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034A - 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 Google Patents

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034A
KR20110058034A KR1020090114690A KR20090114690A KR20110058034A KR 20110058034 A KR20110058034 A KR 20110058034A KR 1020090114690 A KR1020090114690 A KR 1020090114690A KR 20090114690 A KR20090114690 A KR 20090114690A KR 20110058034 A KR20110058034 A KR 20110058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dead bolt
interior case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옥봉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우창정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창정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창정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8034A/en
Publication of KR2011005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0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is provided to prevent a lock driver from becoming damaged. CONSTITUTION: An indoor case is arranged in the indoor side of a door. A dead bolt(20) is installed inside the indoor case. The door is locked or unlocked by inserting the dead bolt to a door frame or separating the door from the door frame. An action lever(50) is engaged with the dead bolt through rotation to move the dead bolt in the indoor case. A lock driver(6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ction lever and rotates the action lever. A panic operation unit releas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tion lever and the lock driver in a panic operation by a user.

Description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본 발명은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패닉 작동시 락 구동부로 역방향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락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lock driving unit by preventing a reverse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ck driving unit during the panic operation of the user.

일반적으로, 도어락 어셈블리는 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최근 기술의 발달로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실내를 출입하도록 배치된 도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에 구비된다.In general, the door lock assembly is installed for security,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has been popularized by the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Such an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is provided in a door rotatably installed in a door frame arranged to allow a user to enter and exit the room.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서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된 데드 볼트 및 래치 볼트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비밀번호 등의 소정의 인증키를 입력하면 상기 데드 볼트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 프레임과 걸림 또는 그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잠김 또는 해정된다.In more detail,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includes a case and a dead bolt and a latch bolt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ase, and when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key such as a password, the dead bolt is inside the case. The door is locked or released by the door frame and the lock or the lock is released by the movement.

그리고, 상기 래치 볼트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너 핸들 레버 또는 아우터 핸들 레버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데드 볼트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 프레임과 걸림 또는 그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잠김 또는 해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latch bolt is engaged with the movement of the inner handle lever or the outer handle lever installed to allow the user to rotate by hand on the outside of the case like the dead bolt, so that the door frame is caught or the latch is released. To be locked or unlock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실내의 화재 등 위급한 상황 발생시 갑작스럽게 사용자가 상기 이너 핸들 레버를 회전시켜 실내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경우,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상기 데드 볼트의 작동과 물리적으로 사용자가 외력을 제공하여야만 작동되는 상기 래치 볼트의 작동간 간섭 때문에 사용자의 패닉 현상 발생시 작동 불량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user suddenly wants to escape from the room by rotating the inner handle leve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n the room,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ly operated dead bolt and the user physically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latch bolt is operated only when the external force is provided there was a serious problem that causes a malfunction when the user panic occurs.

또한, 사용자의 패닉 현상시 상기 이너 핸들 레버의 급격한 동작은 상기 데드 볼트가 중간 동력 전달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 모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원활한 패닉 작동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각 연결부간 일반적인 작동과는 역행하는 외력 부여가 필요하므로 각 부품간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udden operation of the inner handle lever during the panic phenomenon of the us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hat the dead bolt is electrically driven by the intermediate power transmission unit, in order to smoothly panic operation inevitably normal operation between each connection por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trograde force against the ba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between each component is lowered.

이는, 비단 패닉 현상 발생시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실내에서 상기 데드 볼트를 해정시키지 아니하고 상기 이너 핸들 레버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여 발생하는 문제인 바, 제품의 내구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당연하다.This is a problem that occurs not only when the panic phenomenon occurs, but also when the inner handle lever is operated without releasing the dead bolt abnormally in the room, and it is natural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패닉 해소를 위하여 비정상 작동시에 대처할 수 있고,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that can cope with abnormal operation for improving the panic of a user, and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a produ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도어의 실내측에 배치된 실내부 케이스와, 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소정 거리 이동하는 동작으로 도어 프레임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하는 데드 볼트와,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데드 볼트와 걸림되면서 상기 데드 볼트를 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액션 레버와, 상기 액션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액션 레버를 회전시키는 락 구동부와, 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패닉 작동시 상기 액션 레버와 상기 락 구동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패닉 작동부를 포함한다.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case disposed in the interior side of the door, and installed inside the interior case, the door is locked or unlocked by the operation of inserting or detaching the door frame by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 dead bolt, an action lever for engaging the dead bolt in a rotating operation and moving the dead bolt in the interior case, a lock driv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ction lever to rotate the action lever, and It is disposed inside the interior case, and includes a panic operation unit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tion lever and the lock driving unit during the panic operation by the user.

여기서, 상기 락 구동부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모터 기어 박스와, 상기 모터 기어 박스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모터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기어는 상기 액션 레버와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lock driving unit, a motor gear box, one end hinged to the inside of the interior case, the other end is rotated about the one end portion, a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motor gear box and electrically operated, and It may include a motor gear is installed and rotat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the motor gear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action lever.

또한, 상기 액션 레버의 회전축에는 상기 모터 기어와 치합되는 액션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ction gear engaged with the motor gear may be dispos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action lever.

또한, 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너 도어 핸들과, 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 도어 핸들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홀딩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door handl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interior case, and a holding lever installed inside the interior case and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또한, 상기 패닉 작동부는, 상기 홀딩 레버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모터 기어 박스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 리브와, 상기 모터 기어 박스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홀딩 레버의 외주면에 연접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된 라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nic operation par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protruding rib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motor gear box,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motor gear box, are rounded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It may include a rounding part.

또한, 상기 라운딩부와 상기 홀딩 레버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상기 돌출 리브의 돌출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formed between the rounding part and the holding lever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protruding thickness of the protruding rib.

또한, 상기 돌출 리브의 돌출 두께는, 상기 라운딩부와 상기 홀딩 레버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틈새로 상기 돌출 리브가 들어갈 경우 상기 모터 기어 박스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3°이상 밀림될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thickness of the protruding rib is such that when the protruding rib enters the gap formed between the rounding par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the other end of the motor gear box is pushed by 3 ° or more about the one end part. It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패닉 작동시 락 구동부와 액션 기어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by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k driving unit and the action gear during the panic operation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를 이용한 도어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아우터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데드 볼트를 이용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아우터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래치 볼트를 이용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이너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데드 볼트 및 래치 볼트에 의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어의 언락 과정 동안 액션 기어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어의 락 과정 동안 액션 기어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액션 기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ternal assembly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door using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of Figure 1, Figure 3 is a configuration of Figure 1 4 is an internal assembly diagram illustrating an unlocking process of a door using a dead bol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outer door handle, and FIG. 4 is an internal assembly illustrating an unlocking process of a door using a latch bol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outer door handle of FIG. 1. FIG. 5 is an internal assembly diagram illustrating an unlocking process of a door by a dead bolt and a latch bol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inner door handle of FIG. 1, and FIGS. 6A and 6B illustrate an action gear during an unlocking process of a door. 7A and 7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action gear during the locking process of the door, and FIG. 8 is the action gear of the configuration of FIG.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어(미도시)를 중심으로 실내 측에 설치된 실내부 케이스(10)와, 상기 도어를 중심으로 실외 측에 설치된 미도시의 실외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terior case 10 is installed on the interior side around the door (not shown), and the door It includes a case of the outdoor unit not shown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around the center.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잠금시키거나, 상기 도어를 사용자가 일정한 해정(언락) 행위 없이는 개방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각종 보안 부품이 설치된다.The interior case 10 is provided with various security parts that serve to substantially prevent the user from locking the door or opening the door without a certain unlocking action.

