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360A -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 Google Patents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360A
KR20110058360A KR1020090115112A KR20090115112A KR20110058360A KR 20110058360 A KR20110058360 A KR 20110058360A KR 1020090115112 A KR1020090115112 A KR 1020090115112A KR 20090115112 A KR20090115112 A KR 20090115112A KR 20110058360 A KR20110058360 A KR 20110058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olumn
reinforcing bar
concret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099B1 (ko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이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남 filed Critical 이창남
Priority to KR102009011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0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1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for circular columns

Abstract

PHC 말뚝 제작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원심력 콘크리트 다지기 기법을 도입하여 제작하는 원통형 단면의 기둥 내에 고강도 굵은 철근을 다량 배근하여 압축력 저항 능력을 PHC 말뚝의 3배 이상으로 증대시키고 패널존에 강관을 삽입하여 철골보 및 철근 접합이 가능하게 하는 기둥제작 공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PHC 말뚝은 제작 과정에서 길이가 줄어들어 건축물의 기둥으로 사용하는데 있어 정확도 보장에 어려움이 있다.
말뚝은 단면적이 작아도 외곽 크기 및 표면적이 커야 지지력과 마찰 저항이 커지는데 건물의 기둥은 반대로 단면 크기는 작아도 강도가 큰 것이 좋다. 도 1과 같이 PHC 말뚝의 강선긴장은 고강도콘크리트를 사용하면서도 강선 때문에 압축내력이 줄어드는 역효과가 있다. 따라서 다량의 고강도 철근을 긴장작업 없이 배근하여 압축내력을 증대시키고, 원통형 단면의 덧살 두께를 늘려서 필요하면 원통형 기둥단면 내부 공간에도 콘크리트를 추가 타설하여 보강한다.
PHC 말뚝의 콘크리트 표면에는 철골보와 철근을 직접 부착할 수 없으므로 패널존의 표면에 도 3과 같이 강관토막을 삽입한다. 강관토막 a와 b는 서로 용접하여 하나로 제작하며 강관토막 a(5)는 강관토막 b(6)에 비해 두꺼운 강판으로 제작하는데 그 이유는 보 상부 플랜지에서 전달되는 인장력을 기둥 본체에 원활하게 전달하고, 강관토막 a와 b의 두께 차이로 인한 턱이 보의 전단력으로 인한 강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강관토막 a의 상단에는 보 인장철근 부착을 위한 너트(7)를 용접한다. 기둥 상하절의 상호 이음은 상·하 기둥 단부원형강판(주근 단부는 용접)을 맞댄 상태에서 용접한다. 단부원형강판(11)에 주근을 용접할 때 철근농 내부에는 용접하기 쉽도록 도 5와 같이 단부원형강판에 강관토막 c(12)를 사전에 용접한다.
기둥 상·하절의 또 다른 이음 방법은 도 6과 같이 상·하절 기둥의 단부 철근을 강관토막 내부에 용접하고, 이음은 상·하 강관토막을 전주용접하는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본 기둥에서 축하중과 더불어 휨모멘트가 큰 패널존은 강콘크리트구조이고 나머지 부분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된다. 철근은 1개절 전부를 동일 개수로 배근하는 대신 필요한 내력에 따라 층별로 차별화하여 경제성을 도모한다. 철근콘크리트나 철골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가장 일손이 많이 가는 부분은 패널존에서의 거푸집 제작 작업인데 본 패널존은 거푸집 현장 작업이 생략된다.
PHC 말뚝을 기둥으로 활용할 때는 압축내력에 제한이 있어서 아파트 지하2층 주차장이나 지하 3∼4층 주상복합건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둥은 기존 PHC 말뚝에 비하여 압축내력을 최대 3.3배나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현재 일반적으로 범용하는 극후형 400 series H형강 기둥을 60% 정도의 값으로 대체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Hybrid Column Composed of Centrifugal Concrete Cylinder with Steel Skeleton & Steel Bars}
건축구조에서 사용하는 기둥은 철골, 철근콘크리트, 철골 철근콘크리트, PC 등이 있으며 최근 PHC 말뚝을 기둥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특허 등록되었다(등록특허 10-0698912, PHC 말뚝을 건물의 기초 겸 기둥으로 활용하는 공법). 위 기둥들 중에서 아직까지 공사비가 저렴한 것은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PHC 말뚝 기둥인데 PHC 말뚝 기둥은 아직 공사 실적이 많지 않다. 철골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PC 기둥이 경제적인 이유는 기둥의 주응력이 압축력인데 콘크리트가 가장 값싼 압축재이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는 PC 기둥도 많이 활용할 것 같지만 보와의 접합성이 원활하지 못하며 운반조립 시 중량이 큰 것이 흠이다.
