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349A - Double skin - Google Patents

Double sk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349A
KR20110058349A KR1020090115100A KR20090115100A KR20110058349A KR 20110058349 A KR20110058349 A KR 20110058349A KR 1020090115100 A KR1020090115100 A KR 1020090115100A KR 20090115100 A KR20090115100 A KR 20090115100A KR 20110058349 A KR20110058349 A KR 20110058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ouble
space
air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4024B1 (en
Inventor
양성만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1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024B1/en
Publication of KR20110058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PURPOSE: A double window is provided to ventilate an air layer heated between an inner window and an outer window without an inflow of the polluted outside air to an indoor space, and to offer a passage of the enough size to a resident. CONSTITUTION: A double window contains an outer window and an inner window including an inflow portion and a discharge portion, wherein the inflow portion is installed to the bottom of the outer window to let air of an outdoor space(102) in a space(106) between the outer window and the inner window,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installed to the top of the outer window to discharge air of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indow and the inner window to the outdoor space. The inner window includes at least one sliding window provided with ventilation kits(226,236) at the top.

Description

이중 창호{Double Skin}Double Window {Double Skin}

본 발명은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에 장착되고,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과 마주하는 내부창 및 상기 건물의 실외 공간과 마주하는 외부창을 포함하는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glaz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glazing mounted on a window fram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including an inner window fac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and an outer window facing the outdoor space of the building. will be.

일반적으로, 이중 창호란 두 장의 유리판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레임에 고정한 창호를 말한다. 이중 창호에서는 유리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단열성, 방음성 등이 향상된다. 따라서, 현재 이중 창호는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주택건물에 주로 채용되고 있다. In general, double windows and doors are windows and doors in which two glass plates are fixed to a fram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double windows,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glass plates, so that heat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are improved. Therefore, double windows are currently mainly employed in housing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villas.

이중 창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열성 및 방음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더운 여름에는 태양에너지에 의해 두 장의 유리판 사이의 공기층이 가열되기 때문에 건물의 실내공간의 온도도 함께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여름철에 냉방부하의 증가를 초래하는바,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uble windows and doors have good heat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However, since the air layer between the two glass plates is heated by the solar energy in the hot summer,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also increases. Such a problem causes an increase in the cooling load in summer, and therefore, improvement measures are required.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키기 위해 이중 창호의 내부창 및 외부창을 모두 개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룰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를 불규칙한 속 도로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유입된 공기를 거주자에게 직접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거주자에 의해 기피되고 있다.Consideration may be given to opening both the inner and outer windows of the double glazing to ventilate the heated air layer between the two sheets of glass. However, this solution is avoided by residents because it not only introduces outside polluted air into the indoor space, but also allows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door space at irregular speeds and provides the air directly to the residents.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84043호는 이중 창호의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키기 위해 내부창과 외부창을 동시에 개폐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84043호에 따르면 내부창 및 외부창이 동시에 개폐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은 증대된다. 그러나, 가열된 공기층의 환기가 내부창 및 외부창이 모두 개방되었을 때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과 불규칙한 속도의 외부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과 유입된 공기가 직접적으로 거주자에게 제공되는 현상은 여전히 방지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4043 discloses a technique of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an inner window and an outer window to ventilate a heated air layer between an inner window and an outer window of a double window.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4043,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because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are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the ventilation of the heated air layer is performed when both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are opened, the phenomenon that external polluted air enters the indoor space and the phenomenon that the external air of irregular velocity flows into the indoor space and the introduced air The phenomena provided directly to the occupants still have limitations that cannot be prevented.