그리고, 상기 실외부 케이스에는 사용자가 실외 측에서 실내 측으로 들어가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도어의 일정한 해정(언락)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수동 또는 자동으로 소정의 인증 신호를 입력하는 인증 패널 등 각종 보안 부품이 설치된다. The outdoor case is provided with various security components such as an authentication panel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signal manually or automatically so that a user can perform a certain unlocking action of the door required to enter the indoor side from the outdoor side. .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각종 보안 부품의 조립체를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라고 칭하기로 한다.Meanwhi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assembly of various security components installed in the interior case 10 will be referred to as an interior sid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데드 볼트(20)와 래치 볼트(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드 볼트(20)와 상기 래치 볼트(30)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각각 상하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indoor sid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ead bolt 20 and a latch bolt 30 installed in the interior case 10. The dead bolt 20 and the latch bolt 3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p and down inside the interior case 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측인 상기 실외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되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우터 도어 핸들(미도시)과, 실내 측인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로 노출되되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너 도어 핸들(도 9 및 도 10의 도면부호 210 참조)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sid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door handle (not shown)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door case on the outdoor side with respect to the door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angle. And an inner door handle (refer to reference numeral 210 in FIGS. 9 and 10) exposed to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case 10 and installed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과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은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나가려는 사용자 또는 실외 측에서 실내 측으로 진입하려는 사용자가 각각 손으로 잡아서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측과 실내 측에 각각 마련된다.The outer door handle and the inner door handle 210 may be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who wants to go from the indoor side to the outdoor side or the user who wants to enter the indoor side from the indoor side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hand. It is provided in each room side.

그리고,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 또는 상 기 이너 도어 핸들(210)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홀딩 레버(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 레버(40)는, 사용자가 실내 측 또는 실외 측에서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 또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 경우 연동하여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데드 볼트(20) 또는 상기 래치 볼트(30)를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도면상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holding lever 4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case 10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outer door handle or the inner door handle 210. The holding lever 40 is the dead bolt 20 or the latch in an operation that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o rotate the outer door handle or the inner door handle 210 by hand on the indoor or outdoor side. The bolt 30 serves to move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interior case 1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홀딩 레버(40)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액션 레버(50)를 매개로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데드 볼트(20)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도록 상기 데드 볼트(20) 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홀더(42)와,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회전 레그(70)를 매개로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래치 볼트(30)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도록 상기 래치 볼트(30) 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홀더(44)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holding lever 40 provides an external force through the action lev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ubstantially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o move the dead bolt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atch bolt 30 in the horizont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y providing an external force through a first holder 42 extending toward the dead bolt 20 and a rotating leg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second holder 44 extending toward the latch bolt 30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1홀더(42) 및 상기 제2홀더(44)는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 및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이기는 하나, 외부 침입자로부터의 침입 방지를 위하여,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만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래치 볼트(30)만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홀더(44)만이 상기 홀딩 레버(40)의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이 회전될 때 상기 래치 볼트(30)만이 이동되는 반면, 상기 데드 볼트(20)는 이동되지 않는 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에 따른 상기 도어의 해정(언락)이 이루어지지 않는 바, 실내 측으로 들어가려는 사용자는 추가적으로 필요한 해정(언락) 행위를 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 first holder 42 and the second holder 44 ar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uter door handle and the inner door handle 210, the outer door handle may be used to prevent intrusion from an external intruder. When only the rotation is rotated, only the second holder 44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C1 of the holding lever 40 so that only the latch bolt 30 can be moved. As such, only the latch bolt 30 is moved when the outer door handle is rotated, whereas the dead bolt 20 is not mov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dead bolt 20. Since unlocking is not performed, the user who wants to enter the indoor side needs to perform additional unlocking action.

반면,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이 회전된다는 의미는 사용자가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나가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가 모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홀더(42) 및 상기 제2홀더(44)가 동시에 상기 홀딩 레버(40)의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이 회전될 때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래치 볼트(30)를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상기 래치 볼트(30)에 따른 해정(언락)을 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잠금 상태에 있는 상기 데드 볼트(20)까지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패닉 현상 발생시 적절한 패닉 작동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door handle 210 is rotated means that the user is to go out from the indoor side to the outdoor side, when rotating the inner door handle 210, the dead bolt 20 and the latch bolt 30 The first holder 42 and the second holder 44 are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C1 of the holding lever 40 at the same time so that all of them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uch, when the inner door handle is rotated, the user may move the latch bolt 30 substantially to unlock the door according to the latch bolt 30 of the door. Rotate the inner door handle 210 is configured to move simultaneously to the dead bolt 20 in a locked state, as described below, to induce an appropriate panic operation when a panic phenomenon occurs.

여기서 이후 계속 사용되어질 용어의 정의로써, "사용자들의 패닉 현상"이란, 실내 측에 화재 등의 긴급한 사고가 발생하여 사용자들이 느끼는 공포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기로 하고, "패닉 작동"이란 이와 같은 사용자들의 패닉 현상 발생시 그 패닉 현상 해소를 위하여 사용자들이 신속히 실내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일련의 작동부의 작동 과정을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Here, the term "panic phenomenon of users" as used herein will be defined as "panic phenomenon of the user" refers to the fear that users feel when an emergency accident such as a fire occurs on the indoor side, and "panic operation" refers to the user's feeling. When the panic occurs, it refers to all the operation processes of a series of operating units which are operated to allow users to quickly escape from the room in order to solve the panic phenomenon.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정(언락)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데드 볼트(20)는 상기 홀딩 레버(40), 특히 상기 제1홀더(42)에 의하여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된다. 이때, 상기 데드 볼트(20)의 일부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된 상기 데드 볼트(20)의 일부 가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도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삽입부(102a)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잠금 및 해정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the locking and unlocking (unlocking) process of the door by the dead bolt 20 in more detail, the dead bolt 20 by the holding lever 40, in particular the first holder 42 A predetermined distance reciproc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interior case 10. At this time, a part of the dead bolt 20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case 10, a part of the dead bolt 2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case 10 is installed so that the door is rotatable. It serves to lock and unlock the door by an operation of being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02a formed in the door frame 100 that provides a place to be.

특히, 상기 데드 볼트(20)는,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도어락 어셈블리가 아닌 제품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구성으로서, 실내 측에 노출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름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정(언락)하도록 배치된 개방 작동버튼(미도시) 또는 실외 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소정의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카드키 또는 반도체 키 등을 가지고 소정의 인증 신호를 입력하도록 배치된 상기 인증 패널로부터 상기 도어의 개방을 명령하는 소정의 인증 신호가 입력되면,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락 구동부(60)(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에 의하여 소정의 외력을 전달받는 일종의 보안 부품이다. In particular, the dead bolt 20 is a configuration that is not found in products other than the electronically operated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the dead bolt 20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indoor side by the user in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dead bolt 20 Is provided on the open operation button (not shown) or the outdoor side arranged to unlock (unlock) the door,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password directly, or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signal with a card key or a semiconductor key, etc. When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signal for instru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is input from the authentication panel arranged so as to be received,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by the lock driving uni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s a kind of security component.

한편, 상기 래치 볼트(3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정(언락)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래치 볼트(30)는 대략 상기 데드 볼트(20)와 평행하도록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 하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홀딩 레버(40), 특히 상기 제2홀더(44)에 의하여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 하측에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된다. 이때, 상기 래치 볼트(30) 또한 그 일부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된 상기 래치 볼트(30)의 일부가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2삽입부(102b)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언락)하 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 and unlock (unlock) process of the door by the latch bolt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latch bolt 30 is approximately the interior case 1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dead bolt (20). The inner sp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holding lever 40, in particular, the second holder 44 is reciproc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inside the interior case 10. In this case, a part of the latch bolt 30 also protrudes outside the interior case 10, and a part of the latch bolt 30 protruding outside the interior case 10 is the door frame 100. The door is locked or unlocked (unlocked) by an operation of being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02b.