기둥, 보 및 슬래브 전체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일관작업을 할 때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경제적이지만 보와 슬래브를 철골 보 또는 TSC 보, 트러스데크 등과 조합하여 기둥만을 철근콘크리트조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기둥만 먼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하고 그 위에 보를 걸치려면, 기둥 공사를 위한 작업발판과 공사 중 기둥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가새(Brace)를 추가하여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보나 슬래브까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일관 공사할 때에 비해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기둥 거푸집 목공의 인건비 단가를 대폭 올려줘야 한다. 따라서 기둥 단면은 철근콘크리트가 주로 압축력을 받으면서도 공사 방법은 철골공사답게 보와의 접합이 간편한 PC 제품으로 공장에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PC 공장에서는 콘크리트를 증기양생 해도 28일 압축강도를 400kgf/cm2 정도에 맞추므로 단면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기둥단면 형태를 원형으로 제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는 기둥 거푸집도 눕혀서 제작하여야 효율적인데 그렇게 하면 유동성인 콘크리트로 원형단면은 제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고강도콘크리트를 값싸게 얻을 수 있는 원심력 다짐 공법을 활용하면, 보와의 접합이 용이하고 공장에서 제작하여 철골기둥처럼 현장에 쉽게 운반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적용성이 우수하다.
PHC 말뚝은 원심력 콘크리트 원통형 단면 내에 나선형 강선으로 외곽 주변을 구속한 여러 개의 PS 강선을 유압잭으로 긴장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원심력으로 다져서 제작하는 원통형 단면의 말뚝이다. 콘크리트를 원심력이 작용하도록 고속으로 돌려주면, 콘크리트 배합에 사용했던 물에서 화학반응 후 남은 잉여수와 레이턴스가 구심방향으로 빠져나가므로 고강도의 치밀한 콘크리트가 생성된다.
PHC 말뚝의 내력은 그 자체만의 강도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약지반에 박았을 때, 말뚝 선단 지지력과 말뚝 주변 마찰력의 합계가 말뚝 자체의 압축내력에 걸맞는 지지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즉 대부분의 경우, 말뚝 자체의 압축내력 보다 는 지반이 연약하여 말뚝이 땅을 파고 들어가 침하하는 것을 걱정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말뚝은 현재 적용하는 PHC 말뚝보다 더 이상의 고강도로 제작할 필요성이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PHC 말뚝을 건축물의 기둥으로 활용하려면 말뚝의 외곽 크기에 비하여 말뚝 내력을 더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다. 말뚝 생산자의 카탈로그에는 외경 600mm 말뚝의 최고 허용 축방향 하중이 239ton으로 되어 있는데, 건축물의 말뚝기초설계는 120ton 정도를 최대값으로 상정해도 별로 부족함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PHC 말뚝을 건물의 기둥으로 활용할 때는 외경 600mm의 말뚝이 적어도 400ton, 때에 따라서는 최고 800ton이 필요하며 이는 기존 PHC 말뚝 내력과 비교하면 무려 3.3배나 되는 엄청난 크기의 값이다.
PHC 말뚝의 생산기법을 활용하여 고하중용 기둥을 생산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기존 PHC 말뚝의 허용 축방향하중을 산정하는데 적용한 기본 가정은 말뚝을 디젤해머나 기타 타입(충격을 주어 때려 박는) 장비를 사용하는 과정의 동하중(Dynamic Load)으로 말뚝머리가 깨지거나 금이 가는 것을 감안하여 콘크리트의 압축내력 산정기준을 28일 압축강도의 0.25배로 저평가(건축구조에서는 0.3배로 인정함)하였다. 또한 강선긴장으로 압축력이 도입되는 만큼 콘크리트 압축내력을 저감하였고, 말뚝의 외곽 크기를 늘리는 대신 덧살 두께를 최소한으로 줄여 허용 축방향하중을 저감하였다.