한국등록특허 제655086호는 이중 창호의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키기 위해 외부창을 상단창, 중단창, 하단창의 3단으로 구획하고 내부창을 상단창 및 하단창의 2단으로 구획하며, 내부창의 상단창 상부에 환기창을 고정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655086호에 따르면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이 환기될 수 있고,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창이 여닫이창으로 이루어지고 2단으로 구획되며 여닫이창과 별도로 고정된 환기창을 포함하기 있기 때문에 내부창이 거주자에게 협소한 통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외부창의 유지 보수를 위해 외부창에 접근하여야 할 경우, 거주자는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내부창이 실내 공간 쪽으로 열리는 여닫이 창이기 때문에, 개방된 내부창은 거주자의 통행에 방해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주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 Korean Patent No. 655086 divides an outer window into three stages of an upper window, a middle window, and a lower window, and divides the inner window into two stages of an upper window and a lower window to ventilate the heated air layer between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of the double window. Disclosed is a technique for fixing a ventilation window on top of an upper window of an inner window.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650186, the heated air layer may be ventilated between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and the phenomenon that external pollu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may be prevented. However, the inner window provides a narrow passage for the occupant because the inner window consists of a casement window and is divided into two stages and includes a ventilation window fixed separately from the casement window. Therefore, when the external window needs to be approach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external window, the occupant is inconvenient. In addition, since the inner window is a casement window that opens toward the interior space, the open inner window can not only interfere with the occupant's passage but also cause injury to the occupant.

한국등록특허 제837499호는 이중 창호의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키기 위해 외부창을 중앙창과, 좌측창 및 우측창으로 구획하고 좌측창 및 우측창을 미닫이창 및 여닫이창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하며, 중앙창을 고정창으로 구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좌측창 또는 우측창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우측창 또는 좌측창을 통해 배출되고, 이로써 가열된 공기층이 환기된다. 한국등록특허 제837499호에 따르면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개폐 가능한 창이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의 환기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Korean Patent No. 837499 divides an outer window into a middle window, a left window and a right window to ventilate the heated air layer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indows of a double window and consists of various combinations of sliding windows and sliding windows. In addition, it discloses a technique for configuring the center window to a fixed window. Air introduced through the left or right window is discharged through the right or left window, whereby the heated air layer is ventilated.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827499, externally contaminated air does not flow into the indoor space. However, since opening and closing window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heated air layer is low between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된 외부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 없이 내측창과 외측창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환기시킬 수 있고, 거주자가 외부창에 접근하여야 할 때 내부창이 거주자에게 충분한 크기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내부창에 의해 거주자의 통행이 방해되거나 거주자가 상해를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ventilate the heated air layer between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without the phenomenon that the polluted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terior space, the occupant should approach the outer window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window that can provide a passage of sufficient size to the occupant and prevent the occupant's passage or the injury of the occupant by the inner window.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에 장착되고,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과 마주하는 내부창 및 상기 건물의 실외 공간과 마주하는 외부창을 포함하는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부창은 하단 부위를 통해 상기 실외 공간의 공기를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단 부위를 통해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창은 환기 키트를 상단에 구비한 미서기창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uble window comprising a window fram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including an inner window fac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and an outer window facing the outdoor space of the building The outer window may be configured to introduce air of the outdoor space in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outer window and the inner window through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o discharge air of the spaced space in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upper portion thereof. It provides a doubl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micro-window having a ventilation kit on the top.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창의 하단 부위는 상기 실외 공간의 공기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창의 상단 부위는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입부는 프로젝트창, 환기 키트 및 환기 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배출부는 프로젝트창, 환기 키트 및 환기 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부 및 배출부는 상기 외부창의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프로젝트창은 고정단인 상단 및 자유단인 하단을 포함하거나, 고정단인 하단 및 자유단인 상단을 포함하거나, 자유단인 상단 및 자유단인 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indow is composed of an inlet which can introduce the air of the outdoor space into the separation space,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indow as a discharge portion capable of discharging the air of the separation space to the outdoor space. Is done. At this time, the inlet is any one of a project window, a ventilation kit and a ventilation fan, and the discharge unit is more preferably any one of a project window, a ventilation kit and a ventilation fan. In addition, the inlet and the discharge part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outer window, the project window includes a fixed top and a free end, or a fixed end and a free end, or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free end and a free end.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창은 동일선상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단창 및 하단창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창 및 하단창은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단창 및 하단창은 상기 외부창의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outer window includes a top window and a bottom window provided to perform a straight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same line, the top window and the bottom window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perform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same time do. At this time, the upper window and the lower window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outer window.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창은 좌측창, 우측창 및 중앙창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 키트는 상기 좌측창 및 우측창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에는 차양을 위한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Preferably, the inner window includes a left side window, a right side window and a center window, and the ventilation kit is installed in the left side window and the right side window. In addition, a blind for shade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window and the inner window.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창의 상하단 부위 각각에 배출부와 유입부가 마련되거나 외부창에 상단창 및 하단창이 마련되기 때문에,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환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er window is provided with an outlet and an inlet or the upper and lower windows are provided on the outer window, the air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can be ventilated without entering the indoor space. have.