여기서, 상기 데드 볼트(20)와 상기 래치 볼트(30) 모두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삽입부(102a) 및 상기 제2삽입부(102b)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잠금 및 해정(언락)하는 역할을 하는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볼트(30)는 전기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반드시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반면, 상기 데드 볼트(20)는 전기력에 의하여 제공되는 외력 또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는데 그 차이가 있다. 여기서, 상기 데드 볼트(20)가 사용자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기술적 특징과 구체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Here, both the dead bolt 20 and the latch bolt 30 ar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first inserting portion 102a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02b respectively formed in the door frame 100. The same is true in terms of locking and unlocking (unlocking) the door, but as described above, the latch bolt 30 is not electrically operated but is operated only by an external force provided by the user, whereas the dead bolt is 20 may be operated by an external force provided by an electric force or an external force provided by a user. Here, the process in which the dead bolt 20 is operated by an external force provided by the user i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interior-sid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hall be.

상기 데드 볼트(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력에 의하여 제공되는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기 데드 볼트(20)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어느 일점의 회전 중심을 가지는 회전축(C2)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게 배치되고, 회전시 상기 데드 볼트(20)와 접촉되어 상기 데드 볼트(20)를 좌우 수평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이동시키는 액션 레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ad bolt 20 receives an external force provided by an electric force and is reciprocated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nterior case 10. As su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sid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ab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dead bolt 20, the rotation center of any one point inside the interior case 10 The action lever 50 is disposed so as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C2 having a rotational contact with the dead bolt 20 to move the dead bolt 20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It may include.

상기 데드 볼트(20)에는 회전되는 상기 액션 레버(50)가 걸림 접촉되도록 걸 림홈(2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5)은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에 상기 액션 레버(50)가 걸림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액션 레버(50)가 소정 각도 회전될 때 상기 데드 볼트(20)가 상기 액션 레버(50)에 걸림되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A locking groove 25 is formed in the dead bolt 20 so that the action lever 50 rotates in contact with the dead bolt 20. The locking groove 25 is formed on the rotation path of the action lever 50. As such, the action lever 50 is disposed on the dead bolt 20 so that the dead bolt 20 is caught by the action lever 50 when the action lever 5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t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은 상기 액션 레버(50)는 후술하는 락 구동부(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홀딩 레버(40)의 구성 중 상기 제1홀더(42)에 의하여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홀더(42)가 상기 액션 레버(50)에 회전력을 전달하면 상기 데드 볼트(20) 또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당연하다.The action lever 50 as described above can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lock drive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as well as transfer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by the first holder 42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ing lever 40. Can be rotated. Here, when the first holder 42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action lever 50, it is natural that the dead bolt 20 is also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는 도 6a 내지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측 테두리 부분에 또 다른 기어가 물림되도록 기어치(53)가 형성된 액션 기어(52)가 배치된다. 상기 액션 기어(52)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 삽입되도록 가운데 중공부(52')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6A to 7B, an action gear 52 having a gear tooth 53 formed therein is disposed on the outer rim of the action lever 50 such that another gear is engaged with the outer edge portion thereof. As shown in FIG. 8, the action gear 52 has a center hollow portion 52 ′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C2 of the action lever 50.

여기서, 상기 액션 기어(52)의 중공부(52') 내주면 사이와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 외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상기 액션 기어(52)의 중공부(52') 내경이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Here, the hollow portion 52 'of the action gear 52 such that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52' of the action gear 5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C2 of the action lever 50. ) The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C2 of the action lever 50.

한편, 상기 액션 기어(52)는 후술하는 락 구동부(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서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액션 레버(50)에 상기 락 구동부(6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다시 전달해야 하는 바,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액션 레 버(50)의 회전축(C2)을 향하여 돌출된 제1걸림단(5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단(54)은 상기 액션 기어(52)의 내주면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18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2개소에 이격되게 형성/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ction gear 52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lock drive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ed on the rotation axis (C2) of the action lever 50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lock drive unit 60 to the action lever 50 The first locking end projecting toward the rotation shaft C2 of the action lever 50 to be caught by at least som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otation shaft C2 of the action lever 50 should be transmitted again. 54) is formed. The first engaging end 54 may be formed /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two locations so as to maintain an interval of approximately 180 °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ion gear 52.

상기 액션 레버(50)에는, 상기 락 구동부(6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액션 기어(52)의 상기 제1걸림단(54)이 걸림된 경우 상기 액션 기어(52)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그 회전축(C2)에 제2걸림단(5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걸림단(55)은 상기 액션 레버(50)의 외주면이 회전 중심인 회전축(C2)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도록 가공 형성된 프리 이동 홈부(57)의 양단(55a)(55b)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는 2개소에 구비된 상기 제1걸림단(54) 각각이 상기 액션 기어(52)가 회전될 때 끼워져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 2군데 형성된다.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하나당 길이는 대략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 중심을 기준으로 100°의 외주면 길이를 가지도록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engaging end 54 of the action gear 52 rotated by the lock driving unit 60 is locked to the action lever 50, the rotation shaft thereof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action gear 52. A second locking end 55 is formed at C2. Here, the second locking end 55 is formed at both ends 55a and 55b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C2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ction lever 50. Corresponding. As described above, the free moving groove 57 is a rotation shaft C2 of the action lever 50 so that each of the first engaging ends 54 provided at two positions can be inserted and moved when the action gear 52 is rotated. It is formed in two places. The length of each of the free moving grooves 57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hav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ength of 100 ° based on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C2 of the action lever 50.

여기서, 상기 액션 기어(52)의 상기 제1걸림단(54)은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 형성된 상기 제2걸림단(55)에 항상 걸림되어 있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액션 기어(52)는 상기 락 구동부(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때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길이만큼 상기 제1걸림단(54)이 상기 제2걸림단(55)에 간섭없이 단독으로 회전되게 된다.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engaging end 54 of the action gear 52 is not always caught by the second engaging end 55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C2 of the action lever 50. . That is, when the action gear 52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lock driving unit 60, the first engaging end 54 has the second engaging end 55 by the length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It will rotate alone without interferenc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축(C2)에 상기 액션 기어(52)가 소정 거리, 즉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길이만큼 단독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너 도어 핸들에 의한 상기 액션 레버(50)의 회전시 상기 액션 레버(50)로부터 상기 락 구동부(60)로 외력이 역행되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on gear 52 to the rotation axis (C2) of the action lever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length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alone Rotating prevents the external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backward from the action lever 50 to the lock driver 60 when the action lever 50 is rotated by the inner door handl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lock driver 60. You can prevent it.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만약 제품의 구성 중 실내 측에 개방 작동버튼이 배치된 경우 사용자가 실내 측으로부터 실외 측으로 나가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개방 작동버튼을 누른다. 이는,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하여 잠금 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를 해정(언락)시키기 위한 단계로써, 상기 개방 작동버튼을 작동시키면 상기 락 구동부(60)가 작동되어 상기 데드 볼트(20)를 해정(언락)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상기 액션 레버(50)로 전달하게 된다.In more detail, if the open operation button is arranged on the indoor side of the product configuration, the user presses the open operation button to exit the indoor side from the indoor side. This is a step for unlocking (unlocking) the door that is locked by the dead bolt 20. When the open operation button is activated, the lock driving unit 60 is operated to release the dead bolt 20. The rotational force for unlocking is transmitted to the action lever 50.