PHC 말뚝을 건물의 기둥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보와의 접합은 패널존에 강관토막을 부착하여 도 4b와 같이 외다이아프램(External Diaphragm) 방식을 채택하나, 고가이며 번거로우므로 이를 간략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PHC 말뚝은 땅에 박아 매설한 그대로 방치하므로 균열발생을 막아야 하고, 기초공사 전 레벨을 맞추는 까내기 작업(頭部整理)을 해야 한다. 그러나 PHC 말뚝을 구조체의 기둥에 활용할 때는 균열발생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며, 두부정리를 위해 단면을 절단할 필요가 없다.
PHC 말뚝을 기둥으로 활용하는 데 있어서 문제가 되는 점과 그 원인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PHC 말뚝은 제작 과정에서 PS 강선을 유압잭으로 긴장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탈형(脫型)하므로, 콘크리트를 부어넣을 당시의 말뚝 길이에 비해 최종제품의 길이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이를 말뚝으로 사용할 때는 별 문제가 없으나, 구조체의 기둥으로 활용하는데는 층고의 정확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PHC 말뚝은 콘크리트 단면만으로도 압축내력을 충분히 발휘하므로 배근하는 강선은 운반 및 타입 또는 연약지반에서의 좌굴방지 역할을 하도록 최소한의 강선을 배근하여 유압잭으로 긴장하는 공법을 채택한다. 그러나 말뚝을 기둥으로 활용하려면 고강도철근을 많이 배근하고 강선 긴장은 생략하는 것이 오히려 유리하다.
말뚝은 중량이 가급적 가벼워야 운반 및 설치가 편하므로 단위 면적당 내력이 클수록 좋다. 그러나 단면계수와 단면2차모멘트의 값이 적으면 운반 및 연약지반에 박을 경우 좌굴 현상으로 변형이 커져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원통형 단면이 위 조건을 만족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또한 말뚝은 선단(先端) 지지력도 커야 하지만 주변 마찰력에 의존하는 경우도 많은데 단면적의 크기에 비하여 표면적이 크면, 마찰저항이 커지므로 중공(中空)형 단면이 매우 효율적이다.
말뚝의 최종 길이는 말뚝을 박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경질지반 레벨이 항상 불규칙하여 말뚝길이에 다소간 여유를 두어 현장 반입 타입시공 후 남은 길이를 현장에서 잘라내는 기법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말뚝을 잘라내는 두부정리 작업이 어려우면 공사비와 공사 기간이 늘어나고 폐기물 처리(일반적으로 깨서 반출함)도 어려우므로 말뚝의 덧살 두께를 줄이는 것이 좋다. 그러나 PHC 말뚝 형태를 기둥으로 사용하려면 원통형 단면의 덧살 두께를 가능한 한 두껍게 하여 외형크기를 줄이고, 가능하면 단면 내부 빈 공간에도 콘크리트를 채워서 단면적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특허 등록한 PHC 말뚝의 패널존(Panel Zone) 강관토막(등록특허 10-0729278, PHC 기둥의 보 접합용 패널존)은 강선농(Cage)을 반쪽 거푸집에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채운 후 나머지 반쪽 거푸집을 엎어서 조립한다. 조립 후 유압잭으로 강선을 긴장하고, 원심력 유발을 위한 고속회전을 수행하는 일관작업이므로 이들 사이에 다른 공정을 추가할만한 틈새 시간이 없다. 따라서 패널존에 강관토막을 삽입할 경우 제작 과정에서 보강철물을 용접하는 등의 다른 조치를 추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가급적 유압잭으로 강선을 긴장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하여 부가 작업을 할 여유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골이나 PC 등 기성 제품의 기둥을 현장 조립하려면 일반적으로 2∼3개 층을 하나의 단위로 제작하는데 경제적인 단면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기둥도 층별로 단면의 내력을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강선을 긴장하는 재래 식 PHC 말뚝은 기둥 전장(全長)을 통해 같은 개수의 강선을 배열하여 일괄 긴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PHC 말뚝공장에서 생산 가능한 말뚝 길이는 최장 15m이다. 