또한, 내부창이 환기 키트를 포함하는 미서기창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첫째, 실외 공간의 공기가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둘째, 유입된 공기가 간접적으로 거주자에게 제공되며, 셋째, 거주자가 외부창으로 접근할 때 요구되는 통로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넷째, 거주자의 통행이 방해되는 현상이나 거 주자가 상해를 입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ner window is provided with a micro-window including a ventilation kit, firstly, air in the outdoor space can be stably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and secondly, the inflowed air is indirectly provided to the occupant, and thirdly, the occupant The passage required for access to the outside window can be secured enough. Fourth, the phenomenon of obstructing the passage of residents or the injury of the resident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창 및 하단창이 서로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외부창을 개방하기 위한 조작이 간편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window and the lower window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perform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ration for opening the outer window is eas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에 블라인드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채광 및 차양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ind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light and shad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ouble windows and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제1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외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내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호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젝트창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외부창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oubl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terior window is viewed from the outside of a building, and FIG. 2 is a conceptual view of the double window shown in FIG. Figure 3 shows a view of the inner window from the outside of, Figure 3 conceptually show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ouble windows and doors shown in Figure 1, Figure 4 shows a modification of the project window shown in Figure 3, Figure 5 And FIG. 6 shows a modification of the outer window shown in FIG. 3.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1실시예(100)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외부창과 내부창을 포함한다.The first embodiment 100 of the doubl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window and an inner window mounted to the window frame 108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상기 외부창은 건물의 실외 공간(102)과 마주하는 창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와 중앙부위로 구획된다. 중앙부위에는 중앙창(110)이 설치되고,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20)와, 고정부(140)와, 배출부(160)를 포함한다. The outer window is a window facing the outdoor space 102 of the building, and is divided into a left part, a right part, and a center part as shown in FIG. 1. The central portion 110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left portion and the right portion include the inlet portion 120, the fixing portion 140, and the discharge portion 160 as shown in FIG. 1.

상기 중앙창(110)은 창호틀(108)에 고정된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유리판(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40)는 중앙창(110)의 프레임 및 창호틀(108)에 고정된 프레임(142)과, 상기 프레임(142)에 고정된 유리판(144)을 포함한다. The central window 110 includes a frame (not shown) fixed to the window frame 108 and a glass plate (not shown) fixed to the frame. The fixing part 140 includes a frame of the central window 110. It includes a frame 142 fixed to the window frame 108, and a glass plate 144 fixed to the frame 142.

유입부(120)는 외부창의 하단부위에 설치되어 실외 공간(102)의 공기를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의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유입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창(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창(122)의 상단은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하단은 상기 고정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경우, 비나 눈이 상기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실외 공간(102)으로부터 상기 이격 공간(106)으로의 공기 유입이 용이하다. The inlet 12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window to introduce air from the outdoor space 102 into the space 106 between the outer window and the inner window. To this end, the inlet 120 may be formed of a project window 12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n upper end of the project window 122 is provided as a fixed end, and a lower end is provided as a free end to rotate the fixed end as a rotation axi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n or snow from flowing into the separation space 106, and to easily inflow air from the outdoor space 102 to the separation space 106.

한편,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유입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젝트창(124, 1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프로젝트창(124)의 경우, 하단이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상단이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프로젝트창(126)의 경우, 중심부 힌지(126a)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하단 모두가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lternatively, the inlet 120 may be formed of project windows 124, 126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the project window 124 shown in (a) of Figure 4, the lower end is provided as a fixed end and the upper end is provided as a free en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oject window 126 illustrated in FIG. 4B, both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provided as free end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may rotate using the central hinge 126a as the rotation axis.