한편, 제품의 구성 중 상기 개방 작동버튼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곧바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홀딩 레버(40)를 이용하여 상기 데드 볼트(20)를 상기 도어를 해정(언락)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opening operation button of the product configuration, the user immediately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by using the holding lever 40 to release the dead bolt 20 to the door ( Can be unlocked).

그런데, 일반적으로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이 완료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액션 레버(50)의 구체적인 위치를 살펴보면, 상기 제1걸림단(54)이 상기 프리 이동 홈부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a)에 걸림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홀딩 레버(40) 중 상기 제1홀더(42)가 상기 액션 레버(5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액션 레버(50)는 회전되면서 상기 락 구동부(60)로 그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하여 상기 락 구동부(60)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However, in general, as shown in FIG. 6A, when looking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action lever 50 when the lock of the door is completed using the dead bolt 20, the first catching end 54 ) Is caught in the second locking end 55a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free moving groov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older 42 of the holding lever 40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action lever 50 and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he received action lever 50 is rotated while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as it is to the lock drive unit 60 may damage the lock drive unit 60.

이와 같은,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 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액션 기어(52)가 단독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가 형성된 것이다.As such, in order to prevent the lock driving unit 60 from being damaged, the indoor sid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ree moving groove 57 in which the action gear 52 can be rotated alone. .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데드 볼트(20)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 경우, 미도시된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락 구동부(60)를 소정 시간 작동시켜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a)에 걸림된 상기 제1걸림단(54)을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b)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사용자의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통한 외력 전달에 따른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 방지를 위해 미리 상기 락 구동부(60)를 작동시켜 상기 제1걸림단(54)을 상기 액션 레버(50)가 예기치 않게 회전되는 경우 상기 액션 레버(50)만이 단독으로 회전되는 비간섭구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b)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 액션 레버(50)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걸림단(54)은 정지된 상태이고, 상기 락 구동부(60)가 작동되면 상기 액션 기어(52)가 회전되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제1걸림단(54)이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a) 측에 걸림되어 있다가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b) 측에 걸림된다.That is, in the indoor sid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locked by using the dead bolt 20, a controller (not shown) causes the lock driving unit 60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perate the second locking end 54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to engage the first locking end 54 which is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end 55 a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Control to move to the stage (55b). That is, the first locking end 54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lock driving unit 60 in advance to prevent the control unit from damaging the lock driving unit 60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through the inner door handle 210 of the user. When the action lever 50 is unexpectedly rotated, the second engaging e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so as to secure a non-interference section in which only the action lever 50 is rotated alone. 55b). However, since the action lever 50 is actually fixed, the first locking end 54 is in a stopped state. When the lock driving unit 60 is operated, the action gear 52 is rotated to relatively rotate the first lever. The locking end 54 is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end 55a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and then the second locking e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is formed. 55b) is caught on the sid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를 지키지 않고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라도, 상기 액션 레버(50)의 제1걸림단(54) 은 상기 액션 기어(52)와 간섭되지 않는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타단에 해당되는 상기 제2걸림단(55b)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홀더(42)에 의하여 상기 액션 레버(50)만이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길이만큼 단독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락 구동부(60)로 외력을 역 전달하지 않게 된다.In this state, even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without following the above-described order, the first engaging end 54 of the action lever 50 is in contact with the action gear 52. Since it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end 55b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which does not interfere, only the action lever 50 is driven by the first holder 42. As it is rotated alone by the length of), the external force is not transmitted back to the lock driving unit 6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해정(언락)된 경우,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에 의하여 상기 액션 레버(50)만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걸림단(54)이 다시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a)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is unlocked (unlocked) by moving the dead bolt 20 inside the interior case 10, only the action lever 50 is opened by the inner door handle 210. By rotating, the first locking end 54 is locked to the second locking end 55a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again.

이때, 상기 도어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도어 프레임(100) 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의 폐쇄가 감지되면(이를 감지하는 부품은 후술하는 센서 볼트(90)의 이동을 감지하는 도어 언락 감지부를 나타낸 도 2의 도면부호 83 참조) 상기 락 구동부(60)가 상기 데드 볼트(20)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하는데, 상기 제1걸림단(54)이 상기 프리 이동 홈부(57)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2걸림단(55a)에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곧바로 상기 액션 레버(5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하여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door is detected to be closed by the user moving to the door frame 100 side (components for detecting the door unlock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sensor bolt 90 to be described later) Reference numeral 83 of 2) operates the lock driving unit 60 to move the dead bolt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first locking end 54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free moving groove 57. Since the second locking end 55a is in a locked state, the action lever 50 may be immediate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us the door may be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by the dead bolt 20.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 방지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작동 과정은, 사용자가 실내 측에서 패닉 현상 발생시 오히려 유용하다. 즉, 패닉 현상 발생시에는 신속하게 실내 측으로부터 실외 측으 로 사용자들이 탈출하여야 하는 바, 당황한 나머지 상기 개방 작동버튼이 구비된 경우 이를 누르지 않고 곧바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 또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과도한 힘으로 회전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때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이 잦기 때문이다.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lock drive unit 60 as described above is rather useful when the user panic occurs indoors. That is, when the panic occurs, the user should quickly escape from the indoor side to the outdoor side. If the open operation button is embarrassed, the inner door handle 210 may be rotated immediately without pressing the inner door or the inner door. In most cases, the handle 210 is rotated with an excessive force, because the lock driving unit 60 is frequently damag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액션 레버(50)를 회전시키도록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락 구동부(6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lock drive unit 60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action lever 50.

상기 락 구동부(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부 회전축(C4)이 힌지(C4)에 의하여 결합되고 타단부가 힌지(C4) 결합된 상기 일단부 회전축(C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모터 기어 박스(61)와,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모터 기어(6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 drive unit 60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s 1 and 2,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C4) is coupled by the hinge (C4) and the other end is hinged (C4) A motor gear box 61 installed to rotate about the one end rotation shaft C4, a drive motor (not shown) installed and electrically operated in the motor gear box 61, and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motor gear 63 which is rotated.

여기서,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가 서로 치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시 상기 모터 기어(63)가 회전될 때 상기 액션 기어(52)가 회전하면서 상기 액션 레버(50)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action gear 52 and the motor gear 63 are arrang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ction gear 52 rotates when the motor gear 63 is rot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It is to rotate the 50 in one direction.

한편, 상기 래치 볼트(30)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일단부가 힌지(C3) 결합되고 타단부가 외력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 상기 일단부 힌지 결합부(C3)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된 회전 레그(7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레 그(70)의 회전과 연동되어 그 일부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래치 볼트(30)의 일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삽입부(102b)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언락)시키는 것은 당연하다.Meanwhile, the latch bolt 30 is rotated about the one end hinge coupling portion C3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terior case 10 and the other end hinged by an external force.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leg 70 is disposed, it is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leg 70 is exposed so that a portion of the interior case 10 outside.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latch bolt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terior case 10 is locked or unlocked (unlocked) by an operation of being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02b. It is natural to make).