이는 준비된 거푸집과 원심력 유발 설비가 모두 KS에 부합하도록 한 것이며 고강도 강선이 롤로 출하되므로 15m 길이까지는 부담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강선 대신 고강도 철근을 주근으로 사용하려면 특별 주문하지 않는 한 철근의 최장 표준길이는 12m이므로 건물의 층고가 높을 경우 기둥 하나가 3개층을 지원하기에 부족한 경우가 발생한다. 패널존에 강관토막을 부착하는 것이 절차상으로는 간단한 것 같으나 실제로 현장 작업을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국내 강관은 inch 시스템의 기계로 생산하므로 예건대 외경 공칭 치수가 600mm라도 실제 외경은 609.6mm이므로 외경이 정확히 600mm인 PHC 공장의 거푸집에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강관토막은 별도 프레스로 눌러 용접 제작하는 수작업을 거쳐야 한다.
PHC 말뚝을 기둥으로 활용하려면, 제작과정에서 강선을 긴장하여 최종 기둥 길이를 원하는 값으로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어려우므로 이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둥은 큰 축하중을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PHC 말뚝은 제작 과정에서 강선을 긴장하여 콘크리트 단면에 사전 도입한 축하중 만큼 압축저항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말뚝은 마찰 저항과 지압력에 직접 기여하는 표면적과 단면 외곽크기를 증가시키고, 단면적을 줄여 경제성과 운 반 및 항타의 편의성을 확보하는데 반하여 기둥은 단면의 외곽 크기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으므로 원심력 다짐 콘크리트관(3)의 덧살 두께를 될수록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미 특허등록 한 PHC 말뚝을 기둥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패널존의 강관토막 내부에 시어커넥터를 부착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런 기능을 추가하여 강관토막이 보의 전단력으로 콘크리트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 상부 플랜지의 인장력을 기둥 내부에 확실하게 전달되게 하여야 한다. 기둥에 철골보만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철근으로 보강할 경우, 기존 기둥에는 철근을 정착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기둥에 철근을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장치는 가급적 철근농과 기둥 표면의 공간 즉 40mm 두께에 불과한 콘크리트 피복두께 범위 내에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철근 배근이 치밀하고 띠철근이 나선형이어서 그 빈 공간에 시어커넥터 등을 배열하려면 작업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둥 길이는 적어도 2∼3층을 하나로 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또한 관례로 되어 있는데 전 길이에 걸쳐 동일단면으로 제작하는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 불리하므로 필요할 경우 층마다 다른 내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차별화 하는 것이 좋다.
기존 PHC 말뚝은 공장에서 7.4∼9.2mm의 고강도 강선 여러 가닥 주변에 3.2∼4.5mm 굵기의 나선형 강선을 감아 강선농을 제작하여 반원통형의 강제 거푸집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채운다. 그리고 나머지 반원통의 거푸집을 덮어 상·하 거푸집을 고정한 후 유압잭으로 강선을 긴장한 후 원심력 생성 롤러에 얹고, 고속으로 돌려서 원심력을 유발시키고 콘크리트를 고온·고압 양생하는 일관 작업으로 제작한다. 따라서 PHC 공장에서 강판을 구부려서 강관토막을 제작하여 시어커넥터를 부착하고, 10mm 이상의 철근을 나선형으로 가공하여 주근에 용접하는 별도의 값비싼 설비투자는 난색을 표명한다. 따라서 상기 강구조와 철근가공 공정의 작업은 별도의 철구 공장에서 제작하여 말뚝공장으로 운반하여 기존 거푸집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원심력 유발작업을 하는 분리발주 방식을 채택하여야 한다.