또한, 프로젝트창(122, 124, 126)의 대안으로 유입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키트(128)로 이루어지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팬(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환기 키트(128)는 실외 공간(102)의 공기를 이격 공간(106)으로 자연 유입시키거나 그 자연 유입을 차단시키는 장치이고, 환기 팬(130)은 실외 공간(102)의 공기를 이격 공간(106)으로 강제 유입시키는 장치이다.In addi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project window 122, 124, 126, the inlet 120 may be made of a ventilation kit 128 as shown in FIG. 5, or may be made of a ventilation fan 130 as shown in FIG. 6. Can be. The ventilation kit 128 is a device that naturally introduces air from the outdoor space 102 into the separation space 106 or blocks the natural inflow thereof, and the ventilation fan 130 separates the air from the outdoor space 102 into the separation space. The device is forced to flow into the 106.

배출부(160)는 외부창의 상단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 공간(106)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102)으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창(1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창(162)의 상단은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하단은 상기 고정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경우, 비나 눈이 상기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선 유입부(120)와 동일하게, 상기 배출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젝트창(124, 126)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키트(168)로 이루어지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팬(17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ischarge unit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indow to discharge the air in the separation space 106 to the outdoor space 102. To this end, the discharge unit 160 may be formed of a project window 16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n upper end of the project window 162 is provided as a fixed end, and a lower end is provided as a free end to rotate the fixed end as a rotation axis. In this case, a phenomenon in which rain or snow flows into the separation space 106 may be prevented. However, similar to the preceding inlet 120, the outlet 160 is composed of the project window 124, 126 as shown in Figure 4, or to the ventilation kit 168 as shown in FIG. It may be made, or may be made of a ventilation fan 170 as shown in FIG.

한편, 도 3에 따르면 유입부(120)와 배출부(160)는 동일한 형태의 프로젝트창(122, 16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유입부(120)와 배출부(160)는 앞서 설명한 프로젝트창들(122, 124, 126)의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도 3,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유입부(120)와 배출부(160)가 프로젝트창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환기 키트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환기 팬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유입부(120)와 배출부(160)는 프로젝트창과, 환기 기트와, 환기 팬의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Meanwhile, according to FIG. 3, the inlet part 120 and the outlet part 160 are formed of project windows 122 and 162 having the same shape. However,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60 may be made of various combinations of the project windows 122, 124, 126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ccording to Figures 3, 5 and 6,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60 is made of only the project window, made of only the ventilation kit, or made of only the ventilation fan. However,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60 may be made of various combinations of project windows, ventilation kits, and ventilation fans.

상기 내부창은 건물의 실내 공간(104)과 마주하는 창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와 중앙부위로 구획된다. 중앙부위에는 중앙창(210)이 설치되고, 좌측부위에는 좌측창(220)이 설치되며, 우측부위에는 우측창(230)이 설치된다. The inner window is a window facing the interior space 104 of the building, and is divided into a left part, a right part, and a center part as shown in FIG. 2. The central window 210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art, the left window 220 is installed at the left part, and the right window 230 is installed at the right part.

중앙창(210)은 창호틀(108)에 장착된 프레임(212)과 상기 프레임(212)에 고정된 유리판(214)을 포함한다. 좌측창(220)은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프레임(222)과, 상기 프레임(222)에 고정된 유리판(224)과, 환기 키트(226)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 키트(226)는 프레임(222)과 유리판(224)의 상단 사이에 고정된다. 우측창(230)은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프레임(232)과, 상기 프레임(232)에 고정된 유리판(234)과, 환기 키트(236)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 키트(236)는 프레임(232)과 유리판(234)의 상단 사이에 고정된다. 중앙창(210)과 좌측창(220)과 우측창(230)은 거주자가 외부창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미서기창으로 이루어진다.The middle window 210 includes a frame 212 mounted to the window frame 108 and a glass plate 214 fixed to the frame 212. The left window 220 includes a frame 222 mounted to the window frame 108, a glass plate 224 fixed to the frame 222, and a ventilation kit 226. The ventilation kit 226 is fixed between the frame 222 and the top of the glass plate 224. The right window 230 includes a frame 232 mounted to the window frame 108, a glass plate 234 fixed to the frame 232, and a ventilation kit 236. The ventilation kit 236 is fixed between the frame 232 and the top of the glass plate 234. The central window 210, the left window 220, and the right window 230 are made of a small window so that a resident can easily access the external window.