이와 같이, 상기 래치 볼트(30)의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 및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회전 작동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상기 홀딩 레버(40)의 구성 중 상기 제2홀더(44)가 상기 회전 레그(70)의 타단부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As su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nabl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latch bolt 30 may include a rotational operation of the outer door handle and the inner door handle 210. The second holder 44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leg 70 of the holding lever 40 which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상기 제2홀더(44)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 레그(70)는 힌지 결합된 상기 일단부(C3)를 중심으로 그 타단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래치 볼트(30)를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도면상 우측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었던 상기 래치 볼트(30)의 일부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2삽입부(102b)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의 해정(언락)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second holder 44 is rotated, the rotation leg 70 rotates the other end about the hinged one end portion C3 and rotates the latch bolt 30 of the interior case 10. I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ght in the drawing. Then, a part of the latch bolt 30 that has bee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terior case 1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case 10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102b to release the door. (Unlock) will be done.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홀더(42) 및 상기 제2홀더(44)가 상기 액션 레버(50) 및 상기 회전 레그(70)를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를 동시에 잠금 상태에서 해정(언락)시키게 된다.Here,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the first holder 42 and the second holder 44 simultaneously rotate the action lever 50 and the rotation leg 70, and the dead The bolt 20 and the latch bolt 30 are unlocked at the same time in a locked state.

반면, 사용자가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홀더(42)는 회 전되지 않고 상기 제2홀더(44)만 회전됨으로써 그에 연동되게 상기 회전 레그(70)만이 회전되어 상기 래치 볼트(30)만을 잠금 상태에서 해정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otates the outer door handle, the first holder 42 is not rotated, and only the second holder 44 is rotated so that only the rotation leg 70 is rotat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latch bolt 30. ) Will only be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그런데, 사용자가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홀더(42)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패닉 현상 발생시 안전하고 신속하게 사용자들이 실내 측으로부터 실외 측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홀더(44)는 물론 상기 제1홀더(42)도 회전되는 바, 이때 상기 데드 볼트(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락 구동부(60)가 상기 액션 레버(50)와 연결되어 있어 패닉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제1홀더(42)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반면, 상기 락 구동부(60)는 미 작동시 정지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정지시 외부로부터 소정의 외력을 전달받으면 비정상적인 반대 부하가 걸려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user rotates the outer door handle, the first holder 42 is configured not to rotate, but it is not a big problem. And the first holder 42 as well as the second holder 44 are rotated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escape from the indoor side to the outdoor side. In this case, the lock driving unit for moving the dead bolt 20 ( 60 is connected to the action lever 50,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anic operation is not smooth. In addition, the first holder 42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while the lock driving unit 60 is in a stopped state when it is not operating. There was a problem of this deteriora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락 구동부(60)의 구성 중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를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t one tim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otor gear box 61 of the lock drive unit 60 of the interior case 10 It is installed so as to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insid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일단부가 힌지(C4)에 의하여 결합되고, 외력이 작용하면 그 타단부가 상기 힌지(C4)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 one end of the motor gear box 61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terior case 10 by a hinge C4,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ppli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hinge C4 is disposed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는 회전된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외측면을 탄성지지하여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65)가 배치될 수 있다. An elastic member 65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case 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ed motor gear box 61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여기서,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 및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에는 사용자 및 실내 거주자들(이하, "사용자들"이라 약칭함)의 패닉 현상 발생시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패닉 작동부(110)가 형성된다. Here, the action gear 52 and the motor gear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40 and the motor gear box 61 when a panic phenomenon occurs between a user and indoor resid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s"). A panic operation unit 110 capable of releasing the connection of 63 is formed.

상기 패닉 작동부(110)는 사용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구성 중 상기 이너 핸들 도어를 회전시킬 경우 어떠한 작동 불량 없이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nic operation unit 110 has a function of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escape by unlocking the door without any malfunc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handle door du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패닉 작동부(110)는,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 리브(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패닉 작동부(110)는,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일측에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에 연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돌출 리브(46)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과 소정의 틈새만을 형성한 채 연접 배치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된 라운딩부(64)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라운딩부(64)와 상기 홀딩 레버(4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상기 돌출 리브(46)의 돌출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panic actuator 110 includes a protruding rib 46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40 and protruding toward the motor gear box 61. In addition, the panic operation unit 110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40 on one side of the motor gear box 61, the holding lever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protruding rib 46 It further includes a rounding portion 64 formed to be rounded so as to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40 and only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That is, the gap formed between the rounding part 64 and the holding lever 40 is smaller than the protruding thickness of the protruding rib 46.

상기 홀딩 레버(40)에 형성된 상기 돌출 리브(46)는, 사용자들이 실내 측에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홀딩 레버(40)가 회전되면서 상기 돌출 리브(46)가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와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틈새 사이로 들어가면서 계속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를 힌지(C4) 결합된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소정 각도 밀어낸다. The protruding ribs 46 formed on the holding levers 40 are rotated by the holding levers 40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in the room side. The motor gear box 61 is pushed outwardly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one end of the hinge C4 coupled to the gap between the box 61 and the gap form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40.

이와 같이,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가 전체적으로 힌지(C4)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소정 각도 밀리면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 사이의 물림(치합)이 해제되어 서로 연결이 끊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타단부가 상기 힌지(C4)를 중심으로 밀리는 각도는 대략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 사이의 물림이 해제되는 각도 이상 되어야 한다. 즉,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타단부는 상기 힌지(C4)를 중심으로 대략 3°이상 밀림되는 것이 좋다.As such, when the other end is pushed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one end of which the motor gear box 61 is entirely hinged (C4), the bite (matching) between the action gear 52 and the motor gear 63 is released. You will b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angle at which the other end of the motor gear box 61 is pushed about the hinge C4 should be about the angle at which the bite between the action gear 52 and the motor gear 63 is released.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motor gear box 61 is preferably pushed about 3 ° or more about the hinge (C4).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상기 돌출 리브(46)의 돌출 두께는, 상기 라운딩부(64)와 상기 홀딩 레버(4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틈새로 상기 돌출 리브(46)가 들어갈 경우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일다부를 중심으로 대략 3°이상 밀림될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protruding thickness of the protruding rib 46 is the motor gear when the protruding rib 46 enters the gap formed between the rounding portion 6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40. Preferably, the other end of the box 61 is formed to a thickness such that the other end portion is pushed about 3 ° or more about the one portion.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계속되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홀딩 레버(40)가 회전될 때 그 회전력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까지 전달되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가 동시에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즉, 해정)로 전환되어 사용자들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신속히 탈출할 수 있는 것이다.Here, if the user continues to rotate the inner door handle 210, when the holding lever 4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inuous rot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210, the rotational force is the dead bolt 20 and The dead bolt 20 and the latch bolt 30 are transferred to the latch bolt 30 to be unlocked at the same time (ie, unlocked) so that users can open the door and escape quickly. .

한편, 상기 데드 볼트(20)의 이동 경로 상에는 상기 데드 볼트(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정 상태를 감지하는 데드 락 감지부(81)와 데드 언락 감지부(82)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데드 락 감지부(81)와 상기 데드 언락 감지부(82) 는, 접점 방식의 스위치 조립체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ad lock detection unit 81 and the dead unlock detection unit 82 for detect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door by the dead bolt 20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dead bolt 20, respectively. The dead lock detection unit 81 and the dead unlock detection unit 82 may be provided as a switch assembly of the contact type.

즉, 상기 데드 락 감지부(81)는 상기 데드 볼트(20)가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드 볼트(20)와 접점되는 동작으로 잠금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데드 언락 감지부(82)는 상기 데드 볼트(20)가 상기 도어를 해정하는 위치에서 상기 데드 볼트(20)와 접점되는 동작으로 해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dead lock detection unit 81 detects the lock position by the contact with the dead bolt 20 at the position where the dead bolt 20 locks the door, and the dead unlock detection unit 82 The dead bolt 20 may detect the unlocked position by contacting the dead bolt 20 at a position where the dead bolt 20 releases the door.