PHC 말뚝을 기둥으로 활용하는 기존 방안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패널존에 보를 부착할 때, 보 상부 플랜지의 인장력을 기둥에 전달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외다이아프램을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채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다이아프램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기둥은 3개 층 단위로 제작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으나, 철근의 표준 치수가 최장 12m이므로 층고가 높을 경우 철근을 이어 사용하거나 특별주문 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2개층에 만족해야 한다.
기존 PHC 말뚝 제작은 7.4∼9.2mm 고강도 강선을 유압잭으로 긴장하지만, 본 발명은 16mm 이상의 고강도 굵은 철근을 사전 긴장 작업 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그렇게 하면 기존 PHC 말뚝은 강선을 추가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내력이 오히려 감소하지만, 본 발명은 철근의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압축내력을 증가시키며 원심력 콘크리트 원통형 단면의 덧살 두께를 최대한으로 늘리는 조치를 취하여 압축내력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원심력다짐 콘크리트 관은 단면 중앙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이 당연하며 속이 꽉찬 충실단면으로는 제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외경 600mm 말뚝의 표준 덧살 두께가 90mm인 것을 120mm 정도로 하여 단면적을 증가시킨다. 만약 이렇게 해도 필요한 압축내력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으로 원심력다짐 콘크리트관(3) 내부 빈 공간에 공장에서 또는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채워서 단면적의 크기를 증대시킨다.
PHC 말뚝 제작공장은 동일 부지 내에 강판을 구부리고 자르고 용접하는 철구공장과 철근을 나선형으로 구부리고 가공하는 공장이 없다. 그러므로 기존 PHC 말뚝 공장은 다른 철구공장에서 제작 운반한 철근농을 거푸집에 삽입하고, 원심력을 유발시켜 양생하는 작업만 하도록 업무 영역을 분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원형이나 원통형 단면의 기둥은 주근을 나선철근으로 감는 것이 압축내력 향상에 가장 좋은 효과가 있다. 패널존에서 보 상단 플랜지로부터 전달되는 인장력을 기둥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외다이아프램을 추가하는 공법을 적용했으나, 본 발명은 강관토막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차별화하여 후프텐션(Hoop Tension) 내력을 증대시키고 강관토막의 두께가 달라지는 턱이 전단력을 발휘하게 하여 강관토막이 원심력다짐 콘크리트 관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막는다. 기둥에 철근을 연결하는 수단은 강관토막에 너트를 용접하고 철근 끝에 나사가공한 것을 돌려 맞추는 방법을 채택한다.
PHC 말뚝을 기둥으로 활용하는 방안은 이미 특허 등록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소극적인 "활용방안"이 아니라 PHC 말뚝 제작 방법에서 적용하고 있는 콘크리트의 원심력 다짐(흄관) 방법만을 채용하여 고내력 기둥을 제작한다. 이렇게 하면 배합강도는 크지 않아도 치밀한 고강도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으며, 별도의 전용 생산공장이 없어도 기존 시설을 활용하여 기둥제작 단가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PHC 말뚝에서 사용하는 강선긴장 대신 다량의 굵은 고강도철근을 주근으로 사용하여 허용축방향 내력을 대폭 늘리고,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둥의 길이 축소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원통형 기둥의 덧살 두께를 늘려서 허용 축방향 내력을 증가시키고, 패널존 강관토막의 두께를 차별화하여 보에서 전달되는 인장력을 후프텐션으로 원활하게 기둥으로 전달되게 한다. 필요한 경우 보 철근을 추가할 때에 대비하여 강관토막에 너트를 용접하면 이를 보강철근 용접바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나 철골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가장 일손이 많이 가는 패널존 거푸집 제작 작업이 생략되고, 기둥을 탑다운 공사에서 사용하는 극후형 H형강과 대체하면 재료비가 40% 정도 절감된다.
원심력 콘크리트 원통과 철골 및 철근을 조합하여 건물의 2∼3개 층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도 2)의 원통형 기둥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는다.
1. 구조계산으로 주근(1)의 개수와 굵기를 산정하고, 나선철근(2)으로 고정하여 철근농(도 3)을 제작한다. 나선철근의 최외경은 기둥 외경보다 80mm가 작고 기둥 피복두께는 40mm이다.