이와 같이 내부창이 미서기창으로 구성되고 환기 키트(226, 236)가 프레임(222, 232) 및 유리판(224, 234)과 함께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상기 환기 키트(226, 236)를 통해 실외 공간(102)의 공기가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104)으로 유입될 수 있고, 실내 공간(104)으로 유입된 공기가 거주자에게 간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거주자가 외부창으로 접근할 때 요구되는 통로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고, 거주자의 통행이 방해되는 현상이나 거주자가 상해를 입는 현 상이 방지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inner window is constituted by a small window and the ventilation kits 226 and 236 are configured to perform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with the frames 222 and 232 and the glass plates 224 and 234, the ventilation kits 226 and 236. The air in the outdoor space 102 can be stably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104,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104 can be indirectly provided to the occupant, when the occupant approaches the outer window The required passage can be secured sufficiently, and the phenomenon of obstructing the passage of the occupants or the injury of the occupants can be prevented.

한편,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을 위한 블라인드(240)가 설치된다. 블라인드(240)는 차양 시에는 펴지도록, 그리고 채광 시에는 접히도록 구비된다. 블라인드(240)의 펴짐과 접힘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blinds 240 for sunshade are installed between the outer window and the inner window as shown in FIGS. 3, 5, and 6. The blind 240 is provided so as to be unfolded when sunshade and folded when mined. Unfolding and folding of the blind 240 can be done automatically or manually.

이하, 상기 이중 창호(10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ouble window 100 will be described.

여름철 태양에너지에 의해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의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상기 공기가 환기되어야 할 경우, 유입부(120)와 배출부(160)가 조작되어 외부창의 상단부위 및 하단부위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외부창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더운 공기는 상부로 이동한 후 외부창의 상단부위를 통해 실외 공간(102)으로 배출되고, 실외 공간(102)의 차가운 공기는 외부창의 하단부위를 통해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된다. 즉, 외부창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공기가 환기된다. When the air located in the space 106 between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is heated by the solar energy in summer, and the air is to be ventilated, the inlet part 120 and the outlet part 160 are operated to operate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outer window. The site is open. As such, when the outer window is partially opened, the hot air located in the separation space 106 moves upward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102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indow, and the cold air of the outdoor space 102 is the outer window. It enters into the space 106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hat is, when the outer window is partially opened, air located in the space 106 is ventilated by convection.

한편, 거주자는 실내 공간(104)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불규칙한 속도와 직접성 때문에 외부창과 내부창의 동시 개방을 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거주자는 외부창을 부분적으로 개방하고 내부창을 닫은 상태에서 환기 키트(226, 236)를 조작하여, 실외 공간(102)의 공기를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104)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유입된 공기를 간접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ccupant may be reluctant to simultaneously open the outer window and the inner window due to the irregular speed and directness of the air flowing into the indoor space 104. In this case, the occupant can stably flow the air in the outdoor space 102 into the indoor space 104 by operating the ventilation kits 226 and 236 with the partially opened external window and the internal window closed. Air may be indirectly provided.