한편,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는 상기 도어가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밀려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도어가 해정 상태인 경우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 볼트(90)가 배치된다.Meanwhile, when the door is locked, the interior case 10 is pushed by the door frame 100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case 10 and the door is unlocked. The sensor bolt 9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10 is disposed.

상기 센서 볼트(90)의 이동 경로 상에는 상기 데드 락 감지부(81) 및 상기 데드 언락 감지부(82)와 같은 접점 방식의 스위치 조립체로 구비된 도어 언락 감지부(83)가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unlock detection unit 83 provided as a switch assembly of a contact type such as the dead lock detection unit 81 and the dead unlock detection unit 82 may be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ensor bolt 90.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작동 과정을 도어의 언락 과정(특히, 실외 측에서의 언락 과정 및 실내 측에서의 언락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unlocking process of the door (in particular, the unlocking process in the outdoor side and the unlocking process in the indoor side).

먼저, 실외 측에서 상기 도어를 해정(언락)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가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삽입부(102a) 및 제2삽입부(102b)에 삽입된 상태, 즉 상기 도어가 잠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 측으로 들어서기 위하여 상기 실외부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비밀번호 키, 카드 키, 반도체 키 및 FOB KEY 중 어느 하나 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패널에 소정의 인증 신호를 입력시킨다. First, referring to the process of unlocking (unlocking) the door from the outdoor sid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dead bolt 20 and the latch bolt 30 are formed in the door frame 100. Password keys, card keys, and semiconductor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outdoor case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ng portion 102a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02b, that is, the user enters the indoor side while the door is locked.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signal is input to the authentication panel using any one of a key and an FOB key.

그러면, 상기 락 구동부(60)의 구성 중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되면서 상기 모터 기어(63) 및 상기 액션 기어(52)를 매개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액션 레버(50)로 전달되고, 이와 같은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액션 레버(50)는 상기 데드 볼트(20)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25)에 걸림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데드 볼트(20)를 해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데드 언락 감지부(82)가 상기 데드 볼트(20)의 해정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Then, while the driving motor is operated in the lock driving unit 6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action lever 50 via the motor gear 63 and the action gear 52. The action lever 50 which has received the same rotational force moves the dead bolt 20 to the unlocked position by being rotated in a state of being locked by the locking groove 25 formed in the dead bolt 20. At this time, when the dead unlock detection unit 82 detects the release position of the dead bolt 20,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is stopp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외 측에서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홀딩 레버(40) 중 상기 제2홀더(44)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레그(70)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 볼트(30)를 소정 거리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완전히 해정(언락) 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outer door handle on the outdoor side, the latch bolt 30 is operated by rotating the rotation leg 70 while the second holder 44 of the holding lever 40 is rotated. ) Is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 completely change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to the unlocked state.

다음으로, 실내 측에서 상기 도어를 해정(언락)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 및 상기 래치 볼트(30)가 상기 도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삽입부(102a) 및 제2삽입부(102b)에 삽입된 상태, 즉 상기 도어가 잠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홀딩 레버(40)의 상기 제1홀더(42) 및 제2홀더(44)가 동시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 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인 바, 상기 패닉 작동부(110)가 작동된다. Next, referring to the process of releasing (unlocking) the door from the indoor side, as shown in FIG. 5, the dead bolt 20 and the latch bolt 30 are formed on the door frame 100.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indoors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102a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102b, that is, the door is locked,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the holding lever 40 The first holder 42 and the second holder 44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the panic operation unit 110 is operated.

즉,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켜 상기 홀딩 레버(40)가 회전되면, 상기 홀딩 레버(40) 중 상기 제1홀더(42)에 형성된 상기 돌출 리브(46)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와 상기 홀딩 레버(40)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어 상기 모터 기어 박스(61)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동작으로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 사이의 물림(치합)을 해제시킨다.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and the holding lever 40 rotates, the protruding rib 46 formed in the first holder 42 of the holding lever 40 rotates in associa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motor gear box 61 and the holding lever 40 to push the motor gear box 61 outwards between the action gear 52 and the motor gear 63 Release the bite.

그러면, 상기 제1홀더(42)가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액션 레버(50)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액션 기어(52)와 상기 모터 기어(63) 사이의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별다른 간섭없이 상기 데드 볼트(20)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정(언락)시키게 된다.Then, when the action lever 5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holder 42 is rota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tion gear 52 and the motor gear 63 is released, so that the dead bolt (without any interference) 20) to move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unlock (unlock) the door.

또한, 상기 제2홀더(44)가 회전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레그(70)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 볼트(30)를 소정 거리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완전히 해정(언락) 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holder 44 is rotated, the latch bolt 30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rotating the rotation leg 70 to completely unlock the lock state of the door (unlocked). Will be switched to sta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와 같은 보안 장치는, 상기 도어를 중심으로 실내 측 또는 실외 측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일측에 발생된 화재로 인하여 타측으로 불이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를 중심으로 어느 일측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기까지는 화재가 발생된 어느 일측 부분에만 화재가 진행이 되지만,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타측의 산소가 공급되면서 갑자기 타측으로 불이 급격하게 번지게 되는 위험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security device such as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in the indoor or outdoor side around the door, to prevent the fire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due to the fire generated on one side Must have a function That is, in general, when a fire occurs on one side of the door, the fire proceeds to only one side of the fire until the door is opened, bu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other side is suddenly supplied with oxygen on the other side. There is a risk of the fire spreading to the side.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같은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제조 과정에서, 화재가 실내/외 어느 일측에서 1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라도 상기 데드 볼트(20)와 같은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품이 고열로 녹아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형 시험"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risk,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locking function such as the dead bolt 20 even when a fire lasts for more than 1 hour at either side of the indoor / outdoo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requirements of the "fire resistance test" shall be satisfied to prevent melting at high temperatures.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술한 바와 같은 내화형 시험 규정을 만족하고자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o satisfy the fire resistant test rule as described above.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구성 중 상기 실내부 케이스(1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상기 도어 측으로 개구된 두께가 얇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 상기 래치 볼트(30), 상기 액션 레버(50) 및 상기 홀딩 레버(40) 등의 구성 모두가 결합된다.That is, the interior case 10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n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hich is opened to the door side, as shown in FIG. 1. As described above,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case 10 includes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dead bolt 20, the latch bolt 30, the action lever 50, the holding lever 40, and the like.

한편,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일측으로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데드 볼트(20)와 상기 래치 볼트(30) 및 상기 센서 볼트(90)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제1가이드 홀(13a) 및 제2가이드 홀(13b)이 형성된 케이스 홀 커버(12)가 부착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indoor case 10, the dead bolt 20, the latch bolt 30 and the sensor bolt 90 installed inside the interior case 10 is the interior case 10 The case hole cover 12 having the first guide hole 13a and the second guide hole 13b exposed to the outside is attached thereto.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1가이드 홀(13a) 및 상기 제2가이드 홀(13b)에 대응되는 구멍(15a)(15b)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5)가 덧대어 결합될 수 있다.A guide plate 15 having holes 15a and 15b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hole 13a and the second guide hole 13b may be padd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hole cover 12. Can be.

여기서,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는, 내화형 시험을 만족하기 위하여 고열에 강한 SPCC 재질로 다이 캐스팅 가공 형성될 수 있다. 1t 이상의 냉연 강판으로 평판용 또는 간단한 가공용으로 사용하며 가장 경제적인 일반 냉연 강판이다. Here, the case hole cover 12 may be formed by die casting processing of a high temperature resistant SPCC material to satisfy the fire resistance test. Cold rolled steel sheet of 1t or more, used for flat plate or simple processing, and is the most economical cold rolled steel sheet.