2. 중앙에 150mm 정도 크기의 구멍(필요할 경우 콘크리트 충전용)을 뚫은 단부원형강판(11) 2개를 제작한다(도 5). 단부원형강판의 외경은 기둥 지름과 같고 표준 두께는 25mm 이며, 상하 기둥을 용접으로 이음하기 위해 개선을 한다. 단부원형강판의 한쪽 면에는 기둥 주근의 내면과 일치하는 강관토막 c(12)를 단부원형강판과 동심원으로 용접 부착한다(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6과 같이 기둥 외경과 같은 강관토막 내면에 굵은 원형철근을 용접한 후 거기에도 철근농의 주근을 용접한다).
3.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한쪽 단부원형강판에 철근농의 주근을 용접한다.
4. 도 3과 같이 외경이 기둥 외경과 일치하고, 길이는 보를 부착하는 패널존의 높이와 동일한 위치에 패널존의 개수만큼 강관토막 a(5), 강관토막 b(6)를 제작한다. 일반적으로는 기둥 하나에 패널존의 수와 동일한 3개의 강관토막 a, b를 부착한다. 패널존 강관토막 a는 높이가 10mm 정도이고 두께는 25mm가 적합하다. 강관토막 b는 두께를 9mm정도로 하여 강관토막 a, b를 하나로 용접한다. 이들의 두께 차는 보의 전단력으로 인하여 강관이 말뚝 콘크리트 표면을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강관토막 a, b의 두께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하나로 통일할 수도 있다.
5. 강관토막 a 상단에 보철근(9) 정착에 필요한 개수의 너트(7)를 용접한다(도 4, 도 7).
6. 철근농의 주근과 나머지 한쪽 단부원형강판을 용접한다(도 5).
7. 도 3과 도 4와 같이 철근농에 강관토막(5, 6)을 삽입하여 패널존 위치에서 고정한다. 고정 방법은 보강철근(8)을 강관토막 a의 상단 또는 너트(7)에 용접 하고 이를 철근 주근에 용접하는 방법을 사용하되 보강철근은 강관토막 a의 후프텐션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8. 하부 반원통형 거푸집에 강관토막 a, b를 부착한 철근농을 넣고 콘크리트를 채운 후, 나머지 상부 반원통형 거푸집을 엎어 조립하여 원심력을 유발하는 롤러를 고속 회전시키고 고온·고압 양생시켜 탈형한다(도면 생략).
9. 도 3과 같이 단면 증대가 필요할 경우 기둥 단면 내부의 슬러지(레이턴스)를 제거하고, 빈 공간에 콘크리트(4)를 채워서 단면의 압축내력을 증가시킨다.
10. 도 5와 같이 기둥 상·하절 철근의 상호 이음은 상하 기둥 단부원형강판 또는 강관토막 c(12)를 맞댄 상태에서 주변을 전주용접한다.
11. 철근은 1개절 전부를 동일 개수로 배근하는 대신 필요한 내력에 따라 층별로 차별화하여 경제성을 도모한다(도 8).