< 제2실시예 > Secon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2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외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중 창호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7 conceptually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of a doubl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 state of looking at an exterior window from the outside of a building, and FIG. 8 conceptually illustrate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ouble window of FIG. 7. will be.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창호의 내부창 및 블라인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부창 및 블라인드와 각각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외부창만을 설명한다.The inner windows and the blinds of the double windows and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inner windows and the blind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respectively.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outer windo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2실시예(300)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외부창과 내부창을 포함한다.The second embodiment 300 of the doubl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window and an inner window mounted on the window frame 108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상기 외부창은 건물의 실외 공간(102)과 마주하는 창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와 중앙부위로 구획된다. 중앙부위에는 중앙창(310)이 설치되고, 좌측부위 및 우측부위에는 상단창(320) 및 하단창(330)이 설치된다. 중앙창(310)은 창호틀(108)에 고정된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된 유리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상단창(320)은 중앙창(310)의 프레임 및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프레임(322)과 상기 프레임(322)에 고정된 유리판(324)을 포함하고, 하단창(330)은 중앙창(310)의 프레임 및 창호틀(108)에 장착되는 프레임(332)과 상기 프레임(332)에 고정된 유리판(334)을 포함한다. 상단창(320)의 프레임(322)과 하단창(330)의 프레임(332)은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중앙창(310)의 프레임 및 창호틀(108)에 장착된다.The outer window is a window facing the outdoor space 102 of the building, and is divided into a left part, a right part, and a center part as shown in FIG. 7. The central portion 310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320 and the lower portion 330 are installed at the left portion and the right portion. The center window 310 includes a frame (not shown) fixed to the window frame 108 and a glass plate (not shown) fixed to the frame (not shown). The upper window 320 includes a frame of the center window 310 and a frame 322 mounted to the window frame 108 and a glass plate 324 fixed to the frame 322, and the lower window 330 is centered. A frame 332 mounted to the frame 310 and the window frame 108 of the window 310 and a glass plate 334 fixed to the frame 332 are included. The frame 322 of the upper window 320 and the frame 332 of the lower window 330 are mounted on the frame of the center window 310 and the window frame 108 so as to perform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상기 상단창(320) 및 하단창(330)은 서로 연동하여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상단창(320) 및 하단창(33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예컨대, 하단창(330)이 상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할 경우 상단창(320)은 하단창(330)과 연동하여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하고, 하단창(330)이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할 경우 상단창(320)은 하단창(330)과 연동하여 상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동메커니즘으로 인해, 상단창(320) 및 하단창(330) 중 어느 하나가 개폐되면 나머지 하나도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upper window 320 and the lower window 330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perform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t this time, the upper window 320 and the lower window 330 perform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lower window 330 performs a linear movement in the upper direction, the upper window 320 performs a linear movement in the lower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lower window 330, the lower window 330 is straight in the downward direction When performing the exercise, the upper window 320 performs a linear motion in the upper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lower window 330. Due to such a driving mechanism, if any one of the upper window 320 and the lower window 330 is opened and closed, the other one may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여름철 태양에너지에 의해 내부창과 외부창 사이의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공기가 가열되어 상기 공기가 환기되어야 할 경우, 하부창(330)은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진다. 하부창(330)이 들어올려 지면 이에 연동하여 상부창(320)이 자동적으로 하부방향으로 내려오고, 이로써 외부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When the air located in the space 106 between the inner window and the outer window is heated by the solar energy during summer, the lower window 330 is lifted upward. When the lower window 330 is lifted up, the upper window 320 automatically descends downwardly in association with the lower window 330, whereby the outer window is partially opened as shown in FIG. 7.

외부창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상기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더운 공기는 상부로 이동한 후 상부창(320)의 하강으로 인해 발생한 개구(302)를 통해 실외 공간(102)으로 배출되고, 실외 공간(102)의 차가운 공기는 하부창(330)의 상승으로 인해 발생한 개구(304)를 통해 상기 이격 공간(106)으로 유입된다. 즉, 외부창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이격 공간(106)에 위치하는 공기가 환기된다. When the outer window is partially opened, the hot air located in the separation space 106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102 through the opening 302 generated due to the lowering of the upper window 320 after moving upwards, and outdoors Cold air in the space 102 enters the separation space 106 through the opening 304 generated by the rise of the lower window 330. That is, when the outer window is partially opened, air located in the space 106 is ventilated by conve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1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외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 conceptually illustrates a first embodiment of a doubl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of looking at an exterior window from an exterior of a buildin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내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2 is a conceptual view of the double windows and doors shown in FIG. 1 and illustrates a state of looking at the inner window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창호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3 conceptually illustrate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ouble glazing shown in FIG.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젝트창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a modification of the project window shown in FIG. 3.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외부창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5 and 6 illustrate a modification of the outer window shown in FIG. 3.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창호의 제2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부에서 외부창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7 conceptually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doubl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of looking at the exterior window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중 창호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8 conceptually illustrate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ouble glazing shown in FIG. 7.