상기 SPCC 재질은 1t 이상의 냉간압연강제로써, 일반적으로 JIS 규격으로 통 용되는데, 성분 구성이 C:0.12, Mn:0.5, P:0.04, S:0.45, 이하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철 (Fe)로 구성되어 있다. The SPCC material is a cold rolled steel of 1t or more, and is generally used in JIS standards. Consists of

상기 SPCC 재질은 냉간압연강판인 바, 두께가 얇으며 치수의 정도가 높고 미려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평탄도와 광범위한 가공성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고열에 강한 이점이 있다.The SPCC material is a cold rolled steel bar, the thickness is thin, the degree of dimension is high and has a beautiful surface, as well as having excellent flatness and a wide range of workability, there is a strong advantage in high heat.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5)와 더불어 상기 데드 볼트(20)와 상기 래치 볼트(30) 및 상기 센서 볼트(90)의 좌우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므로, 실질적으로 고열에 의하여 녹거나 망실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 및 상기 아우터 도어 핸들을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정(언락)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The case hole cover 12 serves to guide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movements of the dead bolt 20, the latch bolt 30, and the sensor bolt 90 together with the guide plate 15. If melted or lost due to high hea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is unlocked (unlocked) before the inner door handle 210 and the outer door handle are operated by a user.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의 재질을 SPCC 재질로 구비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The case of the case hole cover 12 is provided with a material of SPCC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in advance.

특히,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의 양면 중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측면 중 상부면과 하부면에 밀착 설치되는 가이드부(14a)(14b)가 2군데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guide part 14a which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ior case 10 to the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interior case 10 of both sides of the case hole cover 12. 14b is formed in two places.

상기 가이드부(14a)(14b)는 실질적으로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를 결합시킬 때, 결합되는 정위치를 확보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만, 비교적 고열에 약한 재질인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측면 중 상부면과 하부면에 일부 덧대도록 배치되어 내화성 시험시 적어도 상기 래치 볼트(30)가 위치된 부분만큼은 내화형 시험 규정 을 만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s 14a and 14b serve to guide the case hole cover 12 to secure a fixed position when the case hole cover 12 is substanti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terior case 10, but relatively high heat.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made of aluminum material, which is weak to the pad, is disposed to partially cove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ior case 10. It serves to satisfy.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 및 상기 가이드부(14a)(14b)를 구성하는 재질을 상기 SPCC 재질로 선택함으로써 내화형 시험 규정을 어느 정도 만족할 수 있다.As such,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fire resistance test rule to some extent by selecting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ase hole cover 12 and the guide portions 14a and 14b as the SPCC material. Can be.

아울러,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래치 볼트(30)는 경도와 내화성이 좋은 소결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tch bolt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terior case 10 may be made of a small alloy with good hardness and fire resistance.

상기 래치 볼트(30)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부로 일부가 직접 노출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경도 및 내화성에 우수한 소결합금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Since the latch bolt 30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terior case 10, the latch bolt 30 is preferably made of a small alloy material excellent in hardness and fire resistance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래치 볼트(30) 및 상기 케이스 홀 커버(12)의 재질을 내화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최근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의 가장 큰 문제점이 내화형 시험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As su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atch bolt 30 and the case hole cover 12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fire resistance. The biggest problem of) offers the advantage of satisfying all fire resistant test specifications.

도 9는 도 1의 구성 중 실내부 케이스(201)의 배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내부 케이스(201)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품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portion of the interior case 201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FIG. 10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interior case 201 of FIG. 9.

도 9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와,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외측에 해당하는 실내 측에 설치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과, 상기 실내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상기 홀딩 레버(40)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될 때 이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홀딩 레버(40)에 배치된 이너 핸들 레버(23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9 and 10,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terior case 10 and the inner door handle installed at an interior side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interior case 10. 210 and the holding lever 40 disposed inside the interior case 10 are disposed on the holding lever 40 so that the holding lever 40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inner door handle 210 when the holding lever 4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210. The inner handle lever 230 is rotatably arranged.

또한, 상기 실내부 케이스(201) 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실외부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인증 패널을 통하여 비밀번호 등의 인증 신호를 입력하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205)이 배치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an authentication signal such as a password through the authentication panel installed in the outdoor case, a printed circuit board 205 is disposed in the indoor case 201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실내부 케이스(201)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5) 및 각종 전장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60)가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260)가 배치되는 전원부 설치부(270)가 배치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2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05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is disposed in the interior case 201, and a power supply unit 270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260 is disposed is disposed. Can be.

상기 이너 핸들 레버(23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5)을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된 레버 리브(231)가 형성되어, 상기 이너 핸들 레버(230)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The inner handle lever 230 is provided with a lever rib 231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205,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inner handle lever 23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5)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이 회전되면 이에 따라 연동되는 상기 이너 핸들 레버(230)에 형성된 상기 레버 리브(23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부(2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5, and the lever formed on the inner handle lever 230 interlocked accordingly when the inner door handle 210 is rotated. The photo sensor unit 24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rib 231 is included.

상기 포토 센서부(240)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 리브(231)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photo sensor unit 24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case 10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lever rib 231 serves to detect the oper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210.

일반적으로, 상기 데드 볼트(20)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한 후(즉, 상 기 데드 볼트(20)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 후) 다시 폐쇄되면, 이를 상기 도어 언락 감지부(83)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다는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대략 3초 정도) 경과 후 상기 락 구동부(60)로 하여금 상기 데드 볼트(20)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이동시키는 작동 제어를 한다.In general, the dead bolt 20 is closed again after the user opens the door (that is, after unlocking the door by the dead bolt 20), the door unlock detection unit ( 83 senses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at the door is closed, the control unit to cause the lock driving unit 60 to switch the dead bolt 20 to the locked st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bout 3 seconds) Control movement to move.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락 구동부(60)가 작동 중일 때,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우발적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락 구동부(60)의 정지시보다 더 큰 반대 부하가 상기 락 구동부(60)로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 driving unit 60 is operating as a process for locking the door by the controller, an accidental case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may occur. At this time, an opposite load larger than when the lock driver 60 is stopped may be transmitted to the lock driver 60 as it is, resulting in damage to the lock driver 60.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락 구동부(60)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 중일 때 사용자가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을 회전시킬 경우, 이와 같은 현상도 패닉 현상으로 간주함과 아울러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포토 센서부(240)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작동이 감지되면 곧바로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락 구동부(6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In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door handle 210 when the lock driving unit 60 is operating by the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such a phenomenon also panic phenomenon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lock driving unit 60, when the oper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210 is sensed by the photo sensor unit 240 by a user, the control unit causes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lock driving unit. Control to stop the operation of (60).

상기 포토 센서부(240)는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241)와, 상기 송출부(241)와의 사이에 소정의 사잇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사잇 공간에 간섭 물체가 없으면 상기 송출부(241)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42)를 포함한다.The photo sensor unit 240 forms a predetermined site between the transmitter 241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ignal and the transmitter 241, and if there is no interference object in the site, the transmitter 241. It includes a receiving unit 242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상기 레버 리브(231)의 존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는 송 출부(241)와, 상기 송출부(241)로부터 송출된 신호의 수신여부를 감지하는 수신부(242)를 포함한다.And a transmitter 241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ignal in order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lever rib 231, and a receiver 242 for detecting whethe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41 is received.

