량부 400 - - -
가교성:비가교성 1:4 10:0 10:0 10:0
MFA
종류 M315 M315 M315 M315
중량부 12 15 5 15
광개시제
종류 Irg184 Irg184 Irg184 Irg184
중량부 1.59 1.59 1.59 1.59
가교제
종루 coronate L coronate L coronate L coronate L
중량부 0.04 0.03 0.1 0.05
M315: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분자량: 423, 3관능형)
Irg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Irg184, Ciba(제))
가교제: 트리메틸롤 변성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coronate L)
가교성:비가교성 = 가교성 아크릴 중합체 및 비가교성 아크릴 중합체의 중량비율
[표 4]

비교예
5 6 7 8
가교성
공중합체
종류 F F A H
중량부 100 100 100 100
비가교성
공중합체
종류 G - - -
중량부 400 - - -
가교성:비가교성 1:4 10:0 10:0 10:0
MFA
종류 M315 - - M315
중량부 12 - - 12
광개시제
종류 Irg184 - - Irg184
중량부 1.59 - - 1.59
가교제
종류 coronate L coronate L coronate L coronate L
중량부 0.04 0.04 0.04 0.06
M315: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분자량: 423, 3관능형)
Irg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Irg184, Ciba(제))
가교제: 트리메틸롤 변성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coronate L)
가교성:비가교성 = 가교성 아크릴 중합체 및 비가교성 아크릴 중합체의 중량비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편광판에 대하여, 하기 제시된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1. 재박리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편광판을 90mm×170mm (폭×길이)의 크기로 절단하고, 무알칼리 판유리(코닝사(제))에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시편을 항온항습실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5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고, 다시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시편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을 유리에서 박리하면서, 하기 기준에 따라 재박리성을 평가하였다.
<재박리성 평가 기준>
○: 용이하게 재박리되는 경우
△: 재박리가 곤란한 경우
×: 재박리 시에 기재나 유리에 파손이 생기는 경우
2. 내구 신뢰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편광판을 90mm×170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유리 기판(110mm×190mm×0.7mm) 양면으로 광학 흡수축이 크로스 된 상태로 부착시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약 5 Kg/cm2이고,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클린룸에서 작업을 하였다. 제조된 샘플의 내습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0℃의 온도 및 90%의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1,000 시간 동안 방치하고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또한, 내열특성은 8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역시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편의 상태는 평가 직전에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평가하였다. 신뢰성에 대한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기포나 박리현상 없음
△: 기포나 박리현상 약간 발생
×: 기포나 박리현상 다량 발생
3. 광투과 균일성(빛샘) 평가
내구신뢰성 평가와 동일한 시편을 사용하여 광투과도 균일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편에 백라이트를 조사하여 암실에서 빛이 새어 나오는 부분이 있는 지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광투과 균일성은 점착 편광판(200mm×200mm)을 유리기판(210mm×210mm×0.7mm)에 광학흡수축을 90도로 교차시켜 양면에 부착하고, 관찰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광투과 균일성의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약간 있음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다소 있음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이 다량 있음
[표 5]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재박리성 × ×
내구
신뢰성
내열조건 ×
내습열조건 ×
광투과 균일성
[표 6]

비교예
4 5 6 7 8
재박리성
내구
신뢰성
내열조건 × ×
내습열조건 × ×
광투과균일성 × ×
상기 표 5 및 6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점착제의 재박리성, 내구신뢰성 및 광투과균일성이 모두 탁월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1, 2 및 5의 경우, 점착제에 IPN 구조가 구현되었음에도, 재박리성이 크게 떨어지고, 광투과균일성도 실시예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100만 미만인 비교예 3 및 4의 경우도, 비가교성 중합체가 사용되지 않은 결과, 점착제의 내구신뢰성이 떨어지거나, 재박리성 및 광투과균일성 측면에서 열악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점착제에 IPN 구조가 구현되지 않은 비교예 6 및 7의 경우, 점착제의 재박리성 및 광투과균일성이 떨어지거나, 내구신뢰성이 크게 떨어졌으며,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은 비교예 8의 경우도 점착제의 응집력 저하로 인해 내구신뢰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19)

  1.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초과, 100만 미만인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초과, 100만 미만인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경화상태에서 상호침투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구현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10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인, 점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비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인, 점착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가교제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점착제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가교제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2관능형 아크릴레이트,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5 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또는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인, 점착제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분자 구조 내에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1. 제 8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초과 및 15 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점착제 조성물.
  14. 제 12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가교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성 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7.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가지는, 편광판.
  18. 제 17 항에 있어서, 편광 필름은, 편광 필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9. 제 17 항에 따른 편광판이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90115697A 2009-11-27 2009-11-27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26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697A KR101260103B1 (ko) 2009-11-27 2009-11-27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PCT/KR2010/008447 WO2011065779A2 (ko) 2009-11-27 2010-11-26 점착제 조성물
US13/512,289 US9389455B2 (en) 2009-11-27 2010-11-26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N201080062465.XA CN102725372B (zh) 2009-11-27 2010-11-26 压敏粘合剂组合物
JP2012541021A JP5696345B2 (ja) 2009-11-27 2010-11-26 粘着剤組成物
TW099141014A TWI512071B (zh) 2009-11-27 2010-11-26 壓感性黏著劑組成物
US14/073,620 US9638952B2 (en) 2009-11-27 2013-11-06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697A KR101260103B1 (ko) 2009-11-27 2009-11-27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078A true KR20110059078A (ko) 2011-06-02
KR101260103B1 KR101260103B1 (ko) 2013-05-02

Family

ID=4439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697A KR101260103B1 (ko) 2009-11-27 2009-11-27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329A1 (ko) * 2013-04-02 2014-10-0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20140120262A (ko) * 2013-04-02 2014-10-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770A (ja) 1998-10-07 2000-04-18 Lintec Corp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シート
JP5000940B2 (ja) * 2006-01-13 2012-08-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粘着シート、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039333B2 (ja) 2006-07-26 2012-10-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329A1 (ko) * 2013-04-02 2014-10-0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20140120262A (ko) * 2013-04-02 2014-10-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103B1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553B1 (ko) 점착제 조성물,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83026B1 (ko)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6112372B2 (ja) 偏光板
KR101293879B1 (ko) 점착제 조성물
JP5914661B2 (ja) 粘着剤
KR101314401B1 (ko) 편광판
JP6075538B2 (ja) 偏光板
JP5696345B2 (ja) 粘着剤組成物
JP2015057486A (ja) 粘着剤組成物、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EP3012305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5930428B2 (ja) 粘着剤組成物
KR100983022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023845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260103B1 (ko)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191113B1 (ko)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260098B1 (ko)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266219B1 (ko)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30023182A (ko)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