Claims (9)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창호틀에 장착되고,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과 마주하는 내부창 및 상기 건물의 실외 공간과 마주하는 외부창을 포함하는 이중 창호에 있어서,In the double glazing, which is mounted to a window fram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he inner window fac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and the outer window facing the outdoor space of the building, 상기 외부창은 하단 부위를 통해 상기 실외 공간의 공기를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상단 부위를 통해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창은 환기 키트를 상단에 구비한 미서기창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The outer window is provided to allow the air in the outdoor space to enter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indow and the inner window through the lower portion and to discharge the air in the space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upper portion, the inner window is ventilated Double windows comprising at least one micro-window having a kit on the top.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창의 하단 부위는 상기 실외 공간의 공기를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유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창의 상단 부위는 상기 이격 공간의 공기를 상기 실외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indow is composed of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air of the outdoor space into the separation space,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indow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separation space to the outdoor space. Double window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유입부는 프로젝트창, 환기 키트 및 환기 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배출부는 프로젝트창, 환기 키트 및 환기 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The inlet is any one of a project window, a ventilation kit and a ventilation fan, the discharge unit is a doubl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project window, a ventilation kit and a ventilation fa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프로젝트창은 고정단인 상단 및 자유단인 하단을 포함하거나, 고정단인 하단 및 자유단인 상단을 포함하거나, 자유단인 상단 및 자유단인 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The project window is a double window comprising a fixed top and a free end, or a fixed end and a free end top, or a free end and a free end bottom window.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유입부 및 배출부는 상기 외부창의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Double inlet and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and outlet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outer window.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창은 동일선상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단창 및 하단창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창 및 하단창은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The outer window includes a top window and a bottom window provided to perform a straight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same line, and the top window and the bottom window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simultaneously perform a straight reciprocating mo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Double window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상단창 및 하단창은 상기 외부창의 좌측부위와 우측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The upper and lower windows are double window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outer window.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부창은 미서기창인 좌측창, 우측창 및 중앙창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 키트는 상기 좌측창 및 우측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The inner window includes a left window, a right window and a center window which is an undefined window, and the ventilation kit is a doubl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indow.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간에는 차양을 위한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창호.Doubl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blind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window and the inner window shade.
KR1020090115100A 2009-11-26 2009-11-26 Double Skin KR101244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00A KR101244024B1 (en) 2009-11-26 2009-11-26 Double Sk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00A KR101244024B1 (en) 2009-11-26 2009-11-26 Double Sk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349A true KR20110058349A (en) 2011-06-01
KR101244024B1 KR101244024B1 (en) 2013-03-14

Family

ID=4439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100A KR101244024B1 (en) 2009-11-26 2009-11-26 Double Sk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0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79U (en)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A sliding window combinated pull-down window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660A (en) * 1996-05-07 1997-11-18 Sekisui Chem Co Ltd Fitting
KR100655086B1 (en) * 2004-10-25 2006-12-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he functional double-skin facades for natural ventilation
KR100770969B1 (en) * 2006-04-25 2007-10-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he functional double-skin facades with openable outside window for natural ventilation and the control system thereof
KR20080047121A (en) * 2006-11-24 2008-05-28 김상권 Twofold-window for air clea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79U (en)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A sliding window combinated pull-down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024B1 (en)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5246B2 (en) Double window
KR100399310B1 (en) Energy saving and multi-function window
CN104736789B (en) There is the window of aeration structure
KR102187850B1 (en) Windows system with a duct device
KR20110057373A (en) Energy saving and multi-function blind window
CN106014156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intelligent ventilation window
KR20080015230A (en) No fan - double window system with melting blind
KR20140023709A (en) Double window device having heat exchang function
CN106639822B (en) Vent window and periphery ventilation supporting member
JP7337000B2 (en) window
CN201439673U (en) General building outer door window and shutter sun shading integrated structure
KR101251716B1 (en) Double Skin Used For Rail
KR101244024B1 (en) Double Skin
KR101244078B1 (en) Double Skin
KR100697839B1 (en) Energy saving and multi-function window
JP4170959B2 (en) Building outer wall structure and double window unit
KR101923600B1 (en) Folding doors of apartment housing for natural lighting
KR101275440B1 (en) Double Skin
KR20200113529A (en) Indoor ventilation and air purification windows
KR200404269Y1 (en) Energy saving and multi-function window
KR200447519Y1 (en) Ventilation equipment for open type arcade
GB2450777A (en) Ventilation device controlling air flow into and out of a building
JP4866024B2 (en) Curtain wall structure
KR200238298Y1 (en) Energy saving and multi-function window
CN106121142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sky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