결과적으로 본 기둥에서 축하중과 더불어 휨모멘트가 큰 패널존은 강콘크리트 구조이고, 주로 압축력을 부담하는 나머지 부분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이 된다. 철근콘크리트나 철골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가장 일손이 많이 가는 부분은 패널존 거푸집제작 작업인데 본 기둥의 패널존에서는 거푸집 작업이 생략된다. PHC 말뚝은 압축내력에 제한이 있어서 아파트 지하 2층 주차장이나 지하 3∼4층 주상복합건물 등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기둥은 기존 PHC 말뚝에 비하여 압축내력을 최대 3.3배나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현재 일반적으로 범용하는 극후형 400series H형강을 60% 정도의 값으로 대체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기둥은 탑다운 공사에서도 400 series 극후형 H형강 대용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도 1은 PHC 말뚝과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철근과의 하이브리드 기둥 평면도,
도 2는 원심력 콘크리트 원통과 철골 및 철근을 조합하여 건물의 3개 층 높이에 해당하는 원통형 기둥의 형상도,
도 3은 주근과 나선철근을 자동용접하여 제작한 철근농의 평면도 및 입면도,
도 4a는 보강철근(8)을 강관토막 a의 상단 또는 너트(7)에 용접한 형상도,
도 4b는 보를 부착하기 위해 외다이아프램(External Diaphragm)을 적용한 단면도,
도 5는 150mm 정도의 구멍(필요시 콘크리트 충전용)을 뚫은 단부원형강판에 강관토막c를 용접한 형상도,
도 6은 상하절 기둥의 단부 철근을 강관토막 내부에 용접하고 상하 강관토막을 전주용접한 형상도,
도 7은 강관토막 a 상단에 너트를 용접한 개념도,
도 8은 철근을 내력에 따라 층별로 차별화하여 배근한 기둥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주근 2 ; 나선철근
3 ; 원심력 다짐 콘크리트관 4 ; 콘크리트
5 ; 강관토막 a 6 ; 강관토막 b
7 ; 너트 8 ; 보강철근
9 ; 보철근 10; 철골보
11; 단부원형강판 12; 강관토막 c
13; 외다이아프램

Claims (4)

  1. 원심력을 활용하여 2∼3개 층 높이의 원통형 기둥을 제작함에 있어서,
    a) 구조계산으로 원통형 기둥 내부에 들어갈 주근(1)의 개수와 굵기를 산정하고, 주근 외부에 나선철근(2)을 제작하여 일체화시킨 철근농 ;
    b) 상기 철근농을 하부 반원통형 거푸집에 넣고, 중앙에 구멍을 뚫은 단부원형강판(11) 2개를 기둥 지름과 같도록 제작하여 상부와 하부의 양단부에 설치하며 ;
    c) 상기 단부원형강판에 철근농의 주근을 용접하고, 보가 부착되는 위치에 기둥 지름과 같은 직경의 패널존을 설치하고 ;
    d) 상기 패널존은 강관토막 a(5)와 강관토막 b(6)로 구성되며, 강관토막 a에는 보철근(9) 정착위치에 너트(7)를 용접하는 단계 ;
    e) 반원통형 하부 거푸집에 철근농을 삽입하고 콘크리트(4)를 채운 후 나머지 절반의 상부 반원통형 거푸집을 덮어 조립하고, 원심력을 유발하는 롤러를 이용하여 고속회전 시키고 양생하여 탈형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2. 제1항에 있어서,
    단면 증대가 필요한 경우, 기둥 내부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4)를 채우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3. 제1항에 있어서,
    제작된 기둥간 상호이음은 단부원형강판(11)을 이용하여 용접으로 일체화시키며, 단부원형강판 내부에는 강관토막 c(12)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4.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기둥은 필요한 내력에 따라 층별로 주근(1) 배근을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KR1020090115112A 2009-11-26 2009-11-26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KR101227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12A KR101227099B1 (ko) 2009-11-26 2009-11-26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12A KR101227099B1 (ko) 2009-11-26 2009-11-26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360A true KR20110058360A (ko) 2011-06-01
KR101227099B1 KR101227099B1 (ko) 2013-02-08

Family

ID=4439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112A KR101227099B1 (ko) 2009-11-26 2009-11-26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09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674B1 (ko) * 2012-06-18 2013-02-15 차행탁 Phc파일제조용 커플링
CN105178512A (zh) * 2015-09-29 2015-12-23 南京林业大学 一种约束型钢管混凝土构件