상기 송출부(241)와 상기 수신부(242)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레버 리브(231)가 이격된 사잇 공간에 정확하게 위치된 경우 상기 포토 센서부(240)는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이 작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레버 리브(231)가 이격된 사잇 공간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수신부(242)가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The transmitter 241 and the receiver 242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en the lever rib 231 is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spaced apart space, the photo sensor unit 240 is the inner door handle 210. ) Is not operated, and when the lever rib 231 is separated from the spaced apart space, the receiver 242 receives the predetermined signal to determine that the inner door handle 210 is operated. do.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1)는, 상기 실내부 케이스(10)에 설치된 상기 레버 리브(231)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205)에 설치된 상기 포토 센서부(240)를 구비함으로써, 패닉 현상 발생시는 물론 일상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상기 이너 도어 핸들(210)의 작동으로 인한 상기 락 구동부(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ever rib 231 installed on the interior case 10 and the photo sensor unit 240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5. When the panic phenomenon occurs,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lock drive unit 60 due to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210 that may occur.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that fol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를 이용한 도어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며, 2 is an internal assembly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door using 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of FIG. 1,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아우터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데드 볼트를 이용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고, 3 is an internal assembly diagram illustrating an unlocking process of a door using a dead bol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outer door handle of FIG. 1;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아우터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래치 볼트를 이용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며, 4 is an internal assembly diagram illustrating a door unlocking process using a latch bol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outer door handle in FIG. 1;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이너 도어 핸들의 작동에 따른 데드 볼트 및 래치 볼트에 의한 도어의 언락 과정을 나타낸 내부 조립도이고, 5 is an internal assembly diagram illustrating an unlocking process of a door by a dead bolt and a latch bol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of FIG. 1;

도 6a 및 도 6b는 도어의 언락 과정 동안 액션 기어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action gear during the unlocking process of the door,

도 7a 및 도 7b는 도어의 락 과정 동안 액션 기어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7a and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action gear during the locking process of the door,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액션 기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ction gear of the configuration of FIG.

도 9는 도 1의 구성 중 실내부 케이스(201)의 배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portion of the interior case 201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도 10은 도 9의 실내부 케이스(201)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품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FIG. 10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arranged inside the interior case 201 of FIG. 9.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실내 측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10: 실내부 케이스1: Interior sid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10: Interior case

20: 데드 볼트 30: 래치 볼트20: dead bolt 30: latch bolt

40: 홀딩 레버 42: 제1홀더40: holding lever 42: first holder

44: 제2홀더 46: 돌출 리브44: second holder 46: protruding rib

50: 액션 레버 52: 액션 기어50: action lever 52: action gear

60: 락 구동부 61: 모터 기어 박스60: lock drive portion 61: motor gear box

63: 모터 기어 64: 라운딩부63: motor gear 64: rounding part

65: 탄성부재 70: 회전 레그 65: elastic member 70: rotating leg

81: 데드 락 감지부 82: 데드 언락 감지부 81: dead lock detection unit 82: dead unlock detection unit

83: 도어 언락 감지부 90: 센서 볼트83: door unlock detection unit 90: sensor bolt

110: 패닉 작동부 205: 인쇄회로기판110: panic operation unit 205: printed circuit board

210: 이너 도어 핸들 230: 이너 핸들 레버210: inner door handle 230: inner handle lever

231: 레버 리브 240: 포토 센서부231: lever rib 240: photo sensor

Claims (7)

도어의 실내 측에 배치된 실내부 케이스와; An interior case disposed on an interior side of the door; 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소정 거리 이동하는 동작으로 도어 프레임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하는 데드 볼트와; A dead bolt installed inside the interior case and locking or releasing the door by inserting or detaching the door into a door frame by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데드 볼트와 걸림되면서 상기 데드 볼트를 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액션 레버와;An action lever which is engaged with the dead bolt in a rotatable operation and moves the dead bolt inside the interior case; 상기 액션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액션 레버를 회전시키는 락 구동부와;A lock dri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ction lever to rotate the action lever; 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패닉 작동시 상기 액션 레버와 상기 락 구동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패닉 작동부를 포함하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An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disposed in the interior case and including a panic operation unit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tion lever and the lock driving unit during a panic operation by a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락 구동부는,The lock drive unit, 상기 실내부 케이스 내부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모터 기어 박스와;A motor gear box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inside of the interior case and the other end rotated about the one end; 상기 모터 기어 박스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 모터와;A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motor gear box and electrically operated;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모터 기어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motor gear that is installed and rotated on the rotary shaft of the drive motor, 상기 모터 기어는 상기 액션 레버와 연결되게 배치된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And the motor gear is arranged to be connected with the action lever.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액션 레버의 회전축에는 상기 모터 기어와 치합되는 액션 기어가 배치된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And an action gear meshing with the motor gear on a rotation shaft of the action lever.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너 도어 핸들과; An inner door handle rotatably installed outside the interior case; 상기 실내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 도어 핸들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홀딩 레버를 더 포함하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The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installed in the interior case, further comprising a holding leve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패닉 작동부는,The panic operation unit, 상기 홀딩 레버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모터 기어 박스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 리브와; A protruding rib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and protruding toward the motor gear box; 상기 모터 기어 박스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홀딩 레버의 외주면에 연접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된 라운딩부를 포함하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tor gear box,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including a rounding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to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라운딩부와 상기 홀딩 레버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상기 돌출 리브의 돌출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And a gap formed between the rounding part and the holding lever is smaller than the protruding thickness of the protruding rib.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돌출 리브의 돌출 두께는, 상기 라운딩부와 상기 홀딩 레버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틈새로 상기 돌출 리브가 들어갈 경우 상기 모터 기어 박스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3°이상 밀림될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The protruding thickness of the protruding rib is such that when the protruding rib enters into the gap formed between the rounding par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lever, the other end of the motor gear box is pushed by 3 ° or more about the one end part.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formed by.
KR1020090114690A 2009-11-25 2009-11-25 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KR201100580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90A KR20110058034A (en) 2009-11-25 2009-11-25 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90A KR20110058034A (en) 2009-11-25 2009-11-25 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034A true KR20110058034A (en) 2011-06-01

Family

ID=4439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690A KR20110058034A (en) 2009-11-25 2009-11-25 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803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3060A1 (en) Electronic Door Lock with a Monitoring Unit
CN104685141A (en) Digital door lock device
KR101026241B1 (en) operating method and Drawer-type safe on a furniture home network to prevent a crime
KR20110058032A (en) 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KR20110058033A (en) 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KR200447937Y1 (en) Inside handle having means for preventing dead bolt from forced opening
KR20060114840A (en) Back set for door lock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thereby
KR20180060394A (en) Push-pull door lock mortise
KR20110058034A (en) Electronic door locking assembly
KR20080092064A (en) Electronic fireproof doorlock
KR101383289B1 (en) Inner forced locking assembly of push-pull doorlock
KR100856743B1 (en) Mortice and door lock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242164B1 (en) An door lock device
CN211173457U (en) Pick-proof door lock and pick-proof door
KR20100138217A (en) Fixing device for openning state of the door
JP5007198B2 (en) Door lock device
JP2002155644A (en) Planar handle
JP3946204B2 (en) Door lock device
KR101322308B1 (en) Clutch assembly for thumbturn
JP6853672B2 (en) Latch device and door device using it
JP4850590B2 (en) Locking device
JP5511413B2 (en) Cabinet handle lock mechanism
JP4188782B2 (en) Operating body for switchgear
KR20130027685A (en) Electronic rotary latch
JP4177623B2 (en)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for double door in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