KR101616953B1 (ko) * 2015-09-15 2016-04-29 케이피이엔씨 주식회사 내측전단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CN107060213A (zh) * 2017-05-12 2017-08-18 长沙理工大学 一种在失效部位设置芯柱和可更换部件的钢筋混凝土柱
CN107675879A (zh) * 2017-11-21 2018-02-09 成都市绿洲节水灌溉工程有限公司 一种通过卡槽固定的景观柱成型设备
CN108104119A (zh) * 2017-09-22 2018-06-01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phc管桩作支撑体系格构柱的施工方法
CN114800855A (zh) * 2022-02-22 2022-07-29 天津宝丰建材有限公司 一种生产抽芯方桩的方法及抽芯方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804U (ko) 1974-10-16 1976-04-17
JP2000303558A (ja) 1999-04-22 2000-10-31 Penta Ocean Constr Co Ltd 柱と梁の接合構造
JP4823790B2 (ja) 2006-07-18 2011-11-24 株式会社奥村組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KR100923107B1 (ko) 2009-05-27 2009-10-22 롯데건설 주식회사 건축용 원심력 콘크리트 말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674B1 (ko) * 2012-06-18 2013-02-15 차행탁 Phc파일제조용 커플링
KR101616953B1 (ko) * 2015-09-15 2016-04-29 케이피이엔씨 주식회사 내측전단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CN105178512A (zh) * 2015-09-29 2015-12-23 南京林业大学 一种约束型钢管混凝土构件
CN105178512B (zh) * 2015-09-29 2017-10-10 南京林业大学 一种约束型钢管混凝土构件
CN107060213A (zh) * 2017-05-12 2017-08-18 长沙理工大学 一种在失效部位设置芯柱和可更换部件的钢筋混凝土柱
CN107060213B (zh) * 2017-05-12 2019-02-05 长沙理工大学 一种在失效部位设置芯柱和可更换部件的钢筋混凝土柱
CN108104119A (zh) * 2017-09-22 2018-06-01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phc管桩作支撑体系格构柱的施工方法
CN108104119B (zh) * 2017-09-22 2024-02-09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phc管桩作支撑体系格构柱的施工方法
CN107675879A (zh) * 2017-11-21 2018-02-09 成都市绿洲节水灌溉工程有限公司 一种通过卡槽固定的景观柱成型设备
CN114800855A (zh) * 2022-02-22 2022-07-29 天津宝丰建材有限公司 一种生产抽芯方桩的方法及抽芯方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099B1 (ko) 201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099B1 (ko) 원심력 콘크리트관과 철골 철근의 하이브리드 기둥
CN101831970A (zh) 一种装配整体式墙板墙体及其施工方法
CN104499568A (zh) 方钢管预制柱-预制叠合梁装配整体式框架及施工方法
KR100991337B1 (ko) 리브강관을 사용한 중공 cft 제작공법
CN101457548A (zh) 圆钢管混凝土柱与钢筋混凝土楼盖连接的节点及制作方法
CN107476470A (zh) 装配式内置钢管和gfrp管再生混凝土组合剪力墙及其施工方法
CN105421810B (zh) 一种预制墙板加固砌体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086488B (zh) 装配式框剪结构墙错层式连接结构及拼装方法
CN102619331B (zh) 高层建筑梁式转换层钢管支撑叠合浇筑一次成型施工方法
CN106193454A (zh) 一种柱超高性能混凝土的永久模板及其制备方法
CN102071747A (zh) 方钢管混凝土柱与钢筋混凝土楼盖连接的节点及制作方法
KR20110067961A (ko) 철근 선조립기둥의 상호 이음방법
CN107355008B (zh) 一种新增钢管混凝土柱与既有结构的预制连接结构及方法
CN208105477U (zh) 装配式钢管混凝土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l形连接节点
CN106193455A (zh) 一种超高性能混凝土圆柱永久模板及其制备方法
CN108265823A (zh) 装配式钢管混凝土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l形连接节点
CN210562609U (zh) 一种可装配的预制钢筋混凝土管柱结构
CN107905368A (zh) 一种装配式梁与装配式柱连接结构及施工方法
CN208023735U (zh) 装配式钢管混凝土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t形连接节点
KR101072958B1 (ko) 마이크로파일 및 트러스를 이용한 기초구조, 및 주위구조물과 인접한 곳에서 이의 시공방법
CN110725475A (zh) 一种内置通高波纹管的预制柱及其框架结构及施工方法
CN103397778A (zh) 高层商住楼结构转换层施工方法
KR101075273B1 (ko) 패널존을 2중 스킨으로 사전 보강한 원심력 중공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 제조공법
CN108301562A (zh) 装配式钢管混凝土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十字形连接节点
CN206769199U (zh) 后穿式后张法竖向预应力现浇混凝土柱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